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38B1 -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38B1
KR101221738B1 KR1020120027923A KR20120027923A KR101221738B1 KR 101221738 B1 KR101221738 B1 KR 101221738B1 KR 1020120027923 A KR1020120027923 A KR 1020120027923A KR 20120027923 A KR20120027923 A KR 20120027923A KR 101221738 B1 KR101221738 B1 KR 10122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ea
input
display uni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배억
Original Assignee
박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배억 filed Critical 박배억
Priority to KR102012002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텔레비전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한 기능의 제어가 수행되는 텔레비전을 터치패드가 구비된 제어장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부에 터치패드의 패드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제 1 단계; 디스플레이부에서 제어영역 범위 내의 영상을 제어장치의 패드부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패드부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들 중에서 포인팅 동작으로 선택된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Contents Input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ing the Controll Device}
본 발명은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화면 텔레비전 등을 터치패드가 구비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vision)은 방송 수신 이외에도 텔레비전을 통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신개념의 텔레비전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방송 수신 중에도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하거나, 광고에 대한 주문을 즉석에서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텔레비전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마트 텔레비전은 기능이 다양한 만큼 조작을 위한 입력장치도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스마트 텔레비전의 입력장치는 전체적인 텔레비전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입력의 편리성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패널로 구성하여 영상의 표시와 외부입력을 제공받는 수단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러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양한 기능의 제어와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많은 버튼뿐만 아니라 커서 등의 이동을 위한 포인팅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특히, 스마트 텔레비전용 리모트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의 제어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에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 또는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면서 사용이 복잡해 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제조사마다 다른 방식과 다른 인터페이스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는 사용자들이 스마트 텔레비전의 작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대화면 텔레비전의 작동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에 터치패드가 구비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장치의 터치패드 패드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패드부에 입력되는 입력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영역에 입력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출력좌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출력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패드부에서 입력좌표의 비율과 제어영역에서 출력좌표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를 복수 개의 분할영역으로 구분하고, 분할영역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분할영역을 제어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분할영역이 입력영역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분할영역이 입력영역의 화소수와 같은 개수의 화소수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제어영역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영역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영역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제어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를 갖는 커서를 패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커서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제어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터치패드의 패드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제 1 단계; 디스플레이부에서 제어영역 범위 내의 영상을 터치패드의 패드부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패드부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들 중에서 포인팅 동작으로 선택된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단계는 포인팅 동작을 수행할 제어아이콘을 제어영역의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제어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을 제어영역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복수 개로 분할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영역으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할 수 있어서 조작이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제어장치는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들의 기종에 관계없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 및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어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대상이 되는 텔레비전은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아이콘을 표시하고, 제어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텔레비전(10)은 디스플레이부(12), TV 튜너(14), 신호처리부(16) 및 제 1 통신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10)의 디스플레이부(12)는 TV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nel)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는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화면표시와 함께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이를 위해서 특정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아이콘을 표시한다.
TV 튜너(14)는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한다.
신호 처리부(16)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들 중에서 선택되는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TV 튜너(14)를 제어하거나, 제어장치(100)에서 전송받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TV 튜너(14)를 제어한다.
제 1 통신부(18)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 및 제어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을 제어장치(100)에 전송하고, 제어장치(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를 위해서 제 1 통신부(18)는 제 2 통신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10)의 제어장치는 원거리에서 텔레비전(1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텔레비전(10)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장치(100)는 터치패드(120)를 이용하는 것으로, 패드부(122)는 디스플레이부(12)의 일부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되는 영상에서 선택되는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터치패드(120)를 이용하여 텔레비전(10)의 디스플레이부(12)에 텍스트 및 특정 형상을 입력할 수 있다. 근래 대두되는 스마트 텔레비전에 있어서는 텔레비전이 단순히 영상을 수신하여 보여주는 것 이외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정보 저장 및 관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텔레비전의 동작 제어가 검색어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100)는 이와 같이 텍스트 입력을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어장치(100)는 텔레비전(10) 전용 리모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00)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플랫폼을 내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제어부(110)의 구성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탑재한 형태의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제어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100)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부(12)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2)의 일부 영역에 제어영역을 표시하고, 제어영역을 이용하여 텔레비전(10)을 제어한다.
텔레비전(10)이 제어한다는 의미는 필기형식을 통한 콘텐츠를 입력하는 것과, 터치패드형의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장치(100)는 터치패드(120), 제어부(110) 및 제 2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터치패드(120)는 행-렬로 배치되는 신호선들의 교차점마다 감지센서를 갖음으로써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동작을 감지하는 패드부(122) 및 패드부(122)에 입력동작이 감지된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드부(122)는 동작설정영역(137), 이동영역(132), 제 1 및 제 2 마우스영역(135a,135b) 및 입력영역(134)을 포함한다.
동작설정영역(137)은 터치패드(120)의 패드부(122)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제어영역 범위 내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는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러한 동작설정영역(137)은 토글(toggle) 형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22)의 입력영역(134)에 디스플레이부(12)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가 아닌 터치패드(120)를 주시하면서 콘텐츠의 입력 또는 텔레비전(10)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패드부(122)의 입력영역(134)에 디스플레이부(12)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를 주시하면서 콘텐츠의 입력 또는 텔레비전(1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패드부(122)의 입력영역(134)에 디스플레이부(12)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패드부(122)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영역(132)은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되는 영역이다. 즉, 이동영역(132)에 포인팅 동작에 의해서 검출되는 좌표를 제공받은 제어부(110)는 제어영역이 디스플레이부(12)의 분할영역 중 하나와 대응되는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동영역(132)은 입력영역(134)의 상부/하부/좌측/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하부/좌측/우측 이동영역(132a,132b,132c,132d)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은 일반적인 각각 마우스 좌/우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어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초기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은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필기를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입력영역(134)의 드래그를 통해서 "선"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의 준비 및 종료를 알리는 명령을 수행한다.
입력영역(134)은 디스플레이부(12)에 텍스트나 도형 등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임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입력영역(134)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2)에 입력되는 텍스트나 도형은 스마트 텔레비전(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것이거나, 콘텐츠와 관련한 정보 입력일 수 있다. 즉, 제어장치(100)는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키 스트로크(key stroke) 형식 이외에, 패드부(122)에 터치하여 필기하는 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영역(134)은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즉, 입력영역(134)의 포인팅 동작으로 인해 해당 지점의 좌표를 입력받은 제어부(110)는 해당 포인팅 지점의 제어아이콘(2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10)는 패드부(122)에 포인팅 동작을 감지하여, 포인팅 동작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텔레비전(10)의 제어를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10)는 좌표 검출부(124)로부터 제공받는 입력좌표값에 대응하는 고유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10)는 패드부(122)에서 검출되는 좌표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112), 제어영역 조절부(114), 출력좌표 설정부(116) 및 제어신호 생성부(118)를 포함한다.
이벤트 판단부(112)는 좌표검출부(124)로부터 제공받는 좌표값을 바탕으로 입력동작이 수행된 영역이 어느 영역인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킨다.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텔레비전(10)의 디스플레이부(12)에 제어영역을 표시하고, 패드부(122)에 입력되는 동작에 따라서 제어영역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에서 제어영역 범위에 속한 영상을 입력영역(134)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의 화면을 복수 개의 분할영역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출력좌표 설정부(116)는 입력영역(134)을 드래그함으로써 필기 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영역(134)에 입력되는 좌표들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할 출력좌표를 산출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18)는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20)을 포인팅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해당 제어아이콘(20)에 대응하는 텔레비전(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10)은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텔레비전(1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텔레비전(10)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스플레이부(12)에 제어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제어영역 범위 내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처럼 제어장치(100)에 표시되는 제어영역 범위 내의 제어아이콘을 포인팅 동작으로 선택할 경우에, 제어장치(100)는 해당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는 텔레비전(10)과 같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12)를 포함하는 장치를 작은 화면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100)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12)를 제어하는 동작은 크게 입력영역(134)을 드래그하여 필기 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과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포인팅함으로써 해당 제어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필기 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과 제어아이콘을 선택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필기 형식으로 콘텐츠 입력 >
제어장치(100)에 필기 형식의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텔레비전(10)에 콘텐츠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작설정영역(137)을 포인팅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설정한다.
* 제어영역 표시
동작설정영역(137)을 이용하여 제어장치(100)에 필기입력 기능을 설정하면 디스플레이부(12)는 도 3에서와 같은 제어영역(30)을 표시한다.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일부 영역을 한정하는 것으로, 제어장치(100)의 입력영역(134)에 입력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영역(30)에서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제어장치(100)의 입력영역(134)에서 가로와 세로의 비율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영역(30)의 크기는 입력영역(134)과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되거나, 가시적 거리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영역(30)의 크기는 입력영역(134)의 화소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영역(30)의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영역(30)을 입력영역(134)과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은 제어영역(30)의 크기를 입력영역(134)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입력영역(13)이 가로:세로 길이의 비율이 4:3이고, 대각선의 길이가 4인치로 이루어질 경우에, 제어영역(30) 또한 가로:세로 길이의 비율이 4:3이고, 대각선의 길이가 4인치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영역(30)을 화소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각각의 제어영역(30) 화소수의 개수가 입력영역(134) 화소수의 개수와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영역(30)을 화소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각각의 제어영역(30) 화소수의 개수가 입력영역(134) 화소수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일정한 비율로 축소되도록 설정한 것을 의미한다.
제어영역(30) 화소수를 입력영역(134) 화소수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2)의 해상도가 입력영역(134)의 해상도보다 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2)의 해상도가 입력영역(134)의 해상도보다 네 배가 크다면, 디스플레이부(12)는 4개로 분할된 제어영역(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2)의 해상도가 입력영역(134)의 해상도보다 같거나 작을 경우에는 제어영역(30)의 화소수를 입력영역(134)의 화소수와 동일하게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2) 전체가 제어영역(30)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영역(30)이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어영역(30)의 화소수가 입력영역(134)의 화소수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한 값을 갖도록 제어영역(30)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영역(30)을 가시적 크기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원근감을 고려하여 제어영역(30)의 가시적 크기가 입력영역(134)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가시적 크기를 기준으로 제어영역(30)을 설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2)를 포함하는 텔레비전(10)과 입력영역(134)을 포함하는 제어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거리 차이를 근거로 한 것이다. 즉, 제어영역(30)의 크기를 입력영역(134)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텔레비전(10)의 시청거리에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제어영역(30)의 크기가 너무 작게 보이기 때문에 제어영역(30)의 크기를 입력영역(134)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이후에도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영역(134)을 통한 동작 제어의 편리를 위해서 제어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크기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패드부(122)에 별도의 영역을 추가한 후 스크롤바(scroll bar)를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핀치(pinch)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핀치(pinch) 동작은 손가락 두 개를 입력영역(134)에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두 개의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제어영역(30)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영역(30)의 확대 및 축소는 입력영역(134)에 표시된 영상이나 점(도트) 또는 선분의 좌표 값 및 크기의 축소 및 확대효과를 가져온다. 가령 디스플레이부(12)에 작고 섬세한 필기입력을 위해 제어영역(30)을 축소시킴으로써 입력영역(134)의 확대를 유도하게 되어 섬세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제어영역(3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2)의 넓은 영역의 영상을 입력영역(134)에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제어영역(30)을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영역(30)은 해당 영역의 외곽을 정의하는 선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해당영역의 바탕색을 달리함으로써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제어영역(30)을 구분하기 위한 표시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영역(30)은 제어영역 조절부(114)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표시된다. 또한,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제어영역(30)을 표시하는 초기 위치를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 제어영역(30)의 이동
제어장치(100)의 입력영역(134)에 필기, 즉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입력되는 연속적인 좌표의 표시는 디스플레이부(12)에서 제어영역(30)의 범위 내로 한정된다. 그리고,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이동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 전체 영역에 대해서 콘텐츠 입력이 가능하다.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2)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한 분할영역을 이용하거나, 제어영역(30)을 디스플레이부(12)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분할영역은 제어영역(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 전체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였을 때 형성되는 각각의 영역을 의미한다. 도 4는 행과 열을 각각 6개씩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한 디스플레이부(12)를 나타내고 있다.
분할영역을 이용하여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패드부(122)의 이동영역(132)을 이용하여 제어영역(30)을 분할영역에 대응시켜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영역(30)은 중심이 분할영역의 중심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분할영역은 제어영역(30)이 배치될 수 있는 좌표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할영역은 제어영역(30)이 디스플레이부(12)에서 모든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영역(3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제어영역(30)의 크기가 분할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2) 상에서 제어영역(30)이 제어할 수 없는 공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할영역에서 어느 한 변의 길이는 제어영역(30)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50% 이상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는 분할영역의 한 변의 길이가 제어영역(30)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1/2 이하일 경우에는 임의의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제어영역(30)의 범위가 양쪽으로 인접하는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제어영역(30)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제어영역(30)을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은 패드부(122)의 이동영역(132)을 이용한다.
즉, 패드부(122)의 이동영역(132)에 대한 포인팅 동작으로 인해서 좌표 검출부(124)가 검출하는 입력좌표는 이벤트 판단부(112)로 제공된다. 이때 이벤트 판단부(112)는 해당 입력좌표가 이동영역(132)의 범위에 속할 경우에 제어영역 조절부(114)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상부/하부/좌측/우측 이동영역(132a,132b,132c,132d) 중 어느 하나의 입력좌표인지에 따라서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영역 조절부(114)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는 제어영역(30)을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상태에서 이동시키며, 좌표 검출부(124)에서 검출하는 입력좌표의 횟수에 따라서 분할영역의 행 또는 열의 수만큼 이동시킨다. 즉, 한 번의 포인팅 동작에 의해서 좌표 검출부(124)가 입력좌표를 검출한 횟수가 1회이면,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제어영역(30)을 한 칸 이동시킨다.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제어영역이 (3,3)인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영역(135)의 제어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이동영역(132a)의 포인팅 동작이 감지될 경우에,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제어영역(30)을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12)의 상부방향에 인접한 분할영역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상부 이동영역(132a)의 포인팅 동작에 따라서, 제어영역(30)의 위치를 한 행 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영역 조절부(114)는 하부/우측/좌측 이동영역(132b,132c,132d)의 포인팅 동작이 감지될 경우에는 각각 제어영역(30)을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12)의 ⓒ위치, ⓓ위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처럼 이동하는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의 가장 외곽지역에 접하는 분할영역에 대응할 경우에는 제어영역(30)의 일측 외곽 경계와 분할영역 및 디스플레이부(12)의 외곽 경계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어영역(30)이 디스플레이부(12)의 가장 외곽지역에 접하는 분할영역에 대응할 경우에는 제어영역(30)의 중심과 분할영역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는다.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다른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연속적인 움직임을 통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를 분할영역으로 구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영역(134)을 통한 드래그(drag) 동작을 수행하여 제어영역(30)을 디스플레이부(12)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영역(3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패드부(122)의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을 이용한다.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은 각각 제어영역(30)의 연속적인 이동의 개시(종료)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즉, 이벤트 판단부(112)가 제공받은 입력좌표가 제 1 마우스 영역(135a)의 좌표일 경우에 제어부(110)는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영역(30) 범위 내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마우스 영역(135a)을 포인팅 한 이후에는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제어아이콘(20)을 선택하는 동작이 제한된다. 그리고 제 1 마우스 영역(135a)의 포인팅 이후에 입력영역(134)은 드래그 동작을 감지한다.
도 5 및 도 6은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을 이용하여 제어영역(3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마우스 영역(135a)을 포인팅함에 따라서 제어영역(30)의 연속적 이동이 준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영역(134)을 입력수단으로 포인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입력영역(134)에는 포인팅이 감지된 좌표에 커서(22)가 표시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에는 커서(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로 제어영역(30)이 이동한다. 즉, 제어영역(30)의 x축 좌표는 m:k=m':k'가 되도록 설정되고, y축 좌표는 n:ℓ=n':ℓ'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입력영역(134)에 표시된 커서(22)는 입력수단이 입력영역(134) 내에서 드래그 되는 좌표를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 상에서 커서(22)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커서(22)를 입력영역(134)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이동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커서(22)를 "P1"에서 "P2"로 이동할 경우에, 제어영역(30)은 디스플레이부(12) 상에서 ⓐ위치에서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제어영역(30)은 ⓐ위치와 ⓕ위치 간의 가로축 좌표변화량과 세로축 좌표변화량의 비율이 입력영역(134)에서의 "P1"과 "P2"위치 간의 가로축 좌표변화량과 세로축 좌표변화량의 비율과 동일한 상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은 반드시 커서를 표시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사용자는 커서의 위치에 포인팅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팅 한 위치로 커서가 이동해 위치하기 때문이다.
드래그를 통한 제어영역(30) 이동의 종료는 드래그가 완료되어 포인팅이 업(Up)된 상태 혹은 상기 제 1 마우스 영역을 포인팅 한 후 입력영역(134)내 포인팅이후 드래그로 연결되지 않고 포인팅이 업(Up)된 경우에 제어영역(30)의 이동은 종료된다.
제 1 마우스 영역을 포인팅함으로써 또다시 제어영역(30)의 이동을 준비할 수 있다.
제어영역(3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방법은 입력영역(134)을 드래그하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좌표 변화량을 기준으로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처럼 입력영역(134)에 커서(22)를 표시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영역(30)의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상태에서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제 1 마우스 영역(135a)을 포인팅함으로써 입력영역(134)의 드래그를 통해서 제어영역(30)이 이동되며, 제 2 마우스 영역(135b)을 포인팅함으로써 드래그를 통한 제어영역(30)의 이동이 종료된다.
제어영역(30)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전술한 두 가지 실시 예는 제 1 마우스 영역(135a)을 포인팅함으로써 동작이 개시되고, 제 2 마우스 영역(135b)을 포인팅함으로써 동작이 종료된다. 만약 제어장치(100)가 위의 두 가지 실시 예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면, 패드부(122)에서 제 1 및 제 2 마우스 영역(135a,135b)은 각각의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어영역(30)은 멀티터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입력수단, 예컨대 손가락 두 개를 입력영역(134)에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멀티터치를 이용한 제어영역(30)의 이동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 도트(dot)의 입력
상술한 방법들에 의해서 제어영역(30)을 디스플레이부(12)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사용자는 필기 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영역(134)에 필기형식으로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은 입력영역(134)에 특정 좌표를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하는 동작에 기초한다. 이처럼, 입력영역(134)에 특정 좌표인 "점(도트)"를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트는 입력영역(134) 내의 특정 좌표를 포인팅하는 동작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다. 특정 좌표를 포인팅하는 동작은 제 1 마우스영역(135a)의 입력동작을 감지하여 생성하는 이벤트와 함께 입력영역(134)을 포인팅하거나, 제 1 마우스영역(136a)의 입력동작이 선행된 상태에서 입력영역(134)을 포인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좌표는 터치패드(130)의 입력영역(134)에서의 좌표와 제어영역(30)이 디스플레이부(12)에 위치한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
가로와 세로의 화소수가 각각 m,n 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좌표가 설정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때 각각의 화소는 좌표로 간주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좌측 최상단 화소는 (x0,y0), 우측 최하단 화소는 (xm,yn)의 좌표로 설정된다.
터치패드(130)의 좌표 검출부(124)는 포인팅 동작이 일어난 입력영역(134)의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좌표 검출부(124)에서 검출한 입력좌표는 제어부(110)로 제공된다.
제어부(110)의 이벤트 판단부(112)는 입력좌표가 어느 영역에서 일어난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벤트 판단부(112)는 입력좌표가 입력영역(134) 내에서 일어난 이벤트라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서 입력좌표를 출력좌표 설정부(116)로 제공한다.
출력좌표 설정부(116)는 입력좌표의 보정을 위해서 제어영역(30)이 위치한 좌표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영역(30)의 원점(좌측 최상단 좌표)이 디스플레이부(12)의 원점(좌측 최상단 좌표)과 일치할 경우에는 입력영역(134)의 좌표와 제어영역(30) 및 디스플레이부(12)의 좌표는 동일하기 때문에, 입력영역(134) 상의 입력좌표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하기 위한 출력좌표로 설정된다.
반면에, 도 7에서와 같이 제어영역(30)의 원점이 디스플레이부(12)의 원점과 상이할 경우에는 출력좌표는 제어영역(30)이 디스플레이부(12)에서 위치한 좌표에 따라서 보정된다.
즉, 제어영역(30)의 원점이 디스플레이부(12)에서 x축으로 k, y축으로 ℓ만큼 이동된 (k,ℓ)의 좌표를 갖는다면,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출력좌표에서 x 좌표는 입력영역(134)의 x좌표에서 k열 만큼 이동한 위치의 좌표가 표시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출력좌표에서 y좌표는 입력영역(134)의 y좌표에서 ℓ행 만큼 이동한 위치의 좌표가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좌표 검출부(124)에서 검출한 입력영역(134)의 좌표가 P1(xi,yj)에 해당할 경우에, 출력좌표 설정부(116)는 P1'(xi +k,yj +ℓ)의 좌표를 디스플레이부(12) 좌표로 생성한다.
* 선의 입력
선의 입력은 입력영역(134) 내에서 포인터(22)의 드래그(drag) 동작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포인터(114)의 드래그(drag) 동작은 입력영역(134) 상에서 입력수단의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고, 이때 입력영역(134)의 드래그 동작은 제 1 마우스영역(135a)의 입력동작과 함께 수행되거나, 제 1 마우스영역(136a)에 대한 입력동작이 선행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영역(134) 내에서 드래그 동작을 하는 것은 인접하는 좌표들의 연속적인 포인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입력영역(134) 내에서의 선을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하는 방법은 개별적인 좌표의 포인팅 동작에서 좌표들을 표시하는 방법에 근거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100)는 입력영역(134)을 통해서 점 또는 선을 입력함으로써 필기형식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장치(100)는 필기형식으로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어 기반으로 텔레비전(10)을 제어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 제어아이콘을 이용한 텔레비전의 제어 >
텔레비전(10)의 제어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하는 것 이외에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제어영역(30) 표시/제어영역(30) 이동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텔레비전(10)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장치(10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2)에 제어영역(30)을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하고자 하는 제어아이콘이 제어영역(30)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킨다.
* 제어영역(30) 범위 내의 영상을 제어장치(100)에 표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서 제어영역(30) 범위 내에 속하는 영상을 패드부(122)의 입력영역(134)에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입력영역(134)은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어아이콘(20) 중에서 제어영역(30)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제어아이콘(20)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영역(30)은 입력영역(134)과 가로:세로의 비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영역(30) 범위 내의 영상은 형상이 왜곡되지 않는다.
* 제어신호의 생성
제어신호는 입력영역(134)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20)을 포인팅할 때에, 해당 제어아이콘(2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특정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아이콘(20)의 선택은 제어장치(100)의 제어아이콘(20)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의 터치패널을 작동시키는 동작에 상응하는 제어장치(100)를 포인팅하는 동작으로 텔레비전(1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제어아이콘(20)을 선택하는 방법은 입력영역(134)에 제어아이콘(20)을 표시하는 방법 이외에 디스플레이부(12)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어영역(30)에 커서와 같은 포인터를 표시하고, 포인터를 제어아이콘(20)에 위치시킨 이후에, 특정 입력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포인터가 위치한 곳의 제어아이콘(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가 위치한 곳의 제어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특정 입력동작은 제 1 마우스 영역(135a)을 이용하거나, 패드부(122)에서 별도의 영역을 추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아이콘(20)에 포인터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제어영역(30)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영역(30) 범위 내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2)에서 제어영역(30)을 이동시키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입력영역(134)을 포인팅 한 이후에 드래그함에 따라서 제어영역(30) 범위 내에서 포인터가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텔레비전 제어장치(100)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한다. 즉,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기종의 텔레비전에도 적용이 편리하고 호환성이 좋다.
특히,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필기형식으로 정보 또는 검색어 등의 콘텐츠를 직접 입력하기에도 수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터치패드와 통신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에 본 발명의 제어부(110)의 구성을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탑재할 경우에는 간단한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2)가 아닌 대형 전자칠판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11)

  1.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에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장치의 터치패드 패드부의 형태와 대응하며,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부에 입력되는 입력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콘텐츠 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패드부에서 상기 입력좌표의 비율과 상기 제어영역에서 표시되는 출력좌표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콘텐츠 입력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영역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어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를 갖는 커서를 상기 패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어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콘텐츠 입력방법.
  8.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한 기능의 제어가 수행되는 텔레비전을 터치패드가 구비된 제어장치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터치패드의 패드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어영역 범위 내의 영상을 상기 터치패드의 패드부에 표시하는 단계;
    포인팅 동작을 수행할 제어아이콘을 상기 제어영역의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어영역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어아이콘 영상들 중에서 포인팅 동작으로 선택된 제어아이콘 영상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아이콘이 표시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장치의 터치패드 패드부의 형태와 대응하며,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어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부에 입력되는 입력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영역에서의 좌표를 출력좌표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좌표에 위치하는 제어아이콘에 대응하여 상기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부의 제어방법.
KR1020120027923A 2012-03-19 2012-03-19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KR10122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23A KR101221738B1 (ko) 2012-03-19 2012-03-19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23A KR101221738B1 (ko) 2012-03-19 2012-03-19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738B1 true KR101221738B1 (ko) 2013-01-11

Family

ID=4784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23A KR101221738B1 (ko) 2012-03-19 2012-03-19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89B1 (ko) * 2013-04-23 2017-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852A1 (en) 2001-04-25 2002-10-31 Tamio Mori Remote control having a touch pad operable in a pad-to-screen mapping mode for highlighting preselected parts of a slid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KR100474724B1 (ko)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0980741B1 (ko)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10067559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852A1 (en) 2001-04-25 2002-10-31 Tamio Mori Remote control having a touch pad operable in a pad-to-screen mapping mode for highlighting preselected parts of a slid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KR100474724B1 (ko)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KR20110067559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80741B1 (ko)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89B1 (ko) * 2013-04-23 2017-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4520B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u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KR101078380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277505A1 (en) Reduction in latency between user input and visual feedback
US2011015705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326909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television
JP596655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4054589A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1400684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JP5713180B2 (ja) 検知領域がディスプレイの表示領域よりも小さくても同等時のように動作する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35227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5227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134453A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79830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82543A (ja) 拡大縮小操作縮尺表示方法及び装置
US2013000271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09656435B (zh) 显示控制装置及记录介质
CN102087556A (zh) 轨迹输入装置及其处理方法
KR101221738B1 (ko) 제어장치를 이용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입력방법 및 제어방법
JP67222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887101B2 (en) Method for moving a curso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006086A1 (en) Method of browsing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402498B2 (ja) 表示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JP6971573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