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392B1 -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392B1
KR101424392B1 KR1020130057800A KR20130057800A KR101424392B1 KR 101424392 B1 KR101424392 B1 KR 101424392B1 KR 1020130057800 A KR1020130057800 A KR 1020130057800A KR 20130057800 A KR20130057800 A KR 20130057800A KR 101424392 B1 KR101424392 B1 KR 10142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terminal
button
shut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오경식
설상훈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이정민
김형우
설상훈
오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김형우, 설상훈, 오경식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3005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촬영시 이용되는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와 독립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된 촬영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진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텨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터치스크린에 자극을 주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터치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턴온신호를 상기 터치발생부로 전송하는 보조촬영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SHUTTER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진 촬영을 위해 이용되는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폰은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점점 더 그 기능이 추가되어, 음성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사진촬영기능 및 영상통화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제어신호들을 입력받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들 중에는,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의 성능과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폰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카메라는 사진 촬영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진촬영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디지털카메라를 소지하고 다니나, 휴대폰은 현대 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생활용품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소지하고 다닌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보다, 휴대폰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을 든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이 이용되고 있다.
휴대폰의 두께가 얇고, 상대적으로 휴대폰의 터치스크린의 크기는 커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을 잡은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버튼을 터치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촬영버튼을 터치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장소에서 사진을 촬영하거나, 신속하게 사진을 촬영하기가 어렵다.
또한, 핸드폰 외부에 사진 촬영용 버튼이 별도로 제공되는 핸드폰도 있으나, 이러한 핸드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핸드폰을 한 손으로 들고 촬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폰 이외에도, 테블릿PC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와 독립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된 촬영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진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텨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터치스크린에 자극을 주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터치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턴온신호를 상기 터치발생부로 전송하는 보조촬영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를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이 포함된다. 상기 핸드폰은 반드시 스마트폰일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진촬영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폰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테블릿PC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진촬영모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든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휴대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60), 터치스크린(210), 스피커(270), 마이크(280), 카메라(2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사진촬영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21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메라의 셔텨에 대응되는 촬영버튼(220)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10)에는 사용자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버튼(230)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버튼(230)을 통해 정지영상을 선택하면 일반적인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선택하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정지영상 또는 상기 동영상을 간단히 사진이라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버튼(23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10)에는, 사용자가 사진촬영 중 이미 촬영된 사진들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뷰버튼(240)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진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뷰버튼(240)을 선택하여, 기 촬영된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를 나타낸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51은 사진촬영시 이용되는 광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장착되어 이용된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중,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는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손에 잡은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옆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를 잡은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보조촬영버튼(120)을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잡기 편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잡은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10)을 포함한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터치스크린(210)에 자극을 주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터치발생부(190) 및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구동되도록 하는 턴온신호를 상기 터치발생부(190)로 전송하는 보조촬영버튼(120)을 포함한다.
첫째, 상기 본체(11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10)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260a)을 커버하는 전면부(111),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260b)을 커버하는 배면부(112) 및 상기 전면부(111)와 배면부(11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111)와 상기 배면부(112)는 상기 삽입홈(1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14)는, 상기 전면부(111)와 상기 배면부(11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전면부(111)와 상기 배면부(112)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260a)과 배면(260b)에 밀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고정되어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를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13)의 상단과 하단은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크기의 모바일 단말기가 이용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치발생부(190)를 상기 촬영버튼(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홈(113)의 하단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가 모바일 단말기의 크기별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홈(113)의 폐쇄된 하단부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13)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걸쳐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은,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구동되도록 하는 턴온신호를 상기 터치발생부(190)로 전송한다.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특히, 상기 본체(110)의 상기 배면부(112)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터치발생부(19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사진촬영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촬영버튼(220)과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에서, 상기 터치발생부(190)는 제1터치발생기(131)로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에는 상기 촬영버튼(220)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시킬 수 있는 제1터치발생기(131)만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190)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를 의미한다.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는, 정전용량방식으로 구동되는 상기 터치스크린(210)의 정전용량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210)은,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정전용량(electrostatic capacity)이란, 절연되어 있는 물체에 전하(Q)를 줄 때, 물체가 갖는 전위(V)와의 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정전용량의 기호로는 'C'가 이용된다. 즉, C=Q/V의 관계가 성립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발생부(190), 즉,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C)이 변경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터치발생부(131)는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정전용량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이 선택되며, 상기 터치발생부, 즉,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가 구동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의 정전용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의 정전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촬영버튼(220)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250)를 통해 사진을 촬영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촬영버튼(220)을 직접 선택하지 않더라도,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터치발생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구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정전용량방식 이외에도, 저항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는, 상기 저항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에서, 상기 터치발생부(1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는 복수의 터치버튼들(220, 230, 240)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버튼들 각각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복수의 터치발생기들(130), 상기 복수의 터치발생기들(130)과 1대1로 대응되며, 사용자에게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선택버튼들(140) 및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버튼들(14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선택버튼(141)에 대응되는 제1터치발생기(131)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에서 상기 터치발생부(190)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 이외에도 복수의 터치발생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131 내지 134)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단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가 상기 촬영버튼(220)에 일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의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고, 상기 촬영버튼(220)이 출력되는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가 상기 촬영버튼(220)에 정확히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131 내지 134) 중에서, 상기 촬영버튼(220)에 대응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터치발생기를 선택하여,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 중 어느 하나를,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제1터치발생기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네 개의 터치발기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상기 촬영버튼(220)에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선택버튼들(141 내지 14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3터치발생기(133)가 상기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어 있는 촬영버튼(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와 매칭되어 있는 제1선택버튼(141)을 길게 눌러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를 구동시켜, 상기 촬영버튼(21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촬영버튼(210)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2터치발생기(132), 상기 제3터치발생기(133) 또는 상기 제4터치발생기(134)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제2터치발생기, 상기 제3터치발생기 또는 상기 제4터치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131 내지 134)이 상기 촬영버튼(220), 상기 모드선택버튼(230) 및 상기 뷰버튼(240)으로,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설정단계를 통해, 어느 하나의 터치발생기가 선택되면, 사진 촬영시,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터치발생기만이 구동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사진 촬영시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 모두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 중에서, 제1터치발생기(131)는, 상기 촬영버튼(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터치발생기(132) 및 제3터치발생기(133)는 상기 모드선택버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모드선택버튼(23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버튼(230)은, 사용자가 정지영상을 촬영할지, 아니면 동영상을 촬영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모드선택버튼(230)에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버튼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터치발생기(132) 및 제3터치발생기(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터치발생기(134)는 상기 뷰버튼(2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뷰버튼(24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설정 중,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는, 본 발명의 제조 단계에서 고정되어, 사용자들에게 판매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네 개의 터치발생기들 중에서, 상기 촬영버튼(220)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터치발생기와 매칭되어 있는 선택버튼(140)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의 선택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하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를 구동시켜, 상기 촬영버튼(220)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진촬영 중에, 사진의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정지영상을 촬영하고 있던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터치발생기(132) 내지 제4터치발생기(134)들 중,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버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발생기와 매칭되어 있는 선택버튼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2터치발생기(132)가, 상기 모드선택버튼(230) 중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터치발생기(132)와 매칭되어 있는 제2선택버튼(142)을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2터치발생기(132)를 구동시켜, 상기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250)의 구동모드를, 동영상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을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카메라(250)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버튼(230) 중 정지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3터치발생기(133)와 매칭되어 있는 제3선택버튼(143)을 선택하여, 상기 카메라(250)의 구동모드를, 정지영상 촬영모드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진을 촬영하다, 기 촬영된 사진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뷰버튼(2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4터치발생기(134)와 매칭되어 있는 제4선택버튼(144)을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 촬영된 사진들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하나의 제1터치발생기(131)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촬영버튼(120)이 선택되면, 상기 제1터치발생기(131)에 의해,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복수의 터치발생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발생기들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발생부(190)가 복수의 터치발생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발생기들 각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터치인식을 위한 자극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110 : 본체
120 : 보조촬영버튼 150 : 제어부
130, 131, 132, 133, 134 : 터치발생기
140, 141, 142, 143, 144 : 선택버튼

Claims (8)

  1. 터치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터치스크린에 자극을 주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터치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턴온되는 경우, 상기 터치발생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턴온신호를 상기 터치발생부로 전송하는 보조촬영버튼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는 상기 삽입홈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생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진촬영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촬영버튼과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생부는,
    정전용량방식으로 구동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생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복수의 터치버튼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버튼들 각각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복수의 터치발생기들;
    상기 복수의 터치발생기들과 1대1로 대응되며, 사용자에게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선택버튼들; 및
    상기 보조촬영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버튼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선택버튼에 대응되는 제1터치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선택버튼에 대응되는 상기 제1터치발생기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버튼들 중 제2선택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2선택버튼에 대응되는 제2터치발생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KR1020130057800A 2013-05-22 2013-05-22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KR10142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00A KR101424392B1 (ko) 2013-05-22 2013-05-22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00A KR101424392B1 (ko) 2013-05-22 2013-05-22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392B1 true KR101424392B1 (ko) 2014-07-28

Family

ID=5174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800A KR101424392B1 (ko) 2013-05-22 2013-05-22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565A (ko) * 2015-04-02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20190024432A (ko) * 2017-08-31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입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7B1 (ko) 2005-11-1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250407B1 (ko)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7B1 (ko) 2005-11-1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250407B1 (ko)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565A (ko) * 2015-04-02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335913B1 (ko) * 2015-04-02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KR20190024432A (ko) * 2017-08-31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입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5869B1 (ko) * 2017-08-31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입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1450B (zh) 摄像头旋转装置和终端
CN110244893B (zh) 一种分屏显示的操作方法及电子设备
US9075572B2 (en) Media enhancement dock
CN109271081B (zh) 滚动截屏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JP3187341U (ja) シャッター構造を備えた保護ケース
JP6426484B2 (ja) 携帯端末
KR20110050243A (ko) 휴대 단말기
EP3306902A1 (en) Mobile terminal
CN209497493U (zh) 移动终端
CN108848317A (zh) 拍照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11394862B2 (en) Voic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voice instruction
US11600277B2 (en) Voic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voice instruction
CN206411559U (zh) 具有可伸出式摄像头的移动终端
CN109600549A (zh) 拍照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271368A (zh) 可分离的移动终端
CN107426444B (zh) 移动终端
KR102430566B1 (ko)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KR10142439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셔터
KR20190135794A (ko) 이동 단말기
KR20090006460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7482640B2 (ja) 音声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4274511A (ja) 携帯型電子機器
CN203120024U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摄像设备
CN112422814A (zh) 一种拍摄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