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741B1 -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41B1
KR100980741B1 KR1020100054601A KR20100054601A KR100980741B1 KR 100980741 B1 KR100980741 B1 KR 100980741B1 KR 1020100054601 A KR1020100054601 A KR 1020100054601A KR 20100054601 A KR20100054601 A KR 20100054601A KR 100980741 B1 KR100980741 B1 KR 10098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touch screen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규현
Original Assignee
백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규현 filed Critical 백규현
Priority to KR102010005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IPTV나 스마트 TV와 같이 채널 선택이나 볼륨 변경 명령 이외에 클릭, 드래그앤 드랍, 텍스트 입력 등과 같이 다양한 입력을 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사용자의 직관적인 제스쳐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A REMOTE CONTROLLER AND A METHOD FOR REMOTE CONTRLLING A DISPLAY}
본 발명은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IPTV나 스마트 TV와 같이 채널 선택이나 볼륨 변경 명령 이외에 클릭, 드래그앤 드랍, 텍스트 입력 등과 같이 다양한 입력을 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사용자의 직관적인 제스쳐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는 종래의 TV와 달리 방송 신호만 출력하는 기능에 부가적으로, 자체 운영체제를 갖추고, 인터넷 브라우징, 영상 통화, 게임 등 일반PC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TV를 스마트 TV라 불린다. 이러한 스마트 TV에서는 종래의 일반 TV에서 사용되는 리모컨으로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없다.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마우스와 키보드의 기능을 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마우스와 키보드는 책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TV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스마트 TV 뿐만 아니라 IPTV, 브로드밴드 TV 등 부가 기능들을 갖는 다양한 TV에서도 요구되는 사항이다.
스마트 TV 뿐만 아니라 IPTV, 브로드밴드 TV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갖는 TV를 위한 입출력 장치가 요구된다.
사용자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타겟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및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출된 좌표 및 제스쳐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타겟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및 제스쳐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및 제스쳐 종류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텍스트를 입력할 상황이 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텍스트 입력이 요구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텍스트 입력 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텍스트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패널 중 수신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 상황인지 판단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 상황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텍스트 입력이 요구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텍스트 입력 패널을 표시하는 단계;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텍스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입력 패널 중 상기 수신된 텍스트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키버튼을 입력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키버튼 입력 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수신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패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상기 수신된 키버튼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키버튼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키버튼 입력 모드가 되면 키버튼 입력 패널을 출력하는 가상 레이어를 포함하는 피드백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 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수신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모드가 되면 키버튼 입력 패널을 포함하는 가상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상기 수신된 키버튼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TV 뿐만 아니라 IPTV, 네트워크 TV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갖는 TV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과 타겟 장치의 디스플레이 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비디오를 구성하는 레이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200)에서의 커서의 이동, 클릭,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TV(200)에서의 커서의 이동, 클릭,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를 사용하여 TV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사용하여 방송 수신 모드에서 TV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의 키버튼 입력에 대해 TV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으로부터의 키버튼 입력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으로부터의 키버튼 입력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TV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으로부터의 키버튼 입력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으로터의 키버튼 입력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02)이 장착된 원격 제어 장치 또는 리모컨(1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TV(20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00) 상에는 터치 스크린(102) 외에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키버튼(104)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타겟 장치로서 TV(2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리모컨(100)과 임의의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100)은 스마트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무선 단말기에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리모컨(100)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그 명령은 TV(200)의 커서(206)에 반영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 상을 호버링하면 호버링한 거리 만큼 커서(206)가 이동하고, 터치 스크린(102)을 터치하면 커서(206)의 위치에서 클릭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호버링대신 약한 터치, 터치 대신 강한 터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TV(200)는 스마트 TV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는 현재 홈 메뉴(204)가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을 사용하여 홈메뉴(204) 중 하나를 클릭하여 해당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 메뉴(204)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인터넷 브라우징 화면, 문서 뷰 화면, 이메일 화면, 문자 메시지 화면 등 클릭, 드래그, 드래그앤드랍 등 일반 PC의 마우스에 의한 임의의 입력 명령이 필요한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 상의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된 메뉴들을 선택하거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과 타겟 장치인 TV(200)의 디스플레이(202)는 일대일 매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 상의 한 지점을 터치하면, 터치한 위치의 좌표를 TV(200)로 송신하고, TV(200)의 제어부(미도시)는 수신한 좌표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202) 상의 위치를 클릭한 것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 상을 드래그하면(106), 드래그한 좌표, 즉 터치의 이동 경로 좌표를 TV(200)로 송신하고, TV(200)는 그 좌표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202) 상에서 커서(206)를 이동시킬 수 있다(208). 마찬가지 방식으로 리모컨(100)을 통해 드래그앤 드랍, 플리킹 등 임의의 제스쳐에 따른 명령을 TV(200)로 송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리모컨(100)은 터치 스크린(102)에서 검출된 입력이 터치, 드래그, 드래그앤 드랍, 플리킹인지 여부, 제스쳐 타입과 해당 좌표를 TV(200)로 전송함으로써, TV(200)가 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과 TV(200)의 디스플레이(202)를 일대일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눈은 TV(200)를 향하고, 손은 터치 스크린(102) 상에 둔 상태에서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된 다양한 메뉴, 아이콘, 하이퍼링크들을 선택 또는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의 면적이 좁고, TV(200)의 디스플레이(20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넓은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일대일 매칭을 하게 되면, 커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02)과 일대일 매칭이 되도록 구성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102) 상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의 제스쳐가 디스플레이(202) 상에서의 현재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102) 상의 위치에 관계없이,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된 현재 커서에서 클릭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2) 상에서 드래그가 입력되면, 드래그된 거리만큼 또는 그 스케일링된 거리만큼 디스플레이(202) 상의 커서의 현재 위치로부터 커서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제스쳐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102) 상의 제스쳐가 TV(200)의 디스플레이(202) 상에서 커서(206)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 어느 경우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소정 제스쳐를 입력하면, 그 제스쳐에 대한 좌표값 및 제스쳐 타입 정보가 TV(200)로 전송되고, TV(200)의 제어부(미도시)는 그 좌표를 기반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아이콘 또는 하이퍼링크를 실행하는 등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102),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및 제스쳐를 검출하는 제어부(106), 및 상기 검출된 좌표 및 제스쳐를 상기 타겟 장치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8)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6)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모컨(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드 키버튼 또는 기타 트랙볼, 조이 스틱 등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04)와 리모컨(100)의 움직임 또는 자세 변화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2)은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터치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은 정전방식 또는 전기저항막 방식 또는 임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리모컨(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02)으로부터 검출된 사용자의 제스쳐로부터 좌표 및 제스쳐 타입을 판단한다. 제어부(106)로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FPGA 또는 ASIC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8)은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타겟 장치(20)로 송신하며,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Zigbee, 적외선 통신 등 임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WiFi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IP주소 할당 및 중계 역할을 위해 터치 스크린(102)과 TV(200) 외에 서버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12)로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리모컨(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08)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예컨대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Zigbee, 적외선 통신 등 임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TV(20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명령 코드들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TV(200)는 리모컨(100)에 의해 제어될 타겟 장치의 일 예에 불과하며, 이하의 설명은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14), 튜너(216), 역다중화부(218), 영상신호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02), 네트워크 모듈(224), OSD 생성부(234), 사용자 입력부(226), 저장장치(228), 외부장치 연결부(236), 제어부(230), 근거리 통신 모듈(232)를 포함한다.
위 구성요소들 중 튜너(216), 역다중화부(218) 및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222)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튜너(216)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218)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역다중화부(218)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202)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2)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비디오 데이터와 후술하는 OSD 화면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2)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 처리부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역다중화부(218)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저장장치(228)에 저장된다.
저장장치(228)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6)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TV(200)의 일측에 구비된 하드 키 입력부, 트랙볼, 조이 스틱 등 임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32)은 전술한 리모컨(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WiFi, 블루투스, Zigbee, 적외선 송수신 모듈 등 임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모듈(224)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OSD 생성부(234)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 등의 부가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OSD 생성부(234)에 의해 생성된 OSD 화면은 영상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비디오 신호와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된다.
외부장치 연결부(236)는 다른 재생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연결부(236)에 다른 재생 장치를 접속하여 그 재생 장치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26)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23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TV(2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30)는 근거리 통신 모듈(23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2)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튜너(216)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와, OSD 생성부(234)에 의해 생성된 OSD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한다. 이 때, 튜너(216)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와 OSD 화면은 각각 별도의 가상 레이어로 출력된 다음, 영상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합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2)로의 출력은 2개의 가상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레이어(31)는 실질적인 콘텐츠에 해당하는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레이어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방송 신호, DVD 플레이어 등의 멀티 미디어에서는 그 비디오 콘텐츠에 해당하는 신호는 비디오 레이어(31)를 통해 출력된다. OSD 레이어(32)는 실질적인 콘텐츠가 아닌, 모니터 설정 시의 메뉴 화면, 채널 정보, 볼륨 상태 등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어이다.
비디오 레이어(31)로 출력되는 신호와, OSD 레이어(32)로 출력되는 신호가 합쳐져서 최종적인 하나의 비디오 신호가 되어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200)에서의 커서의 이동, 클릭,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터치 스크린(102)은 그 근접 및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02) 위를 호버링하게되면, 리모컨(100)의 제어부는 그 좌표 및 호버링 제스쳐에 대한 정보를 TV(200)로 송신하고, (b)와 같이 TV(200)에서는 그 좌표를 기반으로 커서(206)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좌표 및 제스쳐 정보는 전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108)을 통해 TV(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이 호버링 또는 근접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102)은 정전방식의 터치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스크린(102)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거리 범위 내에 들어오면, 사용자에게 표시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리모컨(100) 상에 LED 소자를 배치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102) 상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여, 손가락이 검출 가능한 범위에 들어왔는지, 또는 터치를 했는지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의 (c)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02)을 터치하면, 리모컨(100)의 제어부는 터치했다는 정보 및 그 좌표를 TV(200)에 송신할 수 있다. (d)와 같이 TV(200)에서는 해당 좌표 또는 현재 커서(206)의 위치에 클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e)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02) 상을 드래그하면, 리모컨(100)의 제어부는 드래그했다는 정보 및 그 시작점 및 종료점 좌표를 TV(200)에 송신할 수 있다. TV(200)의 제어부는 (f)와 같이 수신한 제스쳐 정보 및 좌표를 기반으로 커서(206)를 드래그 또는 드래그앤 드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TV(200)에서의 커서의 이동, 클릭, 드래그앤드랍 명령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의 (a),(b)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 (c),(d)는 클릭하는 방법, (e),(f)는 커서를 드래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과 유사하지만, 다른 점은 도 7에서는 터치 스크린(102)이 손가락의 근접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고, 터치에 대해서만 반응한다는 점이다. 또한, 약한 터치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고, 강한 터치를 클릭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102)으로 전기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02)을 약하게 터치만 하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약하게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b)와 같이 커서(206)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c)와 같이, 터치 스크린(102)을 강하게 터치하면, (d)와 같이 해당 좌표 또는 현재 커서(206)의 위치를 클릭하는 동작이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e)와 같이 강하게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f)와 같이 커서(206)가 드래그 또는 드래그앤드랍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사용자 손가락의 근접, 터치, 약한 터치, 강한 터치, 또는 드래그 제스쳐를 검출한다.
단계(S12)에서, 상기 제스쳐의 타입을 판단하고 터치 스크린(102) 상에서의 좌표를 산출한다.
단계(S13)에서, 산출된 좌표 및 제스쳐 타입 정보를 TV(200)로 송신한다.
TV(200)에서는 송신받은 좌표 및 제스쳐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202)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클릭 또는 드래그 명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02)에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도 9와 같이 TV(200)로부터 디스플레이(202)의 현재 화면 정보를 수신한 다음, 이 화면 정보를 터치 스크린(102)에 표시한 다음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2)을 보면서 TV(20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V(200)가 인터넷 브라우징, 메뉴표시, 문자 메시지 전송 등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중이 아니라, 종래의 일반 TV와 같이 지상파, 위성 또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는 전술한 제스쳐 입력을 처리할 필요가 없다.
TV(2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는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 상의 제스쳐를 TV(200)의 방송 제어를 위한 간단한 명령들에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a)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의 임의의 한 지점(34)을 터치한 다음, 좌우로 플리킹(flicking) 제스쳐를 입력하면, 채널을 업다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b)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 상의 두 지점(35a,35b)를 터치한 상태에서, 즉 멀티 터치를 한 상태에서 두 손가락을 좁히면 볼륨을 다운시키고, 두 손가락을 벌리면 볼륨을 업하도록 또는 그 반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제스쳐를 볼륨 업다운에 적용하고, (b)의 제스쳐를 채널 업다운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트린(102) 상에 입력되는 다양한 제스쳐들을 TV(200)의 특정 명령에 매칭하고, 사용자가 제스쳐에 의해 TV(20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2)에 "V"자를 그리면, 볼륨 제어 패널을 표시하고, "C"자를 그리면 채널 업다운을 위한 패널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에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움직임 센서가 장착된 경우에 리모컨(100)을 흔들면 TV(200)에 자동 채널 설정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와 같은 터치 스크린(102)을 통한 입력 또는 움직임 센서를 통한 입력과 그에 매칭되는 명령을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리모컨(100)에서 제스쳐 설정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가 특정 제스쳐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선택함으로써 제스쳐와 그에 매칭되는 명령을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도 10(a)의 제스쳐는 볼륨 업다운 또는 채널 업다운에 도 10(b)의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매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2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송 수신 모드에 있는 중에는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일반 TV의 리모컨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신호 수신 모드에 진입하면 도 9와 같이 TV(200)의 제어 메뉴(143)를 터치 스크린(1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143)를 조작하여 채널 변경, 볼륨 변경, 화면 설정 등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버튼(104)을 누르거나, 다른 부가 기능들을 실행시키면 메뉴(143)가 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200)가 방송 수신 모드가 되어 도 11과 같이 터치 스크린(102)에 메뉴(143)가 표시되면, 리모컨(100)과 TV(200) 간의 통신 방식에 관계없이, 통상적인 리모컨과 같이 리모컨(100)에 입력되는 명령을 적외선 신호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단방향 데이터 송신, 즉 리모컨(100)에서 TV(200)로의 명령 송신만 요구되는 방송 수신 모드에서 리모컨(100)에 입력되는 명령이 신속하게 TV(2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리모컨(100)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집 안에 TV(200)가 복수개 있거나 또는 TV(200)외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200-1,200-2), 예컨대 모니터 등이 있는 경우에, 리모컨(100)을 사용하여 이들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리모컨(100)을 사용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00,200-1,200-2)을 제어하기 위해서, 리모컨(100)과 제어할 장치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화 과정은 제어할 장치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할 장치로 리모컨(100)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리모컨(100)과 제어할 장치의 구성 정보는 리모컨(100)과 제어할 장치의 식별 정보, 예컨대 모델명, 해상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 정보는 리모컨(100)과 제어할 장치 간의 통신 방식이 어떤 것인가, 즉 WiFi, 블루투스, Zigbee, 적외선 통신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TV(200)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TV(200)가 인터넷 브라우징, 문자 메시지 송신, 아이디/비밀번호 입력, 이메일 전송 등 텍스트 입력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도 13과 같이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에 텍스트 입력 패널(32)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인터넷 브라우징 동작을 수행할 때는, 검색 창이나 로그인 시에 텍스트 입력이 필요하므로, 검색 창이나 로그인 창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도 13과 같은 텍스트 입력 패널(32)을 표시할 수 있고, TV(200)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 기능이나, 이메일 기능을 실행시킨 경우에도 텍스트 입력 패널(32)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들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창(33)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패널(32) 상의 리턴 버튼을 터치하거나, 완료 버튼 또는 소정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된 텍스트들이 TV(200)로 송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컨(100)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가상 버튼을 입력할 때와 같이 리모컨(100) 상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입력 패널을 통해 버튼을 입력할 때, TV(200)를 통해 터치 버튼 입력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리모컨(100)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때는, 리모컨(100) 상의 텍스트 입력 패널(142)을 주시하면서 텍스트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타겟 장치인 TV(200)로부터 눈을 떼어고,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주시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화면을 갖는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도 리모컨(100)에 표시된 텍스트 입력 패널(142) 및 입력창(143)과 동일한 형태의 입력 패널(242)과 입력창(243)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 방송 화면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 화면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패널(242) 또는 입력창(243)은 반투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는 상태에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TV(200)의 제어부(미도시)는 텍스트를 입력할 상황이 되면, 리모컨(100)으로 텍스트 입력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입력 패널(242) 또는 입력창(26)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가 누른 키 버튼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V"자(145)를 입력하면, TV(200)의 입력 패널(242) 상의 "V"자(245)가 하이라이트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해당 문자를 밝게 표시하거나, 크게 표시하거나, 또는 각 문자에 고유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2)을 보지 않고, TV(200)의 디스플레이(202)를 주시하면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고, 자신이 누른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4와 같이 리모컨(100)을 통한 터치 입력에 대해 타겟 장치인 TV(200)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TV(200)의 디스플레이부(202)로의 출력에 종래의 TV 출력에 추가적인 가상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200)의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되는 화면에 추가적인 가상 레이어(250)를 구성하고, 가상 레이어(250)에 리모컨(100)에 표시된 입력 패널(145)과 동일한 입력 패널(245)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 레이어(250)에 표시된 입력 패널(245)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디오 레이어 및 OSD 레이어에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다. 가상 레이어(250)는 반투명으로 표시되어 비디오 레이어와 OSD 레이어로 출력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가상 레이어(250)를 제공하기 위한 TV(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엘리먼트들의 구성 및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도 16의 실시예에는 피드백레이어 생성부(238)가 추가로 포함된다.
피드백레이어 생성부(238)는 텍스트 입력 등과 같이 터치 키버튼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키버튼 입력 모드가 되면 입력 패널을 생성하여 피드백레이어로 출력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레이어 생성부(238)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레이어(33)는 종래의 비디오 레이어(31) 및 OSD 레이어(32) 위에 오버랩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가상 레이어(250)는 피드백레이어(3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피드백레이어 생성부(238)는 리모컨(100)으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라는 동작을 수행한다.
영상신호 처리부(220)는 비디오 데이터, OSD 화면 및 피드백레이어(33)로 출력되는 화면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부(202)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레이어 생성부(238)는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종래의 비디오 데이터 및 OSD 화면 데이터와 구분되는 피드백레이어(33)를 통해 피드백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100)을 통해 터치를 입력할 때마다, 보다 빠르고 생동감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패널(242)을 디스플레이(202)에 전체에 표시할 수도 있고, 도 18과 같이 텍스트 입력 패널(248)을 디스플레이(202)의 일측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8에는 리모컨(100)과 입력 패널(242)이 세로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도 14와 같이 가로로 표시하는 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패널(28)의 위치 또는 크기, 투명도 등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텍스트 입력 패널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보면서 터치 입력을 입력해야 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와 같은 형태의 TV 제어 메뉴(143)가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에 표시되는 경우에, TV(200)의 디스플레이(202)에도 동일한 형태의 패널을 표시하고, 제어 메뉴(143) 중 사용자가 터치한 버튼을 디스플레이(202) 상에서 하이라이트 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100)의 터치 스크린(102)을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입력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동작은 TV(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1)에서, TV 방송 신호, 인터넷 브라우징 화면, 메뉴 화면 등 영상을 표시한다. 단계(S22)에서, 텍스트 등의 키버튼 입력이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한다. 키버튼 입력 모드이면, 단계(S23)에서리모컨으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통보하고, 단계(S24)에서 키버튼 입력 패널을 표시한다.
단계(S25)에서, 리모컨으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26)에서, 수신된 키버튼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입력한 키버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그 변형예들도 포함한다.
100 : 리모컨 102 : 터치 스크린
104 : 버튼 106 : 제어부
108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110 : 저장부
112 : 움직임 센서 142 : 텍스트 입력 패널
143 : 입력창 144 : TV 제어 메뉴
200 : TV 202 : 디스플레이
204 : 홈메뉴 206 : 커서
214 : 안테나 216 : 튜너
218 : 역다중화부 220 : 영상신호 처리부
224 : 네트워크 모듈 226 : 사용자 입력부 228 : 저장장치 230 : 제어부
232 : 근거리 통신 모듈 234 : OSD 생성부
236 : 외부장치 연결부 238 : 피드백레이어 생성부
242 : 텍스트 입력 패널 243 : 입력창
245 : 가상 레이어

Claims (28)

  1.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호버링, 터치 및 드래그 앤 드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쳐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및 제스쳐를 검출하는 원격 제어 장치 제어부; 및 상기 검출된 좌표 및 제스쳐를 제어될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키버튼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키버튼 입력 모드가 되면 키버튼 입력 패널을 출력하며 반투명한 가상 레이어를 생성하는 피드백 레이어 생성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키버튼 입력 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수신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고,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레이어 및 OSD (On Screen Display) 메뉴를 포함하는 OSD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레이어를 상기 비디오 레이어 및 OSD 레이어 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의 좌표와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플리킹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에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멀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텔레비전 제어용 터치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텍스트 입력이 필요한 상황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텍스트 입력 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 패널을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호버링, 터치 및 드래그 앤 드롭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및 제스쳐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및 제스쳐 종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키버튼 입력 모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키버튼 입력 모드가 되면 키버튼 입력 패널을 출력하며 반투명한 가상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키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버튼 입력 패널 중 상기 수신된 키버튼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하이라이트하는 단계;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레이어 및 OSD (On Screen Display) 메뉴를 포함하는 OSD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레이어를 상기 비디오 레이어 및 OSD 레이어 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좌표와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방송 신호의 채널 또는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중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텔레비전 제어용 터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텍스트 입력이 필요한 상황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텍스트 입력 패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패널을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00054601A 2010-06-09 2010-06-09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098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01A KR100980741B1 (ko) 2010-06-09 2010-06-09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01A KR100980741B1 (ko) 2010-06-09 2010-06-09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139A Division KR20110134810A (ko) 2010-08-26 2010-08-26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741B1 true KR100980741B1 (ko) 2010-09-07

Family

ID=4300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601A KR100980741B1 (ko) 2010-06-09 2010-06-09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4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48B1 (ko) 2010-09-15 2012-07-31 김재욱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상의 gui 실행동작 제어방법
KR20120103262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KR101221738B1 (ko) 2012-03-19 2013-01-11 박배억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KR20130103362A (ko) * 2012-03-08 2013-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990B1 (ko) * 2012-05-21 2014-03-12 (주)인프라칩 스마트 리모컨
WO2014036974A1 (zh) * 2012-09-10 2014-03-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同屏显示方法和系统
WO2014119809A1 (ko) * 2013-01-3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KR101435773B1 (ko) * 2012-12-05 2014-08-28 김경희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WO2014143316A1 (en) * 2013-03-14 2014-09-18 Intel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capacitive touchpad
KR101595483B1 (ko) * 2014-10-29 2016-02-19 올토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US9864443B2 (en) 2012-07-31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891614B1 (ko) * 2011-07-19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34742B1 (ko) 2022-11-23 2024-02-0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리모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96A (ko) * 2008-08-04 2010-02-12 (주) 버드랜드소프트웨어 디지털 방송용 셋탑박스 제어장치, 그 구동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KR20100045583A (ko) * 2008-10-24 2010-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96A (ko) * 2008-08-04 2010-02-12 (주) 버드랜드소프트웨어 디지털 방송용 셋탑박스 제어장치, 그 구동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KR20100045583A (ko) * 2008-10-24 2010-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48B1 (ko) 2010-09-15 2012-07-31 김재욱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상의 gui 실행동작 제어방법
KR20120103262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KR101885764B1 (ko) * 2011-03-10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KR101891614B1 (ko) * 2011-07-19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103362A (ko) * 2012-03-08 2013-09-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46181B1 (ko) * 2012-03-08 2019-11-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21738B1 (ko) 2012-03-19 2013-01-11 박배억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KR101365990B1 (ko) * 2012-05-21 2014-03-12 (주)인프라칩 스마트 리모컨
US9864443B2 (en) 2012-07-31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690536B2 (en) 2012-09-10 2017-06-27 Huawei Device Co., Ltd. Terminal device, and screen-shar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WO2014036974A1 (zh) * 2012-09-10 2014-03-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同屏显示方法和系统
KR101435773B1 (ko) * 2012-12-05 2014-08-28 김경희 스마트 tv 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WO2014119809A1 (ko) * 2013-01-3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US9143715B2 (en) 2013-03-14 2015-09-22 Intel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capacitive touchpad
WO2014143316A1 (en) * 2013-03-14 2014-09-18 Intel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capacitive touchpad
KR101595483B1 (ko) * 2014-10-29 2016-02-19 올토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34742B1 (ko) 2022-11-23 2024-02-08 주식회사 오성전자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리모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11243615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US20120274547A1 (en) Techniques for content navigation using proximity sensing
US112694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91707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1352329B1 (ko)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60353A1 (en)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v interface
KR101383840B1 (ko)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190227688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ent input method thereof
WO2012104288A1 (en) A device having a multipoint sensing surface
US20100162155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s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5457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43139A (ja)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5525927A (ja) 表示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507994B2 (ja) A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含まれるディスプレイ機器側サ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