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779A -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779A
KR20140048779A KR1020130002242A KR20130002242A KR20140048779A KR 20140048779 A KR20140048779 A KR 20140048779A KR 1020130002242 A KR1020130002242 A KR 1020130002242A KR 20130002242 A KR20130002242 A KR 20130002242A KR 20140048779 A KR20140048779 A KR 2014004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user input
bar
scree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943B1 (ko
Inventor
서종철
편백범
정유석
조유숙
한풍석
박설희
김혜란
김희정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4004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화면 제어 방법은 셋톱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셋톱박스가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바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METHOD AND SET-TOP BOX FOR CONTROLLING SCREEN}
본 발명은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에 관한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근래에는 피사체인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화면상의 포인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포인팅 장치가 개발되어 많은 디스플레이 기기(예컨대, 스마트 TV) 또는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 TV가 단순히 방송 신호를 송출하던 것과 달리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VOD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TV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TV 전원 온/오프, 채널 전환 입력으로 국한되던 종래와 달리 셋톱박스를 이용한 TV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메뉴 설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화면 제어 조작을 간소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모콘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화면 제어 방법은 셋톱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셋톱박스가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바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서비스들의 데이터 업데이트 상황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바, 그리고 상기 서비스들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하고 하단에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나열된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배치된 카테고리바를 포함한다.
상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리모콘에 탑재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상기 리모콘에 탑재된 키 입력부로부터 발생한 특정 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설정 메뉴에서 모드 전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모드 전환이 마우스 모드인 경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고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모드 전환이 포커스 모드인 경우, 포커스 모드로 전환하고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최적화된 모드를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오버레이시켜 반투명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및 상기 카테고리바 중 하나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현재 활성화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배치된 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실시간 서비스 데이터가 나열된 업데이트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검색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검색바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검색어 입력을 위한 검색창을 상기 검색바가 배치되었던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방향에 배치된 음성 검색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카테고리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일 처음에 배치된 특정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바는, 중앙에 카테고리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가 하이라이트된 아이콘 식별자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 및 상기 아이콘 식별자는 기 정의된 시간을 주기로 반복 전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
특정 아이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방향에 배치된 아이콘으로 활성화된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셋톱박스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서비스들의 데이터 업데이트 상황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바, 그리고 상기 서비스들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하고 하단에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나열된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배치된 카테고리바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화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현재 출력된 화면 상태 및 사용자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른 화면 제어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은,
특정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매핑 정보,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상기 카테고리바 간에 활성화된 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정된 제2 매핑 정보,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상기 카테고리바가 각각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바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3 매핑 정보,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4 매핑 정보, 그리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설정 메뉴 출력 및 모드 전환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5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다수의 항목들을 탐색할 때 원하는 항목들을 빠른 속도로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표시 모드 UI(User Interface) 구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표시 모드 UI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전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상황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상황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 전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 전환에 따른 안내문구 출력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셋톱박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은 리모콘(100), 셋톱박스(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한다.
리모콘(100)은 셋톱박스(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리모콘(100)은 셋톱박스(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셋톱박스(200)로 전송한다.
리모콘(100)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입력부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수단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은 포인팅 디바이스(101), 키 입력부(103) 및 전송부(105)를 포함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화면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을 구현하는 입력 장치이다.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손가락 움직임 정보를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움직인 변위만큼 화면 상에 구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101) 위에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가 움직인다.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물리적 접촉을 통해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터치패드 또는 돔 스위치(doom switch)를 통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은 일반적인 손가락 외에도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포인팅 디바이스(101)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물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101)는 광학 트랙 패드(OTP, Optical Track Pad),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트랙 패드(OTP)는 휴대 단말용 광학 마우스로서, 개인용 컴퓨터에서 쓰는 광 마우스 기능을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한 광 포인팅 장치이다. 이러한 광학 트랙 패드(OTP)에 대한 기술은 공개된 기술로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 입력부(103)는 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103)는 숫자, 기호,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는데, 쿼티자판(QWERTY key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ack키, 메뉴키, 방향키, 채널 업/다운키, 볼륨 업/다운키, 핫키를 포함하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전송부(105)는 포인팅 디바이스(101) 및 키 입력부(103)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셋톱박스(2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05)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셋톱박스(200)와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규격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부(105)는 예컨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 제어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셋톱 박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셋톱박스(200)는 수신부(201), 제어부(203), 출력부(205) 및 저장부(207)를 포함한다.
수신부(201)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03)는 수신부(2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제어부(203)는 수신부(201)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 제어 신호를 저장부(207)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부(205)로 전달한다.
출력부(205)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203)가 결정한 화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한다.
저장부(207)는 셋톱 박스(200)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전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입력 신호와 화면 제어 신호 간의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 테이블은 표 1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화면 상태 사용자 입력 신호 화면 제어
특정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 스와이프 입력 신호 또는 특정 키 신호 입력 일부 표시 모드 UI 출력
일부 표시 모드 UI 표시된 상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신호 입력 입력 방향에 배치된 바를 활성화
업데이트 상황바가 활성화된 상태 선택 신호 입력 업데이트 화면 출력
검색바가 활성화된 상태 검색창 및 음성 검색 아이콘 출력
카테고리바 활성화된 상태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 활성화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 활성화 좌우 스와이프 입력 신호 또는 좌우 방향키 입력 신호 입력 방향에 배치된 아이콘 선택 표시
-- 설정 메뉴 호출 신호 입력 설정 메뉴 출력
-- 입력 모드 전환 선택 신호 입력 입력 모드 전환 및 안내 문구 출력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셋톱 박스(20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즉, 셋톱 박스(200)의 제어에 따른 컨텐츠, 이미지, 데이터, 아이콘, 메뉴 항목들이 포함된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IP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제어부(203)가 표 1의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표시 모드 UI(User Interface) 구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 표시 모드 UI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도 3의 (a)와 같이 특정 컨텐츠 화면(400)을 출력(S101)한다.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S103)되면,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05).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스와이프(swipe)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와이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빗자루로 쓸어내리듯이 피킹하는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특정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위(↑) 방향 키 또는 아래(↓) 방향 키 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S105 단계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사용자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정의된 화면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S107).
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S105 단계에서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로 판단되면, 도 3의 (b)와 같이 특정 컨텐츠 화면(400) 위에 일부 표시 모드 UI(User Interface)를 구현한다(S109).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일부 표시 모드 UI를 특정 컨텐츠 화면(400) 위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가장 최근에 조작된 결과 또는 미리 설정된 초기 상태를 일부 표시 모드 UI에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표시 모드 UI는 크게 세개의 바(bar)(401, 403, 405)를 포함한다. 즉, 업데이트 상황바(401), 검색바(403) 및 카테고리바(4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상황바(401)는 막대 형상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서비스의 데이터 업데이트 상황을 표시한다. 업데이트 상황바(401)의 일측에는 서비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들, 시간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검색바(403)는 막대 형상으로서, 사용자가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들을 검색할수 있도록 검색어를 입력받는 부분이다.
카테고리바(405)는 막대 형상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이용 가능한 기능 들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다.
카테고리바(405)의 하단에는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407)이 배치된다.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407)은 실행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아이콘(409)들이 배치된다. 예를들면, 4~6개의 아이콘(409)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바(405)의 중앙에는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309)에 표시된 아이콘(409)들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식별자(예컨대, 전체보기)(411)를 텍스트로 표시한다.
또한, 카테고리 식별자(411)가 카테고리바(405)의 중앙에 표시된 경우, 좌우 측에는 인접 카테고리의 식별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왼쪽에는 '최근사용목록', 오른쪽에는 '즐겨찾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좌우측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식별자는 중앙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식별자(411)와는 다르게 흐릿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전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일부 표시 모드 UI가 출력(S201)된 상태에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S203)되면, 이동 방향에 배치된 바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S205). 즉, 사용자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업데이트 상황바(401), 검색바(403) 및 카테고리바(405)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도 5의 (a)와 같이 카테고리바(405)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도 5의 (b)와 같이 검색바(403)를 활성화시킨다. 이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도 5의 (c)와 같이 업데이트 상황바(401)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활성화된 바(401, 403, 405)를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상황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상황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도 7의 (a)와 같이 업데이트 상황바(401)가 활성화(S301)된 상태에서 업데이트 상황바(40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전달(S303)되면, 도 7의 (b)와 같이 특정 컨텐츠 화면(400) 위에 업데이트 화면(413)을 출력한다.
여기서, 활성화는 선택을 하기 직전 즉 선택 대기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화면(413)은 리스트 형태의 실시간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업데이트 화면(413)의 전부 또는 일부는 특정 컨텐츠 화면(400) 위에 오버레이되어 반투명하게 표시된다.
이러한 리스트 형태의 실시간 서비스 데이터는 예컨대, 이메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주가, 날씨, 날짜, 시간 등이 요약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항목 별로 선택이 가능하다.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303 단계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 손가락의 누름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누름 동작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키 입력부를 누르는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S303 단계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는 실행키 예를들어 OK 키 또는 확인키 입력에 따라 발생한 신호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검색바(403)를 도 9의 (a)와 같이 활성화시킨다(S401).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검색바(40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전달(S403)되면, 도 9의 (b)와 같이 특정 컨텐츠 화면(301) 위에서 검색바(403)가 배치되었던 위치에 검색창(415)을 출력한다(S405).
여기서, 검색창(415)은 검색어 입력을 위한 창으로서, 입력된 검색어를 텍스트로 표시한다.
이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전달(S407)되면, 도 9의 (c)와 같이 검색창(317)의 우측에 배치된 음성 검색 아이콘(417)을 활성화한다(S409).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바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바 선택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카테고리바(405)를 도 11의 (a)와 같이 활성화시킨다(S501).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전달(S503)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407)을 활성화한다(S505).
이때, 제일 처음에 배치된 특정 아이콘(409) 즉 시계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카테고리바(405)의 중앙에 배치된 카테고리 식별자(411)는 활성화된 아이콘의 식별자 즉 '시계'로 전환된다.
이러한 아이콘 식별자는 일정 시간 동안만 표시되었다가 다시 해당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식별자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전체보기->시계->전체보기 순으로 카테고리 식별자(411)를 변경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407)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리모콘(100)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전달(S507)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입력 방향에 배치된 아이콘을 활성화시킨다(S509). 즉 해당 아이콘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이때, S505 단계에서 제일 처음에 배치된 아이콘이 활성화된 상태라면, 우방향 스와이프 신호가 입력되거나 우방향키 신호가 전달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우측에 위치한 인접 아이콘(예컨대, 앵그리버드)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좌우 아이콘 사이에 배치된 임의의 아이콘이 활성화된 상태라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좌방향 스와이프 신호 또 좌방향키 신호에 따라 좌측에 배치된 아이콘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우방향 스와이프 신호 또는 우방향키 신호에 따라 우측에 배치된 아이콘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카테고리바(405)의 중앙에는 활성화된 아이콘의 식별자 예를들어 '앵그리버드'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407)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 전환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 전환에 따른 안내문구 출력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리모콘(100)으로부터 전달되면, 설정 메뉴(419)를 출력한다.
이때, 설정 메뉴(419)의 출력은 특정 컨텐츠 화면(400)이 출력된 상태 또는 일부 표시 모드 UI가 구현된 상태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설정 메뉴(419) 중에서 입력 모드 전환이 선택되면, 선택된 입력 모드로 변경한다. 즉, 마우스 모드가 선택되면, 도 13의 (a)와 같이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문구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포커스 모드가 선택되면, 도 13의 (b)와 같이 "포커스 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문구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 모드를 설정하기 전에 셋톱박스(200)의 제어부(203)는 실행된 컨텐츠 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별로 최적화된 모드가 있다면, 그 입력 모드를 우선적으로 실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셋톱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셋톱박스가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바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서비스들의 데이터 업데이트 상황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바, 그리고
    상기 서비스들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하고 하단에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나열된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배치된 카테고리바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리모콘에 탑재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상기 리모콘에 탑재된 키 입력부로부터 발생한 특정 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설정 메뉴에서 모드 전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모드 전환이 마우스 모드인 경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고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모드 전환이 포커스 모드인 경우, 포커스 모드로 전환하고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최적화된 모드를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오버레이시켜 반투명하게 출력하는 화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및 상기 카테고리바 중 하나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현재 활성화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이동 방향에 배치된 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실시간 서비스 데이터가 나열된 업데이트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검색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검색바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검색어 입력을 위한 검색창을 상기 검색바가 배치되었던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나의 방향에 배치된 음성 검색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카테고리바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일 처음에 배치된 특정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바는, 중앙에 카테고리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가 하이라이트된 아이콘 식별자로 전환되는 화면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 및 상기 아이콘 식별자는 기 정의된 시간을 주기로 반복 전환 표시되는 화면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후,
    특정 아이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방향에 배치된 아이콘으로 활성화된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3.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기 정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화면 위에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서비스들의 데이터 업데이트 상황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바, 그리고 상기 서비스들을 카테고리 별로 표시하고 하단에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나열된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배치된 카테고리바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셋톱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화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현재 출력된 화면 상태 및 사용자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른 화면 제어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셋톱박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테이블은,
    특정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매핑 정보,
    상기 일부 표시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상기 카테고리바 간에 활성화된 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정된 제2 매핑 정보,
    상기 업데이트 상황바, 상기 검색바, 상기 카테고리바가 각각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바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3 매핑 정보,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콘 서브세트 표시창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4 매핑 정보, 그리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설정 메뉴 출력 및 모드 전환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제5 매핑 정보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KR1020130002242A 2012-10-16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1451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48 2012-10-16
KR20120114548 201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79A true KR20140048779A (ko) 2014-04-24
KR101451943B1 KR101451943B1 (ko) 2014-11-03

Family

ID=506547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44A KR101451941B1 (ko) 2012-10-16 2013-01-08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20130002242A KR101451943B1 (ko) 2012-10-16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20130002243A KR101514438B1 (ko) 2012-10-16 2013-01-08 화면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20130002245A KR101451942B1 (ko) 2012-10-16 2013-01-08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44A KR101451941B1 (ko) 2012-10-16 2013-01-08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43A KR101514438B1 (ko) 2012-10-16 2013-01-08 화면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20130002245A KR101451942B1 (ko) 2012-10-16 2013-01-08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451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3536B2 (en) 2015-09-08 2023-12-26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1979836B2 (en) 2007-04-03 2024-05-0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850B1 (ko) 2017-04-14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265928B1 (ko) * 2019-12-09 2021-06-16 이정화 통합 인터페이스를 통한 스마트 학습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17B1 (ko) * 2003-01-17 2005-09-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KR101048184B1 (ko) 2008-05-21 2011-07-08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셋탑박스
KR100963750B1 (ko) * 2008-11-05 2010-06-14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US8605219B2 (en) * 2008-11-11 2013-12-10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KR20110080352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osd 표시 방법
KR101689722B1 (ko) * 2010-06-08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12115A (ko) * 2010-07-30 201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34810A (ko) * 2010-08-26 2011-12-15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731843B1 (ko) * 2010-09-02 2017-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99537A (ko) * 2011-01-18 201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750313B1 (ko) * 2011-01-31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9836B2 (en) 2007-04-03 2024-05-0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11853536B2 (en) 2015-09-08 2023-12-26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943B1 (ko) 2014-11-03
KR20140048781A (ko) 2014-04-24
KR101451941B1 (ko) 2014-10-22
KR20140048782A (ko) 2014-04-24
KR20140048780A (ko) 2014-04-24
KR101451942B1 (ko) 2014-10-22
KR101514438B1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8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9727238B2 (en) User-interface for enter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US20090073136A1 (en) Inputting commands using relative coordinate-based touch input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JP2013131087A (ja) 表示装置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451943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US20110126100A1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US93778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10000434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7046B1 (ko)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TW201427401A (zh) 電視機、遙控裝置及菜單顯示方法
KR101181254B1 (ko)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48559B1 (ko)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20110079422A (ko) 모션 센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202835B1 (ko) 문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2578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66543A (ko)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4305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140056872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셋탑 박스 및 그 방법
JP201412083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