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764B1 -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764B1
KR101885764B1 KR1020110021421A KR20110021421A KR101885764B1 KR 101885764 B1 KR101885764 B1 KR 101885764B1 KR 1020110021421 A KR1020110021421 A KR 1020110021421A KR 20110021421 A KR20110021421 A KR 20110021421A KR 101885764 B1 KR101885764 B1 KR 10188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battery
signal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262A (ko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764B1/ko
Priority to EP12157132.7A priority patent/EP2498403B1/en
Priority to US13/407,999 priority patent/US9209785B2/en
Priority to CN201210060447.9A priority patent/CN102682584B/zh
Publication of KR2012010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2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in a remote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01H2009/0257Multisided remote control, comprising control or display elements on at least two sides, e.g. front and back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수행하는 영상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1키부와, 제1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가지는 제1조작부; 제1키부와 다른 면에 마련되고 제2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2키부와,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와, 제2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가지는 제2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인터넷 이용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모드 전환이 편리하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문자 입력 시 원격 제어 장치의 표시부(LCD)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기 때문에 영상기기를 보지 않고도 문자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고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배터리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양면에 키를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VCR, DVD 플레이어, 셋톱박스(set top box) 등과 같이 가정 내 보급되는 전자제품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인 리모컨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원격 조정하는 리모컨은 다수의 기능 선택 버튼, 채널 변경 버튼 및 음량 조절 버튼, 이 버튼들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 등이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생성된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센서, 인쇄회로기판과 송신센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모컨은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채널 변경 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거나 음량 조절 신호 등의 동작 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텔레비전의 각종 기능들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최근 인터넷이 확산되고 전자제품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인터넷 텔레비전 및 인터넷 셋탑 박스가 개발되었고, 이에 따라 방송 시청 기능 외에 인터넷 사용 기능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리모컨은 방송 시청을 위한 방송 시청용 리모컨과, 인터넷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넷용 리모컨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별도로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거나 또는 일체로 마련 가능하다.
방송 시청용 리모컨과 인터넷용 리모컨이 분리된 경우에는 각 리모컨의 보관 및 관리가 번거로웠고, 각 모드 전환 시 해당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 방송 시청용 리모컨과 인터넷용 리모컨이 일체로 마련된 경우에는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텔레비전을 보고 리모콘에 마련된 키를 눌러 가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이 불편하고 문자 입력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적외선(IR), 라디오 주파수(RF)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용 제1키 신호와 인터넷용 제2키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배터리를 인입 및 인출하는 트레이를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록부재와, 트레이의 인출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프리즘과 같이 삼각 기둥형으로 형성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수행하는 영상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1키부와, 제1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가지는 제1조작부; 제1키부와 다른 면에 마련되고 제2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2키부와,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와, 제2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가지는 제2조작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영상 기기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표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각 구성부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제1제어부는, 제2제어부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1제어부는 방향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측에 위치한 조작부를 판단하고, 상측에 위치한 조작부가 제2조작부이면 상기 제2제어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방향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이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제1면과, 제1명과 대향한 제2면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의 제1면에 제1조작부가 마련되고, 몸체의 제2면에 제2조작부가 마련되고,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는 일 측이 서로 맞닿는다.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가 맞닿는 일측은 일정 각도를 이룬다.
제1송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및 라디오 주파수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1송신부와 제2송신부는, 적외선 통신, 라디오 주파수 통신,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1조작부는, 제1키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키부의 키 신호를 제1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2조작부는, 제2키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2키부의 키 신호를 제2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제1입력부, 제1제어부, 제1송신부가 마련된 제1인쇄회로기판; 제2입력부, 제2제어부, 제2송신부가 마련된 제2인쇄회로기판;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이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 부재가 마련된 몸체;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2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고, 몸체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트레이; 트레이가 인출 및 인입되는 홀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트레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 부재를 더 포함한다.
록부재는, 탄성 바이어스로 이루어진다.
트레이는 일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고, 록부재는 연장부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가진다.
원격 제어 장치는 트레이의 인출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트레이는, 배터리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도전부재와, 배터리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제1도전부재와 제2도전부재는 제1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다.
탄성부재는, 트레이의 제1도전부재와 연결되는 제1스프링과, 트레이의 제2도전부재와 연결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한다.
배터리는 제1배터리 내지 제4배터리로 이루어지고,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는 한 쌍씩 직렬로 연결되고, 제3배터리와 제4배터리는 다른 한 쌍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한 쌍의 배터리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된다.
트레이는, 제1배터리의 양극과 제3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도전부재; 제2배터리의 양극과 제4배터리의 양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부재를 포함한다.
트레이는, 한 쌍의 제1, 2배터리가 직렬 연결되도록 제1배터리의 양극과 제2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도전부재와, 다른 한 쌍의 제3, 4배터리가 직렬 연결되도록 제3배터리의 양극과 제4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도전부재를 더 포함한다.
트레이는, 푸쉬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제1모드는 방송 시청을 위한 모드이고, 제2모드는 인터넷 이용을 위한 모드이다.
원격 제어 장치는 외관이 삼각 기둥 형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제1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1키부와, 제1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가지는 제1조작부; 제1키부와 다른 면에 마련되고 제2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2키부와,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와,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되 제1송신부와 다른 통신으로 키 신호를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가지는 제2조작부를 포함한다.
몸체와, 몸체에 장착되고 제1송신부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방사면과, 몸체에 장착되되 제1방사면과 다른 면에 장착되고 제2송신부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방사면을 포함한다.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는 일측이 일부 굴곡된 굴곡부; 제1조작부의 굴곡부와 제2조작부의 굴곡부가 서로 맞닿아 형성되되 제2방사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비방사면을 더 포함한다.
제2방사면의 두께와 비방사면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제1키부는 세로형으로 마련되고, 제2키부는 가로형으로 마련된다.
제1방사면은 세로형 제1키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2방사면은 가로형 제2키부의 상측에 마련된다.
제1송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및 라디오 주파수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2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의 문자를 표시하되 영상 기기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인터넷 이용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모드 전환이 편리하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문자 입력 시 원격 제어 장치의 표시부(LCD)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기 때문에 영상기기를 보지 않고도 문자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고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그립 방향 및 키 조작 방향을 고려하여 방송 시청용 신호 송신부와 인터넷용 신호 송신부를 서로 다른 면에 설치함으로써 키 신호의 송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그립을 취하는 형태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 장치의 외관을 삼각형 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의 그립(Grip)이 용이하다.
또한 적외선(IR)을 이용하여 방송 시청용 키 신호를 송신하고,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라이오 주파수(RF)를 이용하여 인터넷용 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이면서 키 신호의 송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레이에 복수의 배터리를 장착시켜 복수의 배터리를 하나의 팩으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를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고, 배터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1.5V의 배터리 4개를 두 개씩 병렬로 연결하여 3V를 구현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방향 검출부(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조작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조작부에 마련된 키의 조작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양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트레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트레이 인입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트레이 인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몸체(110), 제1조작부(120), 제2조작부(130), 커버(140), 트레이(150), 제1방사면(160) 및 제2방사면(17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프리즘과 같은 삼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110)는 제1면과, 제1면과 대향 설치된 제2면과, 네 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110)의 내부에는 트레이(150)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제1, 2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몸체(110)의 제1면에는 제1조작부(120)가 장착되고 제2면에는 제2조작부(130)가 장착되며, 하나의 측면에는 커버(140)가 장착되고, 다른 측면에는 제1방사면(160)이 장착되며 또 다른 측면에는 제2방사면(170)이 장착되고, 나머지 측면에는 제1조작부(120)의 제1베젤(122)의 굴곡부와 제2조작부(130)의 제2베젤(132)의 굴곡부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조작부(120)의 제1베젤(122)의 굴곡부와 제2조작부(130)의 제2베젤(132)의 굴곡부는 비방사면(125)을 이룬다.
이러한 몸체(110)의 제1면과 제2면은 일정 각도(θ)를 이루고, 이에 따라 비방사면(125)의 높이(X)와 제2방사면의 높이(Y)는 서로 상이하다.
몸체(110)의 제1면에 제1조작부(120)의 제1키부(1121)와 제1인쇄회로기판(123)이 나사 결합되고, 몸체(110)의 제2면에 제2조작부(130)의 제2키부(131)와 제2인쇄회로기판(134)이 나사 결합된다.
몸체(110)의 제1면에 제1조작부(120)의 제1베젤(122)이 훅(hook) 결합되고, 제2면에 제2조작부(130)의 제2베젤(132)이 훅 결합된다.
몸체(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는 제1조작부(120)의 제1인쇄회로기판(123) 및 제2조작부(130)의 제3인쇄회로기판(134)을 지지한다.
몸체(110)는 내부에 인입된 트레이(150)를 로킹하는 록부재(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록부재(111)는 탄성 바이어스로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밀림으로써 트레이(150)를 록 또는 록 해제한다.
이러한 록 부재(11)는 단부가 갈고리 형으로 형성된 걸림부(A)를 가진다.
록부재(111)의 걸림부(A)는 트레이(150)가 인입되면 트레이(150)의 연장부(156)에 걸리고,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밀리면 트레이(150)를 록 해제한다. 이때 트레이(150)가 인출된다.
몸체(110)에는 록 부재(111)의 장착을 위해 록부재(111)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2)가 마련된다.
몸체(110)는 가이드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3)는 트레이(150)의 가이드 홈에 안착되고, 트레이(150)의 인입 및 인출 시 트레이(150)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몸체(110)의 각 면에 제1조작부(120), 제2조작부(130), 커버(140), 트레이(150), 제1방사면(160) 및 제2방사면(170)이 장착되면, 영상 기기인 텔레비전의 방송 시청용 제1조작부(120)와, 인터넷용 제2조작부(130)가 일체로 마련된 원격 제어 장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를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조작부(120)는 영상 기기(200)에서 제1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제1모드의 제어 신호를 영상 기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모드는 방송 시청 모드이다.
이러한 제1조작부(120)는 제1키부(121), 제1베젤(122) 및 제1인쇄회로기판(PCB, 12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키부(121)는 방송 시청 모드인 제1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키(121a, 121b, 121c)를 가지고, 이 복수의 키는 세로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키는 채널 입력을 위한 숫자 키(121a), 채널 및 음량을 한 단계씩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상하 키(121b), 이전 채널로 변경, 자동 채널 설정, 메뉴와 같은 기능 키(121c)를 포함한다.
제1베젤(122)은 제1키부(121)에 적층되어 제1키부(121)를 고정시키면서 몸체(110)의 제1면을 커버한다. 여기서 제1베젤(122)은 훅 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이 제1베젤(122)의 훅 장착부에는 몸체(110)의 제1면 측에 마련된 훅이 결합된다.
제1베젤(122)에는 제1키부(121)의 복수 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베젤(122)의 복수 관통공에는 제1키부(121)의 복수의 키가 관통된 후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키 조작이 용이하다.
제1베젤(122)은 일측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는 제2조작부(130)의 굴곡부와 맞닿으며 이 두 굴곡부는 비방사면(125)을 이룬다.
제1인쇄회로기판(123)은 제1키부(121)의 복수 키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접점을 가지고, 제1키부(121)의 복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와 접점 접촉 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판단하고 판단된 키의 신호를 영상기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키의 판단 방식은, 키 밑 제1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서의 전하의 양을 검출하여 눌려진 키를 판단하는 방식과, 키 밑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이 붙었다 떨어졌다 할 때의 전류의 흐름 여부로 눌려진 키를 판단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판단된 키의 위치는 바이오스를 통해 키 스캔코드로 변환되고, 버퍼에 기록된 다음 제1제어부로 보내진다.
제1인쇄회로기판(123)은 복수의 접점으로부터 키의 가압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제1입력부와, 전기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압된 키를 판단하고 판단된 키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 키 신호를 영상기기로 송신하는 제1송신부와, 배터리(Bat)와 연결되어 배터리(Bat)의 전력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제1인쇄회로기판(123)은 탄성부재인 제1스프링(S1)과 제2스프링(S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스프링(S1)과 제2스프링(S2)은 트레이(150) 인출 시 트레이(15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트레이(150)의 인출을 보조하고, 동시에 트레이(150) 인입 시 트레이(150)의 제1도전부재(152)와 제2도전부재(15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력을 전달받아 제1인쇄회로기판(123)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1송신부(123d)는 제1인쇄회로기판(123)의 단변에 설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120)에 복수의 키가 세로형으로 마련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제1조작부(120) 조작 시 원격 제어 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그립하기 때문에, 제1인쇄회로기판(123)의 상하 단변 중 영상 기기(20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측 단변에 제1송신부(123d)를 설치함으로써 통신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123)의 상측 단변에 마련된 제1송신부(123d)의 방사 방향에는 제1방사면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1송신부(123d)의 키 신호는 제1방사면(160)을 투과하고, 제1방사면(160)에 투과된 키 신호가 영상 기기(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1송신부(123d)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다.
아울러 제1송신부(123d)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이용 가능하다.
제1인쇄회로기판(123)은 배터리(Ba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Bat)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고, 전원부를 통해 제2인쇄회로기판(1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인쇄회로기판(134)으로 공급되는 배터리(Bat)의 전력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인쇄회로기판(123)은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전송되는 방향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대응하는 사용 모드를 판단하고, 이때 사용자의 의지가 제1모드인 경우에는 배터리(Bat)로부터 구동 전력을 직접 공급받고, 사용자의 의지가 제2모드인 경우에는 배터리(Bat)의 전력을 제2인쇄회로기판(134)으로 공급한다.
제2조작부(130)는 영상 기기(200)에서 제2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제2모드의 제어 신호를 영상 기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2모드는 인터넷 이용 모드이다.
이러한 제2조작부(130)는 제2키부(131), 제2베젤(132), 표시부(133) 및 제1인쇄회로기판(PCB, 134)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키부(131)는 인터넷 이용 모드인 제2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가지고, 이 복수의 키는 가로형으로 배치된다.
제2키부(131)에 마련된 복수의 키는 한글 키, 영문 키, 숫자 키, 특수문자 키와 기능 키를 포함한다.
제2키부(131)는 자판이 배열된 형태에 따라 한글 2벌식 자판과 한글 3벌식 자판, 영문 쿼티(qwerty) 자판, 영문 드보록 자판 중 어느 하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영문 쿼티 자판은 미국의 표준 자판으로 숫자 키 아래에 있는 첫번 째 줄의 영문자를 자판 왼쪽부터 Q, W, E, R, T, Y 순서로 배치한 것이고, 영문 드보록 자판은 미국표준협회(ANSI)가 제2표준으로 채택한 자판으로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키를 중앙에 배치한 것이다.
제2키부(131)에는 문자 키 이외에 컨트롤(Ctrl), 알트(Alt), 시프트(Shift), 엔터(Enter), 탭(Tab) 등 다양한 기능 키가 있다. 이들 기능 키는 키의 본래 의미를 변경시키거나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할 때,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제2키부(131)는 커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마우스, 방향키,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 가능하다.
제2베젤(132)은 제2키부(131)에 적층되어 제2키부(131)를 고정시키면서 몸체(110)의 제2면을 커버한다. 여기서 제2베젤(132)은 훅 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이 제2베젤(132)의 훅 장착부에는 몸체(110)의 제2면 측에 마련된 훅이 결합된다.
제2베젤(132)에는 제2키부(131)의 복수 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베젤(132)의 복수 관통공에는 제2키부(131)의 복수의 키가 관통된 후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키 조작이 용이하다.
제2베젤(132)은 일측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는 제1조작부(120)의 굴곡부와 맞닿으며 이 두 굴곡부는 비방사면(125)을 이룬다.
표시부(133)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제2키부(121)의 키 문구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문자는 인터넷 연결, 사이트 접속, 검색 등을 위한 문자로, 영상 기기(200)에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인터넷 사용을 위해 제2조작부(130)로 문자 입력 시 표시부(LCD)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기기(200)를 보지 않고서도 문자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고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134)은 제2키부(131)의 복수 키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접점을 가지고, 제2키부(131)의 복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와 접점 접촉 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를 판단하고 판단된 키의 신호를 영상기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키의 판단 방식은, 키 밑 제2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서의 전하의 양을 검출하여 눌려진 키를 판단하는 방식과, 키 밑 제2인쇄회로기판의 접점이 붙었다 떨어졌다 할 때의 전류의 흐름 여부로 눌려진 키를 판단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판단된 키의 위치는 바이오스를 통해 키 스캔코드로 변환되고, 버퍼에 기록된 다음 제1제어부로 보내진다.
제2인쇄회로기판(134)은 복수의 접점으로부터 키의 가압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제2입력부와, 전기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압된 키를 판단하고 판단된 키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 키 신호를 영상기기로 송신하는 제2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송신부(134c)는 제2인쇄회로기판(134)의 장변 측에 설치한다.
즉 제2조작부(130)에 복수의 키가 가로형으로 마련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가로 방향으로 그립하기 때문에 제2인쇄회로기판(134)의 상하 장변 중 영상 기기(20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측 장변에 제2송신부(134c)를 설치함으로써 제2송신부(134c)의 통신 속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134)의 상측 장변에 마련된 제2송신부(134c)의 방사 방향에는 제2방사면(170)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2송신부(134c)의 키 신호는 제2방사면(170)을 투과하고, 제2방사면(170)에 투과된 키 신호가 영상 기기(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2송신부(134c)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다.
제2키부(131)는 제1키부(121)보다 키의 수가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이에 제2조작부(130)를 통해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도 다양하다. 또한 제2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된 키는, 각 사이트의 아이디, 비밀 번호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안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2송신부(134c)는 광대역 통신으로 안정성이 높은 라디오 주파수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다.
특히 블루투스는 저전력으로 사용 가능하고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해 보낼 수 있어 무선 전송에 따른 보안 위협에도 상대적으로 매우 안전하다.
또한 라디오 주파수 및 블루투스 통신은 곡선 통신이 가능하여 영상 기기와의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수월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송신부(134c)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적외선 통신도 이용 가능하다.
제2인쇄회로기판(134)의 상측 장변에 마련된 제2송신부(134c)의 방사 방향에는 제2방사면(170)이 위치되고, 하측 장변에는 비방사면(125)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2송신부(134c)의 키 신호는 제2방사면(170)을 투과한다.
제2인쇄회로기판(134)은 제1인쇄회로기판(123)을 통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인쇄회로기판(123)으로부터 배터리(Bat)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인쇄회로기판(134)은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전송되는 방향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대응하는 사용 모드를 판단하고, 이때 사용자의 의지가 제2모드인 경우에는 제1인쇄회로기판(123)를 통해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부(120)의 제1베젤(122)과 제2조작부(130)의 제2베젤(132)은 일정 각도(θ)를 이루고, 이에 따라 제1베젤(122)과 제2베젤(132)의 양 측면인 비방사면(125)의 높이(X)와 제2방사면의 높이(Y)는 서로 상이하다.
즉 제1베젤(122)과 제2베젤(132)의 양 측면인 비방사면(125)과 제2방사면은 대향 설치되나 비 방사면 측의 두께와 제2방사면 측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는 제2방사면 측의 두께가 비방사면(125) 측의 두께보다 두꺼워 단면이 삼각형인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140)는 몸체(110)의 일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몸체(110)의 내부를 개폐한다.
이러한 커버(140)는 트레이(150)의 인출 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몸체(110)에서 분리되어 몸체(110)를 개방하고, 트레이(150) 인입 후 슬라이딩 방식으로 몸체(110)에 결합되어 몸체(110)를 폐쇄한다.
트레이(150)는 복수 개의 배터리(Bat1 내지 Bat4)를 수용하고, 복수 개의 배터리를 수용한 상태에서 몸체(110) 내부에 인입 및 인출된다.
트레이(150)는 탄성부재(S1, S2)를 통해 제1인쇄회로기판(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인쇄회로기판(123)으로 배터리의 전력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50)는 복수의 수용부(151)를 가지고, 각 수용부(151)는 배터리(Bat1 내지 Bat4)를 수용한다.
여기서 제1배터리(Bat1)와 제2배터리(Bat2)는 직렬로 연결되어 제1 쌍을 이루고, 제3배터리(Bat3)와 제4배터리(Bat4)는 직렬로 연결되어 제2쌍을 이루며, 제1쌍과 제2쌍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터리의 연결 구조를 위해 트레이(150)에는 제1 도전부재 내지 제4도전부재가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레이(150)는 두 배터리(Bat1, Bat3)의 음극이 연결되고 동시에 제1스프링(S1)이 접촉되는 제1도전부재(152), 두 배터리(Bat2, Bat4)의 양극이 연결되고 동시에 제2스프링(S2)이 접촉되는 제2도전부재(153), 두 수용부(151)의 경계면에 마련되어 두 배터리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제3도전부재(154) 및 제4도전부재(155)을 가진다.
여기서 제3도전부재(154)의 일 측면에는 제1배터리(Bat1)의 양극이 연결되고 동시에 타측면에는 제2배터리(Bat2)의 음극이 연결되어 제1배터리(Bat1)와 제2배터리(Bat2)가 직렬 연결되고, 제4도전부재(155)의 일 측면에는 제3배터리(Bat3)의 양극이 연결되고 동시에 타측면에는 제4배터리(Bat4)의 음극이 연결되어 제3배터리(Bat3)와 제4배터리(Bat4)가 직렬 연결된다.
트레이(150)는 제1도전부재(152)가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56)를 더 포함한다.
트레이(150)의 연장부(156)는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이 연장부(156)의 도전부재는 제1도전부재(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트레이(150) 인입 시 제2스프링(S2)과 접촉되어 제2스프링(S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장부(156)의 도전부재와 제1도전부재(152)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50)의 연장부(156)에는 트레이(150) 인입 시 록 부재(111)의 걸림부(A)가 안착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에 의한 트레이(15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110)에 트레이(150)가 인입되면 록 부재(111)에 의해 트레이(150)가 고정되고 트레이(150)의 인입에 의해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150)의 제2도전부재(153)와 제1스프링(S1)가 접촉되고, 제1도전부재(152)와 제2스프링(S2)이 접촉된다. 즉, 락 부재(111)에 의해 트레이(150)에 고정력이 부가됨으로써 탄성부재인 스프링과의 접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50)가 몸체(110)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4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고 록 부재(111)의 걸림부(A)를 밀면 록 부재(111)의 걸림부(A)가 연장부(156)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때 제1, 2스프링(S1, S2)에 복원력이 작용하여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트레이(150)에 인출력을 부여하고 이로 인해 트레이(150)는 외부로 인출된다. 이후 걸림부(A)는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에 위치한다.
아울러 트레이(150)는 트레이 푸쉬 방식으로 인출 및 인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버튼을 이용한 푸쉬 방식으로 인출 및 인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트레이(150)에 복수의 배터리를 장착시켜 복수의 배터리를 하나의 팩으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를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고, 배터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AAA" 타입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1.5V의 배터리 4개를 두 개씩 병렬로 연결하여 3V를 구현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방사면(160)는 몸체(110)의 단변에 설치되고 투명 창으로 이루어지고, 제1송신부(123d)의 키 신호인 적외선 신호를 투과시킨다.
제2방사면(170)는 몸체(110)의 장변에 설치되고 투명 창으로 이루어지고, 제2송신부(134c)의 키 신호인 라디오 주파수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투과시킨다.
제 7은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1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원부(123a), 제1입력부(123b), 제1제어부(123c), 제1송신부(123d), 제2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제2입력부(134a), 제2제어부(134b), 제2송신부(134c) 표시 구동부(134d), 방향 검출부(180)를 포함한다.
전원부(123a)는 배터리의 전력을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아울러 전원부(123a)는 배터리의 전압을 각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123a)는 제1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1인쇄회로기판(123)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2인쇄회로기판(134)으로 공급되도록, 배터리의 전력을 스위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23b)는 제1조작부(120)의 제1키부(121)에 마련된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키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1제어부(123c)는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동작 신호(예를 들어 온 신호)가 전송되면 각 구동부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비동작 신호(예를 들어 오프 신호)가 전송되면 각 구동부의 구동을 온시킴으로써 제1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1모드를 제어한다.
제1제어부(123c)는 사용자의 의도가 제1모드 수행으로 판단되면 제1입력부(123b)로부터 전송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적외선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1송신부(123d)는 제1제어부(123c)의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된 적외선 신호를 영상 기기(2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1조작부(120)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입력부(134a)는 제2조작부(130)의 제2키부(131)에 마련된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키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2제어부(134b)는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비동작 신호(예를 들어 오프 신호)가 전송되면 각 구동부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동작 신호(예를 들어 온 신호)가 전송되면 각 구동부의 구동을 온시킴으로써 제2키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모드를 제어한다.
제2제어부(134b)는 사용자의 의도가 제2모드 수행으로 판단되면 제2입력부(134a)로부터 전송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고, 제2입력부(134a)로부터 전송된 키의 문자 표시를 제어한다.
만약, 제2송신부(134c)가 블루투수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제2제어부(134b)는 제2입력부(134a)로부터 전송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루투스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2송신부(134c)는 제2제어부(134b)의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영상 기기(200)에 전송한다.
표시 구동부(134d)는 제2제어부(134b)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2입력부(134a)에 입력된 키의 문자를 표시한다.
방향 검출부(180)는 제2인쇄회로기판(134)에 장착되고,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중 위를 향하는 조작부가 어느 조작부인지 검출한다.
이러한 방향 검출부(180)는 제2조작부(130)가 위를 향하면 동작하여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제2조작부가 아래를 향하면 비동작하여 동작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제2조작부(130)가 위치한 방향을 검출한다.
즉, 방향 검출부(180)는 동작 신호(예를 들어 온 신호)를 제1, 2제어부에 전송하고, 또한 비동작 신호(예를 들어 오프신호)를 제1, 2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는, 방향 검출부(180)로부터 전송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중 위를 향하는 조작부가 어느 조작부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모드가 제1모드인지 제2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조작부(120)와 제2조작부(13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한다.
아울러 방향 검출부(180)는 제1인쇄회로기판(123)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제1인쇄회로기판(123) 및 제2인쇄회로기판(134)과 독립적으로 몸체(11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를 수행하는 영상 기기(200)는, 제1수신부(210), 제2수신부(220), 제3제어부(230), 영상구동부(240), 사운드 구동부(250),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기기(200)는 텔레비전으로, 방송 시청을 위한 제1모드와 인터넷 이용을 위한 제2모드를 수행한다.
제1수신부(210)는 제1조작부(120)로부터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제3제어부(230)에 전송한다.
제2수신부(220)는 제1조작부(120)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수신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제3제어부(230)에 전송한다.
제3제어부(230)는 제1수신부(210)를 통해 적외선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적외선 신호의 코드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 구동부(240) 및 사운드 구동부(250)의 구동을 지시하여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3제어부(230)는 제2수신부(220)를 통해 라디오 주파수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라디오 주파수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의 코드를 분석하여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통신부(260)의 구동을 제어하고, 또한 영상 구동부(240) 및 사운드 구동부(250)의 구동을 지시하여 인터넷 영상 및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3제어부(230)는 제2수신부(220)를 통해 전송된 제2조작부(130)의 키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의 표시를 제어한다.
영상구동부(240)는 제3제어부(230)의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 영상 또는 인터넷 영상을 출력하고 제2조작부(130)로부터 전송된 키의 문자를 표시하며, 사운드 구동부(250)는 제3제어부(230)의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 사운드 또는 인터넷 사운드를 출력한다.
통신부(260)는 제3제어부(230)의 명령에 대응하여 인터넷을 연결한다. 이러한 통신부(260)는 영상 기기인 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용 셋탑 박스에 마련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인터넷 이용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모드 전환이 편리하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문자 입력 시 원격 제어 장치의 표시부(LCD)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기 때문에 영상기기를 보지 않고도 문자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고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향 검출부(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조작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조작부에 마련된 키의 조작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전기기기 110: 몸체
120: 제1조작부 130: 제2조작부
140: 커버 150: 트레이
160: 제1방사면 170: 제2방사면

Claims (31)

  1.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수행하는 영상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1키부와, 상기 제1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와,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송신부가 마련된 제1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제1조작부;
    상기 제1키부와 다른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2키부와, 상기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생성된 키의 신호를 상기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와, 상기 제2제어부와 상기 제2송신부가 마련된 제2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제2조작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이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 부재가 마련된 몸체;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제어부로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방향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측에 위치한 조작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측에 위치한 조작부가 제2조작부이면 상기 제2제어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인 원격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향한 제2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제1면에 상기 제1조작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제2면에 상기 제2조작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는 일 측이 서로 맞닿는 원격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가 맞닿는 일측은 일정 각도를 이루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및 라디오 주파수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부와 제2송신부는,
    적외선 통신, 라디오 주파수 통신,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고, 상기 제1키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키부의 키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고, 상기 제2키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2키부의 키 신호를 상기 제2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인출 및 인입되는 홀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트레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록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탄성 바이어스로 이루어진 원격 제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일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록부재는 상기 연장부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인출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도전부재와,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재와 제2도전부재는 제1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제1도전부재와 연결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트레이의 제2도전부재와 연결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제1배터리 내지 제4배터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는 한 쌍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배터리와 제4배터리는 다른 한 쌍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배터리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배터리의 양극과 제3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도전부재;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과 제4배터리의 양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도전부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한 쌍의 제1, 2배터리가 직렬 연결되도록 제1배터리의 양극과 제2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도전부재와,
    다른 한 쌍의 제3, 4배터리가 직렬 연결되도록 제3배터리의 양극과 제4배터리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도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푸쉬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원격 제어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는 방송 시청을 위한 모드이고, 상기 제2모드는 인터넷 이용을 위한 모드인 원격 제어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외관이 삼각 기둥 형으로 이루어진 원격 제어 장치.
  24. 제1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1키부와, 상기 제1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키의 신호를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가지는 제1조작부;
    상기 제1키부와 다른 면에 마련되고 제2모드를 조작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는 제2키부와, 상기 제2키부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키의 신호를 상기 영상 기기로 전송하되 상기 제1송신부와 다른 통신으로 키 신호를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가지는 제2조작부; 및
    상기 제1송신부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방사면과, 상기 제1방사면과 다른 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송신부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방사면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조작부의 일측에서 굴곡된 굴곡부와, 상기 제2조작부의 일측에서 굴곡된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의 굴곡부와 상기 제2조작부의 굴곡부는, 서로 맞닿아 형성되되 상기 제2방사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비 방사면을 이루는 원격 제어 장치.
  25. 삭제
  26. 삭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사면의 두께와 비방사면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 원격 제어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부는 세로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키부는 가로형으로 마련된 원격 제어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면은 세로형 제1키부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방사면은 가로형 제2키부의 상측에 마련된 원격 제어 장치.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및 라디오 주파수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
  31. 삭제
KR1020110021421A 2011-03-10 2011-03-10 원격 제어 장치 KR10188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21A KR101885764B1 (ko) 2011-03-10 2011-03-10 원격 제어 장치
EP12157132.7A EP2498403B1 (en) 2011-03-10 2012-02-27 Remote control apparatus
US13/407,999 US9209785B2 (en) 2011-03-10 2012-02-29 Remote control apparatus
CN201210060447.9A CN102682584B (zh) 2011-03-10 2012-03-09 遥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21A KR101885764B1 (ko) 2011-03-10 2011-03-10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62A KR20120103262A (ko) 2012-09-19
KR101885764B1 true KR101885764B1 (ko) 2018-08-06

Family

ID=4589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21A KR101885764B1 (ko) 2011-03-10 2011-03-10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9785B2 (ko)
EP (1) EP2498403B1 (ko)
KR (1) KR101885764B1 (ko)
CN (1) CN102682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72B1 (ko) * 2016-10-24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9674B1 (ko) 2016-12-23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8737971B (zh) * 2018-05-11 2022-08-30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身份认证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0802604B1 (en) * 2019-11-27 2020-10-13 Dell Products L.P. Mechanical switch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P4117101B1 (en) * 2021-04-29 2024-06-12 Solum Co., Ltd. Battery case and electronic price indicato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25B1 (ko) * 2009-10-30 2010-06-04 (주)엔에스티 키보드 부설 멀티리모콘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424A (ja) * 1984-03-14 1985-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発信器
FR2681711B1 (fr) * 1991-09-20 1996-08-02 Itt Composants Instr Etui portatif pour 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JPH06254781A (ja) * 1993-03-04 1994-09-13 Shibaura Eng Works Co Ltd 工業用ロボット
US6094156A (en) * 1998-04-24 2000-07-25 Henty; David L. Handheld remote control system with keyboard
US6532592B1 (en) * 1998-11-09 2003-03-11 Sony Corporatio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20040095326A1 (en) * 1999-07-27 2004-05-20 Anderson Glen J. Two-sided input device for a computer-related apparatus
AU2001277898A1 (en) * 2000-07-17 2002-01-30 Sensory Science Corporation Multimedia appliance
DE10059981C2 (de) * 2000-12-02 2003-10-30 Met At Box Ag Mobile Fernbedienung
US6717075B1 (en) * 2003-01-08 2004-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sided input device
JP4301493B2 (ja) 2003-04-09 2009-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7283852B2 (en) * 2003-09-10 2007-10-16 Nokia Corporation Movable functional ele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62569A1 (en) * 2004-01-06 2005-07-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alphanumeric input
KR20070021782A (ko)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키패드형 리모컨의 구조 및 제어방법
US9823747B2 (en) * 2006-02-08 2017-11-21 Oblong Industries, Inc. Spatial, multi-modal control device for use with spatial operating system
CN101330811B (zh) * 2007-06-22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8288035B2 (en) * 2009-01-09 2012-10-16 Electrochem Solutions, Inc. Modular battery pack
US7926971B2 (en) * 2009-01-14 2011-04-19 Mag Instrument, Inc. Battery pack assemblies and portable lighting devices employing same
ES2370067B1 (es) * 2009-12-01 2012-10-30 Linguaversal, S.L Sistema para controlar a distancia sistemas computerizados
US20110304542A1 (en) * 2010-06-10 2011-12-15 Isaac Calderon Multi purpose remote control with display
US8670078B2 (en) * 2010-10-26 2014-03-11 BBY Solutions Two-sided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25B1 (ko) * 2009-10-30 2010-06-04 (주)엔에스티 키보드 부설 멀티리모콘
KR100980741B1 (ko) * 2010-06-09 2010-09-07 백규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62A (ko) 2012-09-19
US20120229708A1 (en) 2012-09-13
CN102682584B (zh) 2015-11-04
US9209785B2 (en) 2015-12-08
EP2498403A1 (en) 2012-09-12
CN102682584A (zh) 2012-09-19
EP2498403B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764B1 (ko) 원격 제어 장치
EP1840703B1 (en) Operating body,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6574083B1 (en) Electronic equipment interface with command preselection indication
AU2005203274B2 (en) Inpu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2210522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9980018618A (ko) 리모트컨트롤장치
EP1339232B1 (en) Monitor device, bas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027375A1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US20030184515A1 (en) Computer user input assembly with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US20090231296A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7212146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2002171461A (ja) モニタ装置およびベース装置
JP2012164529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及び電子機器
US20070200824A1 (en) Wireless foldable mouse
JP4214874B2 (ja) 電子機器
KR200279072Y1 (ko) 복합 리모트 콘트롤러
KR200408473Y1 (ko) 개선된 키패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10164392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テレビチューナー、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652723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안 장치
KR101517897B1 (ko)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KR200400329Y1 (ko) 리모콘
JP2002169630A (ja) 情報端末装置
JPH07325558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51135A (ko) 충전식리모컨의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