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68B1 -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68B1
KR101204068B1 KR1020100084644A KR20100084644A KR101204068B1 KR 101204068 B1 KR101204068 B1 KR 101204068B1 KR 1020100084644 A KR1020100084644 A KR 1020100084644A KR 20100084644 A KR20100084644 A KR 20100084644A KR 101204068 B1 KR101204068 B1 KR 10120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guide groove
mold
pedestal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798A (ko
Inventor
홍종대
Original Assignee
(주) 대동강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동강업 filed Critical (주) 대동강업
Priority to KR102010008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봉함쇠 모재용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그보다 하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홈의 폭보다 길게 요설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를 가지는 받침대와; 상기 요홈부에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탄설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진행하는 봉함쇠용 모재의 폭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홈의 일측의 요홈부에 상응하는 상면 뒷모서리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금형과; 상기 금형의 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금형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격부를 가지는 프레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봉함쇠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재를 한 단계씩 이송시키면서 그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돌기군을 형성하고 돌기군 별로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errated type seal}
본 발명은 봉함쇠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를 한 단계씩 이송시키면서 그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돌기군을 형성하고, 돌기군 별로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띠 또는 금속띠 등으로 물품을 묶거나 끊어진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서 봉함쇠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봉함쇠는 긴 띠 형상의 금속 모재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군을 형성한 후 돌기군이 형성된 면이 내측이 되도록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함쇠를 제조하는 종래의 장치는 하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프레스를 하강시켜 평평한 성형다이 위에 놓인 모재의 상면을 타격하여 모재 상면의 일부를 밀어내어 복수의 돌기를 형성시키는 구조인데, 이러한 수직 타격방식의 금형은 모재 상면에 돌기들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홈만 파여지는 등 제품의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봉함쇠 제조장치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대(1)와, 받침대(1)의 상면 우측에 고정되고 하부에 공급되는 봉함쇠 제조용 모재(100)를 위한 가이드홈(2a)이 형성된 가이드판(2)과, 받침대(1)의 상면 하부에 설치되어 모재(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3)과, 받침대(1)의 경사진 상면과 대응되게 경사진 하면에 형성된 복수열의 톱니부(5)를 가지며 받침대(1)의 상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스(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의 복수열의 톱니부(5)는 프레스(4)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독립된 금형(도시생략)으로 제조하여 프레스(4)의 하면에 장착해도 된다.
이러한 종래의 봉함쇠 제조장치에서는, 가이드판(2)의 가이드홈(2a)과 지지판(3)에 지지되어 받침대(1)의 상면에 경사진 상태로 공급되며, 프레스(4)의 일정한 시간간격을 둔 수직하강 및 그 다음의 측면이동에 의해 톱니부(5)가 모재(100)의 상면을 하측으로 찍으면서 비스듬히 밀어내어 복수열의 톱니부(5)에 대응되는 복수열의 돌기(101A)로 된 복수열의 돌기군(101)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받침대(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위에 놓인 모재(100)는 프레스(4)의 톱니(5)가 모재(100)의 표면을 밀어낼 때 프레스(4)의 톱니(5)의 가압력과 타격력에 의해 지지판(3) 쪽으로 밀리고 요동되며 이에 따라 돌기(101A)의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고 작업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4)가 한 방향으로만 측면 이동하므로 돌기들(101A)이 아래쪽으로만 밀려서 형성되며, 이렇게 제조된 봉함쇠로 체결된 묶음끈에 옆 방향으로 강력한 힘이 가해지면 탄성을 가진 묶음끈이 옆 방향으로 밀리면서 돌기들(101A)의 선단의 비교적 약한 침상부(針狀部)와의 체결력이 약해져서 돌기들(101A)에 의한 체결상태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봉함쇠의 돌기군을 번갈아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한데, 위와 같은 종래의 제조장치에서 프레스(4)의 톱니부(5)를 1열씩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더라도 프레스(4)의 작동방향의 제한(상향측면 이동이 안됨)으로 인해 돌기들(101A)을 1열씩 또는 돌기군 별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봉함쇠 제조장치는 모재에 돌기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모재를 돌기군 별로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는 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봉함쇠 제조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기군이 형성될 때 모재가 밀리고 요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돌기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킨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모재를 한 단계씩 이송시키면서 그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돌기군을 형성하고, 돌기군 별로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봉함쇠의 돌기들을 1열씩 또는 돌기군 별로 번갈아 어긋나는 방향으로 향하게 형성할 수 있는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목적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봉함쇠 모재용 가이드홈과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그보다 하측에 간격을 두고 가이드홈의 폭보다 길게 요설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를 가지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요홈부에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탄설되고, 가이드홈을 따라 진행하는 봉함쇠용 모재의 폭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를 가지며 받침대의 가이드홈의 일측의 요홈부에 상응하는 상면 뒷모서리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금형과; 금형의 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금형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격부를 가지는 프레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봉함쇠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금형을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복수로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게 프레스의 타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금형을 동일방향으로 복수로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게 프레스의 타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받침대 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모재를 공급하는 단계;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를 갖는 하나의 금형을 가이드홈의 일측에서 하향 압력지지된 모재 하면에 접한 상태로 모재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시켜 톱니부의 끌작용에 의해 모재 하면의 일부를 밀어내어 돌기군을 이루는 복수열의 돌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모재를 봉함쇠 형상으로 절곡하고 돌기군 별로 커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봉함쇠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함쇠 제조방법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금형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모재 하면에 돌기들을 1열씩 번갈아 어긋나게 하거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금형이 동일방향으로 움직여 모재 하면에 돌기들을 동일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는 평평한 받침대 위에 놓인 모재 하면의 일부를 톱니부를 가지는 금형에 의해 수평으로 밀어내어 돌기군을 형성하므로 모재가 밀리고 요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돌기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는 2개의 금형이 모재 하면을 번갈아 마주보게 밀어내어 봉함쇠의 돌기들을 1열씩 또는 돌기군 별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는 하나의 프로그레시브 금형으로 모재에 돌기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모재를 돌기군 별로 일정한 크기로 벤딩 및 커팅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봉함쇠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봉함쇠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봉함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의 금형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의 받침대와 제1,제2금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봉함쇠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봉함쇠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의해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봉함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의 금형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봉함쇠 제조장치의 받침대와 제1,제2금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봉함쇠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봉함쇠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재(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방으로 하고 그 양측을 좌우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는, 긴 띠 형상의 봉함쇠 제조용 모재(200)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이송장치 후방에 설치되고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 모재(200)가 통과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을 가지는 받침대(10)와, 받침대(10)의 가이드홈(11)과 교차되게 그보다 하측에 간격을 두고 가이드홈(11)의 폭보다 길게 그 하측에 요설된 2개의 요홈부(12)(1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봉함쇠의 돌기부 형성을 위한 복수열의 톱니부(44)(44')가 형성된 제1,제2금형(40)(40')과, 받침대(10)의 상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제2금형(40)(40')을 수평 이동시키는 프레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장치는,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지지체(80)와, 지지체(80)의 전후방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하부 롤러(81)(82)와, 상부 롤러(82) 전방에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이송대(60)와,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중공부(71)를 가지며 이송대(60) 위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70)과, 가이드레일(70)의 중공부(71)에 머리가 끼워진 상태로 상향 돌설된 한 쌍의 볼트(73)와, 각 볼트(73)에 결합된 한 쌍의 와셔(72) 및 너트(74)와, 이송대(60)의 상면에 볼트(62)로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판(61)으로 이루어지며, 와셔(72)의 간격은 모재(200)의 폭에 맞게 중공부(71)에 끼워진 볼트(73)를 슬릿을 따라 움직여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모재(200)가 하부 롤러(82)의 위쪽과 상부 롤러(81)의 아래쪽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레일(70)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와셔(72)의 하부와 지지판(61)의 하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모재(200)가 받침대(10)의 가이드홈(11)에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한다.
받침대(10)에는 가이드홈(11)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가이드홈(11) 보다 깊게 요설된 제1,제2요홈부(12)(12')와, 봉함쇠 제조과정에서의 펀칭, 벤딩 및 커팅을 위해 가이드홈(11) 보다 깊게 파인 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제2요홈부(12)(12')에는 그 안에서 전후진 할 수 있게 제1,제2금형(40)(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제2금형(40)(40')은 모재(200)의 폭과 상응하는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44)(44')가 형성되고, 톱니부(44)(4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41)(41')를 가지며, 후단부에는 받침대(10)의 측면에 관통되게 지지대(42)(42')가 결합되고, 받침대(10) 밖으로 돌출된 지지대(42)(42')의 단부와 받침대(10)의 측면 사이에는 스프링(43)(43')이 탄설되어 있다.
프레스(20)의 하면에는, 모재(200)를 천공하여 일정한 크기의 사각판으로 구분하기 위한 I형 펀칭돌기부(32)와, 펀칭돌기부(32) 후방에 간격을 두고 제1,제2금형(40)(40')의 경사부(41)(41')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경사진 돌출부(31)(31')가 형성된 제1,제2타격부(30)(30')와, 제2타격부(30')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벤딩돌기부(34)와, 벤딩돌기부(34)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커터(3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10)의 제1,제2요홈부(12)(12') 위에는 제1,제2금형(40)(40')이 각각의 요홈부(12)(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트(51)로 고정된 금형 이탈방지편(50)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0)의 상면에는 모재(200)가 가이드홈(11) 내에서 안정되게 연속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편(56)과 돌기부 형성 과정에서 모재(200)가 가이드홈(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편(32)이 가이드홈(11)의 측면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모재 이탈방지편(52)은 제1,제2금형(40)(40')의 선단측에 각각 설치하여 제1,제2금형(40)(40') 작동시 가이드홈(11)에 놓인 모재(200)가 밀리거나 요동되어 가이드홈(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봉함쇠 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장치에 의해 받침대(10) 위에 형성된 가이드홈(11)으로 공급된 모재(200) 위로 프레스(20)가 하강되면서 I형 펀칭돌기부(32)가 모재(200)에 I형 천공부를 만들고, 다시 동일한 동작으로 하나의 봉함쇠용 사각부가 형성되며(도 3 참조),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모재(200)가 제1,제2금형(40)(40') 위로 공급된다.
모재(200)의 사각부가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하여 제1금형(40)에 이르면 프레스(20)가 하강하여 제1타격부(30)의 경사진 돌출부(31)가 제1금형(40)의 경사부(41)를 눌러 제1금형(40)이 요홈부(12) 내에서 모재(200) 접한 상태로 끌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전진하면서 제1금형(40)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부(44)가 모재(200)의 사각부의 일부를 밀어내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복수열의 제1돌기군(201)을 형성시킨다.
이후, 이송장치에 의해 모재(200)의 사각부가 후방으로 한 단계 더 이동하면 상승되었다가 하강한 프레스(20)의 제2타격부(30')의 경사진 돌출부(31')가 제2금형(40')의 경사부(41')를 눌러 제2금형(40')이 요홈부(12') 내에서 모재(200) 하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전진되면서 제2금형(40')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부(44')가 모재(200)의 사각부의 제1돌기군(201) 형성부외의 일부를 끌작용으로 밀어내어 제1돌기군(201) 사이에 제1돌기군(201)과 반대방향으로 복수열의 제2돌기군(203)을 형성시키며, 이때 프레스(20)가 상승복귀하면 제1,제2금형(30)(30')은 지지대(42)(42')에 탄설된 스프링(43)(43')의 탄성에 의해 요홈부(12)(12')의 원래 위치로 각각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1,제2돌기군(201)(203)이 형성된 모재(200)의 사각부가 이송장치에 의해 다시 전진되면 벤딩돌기부(34)가 모재(200)의 해당 부분을 프레싱하여 그 사각부를 ㄷ형 봉함쇠 형상으로 절곡하고, 다시 그 사각부가 이송장치에 의해 전진하면 해당 부분을 커터(35)가 절단하여 모재(200)로부터 분리된 봉함쇠(210)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천공, 제1,제2돌기군 형성, 벤딩 및 커팅의 공정은 프레스(20)의 한번의 수직하강에 의해 각 위치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모재(200)가 이송장치에 의해 전진하는 단계별로 프레스(20)가 승강동작을 반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금형(40)(40')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프레스(20)의 타격부(30)(30')도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금형을 동일방향으로 설치하고 프레스의 타격부를 그에 상응하게 형성하여 봉함쇠의 돌기군이 동일방향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복수열의 톱니부를 조밀하게 형성한 하나의 금형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변형된 형상의 봉함쇠(220)를 제조할 수도 있고, 모재 이송장치도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10 ; 받침대 11 ; 가이드홈
20 ; 프레스 30 ; 제1타격부
30' ; 제2타격부 34 ; 벤딩돌기부
31, 31' ; 돌출부 32 ; 펀칭돌기부
40 ; 제1금형 40' ; 제2금형
41, 41' ; 경사부 42, 42' ; 지지대
43, 43' ; 스프링 44 ; 제1돌기군
44' ; 제2돌기군 50 ; 금형 이탈방지편
52 ; 모재 이탈방지편 56 ; 가이드편
60 ; 이송대 61 ; 지지판
70 ; 가이드레일 71 ; 중공부
72 ; 와셔 73 ; 볼트
74 ; 너트 80 ; 지지체
81, 82 ; 롤러 200 ; 모재
210, 220 ; 봉함쇠 201, 203 ; 돌기
202, 204 ; 홈

Claims (9)

  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봉함쇠 모재용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그보다 하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홈의 폭보다 길게 요설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를 가지는 받침대와;
    상기 요홈부에 가이드홈과 교차되게 탄설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진행하는 봉함쇠용 모재의 폭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홈의 일측의 요홈부에 상응하는 상면 뒷모서리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금형과;
    상기 금형의 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금형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타격부를 가지는 프레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봉함쇠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그에 상응하게 상기 프레스의 타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동일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그에 상응하게 상기 프레스의 타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요홈부 위에 금형 이탈방지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홈의 측면 위로 돌출되게 하나 이상의 모재 이탈방지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이탈방지편이 상기 금형의 선단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장치.
  7. 내측면에 돌기군을 갖는 봉함쇠의 제조방법으로서,
    받침대 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모재를 공급하는 단계;
    상면에 복수열의 톱니부를 갖는 하나의 금형을 가이드홈의 일측에서 하향 압력지지된 모재 하면에 접한 상태로 모재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시켜 모재 하면의 일부를 밀어내어 돌기군을 이루는 복수열의 돌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모재를 봉함쇠 형상으로 절곡하여 벤딩하고 돌기군 별로 커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봉함쇠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금형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모재 하면에 돌기들을 1열씩 번갈아 어긋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금형이 동일방향으로 움직여 모재 하면에 돌기들을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쇠 제조방법.
KR1020100084644A 2010-08-31 2010-08-31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44A KR101204068B1 (ko) 2010-08-31 2010-08-31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44A KR101204068B1 (ko) 2010-08-31 2010-08-31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98A KR20120020798A (ko) 2012-03-08
KR101204068B1 true KR101204068B1 (ko) 2012-11-22

Family

ID=4612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44A KR101204068B1 (ko) 2010-08-31 2010-08-31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77B1 (ko) * 2013-05-24 2014-08-19 광명산업(주) 금속 판재 성형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05834292B (zh) * 2015-04-02 2018-04-17 福建省石狮市通达电器有限公司 一种铝制品折弯成型工艺
KR102031876B1 (ko) * 2019-05-10 2019-10-15 강신성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400A (ja) 1982-12-28 1984-07-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順送りプレス装置
JPS59223127A (ja) 1983-06-01 1984-12-14 Orii Jidoki Seisakusho:Kk 数値制御ロ−ルフイ−ド装置
JPS6083724A (ja) 1983-10-12 1985-05-13 Nissan Motor Co Ltd エツジベンド工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400A (ja) 1982-12-28 1984-07-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順送りプレス装置
JPS59223127A (ja) 1983-06-01 1984-12-14 Orii Jidoki Seisakusho:Kk 数値制御ロ−ルフイ−ド装置
JPS6083724A (ja) 1983-10-12 1985-05-13 Nissan Motor Co Ltd エツジベンド工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98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68B1 (ko) 봉함쇠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6190C (zh) 制造拉链联接件的方法和装置
CN104520220A (zh) 成批纹理化的材料片材
CN205585304U (zh) 一种豆腐穿串机
CN204953715U (zh) 五金模具自动上料设备
KR101075398B1 (ko)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유지구의 제조장치
KR20160110009A (ko) 연속 금속 프로파일 가공을 위한 가공 스테이션
CN102593681B (zh) 一种换向器的换向片、其制造方法及专用冲模
KR100830700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캐리어커팅장치 및 그 방법
US9539634B2 (en) Di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9759512A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CN205834106U (zh) 链轮式链条直铆装置
KR100752690B1 (ko) 연속 프레스기
CN207521527U (zh) 一种模具
KR200391780Y1 (ko) 루프와셔 쿠션링 자동부착장치
KR10072113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스토퍼 설치장치
CN106975695B (zh) 多工序一体化触头加工设备
CN207357915U (zh) 一种级进模具的步距定位机构
CN209174765U (zh) 一种自动冲压机上料机构
KR20100013630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202239335U (zh) 一种冲压用模内自动送料机构
CN102672052A (zh) 冲制电脑针织横编机用的针床插片坯体的模具
CN2909909Y (zh) 缝爪链制造设备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CN217223183U (zh) 超声波打孔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