KR101205317B1 -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317B1
KR101205317B1 KR1020110053737A KR20110053737A KR101205317B1 KR 101205317 B1 KR101205317 B1 KR 101205317B1 KR 1020110053737 A KR1020110053737 A KR 1020110053737A KR 20110053737 A KR20110053737 A KR 20110053737A KR 101205317 B1 KR101205317 B1 KR 10120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ll
individual connection
shaf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현택
김희준
김현주
고피나탄 자야수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은, 선체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개별공간으로 구획되는 헐 샤프트(hull shaft); 선실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와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 및 댐퍼와 공기조화기 사이에서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ship}
본 발명은, 공기 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용되는 공기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는 일반 건물을 비롯하여 선박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가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기조화기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박에는 공기조화기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기조화기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시스템이 갖춰진다.
일반적인 공기 순환시스템은 선체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헐 샤프트(hull shaft)와, 헐 샤프트와 공기조화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개별 연결덕트를 구비한다.
대형 선박인 경우, 선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내 공간이 갖춰지고 이러한 실내 공간들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마련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헐 샤프트에서 분기되는 개별 연결덕트 역시 다수 개가 갖춰져서 공기조화기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헐 샤프트 역시 개별 연결덕트와 마찬가지로 공기가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덕트(duct) 구조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헐 샤프트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표면이 도장 처리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헐 샤프트의 도장 표면이 벗겨지거나 부식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헐 샤프트의 표면이 찢기거나 파손되는 등의 다양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장이 벗겨진 부분이나 파손 또는 손상된 부위를 유지보수 해야 한다. 물론, 헐 샤프트의 내부공간은 주기적으로 청소(cleaning)해 주어야 한다.
이처럼 헐 샤프트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을 진행하려면 불가피하게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처럼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실내 공기가 오염되기 쉽고, 특히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각되는 주변의 전자장비 등의 오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헐 샤프트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비의 냉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개별공간으로 구획되는 헐 샤프트(hull shaft); 선실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와 상기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 및 상기 댐퍼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에서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연결덕트와 상기 분기덕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퍼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댐퍼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회전식 댐퍼일 수 있으며, 상기 댐퍼 구동부는, 상기 원반형 회전식 댐퍼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 및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헐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헐 샤프트 내로 유입시키는 루버(louver)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헐 샤프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헐 샤프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 감지부로부터 상기 유해가스가 감지된 상기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댐퍼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헐 샤프트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비의 냉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확대도로서 공기 순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와는 다른 공기 순환 경로를 도시한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댐퍼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은, 선체(110)와, 선체(110)의 후미에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11)와, 프로펠러(111)의 주변에 배치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러더(114, rudder)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및 특수 작업선 등 어떠한 것이 될 수 있으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의 일측에는 스러스터(112, thruster)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선박에 스러스터(112)가 마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러스터(112)가 마련되면 선박의 정지 또는 항해 시 조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선박의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처럼 선체(110)의 일측, 특히 선수부(113)에 마련되는 스러스터(112)를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선체(110)의 내부에는 선실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 air handling unit)가 마련된다. 선실의 크기에 따라 공기조화기(131,132)의 개수는 더 증가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2개의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가 정화된 공기를 선실 내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공기 순환시스템(120)이 마련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확대도로서 공기 순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와는 다른 공기 순환 경로를 도시한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댐퍼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120)은, 헐 샤프트(140, hull shaft)와, 헐 샤프트(140)와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와,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를 포함한다.
헐 샤프트(140)는 선체(110, 도 1 참조)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헐 샤프트(140)는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와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 등과 마찬가지로 덕트(duct) 구조물일 수 있는데, 선체(110)에 일체로 결합된 덕트 구조물일 수도 있고, 선체(110)와는 별개로 제작된 덕트 구조물일 수 있다.
헐 샤프트(140)는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금속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헐 샤프트(140)를 제작할 수 있는데, 헐 샤프트(140)가 제작되고 나면 표면이 도장 처리된다.
이러한 헐 샤프트(140)의 내부에는 격벽(145)이 마련되며, 격벽(145)에 의해 헐 샤프트(140)의 내부는 2개의 제1 및 제2 개별공간(141,142)으로 구획된다. 제1 및 제2 개별공간(141,142)의 개수는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이때, 격벽(145)은 헐 샤프트(140)의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격벽(145)을 이동형으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헐 샤프트(140)의 내벽에 슬라이딩 홈을 만들고 이 슬라이딩 홈에 격벽(145)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헐 샤프트(140)의 일단부에는 외부공기를 헐 샤프트(140) 내로 유입시키는 제1 및 제2 루버(171,172, louver)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루버(171,172)는 제1 및 제2 개별공간(141,142)에 하나씩 대응되게 헐 샤프트(14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루버(171,172)는 기계식 루버일 수도 있고, 전동식 루버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는,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와 헐 샤프트(140)의 제1 및 제2 개별공간(141,142)에 각각 대응되는 것끼리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헐 샤프트(140)의 제1 개별공간(141)으로부터의 공기는 제1 개별 연결덕트(151)로 향할 수 있고, 헐 샤프트(140)의 제2 개별공간(142)으로부터의 공기는 제2 개별 연결덕트(152)로 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에는 각각 제1 및 제2 댐퍼(181,182)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댐퍼(181,182)는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가 예컨대, 도 4처럼 원형 단면을 갖는 덕트 구조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댐퍼(181,182)는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 대신에 사각형 회전식 댐퍼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는 도 3처럼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제1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에 의해 제1 개별 연결덕트(151)의 개구가 개방되고,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2)에 의해 제2 개별 연결덕트(152)의 개구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처럼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 내에서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에는 댐퍼 구동부(185)가 연결된다.
댐퍼 구동부(18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185a)와, 구동 샤프트(185a)에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185a)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8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모터(185b)가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는 도 4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혹은 점선에서 실선처럼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는 도 4와는 달리 슬라이딩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의 개구를 개폐하는 원반형 슬라이딩식 댐퍼(미도시)일 수도 있다.
한편,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는,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와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어 한데 합쳐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와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 사이에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로부터 분기되어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분기덕트(191,192)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120)의 작용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처럼 도 2처럼 제1 및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1,182)에 의해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가 모두 열린 경우에는, 제1 및 제2 루버(171,17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제1 및 제2 개별공간(141,142)으로 유입되고, 이어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를 통해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에서 합쳐진다. 그리고는 제1 및 제2 분기덕트(191,192)를 통해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로 제공된다.
만약, 헐 샤프트(140)의 제2 개별공간(142)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cleaning)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댐퍼 구동부(185)를 통해 제2 개별공간(142) 족에 대응되는 제2 원반형 회전식 댐퍼(182)를 회전시켜 제2 개별 연결덕트(152)의 개구를 차폐하고 작업한다.
이처럼 제2 개별 연결덕트(152)의 개구가 차폐된다 하더라도 제1 개별공간(141) 쪽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제1 개별 연결덕트(151)를 통해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로 향한 후에, 제1 및 제2 분기덕트(191,192)를 통해 분기되어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로 제공될 수 있다.
때문에 종래처럼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의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120)에 따르면,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헐 샤프트(14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공기조화기(131,132)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비의 냉각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공기유입용 공용덕트(160, 도 2 및 도 3 참조)가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151,152, 도 2 및 도 3 참조)의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이즈가 큰 덕트 구조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도 5처럼 공기유입용 공용덕트(260)는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251,252)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개별 연결덕트(251,252)를 연결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헐 샤프트(340)의 내부에는 두 개의 격벽(345)이 마련되며, 두 개의 격벽(345)에 의해 헐 샤프트(340)의 내부는 제1 내지 제3 개별공간(341~343)으로 구획된다.
이는 선실에 3개의 공기조화기(331~333)가 설치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1 내지 제3 개별 연결덕트(351~353)와, 제1 내지 제3 분기덕트(391~393)가 사용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도 6처럼 제1 내지 제3 개별 연결덕트(351~353)를 공기유입용 공용덕트(360)로 연결하게 되면 위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헐 샤프트(340)에서 중간의 제2 개별공간(342) 영역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이 필요한 경우, 3개의 공기조화기(331~333)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도 제2 개별공간(342) 영역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나 클리닝 작업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내지 제3 개별 연결덕트(351~353) 또는 제1 내지 제3 분기덕트(391~393)에 공기 정화용 필터(P1~P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정화용 필터(P1~P3)는 프리 필터, 헤파 필터, 정전 필터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 정화용 필터(P1~P3)를 제1 내지 제3 분기덕트(391~393)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공기 정화용 필터(P1~P3)는 제1 내지 제3 개별 연결덕트(351~353)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들 외에 헐 샤프트(340)의 내부에 유해가스 감지부(34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제1 내지 제3 개별공간(341~343) 모두에 유해가스 감지부(346)가 설치될 수 있다.
유해가스 감지부(346)는 헐 샤프트(34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에서 유해가스가 함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감지부(346)는 컨트롤러(3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컨트롤러(348)는 유해가스 감지부(34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댐퍼(381~383)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댐퍼(381~383)의 동작을 컨트롤하여 제1 내지 제3 댐퍼(381~383)로 하여금 제1 내지 제3 개별 연결덕트(351~353)를 차폐하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가 제1 내지 제3 공기조화기(331~333)로 향하는 것을 일시적으로나마 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DRILL SHIP, FPSO 등의 특수선박인 경우, 외부에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유해가스가 제1 내지 제3 공기조화기(331~333)로 향하는 것을 일시적으로나마 저지할 수 있게 되면, 이후의 조치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효과적일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댐퍼를 원반형으로 설명하였지만 댐퍼는 사각형 댐퍼일 수도 있으므로 댐퍼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20 :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131,132 : 공기조화기
140 : 헐 샤프트 141,142 : 개별공간
145 : 격벽 151,152 : 개별 연결덕트
160 : 공기유입용 공용덕트 171,172 : 루버
181,182 : 댐퍼 185 : 댐퍼 구동부
185a : 구동 샤프트 185b : 모터
191,192 : 분기덕트

Claims (8)

  1. 선체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개별공간으로 구획되는 헐 샤프트(hull shaft);
    선실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와 상기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 및
    상기 댐퍼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에서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연결덕트와 상기 분기덕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가 더 마련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댐퍼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원반형 또는 사각형 회전식 댐퍼이며,
    상기 댐퍼 구동부는,
    상기 원반형 회전식 댐퍼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 및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헐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헐 샤프트 내로 유입시키는 루버(louver)가 더 마련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헐 샤프트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헐 샤프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부로부터 상기 유해가스가 감지된 상기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댐퍼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KR1020110053737A 2011-06-03 2011-06-03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KR10120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37A KR101205317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37A KR101205317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317B1 true KR101205317B1 (ko) 2012-11-28

Family

ID=4756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737A KR101205317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18A (ko)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공조시스템
KR20170004370A (ko) * 2015-07-02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KR101918242B1 (ko) 2018-08-17 2018-11-13 바람인텍 주식회사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95B1 (ko) 2005-08-17 2006-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상향분사 환기 덕트 구조
KR100834501B1 (ko) 2007-08-24 2008-06-02 권영현 환기유니트 일체형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95B1 (ko) 2005-08-17 2006-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상향분사 환기 덕트 구조
KR100834501B1 (ko) 2007-08-24 2008-06-02 권영현 환기유니트 일체형 공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18A (ko) 2014-07-01 2016-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공조시스템
KR20170004370A (ko) * 2015-07-02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KR102314985B1 (ko) * 2015-07-02 2021-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KR101918242B1 (ko) 2018-08-17 2018-11-13 바람인텍 주식회사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317B1 (ko)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KR101347924B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045827B1 (en) Air conditioner
JP5581439B2 (ja) ハイブリッド通風方式の窓用の換気装置
KR20080039211A (ko) 공조 설비 및 컴퓨터 시스템
JP2007010259A (ja) 空気調和機
KR101454618B1 (ko) 선박 조타실의 공조덕트장치
KR101951569B1 (ko) 무덕트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WO2018193570A1 (ja) 車両空調設備
JP603832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936004B1 (en) Air filter assembly
JP2005299493A (ja) 送風装置
JP2009002641A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2014148292A (ja) 車両用空気調和機
KR20110138053A (ko) 선박용 통풍팬
JP5619944B2 (ja) 機関室換気システム
KR102116703B1 (ko) 실내 환기 장치
KR102314985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KR20110138054A (ko) 선박용 통풍팬 설치방법
CN115959277A (zh) 一种船舶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31398B1 (ko) 피난처 보호 장치를 지닌 선박
EP1267132B1 (en) Ventilating device and ventilating system fitted therewith
US2017012072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charged air i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603130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irflow to a Room
KR20120052441A (ko) 선박의 장비제어실 소음 저감 및 공기 흐름 향상을 위한 헐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