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9Y1 - 리모콘 - Google Patents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9Y1
KR200400329Y1 KR20-2005-0022217U KR20050022217U KR200400329Y1 KR 200400329 Y1 KR200400329 Y1 KR 200400329Y1 KR 20050022217 U KR20050022217 U KR 20050022217U KR 200400329 Y1 KR200400329 Y1 KR 20040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knob
front cov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이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filed Critical 이준희
Priority to KR20-2005-0022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은 전자기기 본체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콘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사이에 그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으며, 일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작봉부재;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그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전자기기 본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모콘{Remote control}
본 고안은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오디오, 텔레비젼, 조명등 등과 같은 전자기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도 그 전자기기 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기능이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위해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이 그 전자기기 본체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모콘은 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콘(1)은 텔레비젼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버튼(30)과, 인쇄회로기판(40)과, 배터리(50)와, 전면커버(10) 및 배면커버(20)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버튼(30)은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면커버(10)의 관통홀(11)을 통해서 상측으로 돌출된 노브(31)들을 포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상면에 접촉되어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노브(31)에 대응하는 다수의 접점(4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노브(31)를 누름으로써 그 접점(41)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 본체(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일 단부에는 작동신호를 전자기기 본체로 송출하기 위한 신호송출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50)는 상기 리모콘(1)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모콘(1)에 있어서, 노브(31)를 누르면 인쇄회로기판(40)이 그에 상응하는 작동신호를 생성시켜 신호송출부(60)를 통해 전자기기 본체로 송출하며, 그 전자기기 본체는 이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전면커버(10) 및 배면커버(2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리모콘(1)을 취급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리모콘(1)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텔레비젼의 채널의 개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채널의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이러한 경우에 시청자가 종래의 리모콘(1)을 사용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노브(31)를 계속해서 눌러서 채널의 번호를 하나씩 올려야 하는데, 예컨대 10번 채널이 선택된 상태에서 원하는 채널이 50번 채널인 경우에는 그 노브(10)를 40번 눌러야 되므로, 채널 선택시 시간이 많이 소모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은 전자기기 본체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콘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사이에 그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으며, 일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작봉부재;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그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신호발생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조작봉부재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그 하우징에 대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노브와, 제1노브와, 제2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노브를 누름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신호발생부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상기 제1노브를 누르고 상기 각 조작봉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제2노브를 누르고 상기 각 조작봉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본체와 다른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여 텔레비젼과 조명등을 제어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기 전에 그 리모콘의 조작봉부재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리모콘의 조작봉부재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200)은 전자기기 본체(101)와, 그 전자기기 본체(101)와 다른 전자기기 본체(102)를 원격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101) 및 다른 전자기기 본체(102)는 각각 텔레비젼과 조명등이다. 상기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텔레비젼 또는 조명등에 수신되도록 하여 그 텔레비젼(101) 또는 조명등(102)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모콘(200)은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조작봉부재들(130,131)과,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신호발생부(160)와, 전원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는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은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는 일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는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을 상기 일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110)를 누르게 되면, 그 전면커버(11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조작봉부재(1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면커버(1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봉부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봉부재(131)도 상기 조작봉부재(130)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그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의 회전 각도(θ)가 크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큰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의 회전 각도(θ)가 작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작은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과,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170)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70)에는 전원노브(171)와, 제1노브(172)와, 제2노브(17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원노브(171)와, 제1노브(172)와, 제2노브(173)는 각각 상기 하우징(170)에 대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노브(171)와, 제1노브(172)와, 제2노브(17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노브(17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신호발생부(160)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리모콘(200)을 상기 텔레비젼 (101)또는 조명등(102)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노브(172)를 누르고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을 회전시키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텔레비젼(101), 예컨대 채널변경 및/또는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그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텔레비젼(101)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2노브(173)를 누르고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을 회전시키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조명등(102), 예컨대 조명등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그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조명등(102)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신호발생부(16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각 신호발생부(160)는 상기 각 조작봉부재(130,131)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신호발생부(1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신호발생부(1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텔레비젼(101) 또는 조명등(102)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발생부(160)는 적외선 LE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노브(171)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봉부재(130)를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채널 번호가 증가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변화하게 되며, 그 조작봉부재(130)의 회전각도(θ)가 커질수록 채널 번호의 증가 속도가 커지게 된다. 반면, 상기 조작봉부재(130)를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채널 번호가 감소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변화하게 되며, 그 조작봉부재(130)의 회전각도(θ)가 커질수록 채널 번호의 감소 속도가 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조작봉부재(1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텔레비젼 음량이 증가하게 되며, 그 조작봉부재의 회전각도가 커질수록 음량의 증가 속도가 커지게 되며, 상기 조작봉부재(1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음량이 감소하게 되며, 그 조작봉부재(131)의 회전각도가 커질수록 음량의 감소 속도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노브(173)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봉부재들(130,131) 중 어느 하나를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조명등(102)의 밝기가 증가하게 되면, 그 조작봉부재(131)의 회전각도(θ)가 커질수록 조명등(102)의 밝기의 증가 속도가 커지게 된다. 반면, 상기 조작봉부재(130,131)를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면, 조명등(102)의 밝기가 감소하게 되며, 그 조작봉부재의 회전각도(θ)가 작아질수록 조명등(102)의 밝기의 감소 속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신호발생부(160)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부(150)로는 일반적으로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전 가능한 충전지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커버(120)에는 충전코드(1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리모콘(20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충전지에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모콘(200)에 있어서는, 텔레비젼(101)과 조명등(102)을 제어하기 위해서, 먼저 전원노브(171)와 마주하는 전면커버(110)의 부분을 눌러서 그 전원노브(171)를 눌러준다. 그 후에 텔레비젼(101)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노브(172)와 마주하는 전면커버(110)의 부분을 눌러서 그 제1노브(172)를 눌러준다. 이와 같이 제1노브(172)가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조작봉부재(130)와 마주하는 전면커버(110)의 부분을 눌러서 그 조작봉부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조작봉부재(130)의 회전각도(θ)의 크기에 비례하여 인쇄회로기판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그 발생된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신호발생부(160)에서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즉, 조작봉부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조작봉부재(130)의 회전각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즉 사용자의 악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텔레비젼(101)의 채널이 증가하는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1노브(172)와 마주하는 배면커버(120)의 부분을 누르게 되면, 그 제1노브(17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제1노브(172)의 회전각도(θ)의 크기에 비례하여, 즉 사용자의 악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텔레비젼(101)의 채널이 감소하는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커버(110) 또는 배면커버(120)를 누르고 그 악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텔레비젼(101)의 채널이 바뀌는 속도를 그 채널의 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텔레비젼(101)의 음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전면커버(110) 또는 배면커버(120)를 눌러서 조작봉부재(1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회전각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음량을 줄이거나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명등(102)의 밝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노브(171)가 눌러져 있는 상태에서, 텔레비젼을 제어하는 경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전면커버(110) 또는 배면커버(120)를 눌러서 조작봉부재(130,1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각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명등(102)의 밝기를 증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200)을 사용하게 되면, 리모콘의 전면커버(110) 또는 배면커버(120)를 누를 때 가해지는 악력을 조절함으로써 텔레비젼(101)의 채널 변화, 음량 조절 및 조명등(102)의 밝기 조절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텔레비젼 및 조명등을 한꺼번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면커버(110) 및 배면커버(120)가 실리콘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리모콘(200)을 취급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리모콘(200)을 떨어뜨리거나 그 리모콘(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리모콘(200)이 파손되는 경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리모콘의 전면커버 또는 배면커버를 누르고 그 누를때 필요한 악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서 리모콘을 조작하기가 용이하다.
더구나, 리모콘의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가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리모콘을 취급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리모콘을 떨어뜨리거나 그 리모콘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리모콘이 파손되는 경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리모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여 텔레비젼과 조명등을 제어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기 전에 그 리모콘의 조작봉부재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리모콘의 조작봉부재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전자기기 본체 110...전면커버
120...배면커버 121...충전코드
130,131...조작봉부재
150...전원부 160...신호발생부
170...하우징 171...전원노브
172...제1노브 173...제2노브

Claims (2)

  1. 전자기기 본체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콘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사이에 그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으며, 일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작봉부재;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그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각 조작봉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신호발생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조작봉부재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그 하우징에 대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노브와, 제1노브와, 제2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노브를 누름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신호발생부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상기 제1노브를 누르고 상기 각 조작봉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제2노브를 누르고 상기 각 조작봉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본체와 다른 전자기기 본체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KR20-2005-0022217U 2005-07-30 2005-07-30 리모콘 KR200400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17U KR200400329Y1 (ko) 2005-07-30 2005-07-30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17U KR200400329Y1 (ko) 2005-07-30 2005-07-30 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9Y1 true KR200400329Y1 (ko) 2005-11-04

Family

ID=437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17U KR200400329Y1 (ko) 2005-07-30 2005-07-30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4562B2 (en) Remote controller having tilt switch and a plurality of metal domes
JP4689710B2 (ja) 据え置き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JP2010062684A (ja) 据え置き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20060092038A1 (en) Chameleon butto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tactile feel
US8421949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090231296A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H0512882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5045576A (ja) リモコン送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送受信装置
KR200400329Y1 (ko) 리모콘
KR101885764B1 (ko) 원격 제어 장치
US9685093B2 (en) Customizable wireless education or occupational therapy tool having a switch unit and a transmitter unit
KR20130091208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텔레비전
KR102231607B1 (ko) 자가발전 스위치
JP4433252B2 (ja) リモコン送信機
US20040145576A1 (en) Wearable touch pad device
US20120106972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EP2995085B1 (en) Remote controller for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 and the like
KR102128908B1 (ko) 리모컨 장치
JP201019310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JP3144940B2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KR20190074473A (ko) 원격 제어 기기
KR200279072Y1 (ko) 복합 리모트 콘트롤러
KR200231959Y1 (ko) 권총형 리모컨
JP2003219490A (ja) リモコン装置
JP2004356675A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