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136B1 -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136B1
KR101300136B1 KR1020120029251A KR20120029251A KR101300136B1 KR 101300136 B1 KR101300136 B1 KR 101300136B1 KR 1020120029251 A KR1020120029251 A KR 1020120029251A KR 20120029251 A KR20120029251 A KR 20120029251A KR 101300136 B1 KR101300136 B1 KR 10130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utton
switch
smart phone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업
Original Assignee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 phone)의 기종에 관계없이 범용 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다이빙 컴퓨터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의 카메라창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스마트폰이 삽입 장착되는 단말기 안착공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스위치조작부가 삽입 장착되는 조작부 안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부재로, PCB와, 상기 PCB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와, 상기 PCB로부터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이어폰플러그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 고정되며, 본체 전면에 투명의 전면창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해당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1버튼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2버튼부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Aaquatic photographing device in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 phone)을 이용한 수중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기종에 관계없이 범용 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다이빙 컴퓨터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영화가 제작되는 등 그 사용처 또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스마트폰의 촬영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수중에서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에도 수중에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는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촬영장치가 내장된 하우징을 가지는 장치이고, 일반 카메라의 경우에도 카메라를 수납하는 밀폐형 하우징부재를 통해 수중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있었으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촬영할 수 있는 장치는 전무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촬영할 수 있는 수중 밀폐형 하우징을 쉽게 제작하지 못하는 이유는, 스마트폰의 기종이 천차만별로 이에 대한 하우징 자체의 사이즈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제작비용의 상승 등 사업성 자체가 무의미한 실정이기 때문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제조 단가를 낮추고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촬영장치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기종에 관계없이 범용 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다이빙 컴퓨터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의 카메라창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스마트폰이 삽입 장착되는 단말기 안착공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스위치조작부가 삽입 장착되는 조작부 안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부재로, PCB와, 상기 PCB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와, 상기 PCB로부터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이어폰플러그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 고정되며, 본체 전면에 투명의 전면창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해당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1버튼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2버튼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본체 양측에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조작부 안착홈과 단말기 안착공 사이에 홈을 내어 형성한 전선 연결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기능 스위치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와, 다이빙 컴퓨터 기능을 선택하는 제2스위치와,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PCB에는 복수개의 센서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수심감지센서, 수온감지센서 및 소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플렉시블 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우레탄 발포체 중의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버튼부 및 제2버튼부의 버튼은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통해 축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 및 전면창의 축공을 관통하여 나온 축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결합 고정되는 터치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부재는 전도성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종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수중에서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촬영 기능 이외에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이빙 컴퓨터 기능 등 부가기능을 필요에 따라 확장하여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스마트폰의 결합 상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양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조작부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는,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수납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에 장착되는 스마트폰(30)과, 상기 고정부재(20)에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폰(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조작부(4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와 결합 고정되는 상부케이스(50)와, 상기 상부케이스(50)의 전면창(52)에 형성되는 제1버튼부(60) 및 제2버튼부(7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스(10)는 사각형태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의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의 카메라창(13)과,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14,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15)에는 제1체결공(16,17)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테두리 단부에는 밀폐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홈(18)에는 패킹부재(19)가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의 카메라창(13)은 스마트폰(30)의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는 부위가 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 내부에 견고하게 끼움 장착되는 부재로써, 사각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는 단말기 안착공(22)과, 상기 본체(21)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조작부 안착홈(23)과, 상기 조작부 안착홈(23)과 단말기 안착공(22) 사이에 홈을 내어 형성한 전선 연결홈(24)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30)은 상기 고정부재(20)의 단말기 안착공(22)에 삽입 장착되며, 상면으로 디스플레이부(31)가 위치하도록 하고, 저면에는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조작부(40)는 상기 스마트폰(30)에 연결되는 부재로, PCB(41)와, 상기 PCB(41) 상에 설치되는 제1스위치 내지 제3스위치(S1~S3)와, 상기 PCB(41)로부터 연결되는 전선(42)과, 상기 전선(42)의 타단에 형성되는 이어폰플러그(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조작부(40)의 이어폰플러그(43)는 상기 스마트폰(30)의 이어폰잭(32)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조작부(40)에서 발생된 키 신호가 스마트폰(30)으로 전송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단말기 안착공(22)으로는 스마트폰(30)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조작부 안착홈(23)으로는 스위치 조작부(40)의 PCB(41)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전선 연결홈(24)에는 스위치 조작부(40)의 전선(42) 및 이어폰플러그(43)가 삽입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스마트폰(30)의 기종에 따라 사이즈를 달리하여 제작된다.
즉 스마트폰(30)의 사이즈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단말기 안착공(22)의 사이즈를 a,b,c 등의 사이즈로 가감 제작 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안착공(22)의 사이즈 변화에 따라 전선 연결홈(24) 또한 그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는 플렉시블(flexible) 한 합성수지 또는 우레탄 발포체로 성형되는 바, 사이즈 변화에 따른 제품 제작 시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와 결합 고정되는 부재로, 사각형태의 본체(51)와, 전면에 형성된 투명의 전면창(52)과,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53,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53,54)에는 제2체결공(55,56)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제1체결공(16,17)과 체결 고정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0)의 제1버튼부(60)는 전면창(52)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버튼(61) 내지 제3버튼(6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버튼(61)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스위치조작부(40)의 제1스위치(S1)를 누르게(ON) 되고, 제2버튼(62)은 제2스위치(S2)를, 제3버튼(63)은 제3스위치(S3)를 누르게 된다. 이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제2버튼부(70) 역시 전면창(52)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버튼(71) 내지 제3버튼(7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버튼부(60)와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버튼(71) 내지 제3버튼(72)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스마트폰(30)의 디스플레이부(31) 상에 표시되는 카메라모드의 기능선택 아이콘 들을 접촉(ON) 하게 된다. 이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는 도 2의 (a)와 같이 상부케이스(50)의 전면창(52)을 통해서 스마트폰(30)의 카메라 모드로 진행 중인 디스플레이부(31)의 표시영상을 볼 수 있으며, 도 2의 (b)와 같이 하부케이스(10)의 카메라창(13)을 통해 피사체를 자유롭게 확인하며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조작부(40)를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상기 스위치조작부(40)의 PCB(41)에는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가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 카메라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S1)와, 다이빙 컴퓨터 기능을 선택하는 제2스위치(S2)와,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 제3스위치(S3)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1스위치(S1)는 온(ON) 되면 키신호를 발생하여, 전선(42)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카메라 모드를 활성화(Active) 시키는 명령을 입력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30)은 상기 제1스위치(S1)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내장된 카메라 모드에 따른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앱)을 자동 실행하여 카메라모드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1)로 출력하여 준다.
상기 제2스위치(S2)는 다이빙 컴퓨터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로, 이 스위치가 온되면 스마트폰(30)은 다이빙 컴퓨터 기능의 앱을 자동 실행하여 이에 따른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1)로 출력하여 준다.
상기 제3스위치(S3)는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스위치조작부(40)의 PCB(41)에는 또 다른 전선(44)을 통해 복수개의 센서를 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일례로, 수심감지센서(45), 수온감지센서(46) 및 소나센서(47)가 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은 각각 수심, 수온 및 소나 등을 감지하여, 이 값을 통해 다이빙 컴퓨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변수 값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버튼부(60)의 제1버튼(6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제1버튼부(60) 및 제2버튼부(70)의 모든 버튼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상기 제1버튼(61)은 누름부(611)와, 상기 누름부(6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축부(612)와, 상기 축부(612)에 끼워지는 스프링(613)과, 상기 스프링(613)을 통해 축부(612)의 일측에 삽입되는 밀폐부재(614)와, 상기 밀폐부재(614) 및 전면창(52)의 축공(57)을 관통하여 나온 축부(61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615)와, 상기 고정부(615)의 전면에 결합 고정되는 터치부재(6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버튼부(60) 및 제2버튼부(70)는 도 7에서와 같이 각각의 터치부재들이 스위치조작부(40)의 스위치들과, 스마트폰(30) 디스플레이부(31)의 아이폰부(33)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60)(70)의 동작을 도 8을 통해 살펴본다.
우선 도 8의 (a)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제1버튼(61)의 누름부(611)를 누르면 이에 연동하여 도 8의 (b)와 같이 터치부재(616)가 하방으로 내려오며, 이에 따라 스위치조작부(40)의 제1스위치(S1)를 온(ON) 시키게 된다.
또한 도 8의 (a)에서 제2버튼부(70)의 제1버튼(71)의 누름부를 누르면, 이에 연동하여 도 8의 (b)와 같이 터치부재가 스마트폰(30)의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된 아이콘부(33)를 터치하게 되어, 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부재(616)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전도성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며,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부재로 디스플레이부(31)의 아이콘부(33)에 형성된 아이콘을 터치했을 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될 스마트폰(30)의 기종에 대응되는 고정부재(20)를 삽입 장착한다.
그리고 스위치조작부(40)의 이어폰플러그(43)를 스마트폰(30)의 이어폰잭(32)에 삽입 결합한 후, 상기 스마트폰(30)은 고정부재(20)의 단말기 안착공(22)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스위치조작부(4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조작부안착홈(23)에 삽입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버튼부(60) 및 제2버튼부(70)가 조립 형성된 상부케이스(50)를 상기 하부케이스(10)에 결합 한 후, 양단의 제1결합부(14,15) 및 제2결합부(53,54)의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로 고정 결합하여 준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30)의 내부 고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는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준비상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1버튼부(60)의 제1버튼(61)을 눌러준다.
상기 제1버튼(61)이 눌려지면, 그 하단에 위치한 터치부재(616)가 스위치조작부(40)의 제1스위치(S1)를 눌려 상기 제1스위치(S1)가 온(ON) 된다.
상기 제1스위치(S1)가 온 되면, 이때 발생된 키 신호는 스마트폰(30)으로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폰(30)은 내장된 카메라 모드 앱(응용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30)의 디스플레이부(31)에는 카메라 모드 화면 및 이를 제어하는 아이콘부(33)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케이스(50)의 전면창(52)을 통해 카메라 모드를 확인 할 수 있게 되며, 하부케이스(10)의 카메라창(13)을 통해 피사체의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제2버튼부(70)를 통해 카메라 모드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시켜, 촬영이나 기타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제1버튼부(60)의 제2버튼(62)을 선택하면, 스위치조작부(40)의 제2스위치(S2)가 온되어, 이 키 신호가 스마트폰(30)으로 입력된다.
이때 스마트폰(30)은 이 신호가 다이빙 컴퓨터 기능임을 인식하고, 다이빙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진행한다.
따라서 스마트폰(30)의 디스플레이부(31)로는 다이빙 컴퓨터 기능모드에 따른 화면 및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빙 컴퓨터 기능이 시작되면, 스위치조작부(40)에 연결된 수심감지센서(45), 수온감지센서(46) 및 소나센서(47)의 값을 읽어 들여, 이 값을 이용하여 다이빙 컴퓨터 기능에 따른 결과값을 사용자의 요구(선택)에 따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10: 하부케이스 12: 수납부
13: 카메라창 20: 고정부재
22: 단말기 안착공 23: 조작부 안착홈
24: 전선 연결홈 30: 스마트폰
31: 디스플레이부 32: 이어폰잭
33: 아이콘부 40: 스위치조작부
41: PCB S1~S3: 제1스위치 및 제3스위치
42: 전선 43: 이어폰플러그
50: 상부케이스 52: 전면창
60: 제1버튼부 70: 제2버튼부

Claims (9)

  1. 본체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명의 카메라창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스마트폰이 삽입 장착되는 단말기 안착공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스위치조작부가 삽입 장착되는 조작부 안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부재로, PCB와, 상기 PCB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와, 상기 PCB로부터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이어폰플러그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 고정되며, 본체 전면에 투명의 전면창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해당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1버튼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그 하단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제2버튼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본체 양측에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조작부 안착홈과 단말기 안착공 사이에 홈을 내어 형성한 전선 연결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기능 스위치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제1스위치와, 다이빙 컴퓨터 기능을 선택하는 제2스위치와,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PCB에는 복수개의 센서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수심감지센서, 수온감지센서 및 소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플렉시블 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우레탄 발포체 중의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튼부 및 제2버튼부의 버튼은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통해 축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 및 전면창의 축공을 관통하여 나온 축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결합 고정되는 터치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는 전도성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1020120029251A 2012-03-22 2012-03-22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10130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251A KR101300136B1 (ko) 2012-03-22 2012-03-22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251A KR101300136B1 (ko) 2012-03-22 2012-03-22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136B1 true KR101300136B1 (ko) 2013-08-26

Family

ID=4922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251A KR101300136B1 (ko) 2012-03-22 2012-03-22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864B1 (ko) * 2014-11-18 2016-02-19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스마트폰 탑재용 케이스장치 및 다이빙로그시스템
KR20170036473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20170036472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20170036474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음성 전송장치
KR101738412B1 (ko) * 2016-01-28 2017-05-23 코아글림 주식회사 스쿠버 다이버를 위한 센서융복합 수중네비게이션 장치
KR101786816B1 (ko) * 2016-11-18 2017-11-15 코아글림 주식회사 수중 네비게이션 장치
CN114079688A (zh) * 2020-08-11 2022-02-22 东莞市杰之洋塑胶实业有限公司 保护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722A (ja) * 1998-06-26 2000-02-15 Asahi Research Kk 防水ケ―ス
JP2009288638A (ja) * 2008-05-30 2009-12-10 Canon Inc 防水ケース及び防水ケースに収納可能な本体装置
JP2010128162A (ja) * 2008-11-27 2010-06-10 Fujifilm Corp 防水型カメラ及び防水ケース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722A (ja) * 1998-06-26 2000-02-15 Asahi Research Kk 防水ケ―ス
JP2009288638A (ja) * 2008-05-30 2009-12-10 Canon Inc 防水ケース及び防水ケースに収納可能な本体装置
JP2010128162A (ja) * 2008-11-27 2010-06-10 Fujifilm Corp 防水型カメラ及び防水ケース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864B1 (ko) * 2014-11-18 2016-02-19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스마트폰 탑재용 케이스장치 및 다이빙로그시스템
KR20170036473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20170036472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20170036474A (ko) 2015-09-24 2017-04-03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음성 전송장치
KR101724482B1 (ko) * 2015-09-24 2017-04-10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KR101738412B1 (ko) * 2016-01-28 2017-05-23 코아글림 주식회사 스쿠버 다이버를 위한 센서융복합 수중네비게이션 장치
WO2017131323A1 (ko) * 2016-01-28 2017-08-03 코아글림 주식회사 센서융복합 수중 네비게이션 장치
KR101786816B1 (ko) * 2016-11-18 2017-11-15 코아글림 주식회사 수중 네비게이션 장치
CN114079688A (zh) * 2020-08-11 2022-02-22 东莞市杰之洋塑胶实业有限公司 保护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136B1 (ko) 스마트폰용 수중 촬영장치
JP6666409B2 (ja) 移動端末機
CN108140504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制造方法
CN107436627B (zh) 具有密封构件的电子设备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CN106210180B (zh) 便携式电子装置
KR101404745B1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86530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20230129959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CN101866766B (zh) 便携式终端
KR20110008607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EP2922149B1 (en) Audio jack,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system
US10375227B2 (en) Mobile terminal
KR20170009115A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WO2018182784A1 (en) Mobile device accessory equipp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device
KR20130051369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107426444B (zh) 移动终端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EP4087219A1 (en) Electronic device
CN103699025A (zh) 自组式模块化家居智能控制面板及其实现方法
CN110286829B (zh) 电子设备及其处理方法
KR10263961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2439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KR1015750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