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9809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9809A1
WO2014119809A1 PCT/KR2013/000812 KR2013000812W WO2014119809A1 WO 2014119809 A1 WO2014119809 A1 WO 2014119809A1 KR 2013000812 W KR2013000812 W KR 2013000812W WO 2014119809 A1 WO2014119809 A1 WO 20141198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highlighted
menu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8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기
윤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08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19809A1/ko
Publication of WO20141198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98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 a broadcast signal receiver (television, TV) having a network function of receiving a data stream transmitted by a real time streaming metho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decoding and signaling the audio and video signals.
  • Display devices such as these are widely used.
  •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remote controller is used to input letters, numbers, or symbols.
  •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are input by using an input key provided in the input means.
  •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displaying a first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on a display unit, the first direction.
  • a movement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is input, changing a key highlighted among the plurality of keys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input menu,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 the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a gesture of the user.
  • the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preset threshold angl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letter,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key in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change key is selected on the first input menu.
  • a second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the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second input menu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second direction.
  • Another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displaying a first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on a display unit, when a movem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first direction is input; Changing a key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highlight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input menu, corresponding to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When a movement command is inputted, changing a key double highlight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highlighted key group, selecting a double highlighted key, and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on the display unit.
  • the double-highlighted key may be selected when a third movement command different from the first movement command and the second movement command is input.
  • the double highlighted key may be selected.
  • a second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any one of the first input menu and the second input menu may include lowercase alphabetic characters, and the other may includ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s.
  • the further motion command may be a motion command along a thir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the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a gesture of the user or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letter,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key in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a recommended word including the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a recommended word window.
  • the recommended word window may be highlighted or selected according to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or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motion comm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direction on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direction on the display unit.
  • a letter,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key may be displayed in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highlight a predetermined key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user's movement and select a highlighted key, so that a user uses letters, numbers, or symbols using simple movemen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put.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input unit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input unit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 5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8 to 31 are views for explain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2 to 3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input menu has a cylindrical shape.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space remote controller.
  •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space remote controller.
  • by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perating system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and thus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 a display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s an example.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interpreted as a display devic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pplied to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a display unit 180Q displaying an image and a display unit 180Q in response to a received broadcast signal.
  • the driving unit 101Q may be included.
  •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panel.
  • the driver 101Q may control video display and audio outpu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the driving unit 101Q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05Q,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 storage unit 140Q,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 control unit 170Q, and a command input unit 160Q.
  • the driving unit 101Q and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driving unit 101Q and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eparately modulariz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ly.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185Q for outputting a voice, an acoustic sensing unit 191Q for sensing a voice, a user's movement, a wireless input unit 200Q,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motion, that is, a motion sensing unit 192Q for sensing a motion command.
  • the receiver 105Q may include a tuner 110Q, a demodulator 120Q,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If necessary,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may be provided while the network interface 130Q is not included. On the contrary,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are provided while the network interface 130Q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not to include 120Q.
  • the tuner 110Q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from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 the demodulator 120Q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Q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 the demodulator 120Q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Q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Q.
  • the controller 170Q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Q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Q.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transmit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ler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output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 the storage unit 140Q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70Q,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 the storage unit 140Q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 the storage unit 140Q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140Q to the user.
  • a content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 FIG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Q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Q, the storage unit 140Q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Q.
  • 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clude an input key for the user to input a command.
  • 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clude a wired input unit 190Q for inputting a command by wire and a wireless input unit 200Q for inputting a command by wireless.
  • 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put various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volume control, movement of a cursor on the screen, and menu selection.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 device.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160Q to the control unit 170Q,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Q to the command input unit 160Q.
  • the input command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Q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receives and processes a command input from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or from the control unit 170Q.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RF Radio Frequency
  • IR infrared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of the command input unit 160Q to the controller 170Q. I can deliver it.
  • a local key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of the command input unit 160Q. I can deliver it.
  •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controller 170Q may control display of an input menu on the display 180Q, and control at least one of the keys included in the input menu to be select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control unit 17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Q, the demodulator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to output a video or audio output.
  • the control unit 17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Q, the demodulator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to output a video or audio output.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output to the voice output unit 185Q.
  •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 controller 170Q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tuner 110Q so as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display 180Q to display an image.
  •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Q,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n image inpu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Q.
  • the display unit 180Q may control the displa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 the controller 170Q searches for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outputs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Q, and outputs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a selection signal of a user terminal used as a user controller from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 the display unit 180Q converts the image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or the image signal and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Generate a signal.
  •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 the voice output unit 185Q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 the voice output unit 185Q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sense sound generated inside or outsid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sense various sounds such as a telephone ringing sound, a doorbell sound, a water sound, and a user's voice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include a voice sensor or a microphone.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user or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Q.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such as a camera.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Q.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sensor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together.
  • the controller 170Q may detect a user's gesture or a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y combining or combin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sense not only the user's motion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of the user's fac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face is directed.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 the wireless input unit 200 may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method.
  • RF Radio Frequency
  • IR infrared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receive an image, an audio or a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or output audio or vibration.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put a movement command to the controller 170Q through a predetermined movement.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does not include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and th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3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Q.
  • the content may be received and played back.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input unit. In the following,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 a pointer 205Q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 the pointer 205Q may be a cursor.
  •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2B) and front and rear (FIG. 2C).
  •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referred to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because the pointer 205Q is moved and displayed as the 3D space moves.
  • FIG. 2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sensed by the sensor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the controller 170Q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Q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display the pointer 205Q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 FIG. 2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Q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Q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may be zoomed i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Q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may be zoomed out to be reduced in size.
  •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Q,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 the recogn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can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Q,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may not be recognized, and only the front and back movements may be recognized. In a state where a specific button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Q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Q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pointer 205Q may refer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are possible with the pointer 205Q in addition to the arrow shape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concept may include a poin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inter 205Q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such as a line and a surface. .
  •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180Q or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180Q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e input displayed on the display 180Q may be selected. It may also be possible to select a predetermined key on the menu.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a user input unit 235Q, a sensor unit 240Q, an output unit 250Q, a power supply unit 260Q, a storage unit 270Q, and a controller 280Q. ) May be includ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may communicate with any one of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clude an RF module 221Q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control unit 170Q via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clude an IR module 223Q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IR communication standards.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RF module 221Q.
  •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RF module 221Q. In additi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controller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IR module 223Q as necessary.
  • the user input unit 235Q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5Q.
  • the user input unit 235Q includes a hard key button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 the user input unit 235Q includes a touch screen
  •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 the user input unit 235Q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such as a scroll key and a jog key.
  • the sensor unit 240Q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Q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Q.
  • the gyro sensor 241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gyro sensor 241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ased on the x, y, and z axes.
  • the acceleration sensor 243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ensed.
  • the output unit 250Q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Q or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Q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Q.
  • the output unit 250Q is an LED module 251Q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Q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and a vibration module generating vibration. 253Q), a sound output module 255Q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Q for outputting an image.
  • the power supply unit 260Q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power supply unit 260Q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ower supply unit 260Q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operated.
  • the storage unit 270Q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nd the RF module 221Q,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 the control unit 280Q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store and refer to the storage unit 270Q for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paired with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Can be.
  • the controller 280Q controls various ite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control unit 280Q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Q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Q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100Q).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In the following,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 FIG. 4 a case in which the user inputs a movement command using the hand 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possible to input a movement command using other parts of the user's arm and leg.
  •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also moves up / down, left / right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hand 300. I can move it.
  •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also rotate.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detect this.
  •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use a camera to detect a user's motion.
  • the controller 170Q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Q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hand 300 of the user.
  •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display the pointer 205Q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in response to a specific operation of the user.
  • the selection area in 180Q may be zoomed i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r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Q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may be zoomed out to be reduced in size. Can be.
  • 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 the movement command described below may be input using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described above, or may be input according to a movement using a body part such as the user's hand 300. That is, the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user, and the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movement command is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3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garded as a first direction DR1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garded as a second direction DR2.
  •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garded as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emote key input mode may be set 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a command to enter the remote key input mode to an input means such a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 the remote key input mode may be set by the user's movement command.
  • the remote key input mode may be set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icon or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memo input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execute a memo input function, the remote key input mode may be se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remote key input mode may be variously changed.
  • the display may display a first input menu (First Input Menu) (S510).
  • the first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H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for exampl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80Q ( 600).
  • the display 180Q may display an input window 610 together with the first input menu 600.
  • the input window 610 may display letters, numbers, or symbols selected by the user.
  • the first input menu 600 includes not only alphabets but also numbers, Korean consonants, Korean vowels, symbols, and the like. It may also be possible to include keys corresponding to various images of.
  • the first motion command may mean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a first direction DR1, for examp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highlighted on the first input menu 600.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detect this and determine that the first motion command is input.
  • the highlighted key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H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changed from 'A' to another key such as 'D'.
  • the direction in which the highlighted key is changed may be different.
  • highlighting may mean that the highlighted key is displayed more prominently in order to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keys around.
  • the 'D' key highlighted in (B) of FIG. 7 may be displayed brighter or darker than the 'A' key not highlighted.
  • the 'D' key highlighted in FIG. 7B may be larger than the 'A' key not highlighted.
  • the way in which the predetermined key is highlighted may not be limited thereto.
  • At least one of the keys AH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is set as the highlighted key (S590). can do. That is, when the highlighted key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while the first movement command is not input, at least one key of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be highlighted.
  • a preset key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H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be highlighted.
  • step S530 when the highlighted key does not exist on the first input menu 600, at least one of the keys AH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is highlighted. Can be set (S590).
  • the first movement command may be recognized as a command to highlight at least one key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 the user preferentially lifts the hand 300 or the like. Inputting a first motion command to highlight at least one key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and then inputting the first motion command again to change the highlighted key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is possible.
  • the second motion command may mean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DR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highlighted key is selected on the first input menu 600 (S560), an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executed or a letter,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performed.
  • th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S570).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for example, vertical.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tects this and determines that the second motion command is input.
  • the highlighted 'D'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H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by a user moving the hand 300 in the upward direction and / or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key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by moving the hand 300 up, down, left, and right.
  •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an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tion command and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s,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s of the second movement command is smaller than the preset threshold angle.
  • the user may move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PDR1.
  • the angle ⁇ 1 between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PDR1 and the first direction DR1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300 is the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preset first threshold angle, the user's hand 300 ) Moves in the first indicating direction PDR1 may be recognized as the first movement command.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first pointing direction PDR1,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command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gle.
  • the user may move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PDR2.
  • the angle ⁇ 2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direction PDR2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300 is the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preset second threshold angle, the user's hand 300 ) Moves in the second indicating direction PDR2 may be recognized as the second movement command.
  •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second pointing direction PDR2,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ovement command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gle.
  • the movement angle of the user's hand 300 is 315 degrees (°).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45 ° or within the range of 135 ° -225 °, the first motion command can be regarded as input.
  • the second movement command may be regarded as input.
  • the first motion command is input when the signal is between the seventh angle ⁇ 17 and the tenth angle ⁇ 10 smaller than 45 ° or between the thirteenth angle ⁇ 13 larger than 135 ° and the fourteenth angle ⁇ 14 smaller than 225 °. Can be regarded as.
  • the second motion command may be regarded as input.
  • the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are described. It may also be possible to ar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highlighted key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changed on the first input menu 600.
  •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include a menu change key for converting a menu.
  •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include at least one key AH corresponding to an uppercase alphabet letter and a first menu change key 800 (Small). have.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highlight the first menu change key 800, and then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the first direction.
  • the menu switch key 800 may be selected.
  • the second input menu 700 including at least one key ah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alphabet and the second menu change keys 810 and Big are included. )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place of the first input menu 600.
  • the first menu conversion key 800 may be regarded as a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uppercase alphabet to the lowercase alphabet in the input menu.
  • the second menu conversion key 810 may be regarded as a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for converting a lowercase alphabet into an uppercase alphabet in the input menu.
  • At least one key a-h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alphabet letters included in the second input menu 700 and the second menu conversion key 810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input menu In 700, a plurality of keys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keys may be changed.
  •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keys may be changed in the same input menu.
  •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include a turn key 900.
  •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600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direction change key 900 may be regarded as a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of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keys in the input menu.
  • the input menu may further include a back space key 1010.
  • the first input menu 1000 may include a key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0-9 and a back space key 1010.
  • At least one image such as at least one letter, number, or symbol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may be deleted.
  • the hand 30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highlight it.
  • the number 1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select the highlighted '1' key again.
  • the number 11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the user may input the number 11 to the input window 610 by reciprocating at least twice in the second direction DR2 while the '1' key is highlighted.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convert the highlighted key from the '1' key to the '9' key and the hand 300.
  • the number 119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convert the highlighted key from the '9' key to the back space key 1010 and the hand.
  • the highlighted back space key 1010 may be selected by moving th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number 9 may be deleted from the displayed number 119 in the input window 610. Accordingly, the number 11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an arrangement direction of a plurality of keys in the input menu may be changed.
  • the user may move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select the highlighted '1' key.
  • the number 1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a plurality of keys (0-9 and back space keys 1010)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000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keys of the first input menu 1000 is changed after a predetermined key is selected on the first input menu 1000.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highlight the '5' key on the first input menu 1000, and then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highlight the ' The 5 'key can be selected.
  • the number 15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the plurality of keys (0-9 and back space keys 1010)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000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gain.
  •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highlight the '3' key on the first input menu 1000, and then moves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highlight the ' 3 'key can be selected.
  • the number 153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18 to 31 are views for explain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 the meanings of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first motion command, the second motion command, and the lik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 a key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vertically (second direction DR2) in the input menu 1100 is first highlighted, and then a key double-highlighted vertically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 second direction DR2 a key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vertically
  • first direction DR1 a key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horizontally
  • second direction DR2 a key double highligh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ighlighted key group. It may also be possible to change.
  • the input menu 11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DR1 and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DR2. can do.
  • the input menu 1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the form of an N ⁇ M matrix.
  • a remote key input mode (S1900).
  • the remote key input mod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1910).
  •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correspond to the input menu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display 180Q may display the input window 610 together with the first input menu 1100.
  • the first motion command may mean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key group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 the highlighted key group when the highlighted key group exists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highlighted among the plurality of key groups in the first direction DR1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response to the first movement command.
  • the key group may be changed (S1940).
  • a key group including a '1' key, an 'A' key, and a 'K' key when a key group including a '1' key, an 'A' key, and a 'K' key is highlighted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the user touches the key group.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detect this and determine that the first motion command is input.
  • a key group that is highlighted among a plurality of key group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includes a key including a '1' key, an 'A' key, and a 'K' key.
  • the group can be changed to a key group including the '6' key, the 'F' key, and the 'P' key.
  • At least one key group among the key group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is set as the highlighted key group ( S2000). That is, when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while the first motion command is not input, at least one key group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be highlighted.
  • the preset key group may be highlighted among the plurality of key group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 the user may preferentially select the hand 300 or the like. Inputs a first motion command to highlight at least one key group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and then inputs a first motion command to display the highlighted key group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is possible to change.
  • double highlighting may mean that a particular key within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displayed to be more prominent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distinguish it from other surroundings.
  • the '6' key which is double highlighted in a key group including the '6' key, the 'F' key, and the 'P' key, is a 'F' key that is not double highlighted and It may be possible to appear brighter or darker than the 'P' key. Alternatively, the '6' key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the 'F' and 'P' keys.
  • the second direction ( DR2) may change the double highlighted key (S1970).
  • a key group including a '6' key, a 'F' key, and a 'P' key is highlighted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and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highlighted.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tects this and determines that the second motion command is input. can do.
  • a key that is double highlighted amo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may be changed from a '6' key to a 'P' key.
  • the key that is double-highlighted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P' key in the '9' key. It can be changed to either 6 'key or F key.
  •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uble-highlighted key is changed may be different.
  • the second movement command may be recognized as a command to double highlight at least one key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 the user preferentially
  • the second movement command is input using the hand 300 or the like to double-highlight at least one key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and then the second movement command is input again to input the secon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ouble highlighted key to (DR2).
  • the double-highlighted key is selected an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executed or an image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S1990). )can do.
  • various types of movements may be applied as the selection command.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tects this and determines that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 an uppercase letter P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 key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a first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a third motion command different from the second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DR2 are input. It is possible to select a double highlighted key.
  •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detect this and determine that a selection command has been input.
  • the step of selecting the double-highlighted key when the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first motion command is inpu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ouble-highlighted key.
  • the selection command may be input by a user moving the hand 300 in a right direction and / or a left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user may move the hand 300 up, down, left, and right to select at least one key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the selection command is as described above.
  • the highlighted '6' key, 'F' key, and 'P' key are us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ouble highlighted key in the containing key group, but if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the '7' key, the 'G' key and the ' It can be changed to a key group including the Q 'key.
  • the position of the double highlighted key can be equally applied.
  • the user removes the hand 300.
  •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changed to a key group including a '7' key, a 'G' key and a 'Q' key, and a '7' key, a 'G' key and a '
  • the double highlighted key in the key group including the Q 'key may be set to the' Q 'key.
  • the predetermined key group is highlighted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and the highlighted key is ch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within the highlighted key group, and the first ke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is changed.
  • the key group highlight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be changed.
  • the user removes the hand 300.
  • the double-highlighted 'P' key is selected, and accordingly, an uppercase alphabet P is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and as shown in FIG. 24A, the highlight is highlighted.
  • the key group may be changed to a key group including a '7' key, a 'G' key, and a 'Q' key.
  • the first movement command may correspond to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double-highlighted key, and together with a command for changing a highlighted key group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user may include the highlighted '6' key, 'F' key, and 'P' ke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ouble highlighted key in the key group, but if the user moves the hand 3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as in the case of FIG. 24B, within the highlighted key group You can turn off double highlights. That is, as shown in FIG. 24B, the double highlight of the 'P' key, which was previously double highlighted, is released.
  • the key group highlight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changed, and when the second motion command is input, the highlighted '6' key, 'F' key and ' At least one key in the key group containing the P 'key can be double highlighted.
  • the position of the double highlighted key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may be set in advance.
  • the key that is highest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ouble-highlighted. Can be set.
  • Such a double-highlighted key may be set from the beginning when the first input menu 1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 a key group including a '1' key, an 'A' key, and a 'K' key is highlighted, and in a state where the '1' key is double highlighted, the user removes the hand 300.
  • the highlighted key group may be changed to a key group including a '6' key, a 'F' key and a 'P' key.
  • the '6' key which is the uppermost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highlighted.
  • the position of the key double highlighted in the key group may remain the same.
  • the input menu may include a cancel key.
  •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include a cancel key 1010 for deleting previously input contents.
  • the cancel key 10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other keys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cancel key 10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other keys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user may select a highlighting method of a key group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 a predetermined key among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initially is displayed when the first input menu 1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For example, you can highlight the '1' key.
  • the key group highlight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changed.
  • a double-highlighted key is selected in a key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1-0 and a cancel key 1010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cancel key 101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keys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the first direction DR1. Can be.
  • a predetermined key among the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is ini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for example, '1'. 'Highlight the key.
  • the plurality of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on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be highlighted.
  • the key group highlight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changed.
  • the cancel key 1010 is parallel with other keys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Can be arrang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ighlighted key may be preset or randomly selected.
  • the 'A' key is highlighted among the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or the '1' key and ' It may also be possible that the 2 'key is highlighted together.
  •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econd input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in 180Q.
  • a first input menu 110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upp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nd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number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 the controller may detect this and determine that the third movement command is input.
  • the second input menu 1100A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low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nd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numbers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Q. It may be displayed in place of the menu 1100.
  •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replace the second input menu 1100A again.
  • the input menu may include a recommended word window.
  • the recommended word window may display a recommended word including a let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 the first input menu 1100 may include a suggested word window 1200.
  • the recommended word window 12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parallel to other key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 a recommendation word including the selected word P for example, words such as Peace, People, Paper, and Power may be displayed in the recommendation word window 1200.
  •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overlapping the currently highlighted (activated) key group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also be highlighted along with the key group.
  • the '6' key, 'F' key, and the 'P' key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when a key group including the '6' key, the 'F' key, and the 'P' key of the first input menu 1100 is highlighted, the '6' key, ' The key group including the F 'key and the' P 'key and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overlapp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for example,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displaying the word Paper may also be highlighted.
  • the user may double highlight and select the recommended word window 1200 in which the word Paper is displayed by moving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input the second movement command.
  • the selected word Paper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the recommended word window 1200 may be highlighted or selected according to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s, the second motion command.
  • the key word 1200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input direction DR2 with other keys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 the suggestion word window 12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input menu 1100 in parallel with other key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ecommended word window 1200 may be highlighted or selected according to a mo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first motion command.
  •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to be highlighted may also be changed.
  • the key group highlighted as in the case of FIG. 30B is a '9' key, an 'I' key, and an 'S'. Can be changed to a group of keys containing the keys.
  • the key word that is highlighted including the '9' key, the 'I' key, and the 'S' key and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overlapp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for example, the suggested word window in which the word Power is displayed, is also highlighted. Can be.
  • the user may double highlight and select the recommended word window 1200 in which the word Power is displayed by moving the hand 300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input the second movement command.
  • the selected word Paper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610.
  • a key group including a '9' key, an 'I' key, and an 'S' key in a state where a key group including a '9' key, an 'I' key, and an 'S' key is highlighted, a key group that is highlighted by inputting a first movement command is represented.
  • FIG. 31 a case in which a key group including a '0' key, a 'J' key, and a 'T' key is changed will be described.
  • the highlighted suggestion window 1200 may not change.
  • a key group including a '9' key, an 'I' key, and an 'S' key highlighted in FIG. 30B overlaps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in which the word Power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key group including the highlighted '0' key, 'J' key, and 'T' key may overlap the suggested word window 1200 in which the word Power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highlighted key group is changed, but the suggestion word window overlapping the highlighted key group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before the change and the suggestion word window overlapping the currently highlighted key group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after the change are the same.
  • the highlighted suggestion window 1200 may remain the same without being changed.
  • 32 to 3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input menu has a cylindrical shape.
  • the meanings of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first motion command, the second motion command, and the lik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 an input menu 13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cludes an outline of a first key group 1310 and a first key group 131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h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form.
  • the second key group 1320 may include a second key group 1320 positioned a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H.
  • the input menu 1300 may also be regarded as the first input menu 1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8 in the form of a circle.
  •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300 as the first movement command.
  • the key group highlighted in response to the first movement command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key group 1310 to the second key group 1320.
  • At least one key included in the highlighted second key group 1320 may be double highlighted.
  • the double highlighting of the 'A' key may be achieved by a user inputting a motion command different from the first motion command, for example, the second motion command.
  • the preset key may be double highlighted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or it may be set to a key that is double highlighted at random.
  • a key double highlighted in the second key group 1320 may be changed from an 'A' key to a 'C' key.
  • the user removes the hand 300 as in the case of FIG. 34B.
  • the second movement command is input by moving in the two directions DR2
  • the second key group 1320 is rotat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previously located at the 'A' key.
  • the G 'key can be placed.
  • the double highlighted key may be selected when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 the selection command may be another motion command different from the first motion command and the second motion command, or it may be possible that the first motion command is applied as the selection command.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 the input menu 1300 is circumferential, it may be possible for the user to change the double highlighted key in the highlighted key group by rotating the hand 300.
  • the shape of the input menu 130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 the input menu 1300 i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and includes a first key group 1330 and a first key group (0-9) corresponding to a number.
  • 1330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key group 1340 and the second key group 134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p)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rranged in the columnar shape
  • a third key group 135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P corresponding to upp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를 변경하는 단계,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하이라이트 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방송신호 수신기(텔레비전,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의 입력수단을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입력수단에 구비된 입력키(Input Key)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을 입력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수단을 따로 구비하고, 입력수단의 입력키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입력 방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움직임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를 변경하는 단계,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하이라이트 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 2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방향 전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키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메뉴 변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키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혹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Key Group)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된 키 그룹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중 하이라이트(Double Highlight) 되는 키를 변경하는 단계,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움직임 명령 및 상기 제 2 움직임 명령과 다른 제 3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또 다른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 메뉴 및 상기 제 2 입력 메뉴 중 어느 하나는 소문자 알파벳 문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대문자 알파벳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 다른 움직임 명령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에 따른 움직임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따라 입력되거나,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키가 문자에 대응하는 키인 경우에, 추천 단어 창(Recommended Word Window)에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단어 창은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혹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움직임(Motion) 명령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싱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가 변경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하이라이트 된 키가 선택되고,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소정의 키를 하이라이트(Highlight)하고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가 간단한 움직임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32 내지 도 36은 입력 메뉴가 원주 형태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신호 수신기의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방송신호 수신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방송신호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Q)와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01Q)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할 수 있다.
구동부(10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01Q)는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및 명령 입력부(160Q)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85Q), 음성을 센싱(Sensing)하기 위한 음향 센싱부(191Q) 및 사용자의 움직임, 무선 입력부(200Q) 등의 움직임(Motion)에 대응하는 명령, 즉 움직임 명령을 센싱하기 위한 모션 센싱부(192Q)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명령 입력부(160Q)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190Q)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00Q)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아울러, 무선입력부(200Q)를 원격제어장치라고 칭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160Q)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190Q)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70Q)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입력부(200Q)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입력부(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입력 메뉴(Input Menu)의 표시를 제어하며, 입력 메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이 키(Key)를 선택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화벨소리, 초인종소리, 물소리, 사용자의 목소리 등의 다양한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 센싱부(191Q)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 혹은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센싱부(192Q)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카메라(Camera)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싱부(192Q)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혹은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모션 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입력부(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무선입력부(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입력부(200Q)는 소정의 움직임을 통해 제어부(170Q)로 움직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이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무선입력부(200Q)에 대응하는 포인터(205Q)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포인터(205Q)는 커서(Cursor)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입력부(200Q)를 상하, 좌우(도 2의 (b)), 앞뒤(도 2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입력부(200Q)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Q)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무선입력부(200Q)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송된다.
제어부(1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Q)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디스플레이부(180Q)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Q)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c)는,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 in)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 out)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선입력부(200Q)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Q)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5Q)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Q)가 디스플레이부(180Q)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입력 메뉴 상에서 소정의 키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무선입력부(200Q)는 무선통신부(225Q), 사용자 입력부(235Q), 센서부(240Q), 출력부(250Q), 전원공급부(260Q), 저장부(270Q), 제어부(280Q)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Q)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제어부(170Q)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입력부(200Q)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여 제어부(17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Q)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Q)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Q)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를 조작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Q)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240Q)는 자이로 센서(241Q) 또는 가속도 센서(243Q)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Q)는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Q)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Q)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 여부 또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Q),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Q),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Q),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Q)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무선입력부(200Q)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RF 모듈(221Q)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무선입력부(200Q)과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와 페어링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Q)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Q)에서 센싱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이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손(300)을 이용하여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팔, 다리 등의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손(300)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사용자의 손(300)에 대응하여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손(300)을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동작을 하게 되면, 모션 센싱부(192Q)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송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Q)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디스플레이부(180Q)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Q)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 입력부(200Q) 등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동작을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대응하여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 in)되어 확대 표시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고,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 out)되어 축소 표시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입력 메뉴 상에서 소정의 키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움직임 명령은 앞서 설명한 무선 입력부(200Q)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사용자의 손(300) 등의 신체부위를 이용한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고, 움직임 명령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을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간주하고,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을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평방향을 제 2 방향(DR2)으로 간주하고, 수직방향을 제 1 방향(DR1)으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원격 키 입력 모드로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00)할 수 있다. 원격 키 입력 모드는 사용자가 원격 키 입력 모드로 진입하라는 명령을 직접 무선 입력부(200Q) 등의 입력수단에 입력하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 명령에 의해 원격 키 입력 모드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소정 아이콘(Icon) 혹은 객체(Object)를 선택하는 경우에 원격 키 입력 모드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모(Memo) 입력 아이콘을 선택하여 메모 입력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원격 키 입력 모드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면 원격 키 입력 모드의 설정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판단결과 원격 키 입력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S5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 예컨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A-H)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600)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제 1 입력 메뉴(600)와 함께 입력창(Input Window, 61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창(6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선,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키(A-H)가 알파벳에 대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입력 메뉴(600)에는 알파벳 뿐 아니라 숫자, 한글 자음, 한글 모음, 기호 등의 다양한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가 포함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600)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20)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움직임 명령은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제 1 방향(DR1)으로 복수의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를 변경(S5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A'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A-H) 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A'에서 다른 키, 예컨대 'D'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7의 (A)의 경우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제 1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면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A'에서 'A'의 우측에 위치하는 B-H 중 어느 하나의 키, 예컨대 'D'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도 7의 (B)의 경우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D'에서 'D'의 좌측에 위치하는 'A', 'B', 'C'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손(30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우측방향으로 경우는 하이라이트되는 키가 변경되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하이라이트된다는 것은 하이라이트된 키가 주위의 다른 키와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 두드러지도록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B)에서 하이라이트되는 'D'키는 하이라이트되지 않는 'A'키에 비해 더 밝게 표시되거나 혹은 더 어둡게 표시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혹은, 도 7의 (B)에서 하이라이트되는 'D'키는 하이라이트되지 않는 'A'키에 비해 더 크게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소정의 키가 하이라이트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S5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58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50)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키(A-H)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되는 키로 설정(S590)할 수 있다. 즉,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1 입력 메뉴(600)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키(A-H) 중 미리 설정된 키를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혹은,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키(A-H) 중 랜덤(Random)으로 선택된 키를 하이라이트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600)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20)할 수 있다.
한편, 제 S5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키(A-H)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되는 키로 설정(S59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시키라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600)의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20)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면, 제 1 입력 메뉴(600)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메뉴(600)에 하이라이트된 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손(300) 등을 이용하여 제 1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550)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움직임 명령은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S560)하고,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이미지를 입력창(610)에 표시(S57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D'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예컨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A-H) 중 하이라이트된 'D'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의 상측방향 및/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손(30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입력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300)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움직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의 발생을 줄여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방향(DR1)과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1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 및 제 2 방향(DR2)과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2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키(A-H)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지시방향(P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이 방향인 제 1 지시방향(PDR1)과 제 1 방향(DR1) 사이의 각도(θ1)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 각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300)이 제 1 지시방향(PDR1)으로 이동한 것이 제 1 움직임 명령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DR1)과 제 1 지시방향(PDR1), 즉 제 1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는 제 1 임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지시방향(P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이 방향인 제 2 지시방향(PDR2)과 제 2 방향(DR2) 사이의 각도(θ2)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각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300)이 제 2 지시방향(PDR2)으로 이동한 것이 제 2 움직임 명령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즉, 제 2 방향(DR2)과 제 2 지시방향(PDR2), 즉 제 2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는 제 2 임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을 수평방향이라고 하고 제 2 방향(DR2)을 수직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 각도가 315도(°)-45°의 범위 내인 경우 혹은 135°-225°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 각도가 45°-135°의 범위 내인 경우 혹은 225°-315°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을 수평방향이라고 하고 제 2 방향(DR2)을 수직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 각도가 315°보다 큰 제 17 각도(θ17)부터 45°보다 작은 제 10 각도(θ10) 사이인 경우 혹은 135°보다 큰 제 13 각도(θ13)부터 225°보다 작은 제 14 각도(θ14) 사이인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 각도가 45°보다 큰 제 11 각도(θ11)부터 135°보다 작은 제 12 각도(θ12) 사이인 경우 혹은 225°보다 큰 제 15 각도(θ15)부터 315°보다 작은 제 16 각도(θ16) 사이인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 각도가 제 10 각도(θ10)보다 크고 제 11 각도(θ11)보다 작은 경우, 제 12 각도(θ12)보다 크고 제 13 각도(θ13)보다 작은 경우, 제 14 각도(θ14)보다 크고 제 15 각도(θ15)보다 작은 경우, 제 16 각도(θ16)보다 크고 제 17 각도(θ17)보다 작은 경우에는 각각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하이라이트된 키가 변동되거나 혹은 하이라이트된 키가 선택되는 등의 동작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키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키들은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제 2 방향(DR2)으로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앞선 도 5에서 제 S520 단계에서의 제 1 움직임 명령이 제 2 움직임 명령으로 대체되고, 제 S550 단계에서의 제 2 움직임 명령이 제 1 움직임 명령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5 내지 도 11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1 입력 메뉴(600)는 메뉴를 변환시키는 메뉴 변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는 알파벳 대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A-H)와 제 1 메뉴 변환 키(800, Smal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켜 제 1 메뉴 변환 키(800)를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1 메뉴 변환 키(8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3의 (B)의 경우와 같이 알파벳 소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a-h)와 제 2 메뉴 변환 키(810, Big)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 700)가 제 1 입력 메뉴(600)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메뉴 변환 키(800)는 입력 메뉴에서 대문자 알파벳을 소문자 알파벳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제 2 메뉴 변환 키(810)는 입력 메뉴에서 소문자 알파벳을 대문자 알파벳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라고 볼 수 있다.
제 2 입력 메뉴(700)에 포함된 알파벳 소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a-h)와 제 2 메뉴 변환 키(810)는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도 14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에서는 복수의 키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도 14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입력 메뉴(700)에서는 복수의 키들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입력 메뉴에서 메뉴 변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복수의 키들의 배열 방향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동일한 입력 메뉴 내에서 복수의 키들을 배열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5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는 방향 전환 키(900, Tur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 상에서 복수의 키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 키(900)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키(900)는 입력 메뉴에서 복수의 키들의 배열 방향을 변환시키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입력 메뉴는 Back Space 키(10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에서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000)는 숫자 0-9에 대응하는 키와 Back Space 키(1010)를 포함할 수 있다.
Back Space 키(1010)가 선택되는 경우에 입력창(61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1'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1'키를 선택하는 경우에 입력창(610)에 숫자 1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도 16의 (B)의 경우와 같이, 여전히 '1'키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1'키를 또 다시 선택하는 경우에 입력창(610)에는 숫자 11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키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방향(DR2)으로 적어도 2회 왕복 이동시켜 입력창(610)에 숫자 11을 입력하는 경우라고도 볼 수 있다.
이후, 도 16의 (C)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키를 '1'키에서 '9'키로 변환시키고, 아울러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9'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창(610)에는 숫자 119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6의 (D)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키를 '9'키에서 Back Space 키(1010)로 변환시키고, 아울러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Back Space 키(10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창(610)에는 표시된 숫자 119에서 숫자 9가 지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창(610)에는 숫자 1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입력 메뉴 상에서 키를 선택한 이후에는 입력 메뉴에서 복수의 키들의 배열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1'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1'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창(610)에 숫자 1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1'키가 선택된 이후에는 제 1 입력 메뉴(1000)에 포함된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소정의 키가 선택된 이후에 제 1 입력 메뉴(1000)의 키들의 배열 방향이 바뀐 것이다.
이후,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5'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5'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창(610)에 숫자 15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5'키가 선택된 이후에는 제 1 입력 메뉴(1000)에 포함된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이 다시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후, 도 17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켜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3'키를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하이라이트된 '3'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창(610)에 숫자 153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입력 메뉴(1000) 상에서 소정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복수의 키(0-9, Back Space 키(1010))들의 배열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켜 미스 입력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제 1 방향(DR1), 제 2 방향(DR2), 제 1 움직임 명령, 제 2 움직임 명령 등의 의미는 앞선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입력 메뉴(1100)에서 수직(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을 먼저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메뉴(1100)에서 수평(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을 먼저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입력 메뉴(1100)는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아울러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메뉴(1100)는 N×M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을 참조하면, 원격 키 입력 모드로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00)할 수 있다. 원격 키 입력 모드에 대해서는 앞선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판단결과 원격 키 입력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S1910)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1100)는 앞선 도 8에서 설명한 입력 메뉴에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와 함께 입력창(61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20)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움직임 명령은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Key Group)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30)할 수 있다. 여기서, 키 그룹은 복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제 1 방향(DR1)으로 복수의 키 그룹 중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을 변경(S19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1'키, 'A'키, 'K'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0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 그룹 중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을 '1'키, 'A'키, 'K'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에서 '6'키, 'F'키,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 S19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201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50)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키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으로 설정(S2000)할 수 있다. 즉,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1 입력 메뉴(1100)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의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그룹 중 미리 설정된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혹은,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그룹 중 랜덤(Random)으로 선택된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1100)의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20)할 수 있다.
한편, 제 S19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키 그룹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되는 키로 설정(S59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키라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1100)의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20)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면, 제 1 입력 메뉴(1100)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메뉴(1100)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손(300) 등을 이용하여 제 1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을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Double Highlight)된 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60)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 하이라이트된다는 것은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특정 키가 주위의 다른 키와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 두드러지도록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A)에서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6'키는 이중 하이라이트되지 않는 'F'키 및 'P'키에 비해 더 밝게 표시되거나 혹은 더 어둡게 표시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혹은, '6'키는 'F'키 및 'P'키에 비해 더 크게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소정의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판단결과,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S197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6'키, 'F'키,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되고,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6'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2의 (B)의 경우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 중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6'키에서 'P'키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22의 (A)의 경우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의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면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6'키에서 '6'키의 하측에 위치하는 'F'키 및 'P'키 중 어느 하나의 키, 예컨대 'P'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도 22의 (B)의 경우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의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9'키에서 'P'키의 상측에 위치하는 '6'키 및 'F'키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손(30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하측방향으로 경우는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가 변경되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한편, 제 S1960 단계에서 판단결과,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로 설정(S204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시키라는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시킨 이후에 다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20)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면, 제 1 입력 메뉴(1100)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손(300) 등을 이용하여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1 입력 메뉴(1100)의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시키고, 이후 다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여 제 2 방향(DR2)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98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고,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이미지를 입력창(610)에 표시(S199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명령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P'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도 23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창(610)에는 선택된 'P'키에 대응하는 알파벳 대문자 P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제 1 움직임 명령 및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제 2 움직임 명령과 다른 제 3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도 23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P'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23의 (C)에서 선택 명령은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의 우측방향 및/또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손(30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입력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 S195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20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03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명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판단결과,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고,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 등의 이미지를 입력창(610)에 표시(S1990)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서와 같이 'P'키를 선택한 이후에, 또 다른 키 그룹에 포함된 소정의 키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의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7'키, 'G'키 및 'Q'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의 위치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3의 (A)와 같이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6'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7'키, 'G'키 및 'Q'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되고, 아울러 '7'키, 'G'키 및 'Q'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Q'키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소정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되고,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하다가,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23의 (A)와 같이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6'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이중 하이라이트된 'P'키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알파벳 대문자 P가 입력창(610)에 표시되고, 이와 함께 도 24의 (A)의 경우와 같이,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7'키, 'G'키 및 'Q'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소정의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1 움직임 명력이 입력되면,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선택됨과 함께,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 1 움직임 명령은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에 해당하고, 이와 함께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도 2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24의 (B)의 경우와 같이,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24의 (B)와 같이, 이전에 이중 하이라이트되어 있던 'P'키의 이중 하이라이트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에,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변경되고,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어 있는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의 위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A),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 중 제 2 방향(DR2)으로 가장 상위에 있는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는 제 1 입력 메뉴(1100)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초기부터 설정될 수 있다.
혹은,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위치의 키를 이중 하이라이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25와 같이, '1'키, 'A'키 및 'K'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되고, 여기서 '1'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 예컨대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제 2 방향(DR2)으로 가장 상위에 있는 '6'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변경되는 경우에,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의 위치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입력 메뉴는 취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의 (A),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는 이전에 입력한 내용을 삭제하는 취소키(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A)의 경우는, 취소키(1010)가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변경시키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취소키(1010)는 제 1 방향(DR1)으로 제 1 입력 메뉴(1100)의 다른 키들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6의 (B)의 경우는, 취소키(1010)가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변경시키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취소키(1010)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입력 메뉴(1100)의 다른 키들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사용자가 제 1 입력 메뉴(1100)의 키 그룹의 하이라이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소정의 키, 예컨대 '1'키를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7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1-0, 취소키(1010))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300)의 이동은 제 1 움직임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사용자가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2 방향(DR2)으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1-0, 취소키(1010))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입력창(610)에 입력된 소정의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삭제하기 위해, 취소키(1010)는 제 1 방향(DR1)으로 제 1 입력 메뉴(1100)의 다른 키들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소정의 키, 예컨대 '1'키를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8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1, A, K, 취소키(1010))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300)의 이동은 제 2 움직임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사용자가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 1 방향(DR1)으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1, A, K, 취소키(1010))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입력창(610)에 입력된 소정의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삭제하기 위해, 취소키(1010)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입력 메뉴(1100)의 다른 키들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1'키가 하이라이트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이라이트되는 키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랜덤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입력 메뉴(1100)를 표시하는 초기에 제 1 입력 메뉴(1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A'키가 하이라이트되거나 혹은 '1'키 및 '2'키가 함께 하이라이트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 1 입력 메뉴(1100) 상에서 또 다른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제 1 움직임 명령 및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제 2 움직임 명령과 다른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9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알파벳 대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및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110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에 교차(혹은 수직)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의 모션 센싱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 3 움직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9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알파벳 소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및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1100A)가 제 1 입력 메뉴(1100)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또 다시 제 3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 1 입력 메뉴(1100)가 제 2 입력 메뉴(1100A)를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메뉴는 추천 단어 창(Recommended Word Window)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단어 창은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키가 문자에 대응하는 키인 경우에,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0의 경우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는 추천 단어 창(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단어 창(1200)은 제 1 입력 메뉴(1100)에서 제 2 방향(DR2)으로 다른 키들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의 (A)의 경우와 같이,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 내에서 'P'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2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면 'P'키가 선택되고, 입력창(610)에 알파벳 대문자 P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선택된 단어 P를 포함하는 추천 단어, 예컨대 Peace, People, Paper, Power 등의 단어가 추천 단어 창(1200)에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하이라이트된(활성화된) 키 그룹과 제 2 방향(DR2)으로 중첩(Overlap)하는 추천 단어 창(1200)도 키 그룹과 함께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A)와 같이, 제 1 입력 메뉴(1100)의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되는 경우 '6'키, 'F'키 및 'P'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과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추천 단어 창(1200), 예컨대 단어 Paper를 표시하는 추천 단어 창(1200)도 함께 하이라이트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단어 Paper가 표시된 추천 단어 창(1200)을 이중 하이라이트시키고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입력창(610)에 선택된 단어 Paper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추천 단어 창(1200)은 제 2 방향(DR2)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2 움직임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되거나 선택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추천 단어 창(1200)에 제 1 입력 메뉴(1100) 내에서 다른 키들과 제 2 방향(DR2)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 단어 창(1200)은 제 1 입력 메뉴(1100) 내에서 다른 키들과 제 1 방향(DR1)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천 단어 창(1200)은 제 1 방향(DR1)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즉 제 1 움직임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되거나 선택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추천 단어 창(12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하이라이트되는 추천 단어 창(1200)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A)의 경우에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도 30의 (B)의 경우와 같이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9'키, 'I'키 및 'S'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9'키, 'I'키 및 'S'키를 포함하며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과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추천 단어 창(1200), 예컨대 단어 Power가 표시된 추천 단어 창도 함께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단어 Power가 표시된 추천 단어 창(1200)을 이중 하이라이트시키고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입력창(610)에 선택된 단어 Paper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30의 (B)의 경우와 같이, '9'키, 'I'키 및 'S'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제 1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어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도 31의 경우와 같이 '0'키, 'J'키 및 'T'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으로 변경되는 경우를 보자.
이러한 경우, 비록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이 변경되었지만, 하이라이트되는 추천 단어 창(1200)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0의 (B)에서 하이라이트되는 '9'키, 'I'키 및 'S'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은 제 2 방향(DR2)으로 단어 Power가 표시된 추천 단어 창(1200)과 중첩하고, 도 31의 경우에서도 하이라이트되는 '0'키, 'J'키 및 'T'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은 제 2 방향(DR2)으로 단어 Power가 표시된 추천 단어 창(1200)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은 변경되었으나, 변경 전에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과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추천 단어 창과 변경 후 현재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과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추천 단어 창이 동일한 경우에, 하이라이트되는 추천 단어 창(1200)은 변경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6은 입력 메뉴가 원주 형태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제 1 방향(DR1), 제 2 방향(DR2), 제 1 움직임 명령, 제 2 움직임 명령 등의 의미는 앞선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입력 메뉴(1300)는 원주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a-h)를 포함하는 제 1 키 그룹(1310)과 제 1 키 그룹(1310)의 외곽에 위치하며 원주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A-H)를 포함하는 제 2 키 그룹(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메뉴(1300)는 앞선 도 18에서 설명한 제 1 입력 메뉴(1100)를 원의 형태로 변경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33의 (A)의 경우와 같이 입력 메뉴(1300)의 제 1 키 그룹(131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도 33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는 사용자의 손(300)의 움직임을 제 1 움직임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3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1 움직임 명령에 대응하여 하이라이트되는 키 그룹을 제 1 키 그룹(1310)에서 제 2 키 그룹(1320)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4의 (A)를 살펴보면, 하이라이트된 제 2 키 그룹(13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예컨대 'A'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A'키를 이중 하이라이트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제 1 움직임 명령과 다른 움직임 명령, 예컨대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혹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키가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혹은 랜덤으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기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키 그룹(1320) 내에서 소정의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도 34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도 34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2 키 그룹(1320)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A'키에서 'C'키로 변경할 수 있다.
혹은, 도 35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2 키 그룹(1320) 내에서 소정의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도 34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300)을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제 2 움직임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도 3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키 그룹(1320)이 회전하여 이전에 'A'키에 자리하던 위치에 'G'키가 자리할 수 있다. 아울러, 'G'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제 2 키 그룹(1320)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가 이중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명령은 제 1 움직임 명령 및 제 2 움직임 명령과 다른 또 다른 움직임 명령인 것이 가능하고, 혹은 제 1 움직임 명령이 선택명령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혹은, 하이라이트된 그룹, 예컨대 도 34 내지 도 35에서 제 2 키 그룹(1320) 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변경하기 위해 제 2 움직임 명령 이외에 다른 형태의 움직임 명령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메뉴(1300)가 원주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300)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하이라이트된 키 그룹내에서 이중 하이라이트되는 키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입력 메뉴(1300)의 형태는 보다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입력 메뉴(1300)는 원주 형태로 배열되며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0-9)를 포함하는 제 1 키 그룹(1330), 제 1 키 그룹(1330)의 외곽에 위치하며 원주 형태로 배열되고 알파벳 소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a-p)를 포함하는 제 2 키 그룹(1340) 및 제 2 키 그룹(1340)의 외곽에 위치하며 원주 형태로 배열되고 알파벳 대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A-P)를 포함하는 제 3 키 그룹(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하이라이트 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따라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 2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의 방향 사이의 각도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각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방향 전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키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메뉴 변환 키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키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혹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9.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그룹(Key Group)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 된 키 그룹 상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중 하이라이트(Double Highlight) 되는 키를 변경하는 단계;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움직임 명령 및 상기 제 2 움직임 명령과 다른 제 3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중 하이라이트된 키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또 다른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메뉴(Second Input Menu)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메뉴 및 상기 제 2 입력 메뉴 중 어느 하나는 소문자 알파벳 문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대문자 알파벳 문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움직임 명령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에 따른 움직임 명령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따라 입력되거나,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키가 문자에 대응하는 키인 경우에,
    추천 단어 창(Recommended Word Window)에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추천단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어 창은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 혹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되거나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9. 디스플레이부;
    움직임(Motion) 명령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싱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Key)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메뉴(First Input Menu)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키 중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키가 변경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에 대응하는 움직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메뉴 상에서 하이라이트 된 키가 선택되고,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창(Input Window)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3/000812 2013-01-31 2013-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WO201411980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812 WO2014119809A1 (ko) 2013-01-31 2013-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812 WO2014119809A1 (ko) 2013-01-31 2013-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09A1 true WO2014119809A1 (ko) 2014-08-07

Family

ID=5126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812 WO2014119809A1 (ko) 2013-01-31 2013-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1980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9B1 (ko) * 2006-12-04 2009-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개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11366A (ko) * 2010-07-26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82286B1 (ko) * 2007-09-19 201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리모트 컨트롤러에의해 포인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9B1 (ko) * 2006-12-04 2009-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개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82286B1 (ko) * 2007-09-19 201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리모트 컨트롤러에의해 포인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제어방법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20011366A (ko) * 2010-07-26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51525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923147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5199453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WO2015119484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803440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03007A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WO201507646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8213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166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WO2019168383A1 (en) Electronic device
WO2015142023A1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WO2019168380A1 (en) Electronic device
WO2013022223A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4030812A1 (en)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22218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WO20160180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WO2012043932A1 (ko) 키보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6032045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0359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601020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WO20150304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multiple input tools on touchscreen device
WO2017111321A1 (ko) 영상표시장치
WO2021182692A1 (en) A mobile terminal,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WO2015093666A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715993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4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4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