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162A -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162A
KR20060108162A KR1020050030357A KR20050030357A KR20060108162A KR 20060108162 A KR20060108162 A KR 20060108162A KR 1020050030357 A KR1020050030357 A KR 1020050030357A KR 20050030357 A KR20050030357 A KR 20050030357A KR 20060108162 A KR20060108162 A KR 20060108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finger
display unit
navigation func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성
Original Assignee
(주)네오텔레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텔레매틱스 filed Critical (주)네오텔레매틱스
Priority to KR102005003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162A/ko
Publication of KR2006010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15);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1); 발광소자에서 발광한 빛이 손가락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13); 및 광센서(13)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표시부(15)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이동시키는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광센서, 네비게이션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USING OPTICAL SENSOR TO PERFORM NAVIGA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키입력부 13: 광센서
15: 표시부 17: 제어부
21: 선택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뉴를 표시 및 선택할 경우에, 메뉴키를 누름으로 인해서 번호 순서를 갖는 하위 메뉴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하위 메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위 메뉴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표시된 하위 메뉴의 해당 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상의 숫자키를 누르거나, 내비게이션 키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하좌우의 내비게이션 키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취소키를 사용하여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방향 이동 및 메뉴 이동을 위해 내비게이션 키를 자주 눌러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비게이션 키의 접촉불량으로 내비게이션 키가 오작동하거나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방향 이동 및 메뉴 이동을 위해 내비게이션 키를 여러번 반복해서 눌러야 하고, 빠르고 정확한 선택명령이 어려워 게임 등의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하좌우 이동을 위해 돔 스위치 형태의 내비게이션 키를 구비해야 하므로 이러한 내비게이션 키 확보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키패드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이동 또는 메뉴 이동 등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광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잦은 접촉에 의한 내비게이션 키의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의 오작동 및 부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센서를 이용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키를 반복하여 누르는 불편을 없애고, 원하는 방향이나 메뉴로 빠르고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인트 형태의 광센서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키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키패드의 크기를 감축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발광소자에서 발광한 빛이 손가락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광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표시부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때,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선택키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광센서는 손가락이 광센서 상의 소정의 높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손가락의 위치 및 동작을 감지하거나 손가락이 광센서 상의 소정의 높이에서 상하로 움직일 경우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부의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센서를 터치하지 않고도 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내비게이션 키의 접촉불량에 의한 내비게이션 기능의 오작동이나 부작동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터치하지 않고 방향이동이 가능하므로 내비게이션 키를 반복하여 누르는 불편을 해소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키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키입력부(11), 광센서(13), 제어부(17) 및 표시부(15)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1)는 메뉴 선택 등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숫자, 영어 및 한글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광센서(13)는 종래의 내비게이션 키를 대신한 것으로서, 종래의 내비게이션 키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다만, 광센서(13)의 발광소자에서 발광한 빛이 손가락에 반사되고 이를 수광부에서 수신함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내비게이션 키와 차이점이 있다.
표시부(15)에는 상기 키입력부(11) 또는 광센서(13)를 통해 선택한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뉴 선택이나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광센서(13)에 의해 감지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부(15) 상의 스크롤바나 커서 등의 이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평면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이 광센서(13) 상의 소정의 높이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면, 광센서(13)의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손가락에서 반사된다. 이후, 반사된 빛은 다시 광센서(13)의 수광부로 입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광센서(13)의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손가락에서 반사된 후 다시 광센서(13)의 수광부로 들어오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손가락의 궤적을 추적하게 된다.
이때, 광센서(13)가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광센서는 손가락이 광센서(13)상의 소정의 높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손가락의 위치 및 동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광센서(13) 상의 소정의 높이에서 일정시간 동안 손가락을 위치시켜야 표시부(15) 상에 표시된 커서 또는 스크롤바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가락이 광센서(13) 상의 소정의 높이에서 상하로 움직일 경우 광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15)의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터치패드의 경우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몇 번 두드리면 해당 위치에서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원리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서는, 광센서(13)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하로 움직이거나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때만 광센서(13)를 터치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인 후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선택키(21)를 눌러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키를 터치하지 않고도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내비게이션 키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내비게이션 기능의 오작동이나 부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인트 형태의 광센서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키패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하게 메뉴 이동 및 선택을 할 수 있어 게임 등의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센서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향이동이나 메뉴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잦은 접촉으로 인한 내비게이션 키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내비게이션 기능의 오작동 또는 부작동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의 상하좌우 이동만으로 방향이나 메뉴이동이 가능하므로 내비게이션 키를 반복하여 누르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빠르고 정확게 메뉴 이동 및 선택을 할 수 있어 게임 등의 환경에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센서가 포인트 형태로 구비되므로 종래의 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방향이동을 하는 키패드에 비해 키패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패드가 구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비게이션 키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방향이동을 하는 기존의 입력방식을 지양하고, 공중에서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방향이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차별성을 부각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발광소자에서 발광한 빛이 손가락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선택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손가락이 상기 광센서 상의 소정의 높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손가락의 위치 및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광센서 상의 소정의 높이에서 상하로 움직일 경우 상기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부의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30357A 2005-04-12 2005-04-12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08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57A KR20060108162A (ko) 2005-04-12 2005-04-12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57A KR20060108162A (ko) 2005-04-12 2005-04-12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162A true KR20060108162A (ko) 2006-10-17

Family

ID=3762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57A KR20060108162A (ko) 2005-04-12 2005-04-12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81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527A2 (en) * 2008-06-13 2009-12-17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KR101353416B1 (ko) * 2007-02-21 2014-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접촉식 led휠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494810B1 (ko) * 2012-12-05 2015-02-23 주식회사 에이치엠에스 원근 변화에 따른 동작 인식에 의해 제어되는 내비게이션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16B1 (ko) * 2007-02-21 2014-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접촉식 led휠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작동 방법
WO2009152527A2 (en) * 2008-06-13 2009-12-17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WO2009152527A3 (en) * 2008-06-13 2010-04-01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US9400212B2 (en) 2008-06-13 2016-07-26 Barco Inc. Smart pixel addressing
US10255018B2 (en) 2008-06-13 2019-04-09 Barco, Inc. Smart pixel addressing
KR101494810B1 (ko) * 2012-12-05 2015-02-23 주식회사 에이치엠에스 원근 변화에 따른 동작 인식에 의해 제어되는 내비게이션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7275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1523332B (zh) 便携式终端设备中操作键组的布局方法及实现该布局方法的便携式终端设备
EP1183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100748469B1 (ko) 키패드 터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JPWO2007043222A1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9181531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US20130154928A1 (en) Multilanguage Stroke Input System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20080010364A (ko) 문자입력장치
US85084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50338975A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touch panel input device
KR20060108162A (ko)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JP2009099057A (ja) 移動体端末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20140048779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US7626570B2 (en) Input device
NO315888B1 (no) Innretning og brukergrensesnitt for generering av tegnbasert tekst ved bruk av fingeravtrykksensor med navigasjonsmulighet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KR1006440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방법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NO315776B1 (no) Tegn-generator 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