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08B1 - 리모컨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08B1
KR102128908B1 KR1020130111593A KR20130111593A KR102128908B1 KR 102128908 B1 KR102128908 B1 KR 102128908B1 KR 1020130111593 A KR1020130111593 A KR 1020130111593A KR 20130111593 A KR20130111593 A KR 20130111593A KR 102128908 B1 KR102128908 B1 KR 10212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battery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858A (ko
Inventor
김의석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 장치는,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제1리모컨과, 제1리모컨과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모컨 장치{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과 같은 외부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영상 및 음향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전자기기이다. 일반적인 TV가 포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정 거리에서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장치로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리모컨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종하는 키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다수의 키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키 버튼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소재로 된 리모컨의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키 버튼과 외부 하우징의 틈 사이로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이 들어가서 리모컨의 내부회로의 오작동을 유발하기도 하고,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이 리모컨의 외부 하우징 표면에 덮이면서 리모컨을 오염시키게 되고, 그에 따른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리모컨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정에서는 점차 필수적인 생활 가전 요소가 되어 더욱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리모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다양한 디자인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리모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리모컨 장치의 외관을 교체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수용할 수 있는 리모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장치는,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제1리모컨과, 상기 제1리모컨과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리모컨은, 키 입력을 위한 돔 스킨과, 상기 돔 스킨에 결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리모컨은, 상기 제1리모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상기 제1리모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컨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리모컨 또는 제2리모컨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리모컨 또는 제2리모컨 각각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리모컨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리모컨은, 나무, 대리석,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리모컨 장치는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 장치의 다양한 디자인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 장치의 외관을 교체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에서 제1리모컨과 교체 가능한 제2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리모컨에 부착되는 제1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장치에서 제1리모컨과 교체 가능한 제2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2a)과, 디스플레이패널(2a)의 테두리 외측에서 디스플레이패널(2a)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2b)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2a)은 2장의 유리(glass)로 TFT 기판 및 칼라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형성되어 마련되고, 케이스(2b) 내부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패널(2a)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동모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컨 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 장치(1)와 디스플레이장치(2)는 서로 간에 제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Communication)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 리모컨 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2)를 제어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셋탑 박스, 모니터, 프로젝션, 또는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 리모컨 장치(1)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다면 상술한 장치 이외에도 모두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리모컨 장치(1)는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제1리모컨(10)과, 제1리모컨(10)과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리모컨(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모컨(10)은 키 입력을 위한 돔 스킨(11)과 연성인쇄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돔 스킨(11)의 하부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이 위치할 수 있다.
돔 스킨(dorm sheet)는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상면에 다양한 문자, 숫자, 알파벳, 특수 기호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돔 스킨(11) 상면을 눌렀을 때, 그 하부에 마련된 연성인쇄회로기판(12)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12)에는 디스플레이장치(2)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13)가 마련된다.
무선 통신부(13)는 MICOM 등의 송수신 IC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돔 스킨(11)과 연성인쇄회로기판(12)으로 구성되는 제1리모컨(10)은 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므로, 무선 통신부(13)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모컨 장치(1)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1)를 포함하는 전원부(4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41)는 제1리모컨(10)과 제2리모컨(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41)는 제2리모컨(20)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41)는 제1리모컨(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40)는 배터리(41)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금속 단자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41)가 제2리모컨(20)에 배치될 경우, 전원부(40)는 제1리모컨(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리모컨(10)은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리모컨(10)은 밴딩되어 굴곡지게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리모컨(10)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리모컨(20)은 제1리모컨(10)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바디(21)와, 바디(21)에 제1리모컨(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리모컨(20)의 바디(21)에는 제1리모컨(1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로 함몰 형성되는 제1리모컨 부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리모컨(20)의 바디(21)는 나무, 대리석,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리모컨(20)의 다양한 재질은 리모컨 장치(1)의 다양한 디자인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제1리모컨(10)과 제2리모컨(20)을 결합하는 고정부(30)는 제1리모컨(10) 배면에 배치되는 제1고정부(31)와, 제1고정부(31)에 대응되도록 바디(21)에 배치되는 제2고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31)는 돌출 형성되는 돌기,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고정부(32)는 제1고정부(31)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홈,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0)는 후크와 후크홈 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30)는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리모컨에 부착되는 제1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 장치(1)의 제1리모컨(10)은 제2리모컨(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리모컨(10)은 제2리모컨(20)의 바디(21) 상면에 형성되는 제1리모컨 부착부(2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41)는 제1리모컨(10)의 배면에 장착되고, 제2리모컨(20)의 바디(21)에는 배터리(4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 수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리모컨(10)은 그 일측을 밴딩하여 제1굴곡부(10a)를 형성하고, 제1굴곡부(10a)가 제2리모컨(20) 바디(21)의 일측 단부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제1리모컨(10)의 일측과 타측을 밴딩하여 제1굴곡부(10a)와 대향되는 제2굴곡부(10b)를 형성하여 제2리모컨(20) 바디(21)의 양측 단부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리모컨 장치 2 : 디스플레이장치
2a : 디스플레이패널 2b : 케이스
10 : 제1리모컨 10a : 제1굴곡부
10b : 제2굴곡부 11 : 돔 스킨
12 : 연성인쇄회로기판 13 : 무선 통신부
20 : 제2리모컨 21 : 바디
22 :제1리모컨 부착부 23 : 배터리 수용부
30 : 고정부 31 : 제1고정부
32 : 제2고정부 40 : 전원부
41 : 배터리

Claims (7)

  1.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장치는,
    밴딩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하게 마련되는 제1리모컨과,
    상기 리모컨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리모컨과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리모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제2리모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모컨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리모컨의 바디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도록 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리모컨의 일 측은 상기 제2 리모컨의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를 감싸고정하도록 제1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모컨은,
    키 입력을 위한 돔 스킨과,
    상기 돔 스킨에 결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모컨은,
    상기 바디에 상기 제1리모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리모컨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모컨은,
    나무, 대리석,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장치.
KR1020130111593A 2013-09-17 2013-09-17 리모컨 장치 KR10212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93A KR102128908B1 (ko) 2013-09-17 2013-09-17 리모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93A KR102128908B1 (ko) 2013-09-17 2013-09-17 리모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58A KR20150031858A (ko) 2015-03-25
KR102128908B1 true KR102128908B1 (ko) 2020-07-01

Family

ID=530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593A KR102128908B1 (ko) 2013-09-17 2013-09-17 리모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570A (zh) * 2020-08-11 2020-10-30 无锡迪富智能电子股份有限公司 电视遥控器
KR102546503B1 (ko) 2021-12-01 2023-06-22 주식회사 오성전자 애완동물용 리모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8174A (ja) * 2006-02-07 2007-09-20 Koichi Nakamura 樹脂製、ガラス製、金属製等容器の蓋を改良加工した簡易飲み口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02B1 (ko) * 2011-04-25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8174A (ja) * 2006-02-07 2007-09-20 Koichi Nakamura 樹脂製、ガラス製、金属製等容器の蓋を改良加工した簡易飲み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58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777B2 (ja) 携帯端末装置
US20130093684A1 (en) Touch keypad module
CN201392756Y (zh) 移动设备的按键模组
CN106332518A (zh) 移动终端
US20080093208A1 (en)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10431829A (zh) 移动终端
KR101300136B1 (ko)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102128908B1 (ko) 리모컨 장치
US9880418B2 (en) Display apparatus
KR101457337B1 (ko) Lds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측면 키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91208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텔레비전
CN201654679U (zh) 便携式终端的键盘组件
CN212814810U (zh) 表带及具有该表带的手表
CN101621555A (zh) 按键装置及使用该按键装置的电子设备
JP2008311773A (ja) リモコン装置
CN205029730U (zh) 一种侧面带触摸按键的手机
CN203368611U (zh) 按键和电视机
US82089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8311009A (ja) 押圧操作装置
JP5725871B2 (ja) リモコン装置
KR20150067607A (ko) 전자기기 제어용 다기능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CN103929309A (zh) 智能密码设备
CN101599374B (zh)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KR101358681B1 (ko)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JP2006041140A (ja) 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