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583A -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583A
KR20100045583A KR1020080104570A KR20080104570A KR20100045583A KR 20100045583 A KR20100045583 A KR 20100045583A KR 1020080104570 A KR1020080104570 A KR 1020080104570A KR 20080104570 A KR20080104570 A KR 20080104570A KR 20100045583 A KR20100045583 A KR 2010004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portable terminal
touch screen
mouse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181B1 (ko
Inventor
하기룡
박윤경
이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1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휴대 단말기가 해당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도록 하고,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감지된 속도 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주변 디바이스의 마우스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물리적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무선 마우스, 제어 데이터, 주변 디바이스

Description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wireless mous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34-01, 과제명: SoD(System on-Demand) 서비스를 위한 협업형 VM 시스템 기술 개발].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우리의 생활 속에서 컴퓨터의 사용은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었고, 하드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점점 더 많은 일들이 컴퓨터를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PDA를 시작으로, 여러 형태의 이동형 장비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메일작업, 워드작업, 인터넷 검색과 같은 컴퓨팅 작업이 가능하 게 되었다. 이동형 컴퓨팅 작업은 스마트폰과 같이 기존의 이동형 통신기기에 기능이 추가되는 형태에서부터 UMPC, 노트북 등과 같이 독립적인 하드웨어의 발전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 역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의 터치스크린 사용의 활성화는 이러한 변화를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동성을 위해서는 기기가 소형화되어야 함에 반해 다양한 컴퓨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부분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상반되는 요구사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패드와 같은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입력장치들은 터치스크린이라는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 부분에 그 기능이 공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형 컴퓨팅 단말기의 보편화를 일례로, 우리 생활 주변에는 수많은 컴퓨팅 파워 및 컴퓨팅 주변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사무실, 가정에 있는 완제품 형태의 컴퓨터나 노트북을 제외하고도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제품 역시 간단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며, 집안의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많은 모니터와 광고를 위한 대형 LCD들은 출력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변에 편재된 수많은 컴퓨팅 파워 장치 및 주변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을 하고자 하는 접근방식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바탕으로 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컴퓨팅 환경은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를 하나의 구성으로 고정된 형태의 데스크톱 컴퓨팅 환경이 주축을 이룬다. 이 경우, 고정된 형태의 입출력 제어장치 만을 이용해야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며, 또한 컴퓨팅 파워 장치 및 주변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물리적인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획일적인 컴퓨팅 환경을 탈피하기 위하여, 이동형 단말기의 무선랜 기능과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무선 마우스 장치로 이용하고자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P수준의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LAN 연결을 지원하는 임의의 컴퓨팅 환경에서, 터치스크린과 컴퓨팅 장치 사이에 다중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P수준의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LAN 연결을 지원하는 임의의 컴퓨팅 환경에서, 터치스크린과 컴퓨팅 장치 사이에 다중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한 사람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시 발생하는 움직임 정보로부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로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제어 하는 접속 제어부,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감지된 속도 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특정 디바이스에 적외선, 블루투스 등과 같이 직접 통신을 하는 것과 달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중 선택적으로 제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접속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어느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 시의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터치압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상기 접속 제어부에 의해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마우스 동작정보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덱스 서버에 등록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받는다.
상기 통신부는 IP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시 발생하는 움직임 정보로부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으로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주변 디바이스의 응답에 따라 해당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감지된 속도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 시의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터치압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덱스 서버에 등록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 데이터는 외부의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마우스 동작정보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과 무선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주변 디바이스의 마우스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물리적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IP수준의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LAN 연결을 지원하는 임의의 컴퓨팅 환경에서, 터치스크린과 컴퓨팅 장치 사이에 다중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거나, 한 사람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컴퓨터, TV, 냉장고, 노트 북, 프로젝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전기기기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특히, 주변 디바이스(200)는 IP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와 접속 가능하게 된다. 물론, 휴대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적외선,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00)와 접속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 데이터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주변 디바이스(200)는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마우스 정보로 인식하여,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도록 한다. 특히, 주변 디바이스(200)는 USB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를 가상의 USB 마우스 장치로 인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USB 마우스 장치의 데이터로 가상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가 아닌 실제 마우스 장치가 연결된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MP, MP3 플레이어 등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통신 단말기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때, 터치스크린은 마우스 패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해 제 어 데이터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주변 디바이스(200)와 마찬가지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특히, 휴대 단말기(100)는 IP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통신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100)는 주변 디바이스(200)에 연결 시,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가 해당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도록 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제공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100)의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 정보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로 인식하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마우스 정보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디바이스(200) 자체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가상의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접속 제어부(130), 터치스크린(150) 및 데이터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IP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부(11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연결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를 탐색한다. 또한, 접속 제어부(130)는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작성하고, 작성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데이터 처리부(170)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응답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목록을 작성하도록 한다.
한편, 접속 제어부(130)는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덱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인덱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 중 현재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접속 제어부(13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동일한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동일 게이트웨이 상에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접속 제어부(130)는 인덱스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주변 디바이스(200)의 탐색 범위를 확장시키게 된다. 물론, 접속 제어부(130)는 초기 탐색과정에서 인덱스 서버에 접 속하여 등록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200)와 접속되도록 통신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 통신 접속 시, 프로파일 정보 등의 해당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170)로 인가한다. 또한, 접속 제어부(130)는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 통신 접속 시, 휴대 단말기 정보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접속 시, 해당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에 의해 요청된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로 접속 실패를 알리도록 한다.
터치스크린(150)은 디스플레이 수단과 터치패드가 결합된 입출력장치이다. 여기서, 터치패드는 압력 감지기가 구비된 작은 평판으로, 마우스를 대신하는 입력장치로 이용된다. 즉,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드를 접촉하면, 그 압력에 의해 손가락이나 펜 등의 움직임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150)은 손가락이나 펜 등의 움직임에 의해 인식된 정보, 즉, 움직임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70)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움직임 정보는,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압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5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처리 데이터를 터치스크린(150)에 출력한다. 물론, 휴대 단말기(100)에는 터치스크린(150) 외에 별도의 입력장치, 예를 들어, 키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70)는 전화, 영상재생, 음악재생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10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 또는 특정 키 버튼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를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전환 시,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로 주변 디바이스 탐색 명령을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에 의해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이 입력되면, 입력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터치스크린(150) 상에 출력하도록 한다. 물론, 터치스크린(150) 외에 다른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70)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선택되면, 접속 제어부(130)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 접속되도록 한다.
마우스 기능 모드 동작 시,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 및 움직임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른 이동 명령 또는 실행 명령 등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데이터는 통신 접속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된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토대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에 의해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따라서, 해당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와 접속 시, 해당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이동명령 또는 실행 명령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조작하도록 한다.
일예로서, 최근 많은 수가 보급되고 있는 IPTV나 디지털 TV 등을 들 수 있다. IPTV의 경우 기존의 TV에 비해 여러 가지 메뉴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많은 제어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를 IPTV의 마우스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프레젠테이션 화면을 이용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화면에 대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각자의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각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프레젠테이션 화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하나의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하나의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화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복수의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 화면을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기능 모드 동작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70)는 등록된 메뉴 항목을 호출하여, '1: 카메라, 2: MP3, 3: 마우스, 4: 이동 디스크'와 같이 메뉴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50) 상에 출력하도록 한다. 만일, 터치스크린(150) 조작에 의해 '3: 마우스'가 선택되면, 데이터 처리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를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된 경우, 접속 제어부(130)로 주변 디바이스 탐색을 요청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130)에 의해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 즉, '1: 모니터, 2: TV, 3: 냉장고'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 중, 터치스크린 조작에 의해 '2: TV'가 선택 되면,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로 'TV'와의 연결을 요청한다. TV에 연결 시, 데이터 처리부(170)는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할 움직임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상태로 터치스크린(150)을 전환한다. 이때, 터치스크린(150)은 마우스 패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손가락 또는 펜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이동 또는 실행 정보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명령 및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TV로 전송된다. 물론,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TV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될 때마다, 이벤트 형태로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TV(200a)의 디스플레이 화면(21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이 일정 속도로 드래그 되는 경우, TV에서도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 상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터치스크 린(150)이 클릭 된 경우, TV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버튼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압력에 따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버튼을 선택하거나, 실행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마우스 포인터의 조작 방법은 사전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휴대 단말기(100)와 TV 연결 시, TV로부터 마우스 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150) 상의 움직임 정보와 동일하게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스크린(150)에서의 이동속도, 압력 및 터치횟수에 따라 움직임 정보와 다르게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TV의 동작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터치스크린(150) 상의 이동속도에 따라 TV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움직이는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 상의 이동 거리는 변이시키도록 하는 동작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기준 속도가 1V라고 가정했을 때, 1V로 1L 만큼 터치스크린(150)이 드래그 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된 움직임 그대로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이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된 움직임 그대로 마우스 포인터를 1L 만큼 이동시키도록 한다. 한편, 2V로 1L만 큼 터치스크린(150)이 드래그 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포인터가 2배의 길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마우스 포인터를 2L 만큼 이동시키도록 한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준 압력이 1P라고 가정했을 때, 1P의 압력으로 터치스크린(150)이 터치 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된 움직임 그대로 마우스 포인터가 1회 클릭 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현재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을 1회 클릭하도록 한다. 한편, 2P의 압력으로 터치스크린(150)이 터치 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포인터가 2배로 클릭 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현재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을 2회 클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된 움직임 정보 그대로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움직임의 정도, 예를 들어, 이동속도, 압력, 터치 횟수 등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 스 포인터가 움직이는 거리 및 선택 횟수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동일하게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을 제어하기 위해,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해 압축된 화면을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에 그대로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압축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포인트 지점을 일일이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 또는 특정 키 버튼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마우스 기능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S300).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S310),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를 탐색하도록 한다(S320).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응답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S330).
또한, 데이터 처리부(170)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선택되면, 접속 제어부(130)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요청한다. 따라서,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접속을 시도한다(S340). 만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 접속 제어부(130)는 일정시간 경과 후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접속을 재시도하도록 한다.
한편,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접속이 완료된 경우(S350),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을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흰 바탕화면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이때, 터치스크린(150)은 마우스 패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터치스크린(150)은 손가락 또는 펜 등에 의해 드래그 또는 터치 되면,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데이터 처리부(170)로 인가한다.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이동 명령 또는 실행 명령 등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S360).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 그대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압력 등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S360' 과정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170)는 'S360' 과정에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한다(S370).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이때, 주변 디바이스(200)는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로 인식하게 된다. 즉, 주변 디바이스(200)는 USB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연결된 휴대 단말 기(100)를 가상의 USB 마우스 장치로 인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USB 마우스 장치의 데이터로 가상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가 아닌 실제 마우스 장치가 연결된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물론, 휴대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해당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도록 하는 제어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기(100)를 마우스 장치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마우스 정보로 인식하여,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제로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 상의 움직임 그대로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실제로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0)에는 L만큼의 거리로 드래그 되었다 하더라도, 이동 속도 또는 그외의 변수에 따라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마우스 포인터는 2L, 3L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처리부(170)는 도 6의 'S300' 내지 'S320'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스크린(150) 또는 특정 키 버튼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마우스 기능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S300).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접속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70)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S310),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200)를 탐색하도록 한다(S320).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응답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목록을 작성하도록 한다.
'S320' 과정에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동일한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해야 한다. 만일, 동일 게이트웨이 상에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존재하는 경우(S322), 도 6의 'S330' 이후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동일 게이트웨이 상에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322), 접속 제어부(130)는 주변 디바이스(200)의 탐색 범위를 넓혀 인덱스 서버에 접속을 시도한다(S324). 이때, 접속 제어부(130)는 인덱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 중 현재 접속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제어부(130)는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덱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수신한다(S326).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접속 제어부(130)에 의해 수신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터치스크린(150) 상에 표시하고(S328), 도 6의 'S340'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정교한 무선 포인팅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컴퓨팅 작업에 있어서 물리적인 위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 의 성능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6의 'S360'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340' 및 'S350'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가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터치스크린(150)은 화면 접속 시 발생하는 움직임 정보를 감지한다(S361).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정보, 즉, 터치스크린 화면 접촉 시의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터치압력 중에서 속도 정보를 추출한다(S363). 또한, 데이터 처리부(170)는 추출된 속도 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고(S365), 비교 결과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계산한다(S367). 이때, 데이터 처리부(170)는 계산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369).
즉,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 그대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 속도 등에 따라 터치스크린(150)의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산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50)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추출된 이동속도가 기준속도의 3배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70)는 터치스크린(150)의 화면 접촉 시 발생한 이동거리의 3배를 주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거리로 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거리를 가변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그대로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
도 3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시 발생하는 움직임 정보로부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로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감지된 속도 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 시의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터치압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 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상기 접속 제어부에 의해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무선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마우스 동작정보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덱스 서버에 등록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IP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7.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시 발생하는 움직임 정보로부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으로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마우스 기능 모드로 동작 시,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주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로 해당 휴대 단말기가 무선 마우스 장치로 인식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주변 디바이스의 응답에 따라 해당 주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감지된 속도정보와 등록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접촉 시의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터치횟수 및 터치압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인덱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덱스 서버에 등록된 주변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외부의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마우스 동작정보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주변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20080104570A 2008-10-24 2008-10-24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097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70A KR100976181B1 (ko) 2008-10-24 2008-10-24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70A KR100976181B1 (ko) 2008-10-24 2008-10-24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583A true KR20100045583A (ko) 2010-05-04
KR100976181B1 KR100976181B1 (ko) 2010-08-17

Family

ID=4227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570A KR100976181B1 (ko) 2008-10-24 2008-10-24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64B1 (ko) 2001-02-0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무선 마우스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605930B1 (ko) * 2003-11-29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76366B1 (ko) 2005-10-14 2007-01-30 김용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
KR100694989B1 (ko) 2005-12-28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181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6594A1 (zh) 一种应用于投屏场景的控制方法以及相关设备
US10480809B2 (en) Customiz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ir conditioner operation mode
WO2020258929A1 (zh) 文件夹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JP5777731B2 (ja) ジェスチャー認識のための環境依存型ダイナミックレンジ制御
WO2021083132A1 (zh) 图标移动方法及电子设备
US9029717B2 (en)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for touch pen with wireless storage and forwarding capability and system thereof
US20090327871A1 (en) I/o for constrained devices
KR20130043935A (ko) 디바이스 간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CN110248228A (zh) 一种基于小程序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终端
KR20140111526A (ko) 다중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6197697A1 (zh) 手势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20220876A1 (zh) 应用界面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188689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a display layout manner of an application
CN103412712A (zh) 一种功能菜单的选择方法和装置
WO2023124141A9 (zh) 一种输入法调用方法及相关设备
WO2022017421A1 (zh) 交互方法、显示装置、发射装置、交互系统及存储介质
KR20120061169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물 제어시스템
CN108604160A (zh) 触摸屏手势识别的方法及装置
CN111447598B (zh) 一种交互方法和显示设备
KR100976181B1 (ko)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주변디바이스 제어방법
JP741956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leindienst et al. Vision-enhanced multi-modal interactions in domotic environments
US9185448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receiving device, mobile interne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80831A (ko) 스마트기기 간 양방향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가상키보드
JP4002442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汎用相互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