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349A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349A
KR20180029349A KR1020160117099A KR20160117099A KR20180029349A KR 20180029349 A KR20180029349 A KR 20180029349A KR 1020160117099 A KR1020160117099 A KR 1020160117099A KR 20160117099 A KR20160117099 A KR 20160117099A KR 20180029349 A KR20180029349 A KR 2018002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array
characters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호
윤효석
이경택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1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349A/ko
Publication of KR2018002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숫자, 한글 및 특수 문자 중 입력 대상으로 선택되는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 및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Input interface device of wearable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문자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안경, 시계와 같은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초소형 디바이스라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스마트폰의 UI(User Interface)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구조적 한계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입력 구조의 한계는 작은 폼 팩터(form factor)와 착용성이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스마트폰과 유사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특히 터치스크린 방식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한 정보 출력, 알림 확인 기능들처럼 스마트폰의 보조 기기로서의 기능들을 제외하고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독립기기로서의 사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의 경우, 입력이 한 손으로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두 손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터치 입력에 비해 입력의 속도 성능과 편리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마트 워치의 작은 화면을 가리게 되어, 표시 내용을 가리거나 잘못된 키를 터치하는 입력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터치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디지털 기기와는 달리,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손가락으로 인해 입력 시에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한 입력이 아닌 문자 입력과 같은 복잡한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존 스마트 워치에서는 스크린 터치 이외에 음성 인식을 통한 입력이 가능하다. 구글(Google)의 음성 인식, 애플(Apple)의 시리(Siri)가 그 예이다. 사용자들은 스마트 워치에서 메시지 작성, 음성 통화와 같이 간단한 명령을 음성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입력의 경우 주변의 소음이나 장소에 따라 인식률이 떨어져 사용에 제약을 받을 수 있으며, 입력 내용의 노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애플(Apple)의 애플 워치(Apple Watch)에는 사전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문장들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보낼 수 있는 내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입력의 표현성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린 터치 방식은 직관적이고 사용자가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이다. 하지만 문자 입력을 위해 여러 번의 입력을 하기에는 스마트 워치의 화면 크기가 너무 작아 입력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화면 가림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에서의 터치 방식은 정교하고 복잡한 입력보다는 버튼 터치, 스와이프(swype) 정도의 단순 입력에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터치 제스처를 활용하여 QWERTY 키보드를 작은 화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기존의 QWERTY 키보드를 스마트 워치의 작은 화면에 배치하여 절대적인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분할 배치하여 Swipe, Long touch 등의 터치 제스처를 활용해 키보드를 이동하면서 입력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입력 방식들은 보통 영문 알파벳 입력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입력 시에 UI 전환이 많아 사용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삼성의 기어 S2는 베젤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한글, 영문 그리고 숫자 입력기를 지원하고 있다. 삼성은 기존의 천지인 키보드 배치를 채택하여, 소형 스마트 워치의 터치 스크린에 그대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문자 입력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많은 가상키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가상키가 차지하는 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천지인 방식은 입력 문자의 종성과 다음 입력 문자의 초성이 겹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명시적 입력이 필요하다.
한편, 스크린 터치 방식이 아닌 형태의 입력 장치를 활용하기 위해 손목 착용형 단말기기의 가장 자리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여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한글 입력에 적용한 방법이 있다.
해당 입력 방법의 경우, 스크린 터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특수 문자나 한글 이외의 문자의 경우 필요한 입력이 많아진다면 입력부의 입력 이벤트 수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문자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숫자, 한글 및 특수 문자 중 입력 대상으로 선택되는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 및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 조이스틱 센서 혹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표시한 후, 문자의 종류 중 선택되는 문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가 선택된 경우, 모든 숫자를 포함하는 숫자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특수 문자가 선택된 경우, 다수의 배열로 분할된 특수문자 배열 중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로 설정된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한글이 선택된 경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기 설정된 한글 입력 구조에서 최상위를 이루는 초성 기본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성 기본 배열을 표시한 후,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배열을 변경하면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한글을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기본 배열을 표시하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기본 배열에 포함된 문자 이외의 다른 문자를 포함하는 확장 배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 특수 문자 및 한글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입력 대상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 및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가 선택된 경우, 모든 숫자를 포함하는 숫자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특수 문자가 선택된 경우, 다수의 배열로 분할된 특수문자 배열 중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로 설정된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한글이 선택된 경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기 설정된 한글 입력 구조에서 최상위를 이루는 초성 기본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화면을 가리게 되어 문자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자 입력 오류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하는 숫자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하는 특수문자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입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센서부의 조작별 기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문자 확장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가 원형 스마트 워치에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조작부(110), 저장부(130), 센서부(150), 제어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작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하며, 이때, 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명령(‘문자 입력 모드 진입 명령’) 및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 선택에 관한 명령(‘문자 종류 선택 명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110)는 문자 입력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하여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신호(‘문자 입력 모드 진입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10)는 문자 종류 선택 명령을 입력받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신호(‘문자 종류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는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일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 중 어떤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고자하는지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10)는 문자 입력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받으면, 문자 입력 모드 진입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문자 입력 모드 진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거나,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하나씩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작부(1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된 문자의 종류 중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조작부(110)는 선택된 문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문자 종류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문자 종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문자 종류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
한편,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110)가 아닌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 각종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에는 조작부(110)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 , 센서부(150)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70)는 조작부(110) 및 센서부(150)로부의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
상기 센서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버튼이 내장된 2-axis 센서(ex, 조이스틱 센서) 혹은 터치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50)는 감지되는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며,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는 문자 배열 화면을 전환하거나, 표시된 문자 배열 화면 상에서 활성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표시된 문자 배열 화면 상의 활성화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가 조이스틱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조이스틱 센서는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움직이는 한편 눌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의 동작 및 눌림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이스틱 센서는 스마트 워치 등 기기의 본체 아래에 배치되거나, 본체 전면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50)가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손가락이나 터치용 펜 등의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의 동작 및 눌림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열된 센서들로 구성되어, 각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부(110) 및 센서부(150)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각 신호에 상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10) 및 센서부(150)로부의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 내의 메모리에 조작부(110) 및 센서부(150)로부의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어야 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제어부(1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10) 및 센서부(1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숫자, 한글 및 특수 문자를 디스플레이(190)에 표시 및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는 문자 배열 화면을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된 문자 배열 화면 상에서 활성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된 문자 배열 화면 상의 활성화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의 상하좌우의 동작을 기반으로 입력시키고자 하는 문자를 추적(문자 배열 화면을 변경, 활성 영역의 위치 이동, 초성 선택, 중성 선택, 종성 선택 등)하고, 센서부(150)의 눌림 동작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문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
센서부(150)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부(170)의 문자 입력 방법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입력 가능 문자 종류를 표시하는데, 이때, 설정 상태에 따라,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거나,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하나씩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문자 배열 화면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동작은 도 1에서 살펴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면(S200),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210).
상기 단계 S200에서의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은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명령(‘문자 입력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S210에서의 입력 가능 문자 종류의 표시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는 방법(‘제 1 표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하나씩 표시하는 방법(‘제 2 표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S210에서 표시되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는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문자의 종류를 제 1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하는 경우, 한 화면에 항목들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언급된 문자의 종류를 제 2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하는 경우, 항목들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 중 우선 표시되도록 기 설정된 항목이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 S210에 따라,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표시한 후, 제어부(170)는 표시된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 중 선택되는 문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220).
이때, 상기 단계 S220에서의 문자 종류의 선택 방법은 단계 S210에서의 입력 가능 문자 종류 표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상기 단계 S210에서 입력 가능 문자의 종류가 제 1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 가능한 위치임을 표시하는 활성 영역의 위치를조작부(110)를 조작하여 이동시키면서 활성 영역을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에 위치시킨 후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110)가 아닌 센서부(150)를 조작하여 활성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로서 항목들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10) 혹은 센서부(150)를 조작하여 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을 활성화한 후, 활성화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 S210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가 제 2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한 후,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110)가 아닌 센서부(150)를 조작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한 후,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로서 항목들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중 하나의 항목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가 표시되도록 조작부(110) 혹은 센서부(150)를 조작한 후, 표시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20에 따라, 문자 배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 후,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에 따라 문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S230).
이때, 상기 단계 S230에 있어서,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은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으로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의 상하좌우의 동작을 기반으로 입력시키고자 하는 문자를 추적(문자 배열 화면을 변경, 초성 선택, 중성 선택, 종성 선택 등)하고, 센서부(150)의 눌림 동작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문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체적인 문자 입력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면(S300),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310).
이때, 상기 단계 S310에서 표시되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는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 S310에서 표시된 문자의 종류 중 숫자를 조작부(110) 혹은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 중 선택된 숫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숫자 배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32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하는 숫자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에는 숫자가 1열로 배열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숫자가 2열로 배열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단계 S320에서, 제어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숫자(0 ~ 9)를 포함하는 문자 배열(‘숫자 배열’)을 표시한다.
상기 단계 S320에서와 같이 숫자 배열이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숫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
즉,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숫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S3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숫자 배열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활성 영역을 이동시켜 숫자 4를 활성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활성 영역을 이동시켜 숫자 9를 활성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숫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도 5(a)에서와 같이 숫자가 2열로 배치되고, 숫자 1이 활성화 상태이며, 사용자가 조이스틱 센서로 구현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숫자 9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5(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우측으로 조작하여 활성 영역을 숫자 4에 위치시키고(도 5(b)), 다시 조이스틱을 아래로 조작하여 활성 영역을 숫자 9에 위치시킨 후, 조이스틱을 눌러 최종적으로 숫자 9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면(S600),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610).
이때, 상기 단계 S610에서 표시되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는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 S610에서 표시된 문자의 종류 중 특수문자를 조작부(110) 혹은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 중 선택된 특수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특수문자 배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62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하는 특수문자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에는 32개의 특수문자를 4단계(STEP 1 ~ STEP 4)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계 S620에서 특수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경우에, 제어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문자 배열을 표시하게 되는데, 최초에는 기 설정되는 단계에 해당하는 특수문자 배열(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은 4단계로 분할된 특수문자 배열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의 특수문자 배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은 1개의 단계의 특수문자 배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단계(ex, 2개의 단계)의 특수문자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70)는 도 7의 1단계(STEP 1)에 해당하는 특수문자 배열(‘특수문자 제 1 배열’)을 표시하거나, 도 7의 1단계(STEP 1) 및 2단계(STEP 2)에 해당하는 특수문자 배열(‘특수문자 제 1 배열’ 및 ‘특수문자 제 2 배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620에서와 같이 특수문자 배열이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문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
즉,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특수문자를 선택 및 입력한다(S63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특수문자 배열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활성 영역을 이동시켜 특수문자 제 2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c)은 활성 영역을 이동시켜 특수문자 제 3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d)은 활성 영역을 이동시켜 특수문자 제 3 배열의 특수문자 ‘@’을 활성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도 8(a)에서와 같이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로서 특수문자 제 1 배열이 표시되고, 특수문자 ‘;’이 활성화 상태이며, 사용자가 조이스틱 센서로 구현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특수문자 ‘@’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8(a)과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상측으로 조작하여 도 8(b)와 같은 특수문자 제 2 배열(STEP 2)이 표시되면, 다시 조이스틱을 상측으로 조작하여 도 8(c)과 같은 특수문자 제 3 배열(STEP 3)을 표시한 후, 다시 조이스틱을 우측으로 조작하여 활성 영역을 특수문자 ‘@’에 위치시킨 후, 조이스틱을 눌러 최종적으로 특수문자 ‘@’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면(S900),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910).
이때, 상기 단계 S910에서 표시되는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는 숫자, 한글 및 특수문자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 S910에서 표시된 문자의 종류 중 한글을 조작부(110) 혹은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입력 가능한 문자 중 선택된 한글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한글 배열)을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한다(S920).
이때, 상기 단계 S920에서 한글 배열을 표시하는 경우에, 제어부(1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 입력 구조에서 최상위를 이루고 있는 초성 제 1 배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이용되는 한글 입력 구조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920에서와 같이 초성 제 1 배열이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을 선택 및 입력한다.
즉, 제어부(170)는 센서부(19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 및 눌림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한글을 선택 및 입력한다(S93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입력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선택하는 몇 번의 단계를 거쳐 한 글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한 입력 단계와 사용 빈도 순서를 고려하여 입력하면서 완성해나갈 수 있도록 도 10에서와 같은 파생 구조가 제안된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한글 입력 구조에서는, 초기에는 초성 입력을 위한 모음 8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가 초성 제 1 배열(혹은 초성 기본 배열, STEP 1_1)로서 고정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초성 제 1 배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센서부(150)를 좌우로 조작하여 원하는 초성을 선택할 수 있고, 초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초성이 없는 경우, 센서부(150)를 아래로 조작하여 초성 제 2 배열(STEP 1_2)을 표시한 후, 초성 제 2 배열에서 원하는 초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초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초성이 없는 경우, 다른 초성을 포함하는 배열(초성 확장 배열)로 확장시켜 가면서 원하는 초성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초성 제 2 배열이 표시된 상태에서 초성 제 1 배열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센서부(150)를 위로 조작하여 초성 제 1 배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초성 입력이 완료되면, 센서부(150)를 위로 조작하여 중성 입력을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초성 입력이 완료되면, 중성 입력이 이루어지는데, 중성 입력을 위한 중성 제 1 배열(혹은 중성 기본 배열, STEP 2_1)은 모음 6개(‘ㅏ’, ‘ㅓ’, ‘ㅗ’, ‘ㅜ’, ‘ㅡ’, ‘ㅣ’)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중성 제 1 배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센서부(150)를 좌우로 조작하여 원하는 중성을 선택할 수 있고, 중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중성이 없는 경우, 센서부(150)를 아래로 조작하여 중성 제 2 배열(STEP 2_2)을 표시한 후, 중성 제 2 배열에서 원하는 중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중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중성이 없는 경우, 다른 중성을 포함하는 배열(중성 확장 배열)로 확장시켜 가면서 원하는 중성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중성 제 2 배열이 표시된 상태에서 중성 제 1 배열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센서부(150)를 위로 조작하여 중성 제 1 배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초성 입력이 완료되면, 센서부(150)를 위로 조작하여 종성 입력을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중성 입력이 완료되면, 경우에 따라 종성 입력이 이루어지는데, 종성 입력을 위한 종성 제 1 배열(혹은 종성 기본 배열, STEP 3_1)은, 초성 제 1 배열(STEP 1_1)과 마찬가지로, 자음 8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종성 제 1 배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센서부(150)를 좌우로 조작하여 원하는 종성을 선택할 수 있고, 종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종성이 없는 경우, 센서부(150)를 아래로 조작하여 종성 제 2 배열(STEP 3_2)을 표시한 후, 종성 제 2 배열에서 원하는 종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종성 제 1 배열에 원하는 종성이 없는 경우, 다른 종성을 포함하는 배열(종성 확장 배열)로 확장시켜 가면서 원하는 종성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중성 입력을 통해 원하는 한글이 완성되었거나, 종성 입력을 통해 원하는 한글이 완성되었다면, 한글 입력 완료를 위해 기 설정된 동작(ex, 센서부를 누르는 동작)을 취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센서부의 조작별 기능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센서부의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문자 확장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배열이 표시된 상태(도 12(a))에서 확장시켜 도 12(b) 및 12(c)과 같이 확장 배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가 우선적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는 후순위로 배열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센서부((150)로서 조이스틱 센서를 사용하여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한글 입력 구조에 따라 한글 ‘동해’를 입력하는 경우로서, 도 13(a)은 한글 ‘동’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은 한글 ‘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한글 ‘동’을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9의 단계 S920에 따라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한글로 선택되면, 초성 입력을 위해 도 13(a)의 13_a와 같이 배열이 표시된다.
13_a에서와 같이 배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좌로 조작하여 ‘ㄷ’을 선택한 후, 중성을 선택하기 위하여 조이스틱을 위로 조작하여 13_b와 같은 배열이 표시되면, 조이스틱을 우로 조작하여 한글 ‘도’를 선택한 후, 종성을 선택하기 위하여 조이스틱을 위로 조작하여 13_c와 같은 배열이 표시되면, 조이스틱을 좌로 조작하여 한글 ‘동’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한글 ‘해’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초성 입력 위해 13_d와 같은 배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우로 조작하여 ‘ㅇ’을 선택한다.
13_d와 같은 배열에는 ‘ㅎ’이 존재하지 않으며, ‘ㅎ’은 ‘ㅇ’으로부터 파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ㅇ’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ㅇ’을 선택한 후, 조이스틱을 위로 조작하여 13_e와 같은 배열이 표시되면 조이스틱을 좌로 조작하여 ‘ㅎ’을 선택한 후, 중성을 선택하기 위하여 조이스틱을 위로 조작하여 13_f와 같은 배열이 표시되면, 조이스틱을 우로 조작하여 한글 ‘해’를 선택한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가 원형 스마트 워치에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한글 ‘동’을 입력하는 과정을 원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5(a)에는 숫자가 원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특수문자가 원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상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배열의 표시 방법을 적절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110 : 조작부
130 : 저장부
150 : 센서부
170 : 제어부
19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동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숫자, 한글 및 특수 문자 중 입력 대상으로 선택되는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 및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 조이스틱 센서 혹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를 표시한 후, 문자의 종류 중 선택되는 문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가 선택된 경우, 모든 숫자를 포함하는 숫자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특수 문자가 선택된 경우, 다수의 배열로 분할된 특수문자 배열 중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로 설정된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한글이 선택된 경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기 설정된 한글 입력 구조에서 최상위를 이루는 초성 기본 배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성 기본 배열을 표시한 후,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배열을 변경하면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기본 배열을 표시하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기본 배열에 포함된 문자 이외의 다른 문자를 포함하는 확장 배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9.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 특수 문자 및 한글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입력 대상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하좌우의 4방향의 동작과 눌림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문자를 표시 및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숫자가 선택된 경우, 모든 숫자를 포함하는 숫자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특수 문자가 선택된 경우, 다수의 배열로 분할된 특수문자 배열 중 초기 설정 특수문자 배열로 설정된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 대상 문자로서 한글이 선택된 경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기 설정된 한글 입력 구조에서 최상위를 이루는 초성 기본 배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0160117099A 2016-09-12 2016-09-1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80029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99A KR20180029349A (ko) 2016-09-12 2016-09-1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99A KR20180029349A (ko) 2016-09-12 2016-09-1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49A true KR20180029349A (ko) 2018-03-21

Family

ID=6190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99A KR20180029349A (ko) 2016-09-12 2016-09-1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3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231B1 (en) Devices having input controls for efficient input of data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10079441A (ja) 携帯端末、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プログラム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2011524595A (ja) 個々のテキストフィールドのデータ入力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JP5977764B2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CN102279652A (zh) 电子装置与其输入方法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32896A (ko) 터치패드로 구성된 리모컨과 그 작동 방법
JP2003186613A (ja) 文字入力装置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934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JP6605921B2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TWI468986B (zh)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8555B1 (ko)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101017777B1 (ko) 영어 단어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JP5097672B2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10108659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KR101328554B1 (ko)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