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253B1 -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253B1
KR101203253B1 KR1020117012710A KR20117012710A KR101203253B1 KR 101203253 B1 KR101203253 B1 KR 101203253B1 KR 1020117012710 A KR1020117012710 A KR 1020117012710A KR 20117012710 A KR20117012710 A KR 20117012710A KR 101203253 B1 KR101203253 B1 KR 10120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loor
input image
display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347A (ko
Inventor
미츠토시 이이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행선층 등록시의 조작성 및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칸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제1 터치 패널과, 제1 터치 패널에 근접하여 마련된 제2 터치 패널과,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와, 제1 터치 패널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키고,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제2 터치 패널에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판정 장치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층으로 판정된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우선층 표시수 만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작반{CONSOLE PANEL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 있어서, 행선 버튼 그룹과 아울러, 이 행선 버튼에 대응한 층 가운데, 다(多) 이용층을 판정하여 우선 행선 버튼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0에서 9까지의 버튼을 배치한 텐키 조작 방식의 행선 조작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텐키 조작 방식의 승강장 조작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16246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8-17577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 2001-28787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기재된 것은 최근의 건축 기술 향상에 수반하는 고층화에 의한 방대한 서비스층 중에서, 몇 개의 우선층밖에 표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우선층 이외의 서비스층을 행선층으로서 등록하는 경우, 행선 버튼 그룹을 순서대로 절환해야만 하여, 행선층 등록의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 및 3에 기재된 것은, 각 층의 층정보를 표시하지 못하고, 예를 들면, 두 자리수의 층 등, 행선층 그 자체를 나타내는 버튼 조작으로, 행선층을 등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視認性)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행선층 등록시의 조작성 및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은 엘리베이터의 칸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근접하여 마련된 제2 터치 패널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와,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켜고,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상기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상기 판정 장치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층으로 판정된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우선층 표시수 만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행선층 등록시의 조작성 및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이다. 이 엘리베이터(1)는 건축물에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1)의 승강로는 건축물의 각 층을 가로지른다. 이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1)의 칸이 배치된다. 또, 각 층의 승강로 근방에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이 마련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승객은 각 승강장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2는 행선 조작반이다. 이 행선 조작반(2)은 엘리베이터 칸 안에 마련된다. 이 행선 조작반(2)은 디스플레이(3), 층 우선 순위 판정 장치(4),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 표시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3)는 서로 근접한 제1 및 제2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층 우선 순위 판정 장치(4)는 엘리베이터(1)의 전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전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는 과거 1개월의 엘리베이터(1)의 운행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단,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는 디스플레이(3)의 표시 제어 파라미터로서, 제2 터치 패널에 동시에 표시시키는 우선층 표시의 개수를 격납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는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와 우선층 표시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2 터치 패널에 동시에 표시해야 할 층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표시 제어 장치(7)는 제2 터치 패널에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가 결정한 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1)의 조작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행선 조작반(2)은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8)를 구비한다. 이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8)는 제1 터치 패널의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된 경우에,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층을 향후 조작 가능한 층으로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는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와 향후 조작 가능한 층에 기초하여, 제2 터치 패널에 표시해야 할 층을 결정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터치 패널의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층이 표시해야 할 층으로서 결정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장치(7)는 제2 터치 패널의 표시를,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가 결정한 표시해야 할 층을 나타내는 화상으로 절환하도록 기능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되기 전의 디스플레이(3)의 표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9는 우선층 판정용 표이다. 이 우선층 판정용 표(9)는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 내에 생성된다. 이 우선층 판정용 표(9)에는 각 서비스층과 그 우선 순위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층의 총수는 30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가 우선층 표시의 개수로서 「3」을 격납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는 우선 순위가 1번째부터 3번째 층인 8층, 2층, 20층을, 제2 터치 패널에 동시에 표시시키는 층으로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10은 제1 터치 패널이다. 11은 제2 터치 패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11)은 하나의 디스플레이(3)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터치 패널(10)은 디스플레이(3)의 표시 화면의 상부에서, 텐키 버튼 영역을 형성한다. 이 제1 터치 패널(10)에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제2 터치 패널(11)은 디스플레이(3)의 표시 화면의 하부에서, 우선층 표시 영역을 형성한다. 이 우선층 표시 영역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8층, 2층, 20층을 나타내는 화상이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우선 순위가 높은 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은 작은 수의 층에서부터 차례로, 상측에서부터 2층, 8층, 20층의 순서로 표시된다. 이러한 입력 화상에는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 외에, 해당 층에 있는 시설명 등도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층수뿐만이 아니라 시설명 등으로부터도 소망한 행선층을 특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은 어느 정도의 표시 면적으로 횡장(橫長) 영역을 필요로 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초기 상태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에서 층 우선 순위 판정 장치(4)에 의해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층이 판정된다. 그리고 우선층이 제2 터치 패널(11) 즉, 우선층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된 후의 디스플레이(3)의 표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12는 우선층 판정용 표이다. 이 우선층 판정용 표(12)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2」가 눌린 경우의 조작 가능한 층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이중 삭제선은 서비스 제외 층(service-cut floor)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22층 및 23층이 서비스 제외 층이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8)에 의해, 「2」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이 향후 조작 가능한 층으로서 판정된다. 즉, 표 12에서 전부 칠해진 부분은 향후 조작 가능한 층에서 제외된다. 또한,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에 의해, 향후 조작 가능한 층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고,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이, 절환 표시되어야 할 층으로서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가 우선층의 개수로서 「3」을 격납하고 있다. 즉, 표시되어야 할 층의 개수는 3개이다. 그리고 향후 조작 가능한 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 중에서, 1~3번째에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층은, 2층, 20층, 21층이다. 이 때문에,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에 의해, 절환 표시되어야 할 층이, 2층, 20층, 21층으로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 표시되어야 할 층은 2층, 20층, 21층이다. 이 때문에, 우선층을 나타내는 2층, 8층, 20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표시가, 2층, 20층, 21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 절환된다. 이때,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의 입력을 무효로 하기 위한 입력 화상(13)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 입력 화상(13)은 「취소」라고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1은 도 7의 단계 S1과 같은 단계이다. 즉, 단계 S11에서는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층이 판정된다. 그리고 우선층은 디스플레이(3)의 우선층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는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층, 즉 서비스층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이 있는 경우, 단계 S13에서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제2 터치 패널(11) 내, 즉 우선층 표시 영역 내에 있는 해당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소망한 행선층이 등록된다.
한편, 단계 S12에서 제2 터치 패널(11)의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이 없는 경우, 단계 S14에서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제1 터치 패널(10), 즉 텐키 버튼 영역 내의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 중에서 소망한 행선층의 최상위 자리수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누른다. 그 후, 단계 S15에서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8)가 눌린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층을 향후 조작 가능한 층으로 판정하고, 단계 S11로 돌아온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는,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는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와 향후 조작 가능한 층에 기초하여, 제2 터치 패널(11)에 표시해야 할 층을 결정한다. 또, 표시 제어 장치(7)가 우선층 표시 영역의 표시를,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6)가 결정한 표시해야 할 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 절환한다. 그 후는,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 표시 제어 장치(7)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된 경우에, 제2 터치 패널(11)에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우선층 표시의 개수만큼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행선층 등록시의 조작성 및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의 입력을 무효로 하기 위한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의 오입력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는 파라미터로서 우선층 표시 개수를 격납하고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5)는 파라미터로서 우선층 표시 개수와 아울러, 화면 절환 개수를 격납하고 있다. 이 화면 절환 개수는 우선층 표시 개수보다도 큰 수로 미리 설정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행선 조작반(2)에는 화면 절환 판정 장치(14)가 새롭게 부가된다. 이 화면 절환 판정 장치(14)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의 수가 화면 절환 개수 이하인 경우에, 표시 제어 장치(7)에 소정의 지시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절환 판정 장치(14)는 제1 및 제2 터치 패널(11)의 양측을 이용하여,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모든 층의 각각을 나타내는 등록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 장치(7)에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지시를 받은 표시 제어 장치(7)는 제2 터치 패널(11)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 일부 층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또, 이와 동시에,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소거시켜,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에서, 제2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 일부 층 이외의 층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의 표시 절환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1)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우선층 판정용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15는 우선층 판정용 표이다. 이 우선층 판정용 표(15)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2」가 눌린 경우의 조작 가능한 층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이중 삭제선은 서비스 제외 층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22층 내지 26층이 서비스 제외 층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2」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은 2층, 20층, 21층, 27층, 29층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11에는 화면 절환 개수가 「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디스플레이(3)가 도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2」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은 2층, 20층, 21층, 27층, 29층이다. 즉, 표시되어야 할 층은 5이다. 또, 화면 절환 개수는 「5」로 설정되어 있다. 즉,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에서, 서비스 제외 층이 아닌 층의 수가 화면 절환 개수 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화면 절환 판정 장치(14)는 표시 제어 장치(7)에 소정의 지시를 실시한다. 상기 지시를 받은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2층, 20층, 21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또, 이것과 동시, 표시 제어 장치(7)는 제2 터치 패널(11)에 27층, 29층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이때, 표시 제어 장치(7)는 제2 터치 패널(11)의 하부에 제1 터치 패널(10)의 표시를,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의 표시로부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16)의 표시로 되돌리기 위한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 입력 화상(16)은 「돌아가기」라고 표시된다. 이 입력 화상(16)은 적당하게 제1 터치 패널(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의 조작반의 표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이 실행하는 우선층 표시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21에서 서비스층수가 판정된다. 서비스층수가 화면 절환 개수 N이상인 경우는 단계 S22에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 버튼 영역이 표시된다. 또, 이와 동시에, 우선층 표시 영역이 표시되고,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3에서는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층이 판정된다. 그리고 우선층은 디스플레이(3)의 우선층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단계 S24으로 진행된다. 단계 S24에서는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층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이 있는 경우, 단계 S25에서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우선층 표시 영역 내에 있는 해당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누른다.
한편, 단계 S24에서 우선층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이 없는 경우, 단계 S26에서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텐키 버튼 영역 내의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누른다. 그 후, 단계 S27에서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8)가 눌린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층을 향후 조작 가능한 층으로 판정하고, 단계 S21으로 돌아오며,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또, 단계 S21에서 서비스층 수가 화면 절환 개수 N미만인 경우는 단계 S28로 진행된다. 단계 S28에서는 텐키 버튼 영역이 비표시로 된다. 그리고 제2 터치 패널(11)에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 일부 층을 나타내는 화상이,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 이와 동시에, 제1 터치 패널(10)에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에서, 제2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 일부 층 이외의 층이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S29에서, 제1 터치 패널(10) 또는 제2 터치 패널(11)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의 입력 화상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1 터치 패널(10) 또는 제2 터치 패널(11)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의 입력 화상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단계 S25에서 우선층 표시 영역 내에 있는 해당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소망한 행선층이 등록된다. 한편, 제1 또는 제2 터치 패널(11)에 해당하는 서비스층의 등록 화상이 없는 경우는,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는 단계 S30에서 「돌아가기」를 누르고, 시작으로 돌아와, 상기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표시 제어 장치(7)는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의 수가, 미리 설정된 수(우선층 표시수보다 큰 수임) 이하인 경우에, 제2 터치 패널(11)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 일부 층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또, 이와 동시에,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터치 패널(10)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소거시켜,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에서, 제2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 일부의 층 이외의 층을, 엘리베이터(1)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행선층 등록시의 조작성 및 행선층 등록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 장치(7)는 제1 및 제2 터치 패널(10, 11)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터치 패널(10)의 표시를,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표시에 되돌리기 위한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의 오입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된 행선 조작반(2)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을 같은 구성으로 하면, 실시 형태 1 및 2의 행선 조작반(2)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행선 조작반(2)의 디스플레이(3) 상에서, 텐키로부터의 숫자의 입력이나 행선층을 등록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기계식 텐키 버튼, 기계식 우선층 버튼, 표시장치를 이용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를 우선층 버튼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이 표시장치에 기계식 텐키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2: 행선 조작반
3: 디스플레이 4: 층 우선 순위 판정 장치
5: 우선층 표시수 격납 장치 6: 우선층 표시 결정 장치
7: 표시 제어 장치 8: 조작 가능층 판정 장치
9: 우선층 판정용 표 10: 제1 터치 패널
11: 제2 터치 패널 12: 우선층 판정용 표
13: 입력 화상 14: 화면 절환 판정 장치
15: 우선층 판정용 표 16: 입력 화상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칸 및 승강장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근접하여 마련된 제2 터치 패널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층의 우선 순위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와,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숫자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상기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 중에서 상기 판정 장치에 의해 우선 순위가 높은 층으로 판정된 서비스층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우선층 표시수 만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서비스층의 수가, 상기 우선층 표시수보다도 큰 수로 미리 설정된 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 일부 층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소거시키고,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 입력된 숫자를 최상위 자리수로 하는 모든 서비스층 중에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표시시킨 일부 층 이외의 층을,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터치 패널에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을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으로부터의 입력을 무효로 하기 위한 입력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표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층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화상의 표시로부터 상기 텐키를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표시로 되돌리기 위한 입력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작반.
KR1020117012710A 2009-02-05 2009-02-05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1203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1961 WO2010089869A1 (ja) 2009-02-05 2009-02-05 エレベータの操作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347A KR20110081347A (ko) 2011-07-13
KR101203253B1 true KR101203253B1 (ko) 2012-11-21

Family

ID=425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710A KR101203253B1 (ko) 2009-02-05 2009-02-05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4945A1 (ko)
JP (1) JPWO2010089869A1 (ko)
KR (1) KR101203253B1 (ko)
CN (1) CN102264621A (ko)
WO (1) WO2010089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788A (zh) * 2012-02-03 2012-07-11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预报信息显示器及其显示方法
JP5856236B2 (ja) * 2014-06-17 2016-02-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かご内操作表示装置、乗場操作表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08419434B (zh) * 2016-12-09 2020-07-1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系统
JP6727412B2 (ja) * 2017-04-04 202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入力装置
JP7081644B2 (ja) * 2020-10-23 2022-06-0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391A (ja) 1997-11-10 1999-05-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ための情報システム
JP2004292155A (ja) 2003-03-28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行先操作盤
JP2005162465A (ja) 2003-12-05 200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操作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868U (ja) * 1991-03-20 1992-10-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操作盤
JPH04298464A (ja) * 1991-03-26 1992-10-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情報入力装置
JPH08119543A (ja) * 1994-10-20 1996-05-1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H08181763A (ja) * 1994-12-26 1996-07-12 Casio Comput Co Ltd 通信情報端末
JPH08175770A (ja) 1994-12-28 1996-07-0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4437590B2 (ja) 2000-04-05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装置
EP1386875A4 (en) * 2000-08-23 2009-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 PANEL FOR ELEVATOR
EP1779326B2 (en) * 2004-06-29 2016-08-10 Otis Elevator Company Programmable adaptable touch screen elevator call devices
JP4487779B2 (ja) * 2005-01-13 2010-06-23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82308A (ja) * 2005-03-31 2006-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運転操作システム
JP4040643B2 (ja) * 2005-07-13 2008-01-3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391A (ja) 1997-11-10 1999-05-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ための情報システム
JP2004292155A (ja) 2003-03-28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行先操作盤
JP2005162465A (ja) 2003-12-05 200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操作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4945A1 (en) 2011-12-14
JPWO2010089869A1 (ja) 2012-08-09
WO2010089869A1 (ja) 2010-08-12
CN102264621A (zh) 2011-11-30
KR20110081347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25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KR101076096B1 (ko)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등록 장치
KR20070088316A (ko) 엘리베이터 운전 조작 시스템
WO20120356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行先階登録装置
JP4708350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KR101298391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JP4668187B2 (ja) エレベータ行先階表示装置
CN103140826B (zh) 信息终端装置以及触控面板的显示方法
US20120062495A1 (en) Input device
CN100519384C (zh) 电梯呼叫登记装置
EP2407409A1 (en) Cage destination floor indicator
JP2017001791A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及びエレベータ
JPWO2007116465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操作盤
JP587978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822232B2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2007168986A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装置
JP2010002990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8123B2 (ja) エレベーター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747442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801728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操作処理方法
JP2005162344A (ja) 呼び登録装置及び呼び登録方法
KR20060108162A (ko)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4418197A (zh) 电梯控制装置
JP449413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210300723A1 (en) Call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