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503B1 - 애완동물용 리모컨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503B1
KR102546503B1 KR1020210170279A KR20210170279A KR102546503B1 KR 102546503 B1 KR102546503 B1 KR 102546503B1 KR 1020210170279 A KR1020210170279 A KR 1020210170279A KR 20210170279 A KR20210170279 A KR 20210170279A KR 102546503 B1 KR102546503 B1 KR 10254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rol
module
pow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394A (ko
Inventor
최병기
김상태
이윤민
윤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1017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5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직접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전원버튼, 볼륨조절버튼 또는 채널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을 구성하는 버튼의 조작을 감지되면, 감지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이 요청한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리모컨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리모컨{Remote control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직접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천 만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애완동물 관련 용품과 서비스를 비롯한 관련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애완동물 관련 시장이 성장하는 요인은 전체 인구 중 1인 또는 2인 가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함과 동시에 애완동물과 함께하는 생활을 다른 사람과 적극적으로 공유하게 된 사회적 변화에 따른 것이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1인 또는 2인 가구의 대표적인 고민은 가족이 외출한 이후 애완동물이 혼자 집에 남겨지는 상황이다.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에 집을 비우는 경우, 집에 남겨진 애완동물은 거식증이나 이뇨증을 비롯한 이상행동, 가출 가능성, 실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신변 위협의 가능성에 직면하지만, 애완동물의 사육자가 애완동물을 돌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과 함께 있는 경우에도 항상 애완동물을 돌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원하는 것을 제 때 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혼자 있거나 애완동물에게 신경을 쓰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요구되며,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현재 다양한 애완동물용 방송채널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애완동물용 방송채널은 애완동물의 사육자에 의해 채널 선택이 이루어지므로 집에 애완동물만 남겨진 경우에는 하나의 방송채널만 시청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5064호(발명의 명칭: 다기능 리모컨) 한국공개특허 제2015-0031858호(발명의 명칭: 리모컨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완동물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도하지 않게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애완동물용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버튼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버튼 조작 여부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버튼 중 전원 버튼을 별도로 관리하느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전원버튼, 볼륨조절버튼 또는 채널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을 구성하는 버튼의 조작을 감지되면, 감지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이 요청한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리모컨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애완동물의 특징을 고려하여 애완동물이 버튼이 조작한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어코드를 송신함으로서 애완동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을 구성하는 버튼 중 전원 버튼은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전원버튼을 잘못 조작한 경우라도 리모컨에 의해 제어 대상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이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최소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버튼은 전원 버튼, 채널 버튼, 볼륨 버튼 및 전용 채널1 내지 전용채널3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버튼 이외에 다른 버튼이 포함되거나, 일부 버튼이 제외될 수 있다.
전원 버튼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거나 끄도록 제어하는 버튼이며, 채널 조절버튼은 채널을 업/다운하는 버튼이다. 볼륨 조절버튼은 볼륨을 업/다운하는 버튼이며, 전용 채널은 설정된 채널로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물론 채널 조절버튼은 채널 조절버튼의 상단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채널이 업되며, 채널 조절버튼의 하단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채널을 다운한다. 볼륨 조절버튼은 볼륨 조절버튼의 상단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볼륨이 업되며, 볼륨 조절버튼의 하단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볼륨을 다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모컨은 애완동물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사람이 조작하는 리모컨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된다. 일 예로 리모컨은 가로 100㎜, 세로 120㎜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조작모듈, 제어모듈, 통신모듈, 저장모듈, 전원모듈, 센싱모듈 및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조작모듈(114)은 다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조작모듈(114)은 제어 대상기기 전원버튼, 볼륨 조절버튼, 채널 조절버튼, 전용 채널버튼을 포함한다. 볼륨 조절버튼은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지시하는 제어코드를 출력하는 버튼이며, 채널 조절버튼은 채널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지시하는 제어코드를 출력하는 버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용 채널버튼은 제1 전용채널 버튼 내지 제3 전용채널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용 채널버튼을 이용하여 설정된 채널로 이동한다.
통신모듈(104)는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송신모듈은 제어모듈(130b)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제어코드를 외부로 송신한다. 물론 통신모듈(104)은 블루투스 통신 이외에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Z-WAV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전원모듈(108)은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106)은 리모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모듈(106)은 조작모듈(114)을 구성하는 각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모듈(106)은 전용 채널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저장한다.
제어모듈(102)는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02)은 조작모듈(114)로부터 버튼 조작이 감지되면,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신모듈(104)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모듈(102)은 전용 채널버튼이 조작되면, 해당 채널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외부로 송신한다.
센싱모듈(110)은 리모컨에 내장되며, 리모컨의 상태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센싱모듈(110)은 리모컨이 뒤집어졌는지, 비스듬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은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만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즉, 리모컨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코드가 송신되지 않는다.
출력모듈(112)은 스피커, 진동모듈 또는 발광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발광모듈은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활성화된다. 진동모듈은 버튼이 조작되면 진동하며, 스피커 역시 버튼이 조작되면 소리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출력모듈(112)을 이용하여 리모컨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도 3은 애완동물이 애완동물용 리모컨을 조작하는 경우를 한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다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버튼을 조작하며,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코드를 외부로 송신한다.
다만, 애완동물은 사람과 같이 특정 버튼만을 조작하기는 어렵다. 도 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채널 조절버튼을 조작하기 애완동물용 리모컨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애완동물은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 전원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던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은 꺼지게 된다.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채널 조절버튼을 조작하더라도 제어 대상기기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상태를 항상 저장하고 있다. 즉, 전원을 끄라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제어 대상기기는 전원을 끄기 이전에 애완동물용 리모컨으로 전원의 끈다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제어 대상기기는 전원을 켠 이후 애완동물용 리모컨으로 전원을 켰다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애완동물용 리모컨으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항상 파악하고 있게 된다.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전원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이에 비해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전원 버튼 이외의 버튼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먼저 송신한 이후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떤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전원 관련 제어코드를 송신하거나,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은 사람과 달리 원하는 버튼만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으므로, 특정한 경우에는 버튼이 조작된 것으로 판단한다.
S300단계에서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애완동물이 리모컨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진입한다. 애완동물이 리모컨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수는 애완동물의 다리 면적 및 몸무게를 고려한 가압 면적 및 가압 압력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이 앞다리로 리모컨을 조작하는 것을 고려할 경우, 가압되는 면적은 적어도 두 개의 다리 면적이며, 가압 압력은 적어도 두 개의 다리로 가압하는 압력이다. 이를 위해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애완동물이 리모컨을 조작하는 경우의 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진입한다. 이는 사용자가 애완동물용 리모컨을 구성하는 버튼을 조작하거나, 기타 방식으로 진입한다.
S302단계에서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리모컨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수를 입력받는다. 일 예로 애완동물이 특정 버튼의 위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다.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버튼에 가압되는 압력, 면적 등을 산출한다.
S304단계에서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입력받은 정보를 입력 조작신호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정보는 가압 압력, 가압 면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조작신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가압 시간은 별도로 조작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력 조작신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가압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하며, 최소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시간은 다른 조건에 비해 애완동물의 버튼 조작을 판단하는 기준과 관련성이 낮으므로 애완동물로부터 가압 시간을 제공받는 것보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06단계에서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버튼 조작 판단 설정이 완료되면,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하는 지 판단하는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S308단계에서 애완동물용 리모컨은 버튼 조작이 감지되고, 특히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파악한 후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은 다른 버튼과 달리 차별되게 관리한다.
또한,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설정된 가압 면적과 가압 압력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오차를 갖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특징을 고려하여 애완동물이 버튼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애완동물용 리모컨 102: 제어모듈
104: 통신모듈 106: 저장모듈
108: 전원모듈 110: 센싱모듈
112: 출력모듈 114: 조작모듈

Claims (7)

  1. 전원버튼, 볼륨조절버튼 또는 채널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을 구성하는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이 요청한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리모컨이 뒤집어졌는지 여부를 포함한 방향을 리모컨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리모컨이 뒤집어진 경우에는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코드가 송신되지 않게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모듈로 요청하며,
    제어모듈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버튼 이외의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 대상기기로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송신한 이후에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며,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코드를 송신할 버튼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가압 압력, 가압 면적 및 가압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압력 및 가압 면적을 입력하는 방식과 가압 시간을 입력하는 방식은 상이하며,
    상기 가압 시간에 의한 버튼 조작을 판단하는 기준은 가압 압력 및 가압 면적에 의한 버튼 조작을 판단하는 기준보다 가중치가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센싱모듈이 센싱한 리모컨의 방향이 설정된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모듈에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구성하는 버튼 중 전원버튼의 조작이 감지되고, 감지된 전원버튼의 조작이 상기 기준에 부합하더라도 상기 전원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의 송신을 요청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중 가압 압력과 가압 면적은,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과 면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리모컨.
KR1020210170279A 2021-12-01 2021-12-01 애완동물용 리모컨 KR10254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79A KR102546503B1 (ko) 2021-12-01 2021-12-01 애완동물용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79A KR102546503B1 (ko) 2021-12-01 2021-12-01 애완동물용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94A KR20230082394A (ko) 2023-06-08
KR102546503B1 true KR102546503B1 (ko) 2023-06-22

Family

ID=8676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279A KR102546503B1 (ko) 2021-12-01 2021-12-01 애완동물용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814B1 (ko) * 2014-12-05 2015-10-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마우스와 쿼티 자판이 장착된 리모컨
KR102114612B1 (ko) * 2013-07-02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908B1 (ko) 2013-09-17 202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 장치
KR102585907B1 (ko) 2016-07-05 2023-10-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기능 리모컨
KR20210017255A (ko)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엘티전자 반려동물 지능발달을 위한 놀이기구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612B1 (ko) * 2013-07-02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1560814B1 (ko) * 2014-12-05 2015-10-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마우스와 쿼티 자판이 장착된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94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7569B (zh) 车载空调的控制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车载空调系统
US20230091906A1 (en) Remote controller for setting mode according to state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1517576B1 (ko) 무선 입력 장치의 전력 사용 관리
US8674814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8531276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8552843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ler having home automation function
KR20020050490A (ko) 통합 리모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37123B1 (ko) 네트워트 장치의 제어방법
WO2001073720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US10877623B2 (en) Dynamic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CN102495614A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
US10575497B2 (en) Programmable training system for pets
JP2004328714A (ja) ナビゲーション機能を提供する無線リモコン装置及びこれに対するナビゲーション機能提供方法
JP2006342978A (ja) 空調システム
KR102546503B1 (ko) 애완동물용 리모컨
AU2011306045A1 (en)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 system having a tactile remote control
KR100748406B1 (ko)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KR102283180B1 (ko) 매트형 운동 시스템
KR102200002B1 (ko)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JP200205808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その管理方法
KR20060010073A (ko) 네트워크 기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JP3093722U (ja) 複合電子装置のリモコン装置
KR2023015522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6000405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pc제어방법
KR200187982Y1 (ko) 개인용 컴퓨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지능형디지털 강아지인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