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242B1 -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242B1
KR101918242B1 KR1020180096161A KR20180096161A KR101918242B1 KR 101918242 B1 KR101918242 B1 KR 101918242B1 KR 1020180096161 A KR1020180096161 A KR 1020180096161A KR 20180096161 A KR20180096161 A KR 20180096161A KR 101918242 B1 KR101918242 B1 KR 10191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side air
inlet
emergency
harmfu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동
Original Assignee
바람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람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람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 유해가스 발생지역을 항해하거나 이러한 유해가스 발생지역에서 작업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비상모드(Chemical Mode)로 전환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와 함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3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50) 내로 유입하는 유입구(10)와,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감지수단과;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50)를 차단하는 댐퍼(60)와; 공기조화기(30)와 연결되어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비상유입구(1)와; 비상유입구(1)에 설치되어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2)과; 상기 비상유입구(1)에 설치되어 유해가스 발생으로 유입구(10)가 차단되면 비상유입구(1)의 필터링유닛(2)을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자동개방되는 자동댐퍼(4; Shut-Off Damper)로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of ship for maintenance of harmful gas and pressure}
본 발명은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 유해가스 발생지역을 항해하거나 이러한 유해가스 발생지역에서 작업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비상모드(Chemical Mode)로 전환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승무원들이 거주하는 선실거주구역에 신선한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실내를 순환시키기 위해 공기조화기(Air Conditioning Unit)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닥트 등으로 구성되어 선실거주구역과 함께 엔진룸에 엔진의 연소를 위해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박의 공기조화기는 선실거주구역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선한 외부 공기를 선실 내로 공급하고 선실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기는 유입덕트를 통해 이송되어 공기조화기로 유입되고 설정된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면서 공급라인과 분대덕트 등을 통해 각 선실 등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선박의 공기조화기를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송풍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공조실; 공조실로부터 정화된 에어를 전달받아 각 층의 룸 및 복도로 공급하는 공급에어트렁크; 공급에어트렁크로부터 룸과 복도로 공급된 에어가 다시 공조실로 복귀되도록 하는 에어리턴수단을 포함하며, 에어리턴수단은 계단실도어를 사이에 두고 복도와 인접해 있는 계단실을 이용하되, 이 계단실도어에 순환창을 형성하여 복도에서 계단실도어의 순환창을 통해 계단실을 경유한 후 공조실 인접 복도의 순환창을 거쳐 공조실로 복귀되도록 하는 선박의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에 관해 게재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선체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개별공간으로 구획되는 헐 샤프트(hull shaft); 선실에 마련되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와 헐 샤프트의 개별공간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개별 연결덕트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댐퍼; 및 댐퍼와 공기조화기 사이에서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에 공용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개별 연결덕트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공용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복수의 선실 및 통로를 갖는 거주구와, 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통로 외부에 배치된 메인 송풍장치와, 복수의 선실에서 각각 통로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송풍장치와, 메인 송풍장치에 연결되며 메인 송풍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에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송풍덕트를 포함하는 선박 거주구 공기순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극저온 환경에서도 기관실이나 선실에 외기(外氣)를 원활하게 공급 가능하며, 선실의 공기조화장치와 연결되는 외기 유입용의 연결 덕트 안에 히터를 설치하여 극저온의 외기 유입으로 인한 공기조화장치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연결 덕트 내부에 고효율 필터를 설치하여 외기에 포함된 유해가스가 공기조화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극지용 선박의 공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탱크에서 배기되는 유해가스의 선실 측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풍향에 따른 선실의 공기 흡입 컨트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실의 공기 흡입 컨트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선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기와, 공조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 및 선실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선박의 공조 제어장치에 있어서, 공기유입구와 공조기를 연결하는 제1덕트에 설치되고, 제1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댐퍼와; 선실과 공기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덕트에 설치되고, 제2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댐퍼와; 제1댐퍼의 개폐동작을 단속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 및 제1댐퍼와 제2댐퍼의 개폐동작을 단속하도록 개폐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조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7에; 선박 내에 분산 설치되고, 탐지기 시리얼 코드 및 선박의 위치 정보를 갖는 가스 탐지기가 구비되는 가스 경보 장치; 상기 탐지기 시리얼 코드와 매칭되는 선박 도면 시리얼 코드가 부여된 선박 도면을 저장하는 선박 도면 저장부; 상기 가스 경보 장치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비정상적인 이벤트 신호가 확인되면, 비정상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가스 탐지 시에 경보 이벤트 발생정보를 생성하여, 그래픽정보로 표시하는 운영자 서버를 포함하는 선박의 가스 경보시스템 및 가스경보 감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8에; 필터부, 냉각부, 가열부 및 가습부가 일렬로 배치되는 공기조화통로를 구비한 메인하우징과 인접하게 병렬 배치되며 필터부가 이동하여 세척되는 필터세척통로를 갖는 세척하우징을 포함하고,세척하우징은 냉각부의 냉각코일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와, 가열부 및 가습부에서 각각 분기되어 필터세척통로 내부로 연장된 히팅코일분기부 및 스팀코일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필터부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참고문헌9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를 독립적으로 복수 형성하여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해당 외기 유입구를 차단하게 되더라도 다른 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선실로 계속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해가스의 유입이 감지될 경우,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해당 외기 유입구를 향해 유입된 공기를 강제송풍하여 배기토록 한 액화천연가스 및 원유 생산 저장용 부유식 해양 설비 구조물의 선실용 환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종래 선박의 선실 환기구조는 외부의 유해가스로부터 선실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였으며, 참고문헌9에 개시되어 있는 선실용 환기 시스템은 선체부에 2개의 외기 유입구를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유입구로부터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해가스가 검출된 유입구를를 차단하고 이와 함께 유해가스를 배출시키면서 다른 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공급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 양 유입구로부터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이들 유입구를 차단하고 유해가스를 배출시켜 이들 유입구로부터 유해가스가 선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2개 라인의 외기 유입구의 구성은 선실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의 배출에는 유용하나 지속적으로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키고 환기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선박이 유해가스발생 지역을 항해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유해가스의 유입을 즉시 차단하면서도 신선한 외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222호, 2012.01.02. (참고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5317호, 2012.11.28.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8004호, 2013.04.17.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5538호, 2016.05.18.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0749호, 2016.07.08.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616호, 2015.12.30.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7442호, 2014.05.13. (참고문헌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314호, 2015.03.03. (참고문헌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100호, 2016.06.24.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선실 내로 유입하는 유입구로부터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를 차단하여 유해가스가 선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이 설치되어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유입하는 비상유입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이 유해가스발생 지역을 항해하거나 유해가스발생지역에서 작업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해가스의 유입을 감지하여 유입구를 차단하여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이와 함께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유닛이 설치된 비상유입구로 필터링된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를 차단하여 유해가스가 선실거주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으로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유입하는 비상유입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와 함께 선실거주구역은 일정한 압력(외기 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는 가압구역으로 변경시켜 선실거주구역 내부로 외기가 스며들어오지 않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 내로 유입하는 유입구;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감지수단;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를 차단하는 댐퍼; 공기조화기와 연결되어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비상유입구; 상기 비상유입구에 설치되어 유입구가 차단되면 비상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자동개방되는 자동댐퍼(Shut-Off Damper)로 이루어진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선실거주구역은 비상유입구를 제외한 외기와의 모든 연결로를 닫아 폐쇄함으로써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켜 외기가 실내거주구역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가압구역으로 변경한 실내거주구역의 압력이 설정한 압력 보다 높게 올라가면 에어록(Air Lock)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가 작동되어 에어록을 통해 실내거주구역의 설정압력 보다 높은 압력은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실내거주역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으로 엔진의 연소 등을 위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선체덕트;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선체덕트의 외기 도입용 공급팬;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비상시에 상기 선체덕트의 공급팬 작동이 중단되면 엔진룸으로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비상유입구; 상기 비상유입구에 설치되어 외기도입용 공급팬의 작동이 중지되면 자동으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가 공급시키는 공급팬으로 이루어진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 되면; 상기 엔진룸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모든 연결로를 닫아 폐쇄하고 외기 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엔진룸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압력조절밸브를 작동시켜 엔진으로 연소를 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유해가스발생 지역에서 작업하거나 이러한 지역을 항해하는 선박에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유해가스가 포함된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당 외기 유입구를 차단시키고 비상 화학필터유닛이 통과한 비상 유입구를 통해 신선한 외기를 선실 등으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깨끗한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으로 유입시키고 선실거주구역 내부로 외기가 스며들어오지 않도록 선실거주구역 내부가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는 가압구역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외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발생 지역에서 유해가스를 즉시 차단시키고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유해가스발생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항해를 계속할 수 있는 등의 이익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중 실내거주구역의 일요부 발췌 확대도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선실 내로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를 차단하여 선실 등의 선실거주구역으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이와 동시에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이 설치된 비상유입구를 통해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유입구는 덕트를 통해 공기조화기(Air Conditioning Unit)와 연통되고, 공기조화기는 선실거주구역과 계단 등과 덕트 등으로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으로 유입, 환기시킨다.
상기 유입구에는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유입구를 차단하고 공기조화기로 신선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해가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이 구비된 비상유입구를 설치한다.
상기 비상유입구는 유입구를 차단함과 동시에 개방하여 필터링유닛에 의해 유해가스가 필터링된 깨끗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비상유입구로 깨끗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선실거주구역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시켜 선실거주구역 내부로 외기가 새어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엔진룸은 선체 턱트(Hull Duct)를 통해 평상시 연소를 위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해가스가 발생되면 선체 덕트로부터의 외부 공기유입을 중단하고 필터링유닛이 구비된 비상유입구를 통해 유해가스가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유입구(10)는 공기조화기(30)와 덕트(20)로 연결되고, 공기조화기(30)는 공급덕트(40)로 선실거주구역(50)으로 연결되어 유입구(10)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50)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유입구(10)에는 평상시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다가 유해가스 감지 시에는 유입구(10)를 차단하여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댐퍼(60)를 설치하여 개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외부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은 유입구(10) 측에 설치하거나 외부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선체의 여러 위치에 다양한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0)가 설치된 공기조화기(30)에는 비상유입구(1)를 설치한다. 상기 비상유입구(1)는 덕트(3)로서 공기조화기(30)와 연결하고 비상유입구(1)에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필터링유닛(2)을 구비하여 비상유입구(1)로부터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필터링유닛(2)은 보다 상세하게는 선실전용 화학필터유닛(Chemical Filter Unit)이다.
또 상기 비상유입구(1)에는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유입구(10)가 차단되면 비상유입구(1)의 필터링유닛(2)을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자동개방되는 자동댐퍼(4; Shut-Off Damper)를 설치한다.
상기 비상유입구(1)는 유해가스가 감지되어 유입구(10)가 차단되면 이와 연동되어 자동댐퍼(4)가 개방됨으로써 비상유입구(1)를 통해 필터링유닛(2)을 경유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유해가스의 유입은 방지되고 신선한 외부 공기 만을 선실거주구역(50)으로 유입, 순환시키게 된다.
이때 선실거주구역(50)은 상기 비상유입구(1)를 제외한 실내 공기순환 등을 위한 환기구 등(도시 생략)의 외기와의 모든 연결로를 닫고 외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폐쇄상태의 선실거주구역(50)은 비상유입구(1)를 통해 깨끗한 외기 만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예: 4mbar)을 유지시켜 여러 틈새를 통해 외기가 실내거주구역(50)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예: 4mbar)을 유지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한 실내거주구역(50)은 설정한 일정 압력(예: 4mbar) 보다 높게 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에어록(Air Lock)(80)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81)가 자동으로 작동되어[예: 4mbar의 압력유지를 위해 압력조절밸브(81)가 예: 4mbar에서 작동] 에어록(80)을 통해 실내거주구역(50)의 설정 압력 보다 높은 압력은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실내거주구역(50)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한다.
이때 에어록(80)의 자동방화댐퍼(6)는 개방되어 압력조절밸브(81)로부터 유입된 실내거주역(50)의 압력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실내거주역(50)은 가압구역으로 변경된 후 에어록(80)의 압력조절밸브(81)를 통해 일정한 압력이 유지된다.
그리고 실내거주주역(50)과 연결된 계단(70)(본 발명에서는 계단이 있는 통로를 계단으로 통칭한다.)은 실내거주구역(50)과 연통된 자동 방화댐퍼(5)가 개방되고 압력조절밸브(71)에 의해 계단(70)이 가압구역으로 변경되어 일정한 압력(예: 3mbar)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선실거주구역(50)의 가압구역 변경에 따른 일정한 압력의 유지는 실내거주구역(50)과 이와 연통된 계단(70) 내로 외부 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시키고 신선한 공기 만을 유입, 순환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선실거주구역(50)은 유해가스발생 시에 유입구(10)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비상유입구(1)와 필터링유닛(2)을 통해 유해가스가 필터링된 신선한 공기가 선실거주구역(50)으로 유입, 순환된다.
한편, 엔진룸(90)은 평상 시에 선체 덕트(100)를 통해 엔진의 연소 등을 위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즉 선체덕트(100)의 공급팬(E/R Supply Fan)(101)이 작동하여 엔진룸(9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비상시에는 선체덕트(100)의 공급팬(101) 작동이 중단되고 엔진룸(90)의 비상유입구(7)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비상유입구(7)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8)과 공급팬(9)이 설치되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외기도입용 공급팬(101)의 작동이 중지되고 댐퍼가 닫힘과 동시에 비상유입구(7)의 댐퍼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공급팬(9)이 작동하여 비상유입구(7)와 필터링유닛(8)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필터링유닛(8)은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전용 화학필터유닛(Chemical Filter Unit)이다.
따라서 유해가스 감지 시에 엔진룸(90)으로 선체덕트(100)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즉각 중단되고 비상유입구(7)를 통해 유해가스가 필터링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엔진룸(9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환기구 등(도시생략)의 외기와 연통되는 모든 연결로를 닫아 폐쇄하여 상기 실내거주구역(50)의 경우와 같이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한다.
즉, 엔진룸(90)의 환기구 등을 모두 폐쇄하여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예: 2mbar)을 유지시킴으로써 외기가 스며들어올 수 없게 하고, 엔진룸(90)의 압력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압력조절밸브(91)를 작동시켜 엔진으로 연소를 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엔진의 배기가스는 통상과 같이 배기라인(110)을 따라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0:유입구 20:덕트
30:공기조화기(Air Conditioning Unit) 40:공급덕트
50:선실거주구역(Accommodation) 60:댐퍼
70:계단 80:에어락(Air Lock)
71,81,91:압력조절밸브
90:엔진룸(Engine Enclosure) 100:선체덕트(Hull duct
110:배기구
1,7:비상유입구 2,8:필터링 유닛(Filtering Unit)
3:덕트 4:자동 댐퍼
5,6:자동 방화댐퍼 9:공급팬

Claims (5)

  1. 공기조화기(3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선실거주구역(50) 내로 유입하는 유입구(10);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감지수단;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입구(50)를 차단하는 댐퍼(60); 공기조화기(30)와 연결되어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비상유입구(1); 상기 비상유입구(1)에 설치되어 유입구(10)가 차단되면 비상유입구(1)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자동개방되는 자동댐퍼(4; Shut-Off Damper)로 이루어진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선실거주구역(50)은 비상유입구(1)를 제외한 외기와의 모든 연결로를 닫아 폐쇄함으로써 외기 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켜 외기가 실내거주구역(50)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가압구역으로 변경한 실내거주구역(50)의 압력이 설정한 압력 보다 높게 올라가면 에어록(Air Lock)(80)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81)가 작동되어 에어록(80)을 통해 실내거주구역(50)의 설정압력 보다 높은 압력은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실내거주역(50)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2. 엔진룸(90)으로 엔진의 연소 등을 위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선체덕트(100);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선체덕트(100)의 외기 도입용 공급팬(101);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비상시에 상기 선체덕트(100)의 공급팬(101) 작동이 중단되면 엔진룸(90)으로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비상유입구(7); 상기 비상유입구(7)에 설치되어 외기도입용 공급팬(101)의 작동이 중지되면 자동으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가 공급시키는 공급팬(9)으로 이루어진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해가스가 감지 되면; 상기 엔진룸(9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모든 연결로를 닫아 폐쇄하고 외기 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가압구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엔진룸(90)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압력조절밸브(91)를 작동시켜 엔진으로 연소를 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6161A 2018-08-17 2018-08-17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1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1A KR101918242B1 (ko) 2018-08-17 2018-08-17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1A KR101918242B1 (ko) 2018-08-17 2018-08-17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242B1 true KR101918242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61A KR101918242B1 (ko) 2018-08-17 2018-08-17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749A (zh) * 2020-12-09 2021-03-30 江苏海洋大学 一种人员密集型船用自清洁空气净化调节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17B1 (ko) 2011-06-03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17B1 (ko) 2011-06-03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 조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749A (zh) * 2020-12-09 2021-03-30 江苏海洋大学 一种人员密集型船用自清洁空气净化调节系统
CN112572749B (zh) * 2020-12-09 2021-08-31 江苏海洋大学 一种人员密集型船用自清洁空气净化调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1249B1 (en) Air Filtration for Nuclear Reactor Habitability Area
EP2071248B1 (en) Air Filtration and Handling for Nuclear Reactor Habitability Area
WO2009151092A1 (ja) 車両用換気空調装置
US20120247132A1 (en) Air conditioning/dehumidifying unit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18242B1 (ko) 유해가스 및 가압유지를 위한 선박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2274942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SE532362C2 (sv) Farkost för tillfällig tillflykt
KR101938173B1 (ko) 해양구조물의 배기 시스템 및 그 배기 시스템을 이용한 배기 방법
KR20150059419A (ko) 공기조화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1194362B1 (ko) 선박의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JP4844899B2 (ja) バイオ処理施設の空調システム
CN115959277A (zh) 一种船舶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73100A (ko) 액화천연가스 및 원유 생산 저장용 부유식 해양 설비 구조물의 선실용 환기 시스템
TWM578362U (zh) 除霾系統
KR102353692B1 (ko) 선박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제어방법
JP4936181B2 (ja) 煙制御システム
KR102598812B1 (ko) 원격 제어 밸브 장치
JPH0221146A (ja) 危険薬品使用工場等用クリーンルームの給排気方法
JPH0264332A (ja) 換気空調装置
CN116812134A (zh) 一种液货船用中央空调系统
KR102540630B1 (ko) 건물 실내 온도 및 공기질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19230B1 (ko) 선박의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