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305A -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305A
KR20180024305A KR1020160110248A KR20160110248A KR20180024305A KR 20180024305 A KR20180024305 A KR 20180024305A KR 1020160110248 A KR1020160110248 A KR 1020160110248A KR 20160110248 A KR20160110248 A KR 20160110248A KR 20180024305 A KR20180024305 A KR 2018002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aracters
user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범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305A/ko
Publication of KR2018002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복수의 제1 배열과 복수의 제2 배열로 이루어지며,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매핑(mapping)되는 문자 테이블; 상기 복수의 제1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키 및, 선택된 상기 제1 배열에 매핑된 문자들 중 특정 제2 배열에 매핑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입력키로 이루어지는 입력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2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상기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INPUT DEVICE AND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입력키가 포함된 자판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입력 가능한 모든 문자들을 입력키 상에 표현하여야 하였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자판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수의 입력키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자판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므로 제한된 공간에서 자판을 사용하기 어려우며 입력 장치를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자판 상의 모든 입력키의 위치를 알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문자 입력시 다수의 입력키들 간 손가락의 이동이 반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입력키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노인, 장애인 등은 간단한 문자 입력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1645호(2011.05.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은 개수의 입력키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배열과 복수의 제2 배열로 이루어지며,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매핑(mapping)되는 문자 테이블; 상기 복수의 제1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키 및, 선택된 상기 제1 배열에 매핑된 문자들 중 특정 제2 배열에 매핑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입력키로 이루어지는 입력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2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상기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배열은, 행 또는 열이며, 상기 제2 배열은, 상기 제1 배열에 대응되는 열 또는 행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입력된 상기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문자 중 맨 앞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입력키의 입력이 반복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자의 다음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키는, 선택된 상기 제1 배열과 상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상측 이동키 및 선택된 상기 제1 배열과 하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하측 이동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측 이동키, 상기 하측 이동키 및 복수의 상기 제2 입력키 중 둘 이상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단축 기능에 대응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단축 기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단축 기능은, 동시에 입력되는 상기 상측 이동키, 상기 하측 이동키 및 상기 제2 입력키의 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키와 상기 제2 입력키의 합은, 상기 사용자가 각 손가락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은 채 상기 손가락으로 상기 제1 입력키 또는 상기 제2 입력키를 입력하여 상기 문자 테이블 내 모든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2 이상이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개수의 합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입력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전달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입력키 중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정보 또는 상기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가능한 다수의 문자들을 입력키 상에 모두 표현하는 대신 매우 적은 개수(예를 들어, 5개)의 입력키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는 특히, 한정된 크기를 갖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입력키 개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입력 장치의 소형화, 이로 인한 입력 장치의 휴대성 용이, 사용자의 문자 입력시 편의성 향상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둘 이상의 입력키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단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입력키를 식별하거나 상기 입력키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노인, 장애인 등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테이블의 예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의 예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의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
도 8은 대소문자 전환 단축 기능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열 선택 단축 기능 테이블(행 선택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
도 1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입력 장치(100)는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PDA,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2), 입력 모듈(104), 디스플레이 모듈(106) 및 통신 모듈(108)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2)는 문자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문자 테이블이란 입력 장치(100)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들을 나타낸 테이블로서, 복수의 제1 배열과 복수의 제2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자 테이블의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에는 하나 이상의 문자가 매핑(mapping)될 수 있다. 여기서, 매핑이란 문자 테이블 내 특정 영역(즉, 특정 제1 배열과 특정 제2 배열)에 특정 문자가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 배열은 행(column) 또는 열(row)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열은 상기 제1 배열에 대응되는 열 또는 행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배열을 행이라 가정하며 제2 배열을 문자 테이블 내 상기 행에 대응되는 열이라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문자(character)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등과 같은 글자뿐 아니라 숫자, 기호, 공백 문자, 띄어쓰기 문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문자 테이블의 제1 배열(예를 들어, 행)의 개수는 예를 들어, 11개일 수 있으며, 문자 테이블의 제2 배열(예를 들어, 열)의 개수는 예를 들어, 3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상기 제1 배열과 제2 배열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문자 테이블의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은 설정된 일 방향을 기준으로 편의상 구분된 것에 불과하며,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이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배열이 열이며 제2 배열이 문자 테이블 내 상기 열에 대응되는 행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테이블의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테이블은 복수의 제1 배열과 복수의 제2 배열로 이루어지며,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에는 하나 이상의 문자가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1열에는 “ㄱ, ㅋ, ㄲ“ 과 같은 한글 자음이 매핑되고, 4행 2열에는 “d, e, f” 와 같은 영문 소문자가 매핑되고, 7행 3열에는 “(, ), {, }” 와 같은 기호가 매핑될 수 있다. 상기 문자 테이블의 행과 열의 개수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 개수, 후술할 입력키의 개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행과 각 열에 매핑되는 문자의 개수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모듈(104)은 문자 테이블에 매핑된 문자들을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입력 장치(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입력키 중 하나를 입력(또는 터치)함으로써 문자 테이블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문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6)을 통해 입력 장치(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104)의 예시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104)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04)은 복수의 입력키(104-1 내지 10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104-1 내지 104-5)는 제1 입력키(104-1, 104-5)와 제2 입력키(104-2, 104-3, 10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키(104-1, 104-5)와 제2 입력키(104-2, 104-3, 104-4)의 합은 2 이상이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개수의 합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제1 입력키(104-1, 104-5)와 제2 입력키(104-2, 104-3, 104-4)의 합은 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손가락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은 채 상기 손가락으로 제1 입력키(104-1, 104-5) 또는 제2 입력키(104-2, 104-3, 104-4)를 입력하여 문자 테이블 내 모든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문자 테이블 내 문자들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제1 입력키(104-1, 104-5)는 문자 테이블의 복수의 제1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이다. 사용자는 제1 입력키(104-1, 104-5)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테이블의 복수의 제1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입력키(104-1, 104-5)를 입력하기 전에는 문자 테이블의 제1 배열 중 첫 번째 배열(예를 들어, 1행)이 최초로 선택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키(104-1, 104-5)는 상측 이동키(104-1) 및 하측 이동키(10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측 이동키(104-1)와 하측 이동키(104-5)를 이용하여 문자 테이블의 제1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상측 이동키(104-1)는 선택된 제1 배열과 상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이며, 하측 이동키(104-5)는 선택된 제1 배열과 하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만약 선택된 행이 2행인 경우, 사용자는 상측 이동키(104-1)를 입력함으로써 2행과 상측으로 인접한 1행을 선택하거나, 또는 하측 이동키(104-5)를 입력함으로써 2행과 하측으로 인접한 3행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제1 배열이 1행인 경우, 사용자는 하측 이동키(104-5)를 입력함으로써 1행과 하측으로 인접한 2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제1 배열이 1행인 경우, 사용자가 상측 이동키(104-1)를 입력하면 최하단의 제1 배열, 예를 들어 도 2의 11행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측 이동키(104-1)와 하측 이동키(104-5)를 이용하여 문자 테이블의 제1 배열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자 테이블의 특정 제1 배열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중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제2 배열에 매핑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입력키(104-1, 104-5)와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각각을 버튼 1(104-1), 버튼 2(104-2), 버튼 3(104-3), 버튼 4(104-4) 및 버튼 5(104-5)라 칭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1 입력키(104-1, 104-5) 입력에 따라 문자 테이블의 1행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1행에 매핑된 문자들이 제2 입력키, 즉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에 각 제2 배열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는 문자 테이블의 1열, 2열 및 3열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 2(104-2)에는 선택된 1행에 매핑된 문자들 중 1열에 매핑된 문자인 “ㄱ, ㅋ, ㄲ”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버튼 3(104-3)에는 선택된 1행에 매핑된 문자들 중 2열에 매핑된 문자인 “ㄴ, ㄹ”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버튼 4(104-4)에는 선택된 1행에 매핑된 문자들 중 3열에 매핑된 문자인 “., ,, ?, !”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2 입력키, 즉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입력된 제2 입력키(또는 버튼)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즉, 상기 제2 배열에 매핑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버튼 2(104-2)가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입력된 제2 입력키(즉, 버튼 2(104-2))에 대응되는 제2 배열(즉, 1열)의 문자(즉, ㄱ, ㅋ, ㄲ)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버튼 3(104-3)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입력된 제2 입력키(즉, 버튼 3(104-3))에 대응되는 제2 배열(즉, 2열)의 문자(즉, ㄴ, ㄹ)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중 맨 앞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에 의한 제2 입력키의 입력이 반복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자의 다음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입력된 제2 입력키(예를 들어, 버튼 2(104-2))에 대응되는 제2 배열(즉, 1열)의 문자들(즉, ㄱ, ㅋ, ㄲ) 중 맨 앞에 위치한 문자(즉, ㄱ)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에 의한 제2 입력키(즉, 버튼 2(104-2))의 입력이 반복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문자(즉, ㄱ)의 다음에 위치한 문자(즉, ㅋ)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1 입력키(104-1, 104-5) 입력에 따라 문자 테이블의 10행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입력키, 즉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에는 선택된 10행에 매핑된 문자들이 각 제2 배열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버튼 2(104-2)에는 “1, 2, 3” 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 3(104-3)에는 “4, 5, 6” 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 4(104-4)에는 “7, 8, 9, 10”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 중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10행에 매핑된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1 입력키(104-1, 104-5) 입력에 따라 문자 테이블의 11행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입력키, 즉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에는 선택된 11행에 매핑된 문자들이 각 제2 배열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버튼 2(104-2)에는 “|” 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 3(104-3)에는 “.” 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 4(104-4)에는 “ㅡ”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 2(104-2), 버튼 3(104-3) 및 버튼 4(104-4) 중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11행에 매핑된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상에 표시되는 문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입력키(104-1, 104-5)를 조작함으로써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상에 표시되는 문자를 달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설정된 크기의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제2 입력키(104-2, 104-3, 104-5)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6)는 입력된 제2 입력키(104-2, 104-3, 104-5)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가능한 다수의 문자들을 입력키 상에 모두 표현하는 대신 매우 적은 개수(예를 들어, 5개)의 입력키(104-1, 104-2, 104-3, 104-4, 104-5)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 장치(100)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00)는 특히, 한정된 크기를 갖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입력키(104-1, 104-2, 104-3, 104-4, 104-5) 개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입력 장치(100)의 소형화, 이로 인한 입력 장치(100)의 휴대성 용이, 사용자의 문자 입력시 편의성 향상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통신 모듈(108)은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통신 모듈(108)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와 페어링(pairing)함으로써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에 장착 가능한 스마트 장갑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통신 모듈(108)을 통해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테이블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정보 또는 상기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의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00)는 문자 테이블에 매핑된 복수의 입력키 중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 또는 상기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에 대응되는 입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08)은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베이스(102)에는 문자 테이블뿐 아니라 단축 기능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으며, 입력 모듈(104)은 상기 단축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문자 입력, 커서 이동 등과 같은 단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단축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이다. 단축 기능 테이블이란 설정된 단축 기능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키들의 조합을 나타낸 테이블로서, 하나의 단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입력키(예를 들어, 버튼 1(104-1), 버튼 2(104-2), 버튼 3(104-3), 버튼 4(104-4) 및 버튼 5(104-5) 중 둘 이상)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축 기능은 문자 입력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필수 기능(예를 들어, 줄바꿈, 대소문자 전환, 입력 완료, 한 칸 띄우기, 뒤로 가기 기능 등)뿐 아니라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부가 기능(예를 들어, 문자 테이블의 특정 제1 배열(예를 들어, 특정 행)을 곧바로 선택하는 기능, 특정 문자를 곧바로 입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축 기능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줄바꿈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의미하며, 대소문자 전환 기능은 영문 대문자를 영문 소문자로 전환하거나 영문 소문자를 영문 대문자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한 칸 띄우기는 커서를 한 글자만큼 앞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뒤로 가기는 커서를 한 글자만큼 뒤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 완료는 현재 입력을 완료하고 커서를 글자 뒤로 이동시켜 다음 입력을 준비하는 기능으로서, “용인”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입력할 문자(즉, “ㅇ”)가 동일 버튼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입력 완료 기능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입력 완료와 한 칸 띄우기 기능이 동일 버튼 내에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문자 입력 과정에서 한 칸 띄우고 싶을 때 입력 완료 및 한 칸 띄우기 기능의 수행을 위해 동일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한” 입력 → (입력 완료) → (한 칸 띄우기) → “번”입력과 같이 입력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한” 입력 → (한 칸 띄우기) → “번”입력으로 보다 효율적인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사용자에 의해 상측 이동키(104-1), 하측 이동키(104-5) 및 복수의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중 둘 이상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단축 기능에 대응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단축 기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7의 버튼 2(104-2)와 버튼 4(104-4)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현재 선택된 영문 소문자가 영문 대문자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영문 대문자를 영문 소문자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대소문자 전환 단축 기능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8을 참조하면, 만약 선택된 제1 배열이 4행인 상태에서 대소문자 전환 단축 기능을 나타내는 입력키의 조합(예를 들어, 버튼 2(104-2)와 버튼 4(104-4))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입력 모듈(104)은 제2 입력키(104-2, 104-3, 104-4)에 디스플레이되는 영문 소문자를 영문 대문자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 입력키(104-2, 104-3, 104-4) 중 버튼 3(104-3)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6)은 버튼 3(104-3)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 즉 “D, E, F” 중 맨 앞에 위치한 “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열 선택 단축 기능 테이블(행 선택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이다. 상기 제1 배열 선택 단축 기능 테이블은 도 7의 제1 배열 선택 단축 기능(행 선택 단축 기능)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키들의 조합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음 1에 대응되는 제1 배열을 곧바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버튼 2(104-2)와 버튼 5(104-5)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하며, 영어 1에 대응되는 제1 배열을 곧바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버튼 1(104-1)와 버튼 3(104-3)이 동시에 입력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특정 제1 배열 선택을 위해 제1 입력키(104-1, 104-5)를 반복적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단축 기능 테이블의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축 기능 테이블에 정의된 단축 기능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단축 기능 리스트 중 사용하고자 하는 단축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단축 기능과 버튼의 조합을 상호 매핑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설정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축 기능을 설정,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축 기능 테이블은 도 10에서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둘 이상의 입력키(104-1, 104-2, 104-3, 104-4, 104-5)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단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300)은 상술한 입력 장치(100) 및 웨어러블 기기(2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0)는 통신 모듈(108)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에 장착 가능한 스마트 장갑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 하나 이상의 센서(202, 204, 206, 208, 210)를 통해 상기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202, 204, 206, 208, 210)는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일 수 있으나 상기 센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기기(200)는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이 어느 손가락인지에 관한 정보 또는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키(104-1, 104-2, 104-3, 104-4, 104-5) 중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 입력 장치(100)는 엄지 손가락에 대응되는 버튼 1(104-1)(또는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예를 들어, 맨 왼쪽)에 대응되는 버튼 1(104-1))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버튼 1(104-1)에 대응되는 문자 테이블의 제1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중지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 입력 장치(100)는 중지 손가락에 대응되는 버튼 3(104-3) (또는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예를 들어, 가운데)에 대응되는 버튼 3(104-3))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버튼 3(104-3)에 대응되는 문자(예를 들어, 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입력키를 식별하거나 상기 입력키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노인, 장애인 등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입력 시스템(300), 또는 입력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즉 입력 장치(100) 및 웨어러블 기기(2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0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컴퓨팅 환경
12 : 컴퓨팅 장치
14 : 프로세서
16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 통신 버스
20 : 프로그램
22 :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 입출력 장치
26 :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 입력 장치
102 : 데이터베이스
104 : 입력 모듈
104-1, 104-5 : 제1 입력키
104-2, 104-3, 104-4 : 제2 입력키
106 : 디스플레이 모듈
108 : 통신 모듈
200 : 웨어러블 기기
202 : 제1 센서
204 : 제2 센서
206 : 제3 센서
208 : 제4 센서
210 : 제5 센서
300 : 입력 시스템

Claims (9)

  1. 복수의 제1 배열과 복수의 제2 배열로 이루어지며, 각 제1 배열과 각 제2 배열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매핑(mapping)되는 문자 테이블;
    상기 복수의 제1 배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키 및, 선택된 상기 제1 배열에 매핑된 문자들 중 특정 제2 배열에 매핑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입력키로 이루어지는 입력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2 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상기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열은, 행 또는 열이며,
    상기 제2 배열은, 상기 제1 배열에 대응되는 열 또는 행인, 입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입력된 상기 제2 입력키에 대응되는 제2 배열의 문자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문자 중 맨 앞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입력키의 입력이 반복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자의 다음에 위치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입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키는, 선택된 상기 제1 배열과 상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상측 이동키 및 선택된 상기 제1 배열과 하측으로 인접한 제1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하측 이동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측 이동키, 상기 하측 이동키 및 복수의 상기 제2 입력키 중 둘 이상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단축 기능에 대응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단축 기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입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축 기능은, 동시에 입력되는 상기 상측 이동키, 상기 하측 이동키 및 상기 제2 입력키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키와 상기 제2 입력키의 합은, 상기 사용자가 각 손가락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은 채 상기 손가락으로 상기 제1 입력키 또는 상기 제2 입력키를 입력하여 상기 문자 테이블 내 모든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2 이상이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개수의 합 이하인, 입력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전달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입력키 중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입력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정보 또는 상기 손가락이 움직인 방향의 정보인, 입력 시스템.
KR1020160110248A 2016-08-29 2016-08-29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180024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48A KR20180024305A (ko) 2016-08-29 2016-08-29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48A KR20180024305A (ko) 2016-08-29 2016-08-29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05A true KR20180024305A (ko) 2018-03-08

Family

ID=617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48A KR20180024305A (ko) 2016-08-29 2016-08-29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3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9552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10747334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30033447A1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85991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09054A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CN105807939B (zh) 提高键盘输入速率的电子设备及方法
EP3298761B1 (en) Multi-switch option scanning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4305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NO315776B1 (no) Tegn-generator I
KR100538248B1 (ko)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2307004B1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KR101458384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6739083B2 (ja) 2方向の入力に応じて文字入力ボタンを切り替えて表示する、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66936A (ja) 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2018002934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74835A (ko) 기본자음별 모음 입력 단추 집합을 가지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