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897B1 -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897B1
KR101517897B1 KR1020130122486A KR20130122486A KR101517897B1 KR 101517897 B1 KR101517897 B1 KR 101517897B1 KR 1020130122486 A KR1020130122486 A KR 1020130122486A KR 20130122486 A KR20130122486 A KR 20130122486A KR 101517897 B1 KR101517897 B1 KR 10151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touch pad
disposed
main body
butt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738A (ko
Inventor
전만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앰
Priority to KR102013012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8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버튼 군(群) 및 터치 패드가 배치되는 하부 본체로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부 본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상기 하부 본체; 제2 버튼 군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며, 상기 하부 본체에 폴딩되었을 때의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 상기 제1 버튼 군, 상기 제2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본체에 기능 버튼 군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자판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인터넷 검색이나 포인팅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리모컨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자판 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통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배면에 버튼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소위 "그립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상부 본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 본체가 언폴딩되었을 때 뿐만 아니라 폴딩되었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인팅 기능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REMOTE CONTROLLER HAVING TOUCH PAD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버튼 군(群), 제2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며 텔레비젼, 셋탑박스 등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및 문자 입력과 포인팅 기능을 수행하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리모컨은 장치의 원격 제어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특히 텔레비전이나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의 전자 장치의 원격 제어에 사용된다.
한편 디지털 방송의 보급이나 스마트 TV의 보급에 의해서 텔레비전이나 셋탑박스, 영상 기기 등을 위해서 사용되는 원격 제어 기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리모컨의 버튼을 통하여 텔레비전의 채널 선택, 음량 조절, 영상 기기의 빨리 감기, 정지, 되감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였으나, 예컨대 스마트 TV를 위한 리모컨의 경우 인터넷 검색을 위한 문자 입력이나 홈페이지 조회 등을 위한 포인팅 기능 등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 때문에 리모컨에 버튼만이 아니라 터치 패드 등을 부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성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662121호는 터치패드 스크린을 부착한 리모컨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662121호는 종래의 리모컨의 일부 기능을 터치 패드 스크린을 통하여 구현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662121호는 채널 탐색이나 볼륨 조절 등의 기능을 터치패드 스크린을 통하여 구현한 것일 뿐이며, 특히 문자 입력 등 최근의 리모컨에서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시하거나 시사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119835호는 터치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리모컨을 개시하고 있다. 즉 단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선택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서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19835호의 구성은 특히 종래 리모컨의 주요 기능인 TV의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즉 한국등록특허 제10-1119835호의 구성은 리모콘을 시각적으로 보지 않고도 단말기기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직관적으로 목적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매우 간편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에 대해 실행명령을 내릴 수 있는 터치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지만, 주로 사용되는 기능인 채널 선택, 음량 조절 등의 기능은 종래의 리모컨에 비해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문자 입력 등 최근의 리모컨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시하거나 시사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디자인 제30-066973호는 리모컨을 3각 기둥 형태로 구성하고, 3각 기둥의 3개의 면 중에서 한쪽 면에는 쿼티 자판 버튼이 배열되고 다른 한쪽면에는 스마트 TV 기능을 위한 버튼이 배열되고 나머지 한쪽 면에는 일반 리모컨 기능 버튼이 배열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 디자인 제30-066973호에 개시된 구성은 사용자가 리모컨을 돌려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3개의 면에 각각 기능 버튼이 배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소위 "그립 감"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모컨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도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662121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1119835호
1. 한국등록디자인 제30-0669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본체에 기능 버튼군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자판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인터넷 검색이나 포인팅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리모컨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자판 버튼 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통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버튼 군(群) 및 터치 패드가 배치되는 하부 본체로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부 본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상기 하부 본체; 제2 버튼 군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며, 상기 하부 본체에 폴딩되었을 때의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 상기 제1 버튼 군, 상기 제2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언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 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3 제어 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동작 표시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 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동작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는 제1 무선 전송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는 제2 무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송부 및 상기 제2 무선 전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본체에 기능 버튼 군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자판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인터넷 검색이나 포인팅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리모컨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자판 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통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배면에 버튼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소위 "그립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상부 본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 본체가 언폴딩되었을 때 뿐만 아니라 폴딩되었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인팅 기능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제어부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무선 전송부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가 언폴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가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은 하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200)와 제어부(300)와 무선 전송부(400)를 구비한다.
하부 본체(100)에는 제1 버튼 군(群)(110) 및 터치 패드(150)가 배치된다.
제1 버튼 군(110)은 예컨대 QWERTY 자판 등의 자판 버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은 제1 버튼 군(110)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패드(150)는 포인팅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의 화면 또는 셋탑박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등에 표시되는 화살표 등을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본체(100)에는 제1 버튼 군(110) 및 터치 패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동작 표시부(17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본체(200)에는 제2 버튼 군(210)이 배치되며, 하부 본체(100)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며, 하부 본체(100)에 폴딩되었을 때의 하부 본체(100)의 터치 패드(150)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도 4의 25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버튼 군(210)은 예컨대 채널 변경, 음량 조절, 채널 선택을 위한 키패드, 기능 설정 버튼, 종료 버튼, 전원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이다. 제2 버튼 군(210)은 종래의 리모컨의 기능 버튼들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본체(200)에는 제2 버튼 군(2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동작 표시부(27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버튼 군(110), 제2 버튼 군(210) 및 터치 패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제어부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가 언폴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가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200)는 예컨대 힌지 연결을 통하여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에 폴딩되었을 때, 제어부(300)는 제2 버튼 군(210) 및 터치 패드(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에 폴딩되는 경우 하부 본체(100)에 배치된 제1 버튼 군(110)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어부(300)는 제2 버튼 군(210) 및 터치 패드(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제2 버튼 군(21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절, 채널 선택을 위한 키패드, 기능 설정 버튼, 종료 버튼, 전원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을 통하여 또는 터치 패드(150)를 통한 포인팅 기능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로부터 언폴딩되었을 때, 제어부(300)는 제1 버튼 군(110) 및 터치 패드(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로부터 언폴딩되는 경우, 하부 본체(100)에 배치된 제1 버튼 군(110) 및 터치 패드(15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부 본체(200)에 배치된 제2 버튼 군(210)은 언폴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해당 제2 버튼 군(210)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기가 어려우므로 제어부(300)는 제1 버튼 군(110) 및 터치 패드(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300)는 하부 본체(100) 또는 상부 본체(2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하부 본체(100)에 배치되며, 제1 버튼 군(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패드(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310)와, 상부 본체(200)에 배치되며, 제2 버튼 군(2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330)와, 하부 본체(100) 및 상부 본체(2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350)는, 제1 제어 신호와 제3 제어 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된 경우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에 폴딩되었을 때, 하부 본체(100)에 배치된 제1 버튼 군(110)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나, 사용자가 제2 버튼 군(210)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그 밑에 있는 제1 버튼 군(110)의 버튼도 눌려지게 되어서 제1 제어 신호와 제3 제어 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350)는 제3 제어 신호 즉 제2 버튼 군(210)의 버튼을 통하여 인가된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전송부(4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무선 전송한다. 예컨대 무선 전송부(4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 또는 셋탑박스 등의 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무선 전송부(400)는 하부 본체(100) 또는 상부 본체(2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본체(100) 및 상부 본체(200) 각각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의 무선 전송부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송부(400)는, 하부 본체에 배치되는 제1 무선 전송부(410) 및 상부 본체(200)에 배치되는 제2 무선 전송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제1 무선 전송부(410) 및 제2 무선 전송부(4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본체(100)의 제1 버튼 군(110) 또는 터치 패드(150)를 통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1 무선 전송부(410)를 통하여 그리고 상부 본체(200)의 제2 버튼 군(210)을 통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2 무선 전송부(450)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본체에 기능 버튼 군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자판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인터넷 검색이나 포인팅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리모컨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자판 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통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배면에 버튼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소위 "그립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상부 본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 본체가 언폴딩되었을 때 뿐만 아니라 폴딩되었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인팅 기능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리모컨에 비해서 개선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부피 증가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본체에 기능 버튼 군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자판 버튼 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고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인터넷 검색이나 포인팅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리모컨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며, 상부 본체에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자판 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통하여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배면에 버튼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소위 "그립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상부 본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 본체가 언폴딩되었을 때 뿐만 아니라 폴딩되었을 때에도 터치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인팅 기능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100: 하부 본체 110: 제1 버튼 군
150: 터치 패드 170: 제1 동작 표시부
200: 상부 본체 210: 제2 버튼 군
250: 개구부 270: 제2 동작 표시부
300: 제어부 310: 제1 제어부
330: 제2 제어부 350: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
400: 무선 전송부 410: 제1 무선 전송부
450: 제2 무선 전송부

Claims (10)

  1. 제1 버튼 군(群) 및 터치 패드가 배치되는 하부 본체로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하부 본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상기 하부 본체;
    제2 버튼 군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folding)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며, 상기 하부 본체에 폴딩되었을 때의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터치 패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
    상기 제1 버튼 군, 상기 제2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
    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는 힌지 연결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언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 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3 제어 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군 및 상기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동작 표시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 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동작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기 상부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하부 본체에 배치되는 제1 무선 전송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배치되는 제2 무선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송부 및 상기 제2 무선 전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KR1020130122486A 2013-10-15 2013-10-15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KR10151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486A KR101517897B1 (ko) 2013-10-15 2013-10-15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486A KR101517897B1 (ko) 2013-10-15 2013-10-15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38A KR20150043738A (ko) 2015-04-23
KR101517897B1 true KR101517897B1 (ko) 2015-05-06

Family

ID=5303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486A KR101517897B1 (ko) 2013-10-15 2013-10-15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118A (ja) 2006-08-25 2008-03-06 Sharp Corp リモコ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118A (ja) 2006-08-25 2008-03-06 Sharp Corp リモコ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38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159B2 (en) GUI for audio video display device (AVDD) with pervasive appearance but changed behavior depending on command input mode
US20110223899A1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176593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display apparatuses
US20140160353A1 (en)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v interface
KR101715380B1 (ko)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574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6087085A (ja) 入力装置
WO2018120768A1 (zh) 一种遥控方法和终端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JP4951569B2 (ja) 情報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102167289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51942B1 (ko)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1517897B1 (ko) 터치 패드 구비 리모컨
JP2009025848A (ja) 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装置、ならびに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9080709A (ja) 情報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5135426B2 (ja) リモコン装置
JP4052303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648846B2 (ja) 位置入力装置、および、リモコン装置
KR10081299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마우스 제어 시스템
JP4508167B2 (ja) 入力装置
JP2010233157A (ja) リモコン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549885B1 (ko) 무선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JP3750683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