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180B1 - 매트형 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트형 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180B1
KR102283180B1 KR1020190148560A KR20190148560A KR102283180B1 KR 102283180 B1 KR102283180 B1 KR 102283180B1 KR 1020190148560 A KR1020190148560 A KR 1020190148560A KR 20190148560 A KR20190148560 A KR 20190148560A KR 102283180 B1 KR102283180 B1 KR 10228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ub
mats
termina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947A (ko
Inventor
박세한
Original Assignee
박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한 filed Critical 박세한
Priority to KR102019014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1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형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 및 각각, 상기 단말이 수신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 점등되고 이후 압력이 감지되면 소등하거나 색상을 변경하는 복수의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매트 중 하나인 메인 매트가 상기 단말과 통신하면서 나머지 매트인 서브 매트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복수의 매트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운동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형 운동 시스템{MAT-TYPE EXERCISE SYSTEM}
본 발명은 매트형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매트간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운동용 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합성 고무 재질로 제작된 다양한 색상을 가지거나 숫자가 표기된 원형 마커를 다수 바닦에 깔아 놓고 징검다리 놀이, 한 발로 균형잡기 등의 여러가지 신체 운동이 가능한 매트형 교구재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를 이용한 운동은 단순한 놀이에 그칠 뿐이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만한 요소가 없어 꾸준히 이용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꾸준한 사용을 통하여 운동 능력을 강화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주의 집중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새로운 매트형 운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매트형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운동 목적성에 적합한 매트 배치를 통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복수의 매트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 및 각각, 상기 단말이 수신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 점등되고 이후 압력이 감지되면 소등하거나 색상을 변경하는 복수의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매트 중 하나인 메인 매트가 상기 단말과 통신하면서 나머지 매트인 서브 매트를 제어한다.
상기 메인 매트는 상기 단말과는 제1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브 매트와는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통신망은 1:1 통신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1:n(n은 2이상의 자연수) 통신이다.
상기 복수의 매트는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상기 단말에 통보한다.
상기 단말은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메인 매트에게 전달한다.
상기 메인 매트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점등 대상을 확인하고, 순서에 따라 해당 매트의 점등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 매트는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단말과 통신하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해당 매트의 압력 감지 결과를 전달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점등 지시를 생성하고 제1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서브 매트와 통신하며, 상기 점등 지시 중 상기 서브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압력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점등 지시 중 상기 메인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2 통신 모듈,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발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매트는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서브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의 압력 감지 결과를 송신하는 제3 통신 모듈; 수신된 상기 점등 지시에 응답하여 제2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센서부, 상기 제3 통신 모듈, 상기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발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복수의 매트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운동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매트의 추가 및 제외가 용이하여, 다양한 개수의 매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운동용 매트 시스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기록 데이터를 운동일지로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운동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운동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형 운동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매트 및 서브 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운동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운동 시스템은 단말(110) 및 9개의 매트(120 내지 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트의 갯수는 예시이며 얼마든지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앱이 설치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말(110)은 상기 매트(120 내지 128)의 동작을 제어하고, 운동 프로그램 또는 콘텐츠를 상기 매트(120 내지 128)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11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연결된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공 가능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1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단말(110)을 통하여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각 매트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단말(11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는 30cm x 30cm의 정사각형의 매트 형태로 사용자가 발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사이즈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는 발광부(1202)를 구비하며 단말(110)이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는 센서부(1204)를 구비하며, 압력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는 압력이나 터치가 감지되면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고, 점등 색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는 압력이나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단말(110)에 통보할 수 있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 중 하나인 메인 매트(120)는 단말(110)과 통신하며, 나머지 매트인 서브 매트(121 내지 128)는 메인 매트(120)와 통신한다. 즉, 메인 매트(120)는 단말(110)과 서브 매트(121 내지 128)간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매트(120)가 단말(110)로부터 정보를 받아 서브 매트(121 내지 128)를 제어하고, 서브 매트(121 내지 128)의 상태를 획득하여 단말(11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은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메인 매트(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매트(120)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점등 대상을 확인하고, 순서에 따라 해당 매트(120 내지 128)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매트(120)는 상기 단말(110)과는 제1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브 매트(121 내지 128)와는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망은 1:1 통신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1:n(n은 2이상의 자연수) 통신이다.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모두 유·무선이 가능하나 사용 편의상 무선으로 구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 모두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단말(110)과 메인 매트(120)간 제1 통신망이 형성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110)과 메인 매트(120)는 서로 페어링 단계를 거친다. 메인 매트(120)에 전원이 들어오면 단말(110)에서 연결 가능한 기기 중 메인 매트(120)를 확인하고 페어링을 진행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단말(110)과 메인 매트(120)가 페어링된 후에는 단말(110)에서 연결 가능한 기기 목록에 메인 매트 (120)가 추가되고, 이후 목록에서 메인 매트(120)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동 연결된다. 다만, 제1 통신망은 1:1 방식이기 때문에 메인 매트(120)가 다른 단말이나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이 불가할 수 있다.
메인 매트(120)와 서브 매트(121 내지 128)간 제2 통신망이 형성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에 전원이 들어오면,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는 메인 매트(120)와 자동으로 연결된다. 일실시예로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가 메인 매트(120)의 ID 및 채널을 알고 있는 경우,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는 전원이 들어오면 메인 매트(120)에게 연결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서브 매트(121)가 메인 매트(120)에게 연결 요청하고, 메인 매트(120)가 연결 요청에 응답하면 해당 서브 매트(121)와 통신 채널이 형성된다. 나머지 서브 매트(122 내지 128)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메인 매트(12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로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가 메인 매트(120)의 ID 및 채널을 모르는 경우,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는 전원이 들어오면 주변에 메인 매트(120)가 있는지 스캔 메시지를 방송한다. 예를 들어 서브 매트(121)는 전원이 들어오면 메인 매트(120)가 있는지 스캔 메시지를 방송한다. 상기 방송 커버리지 내에 메인 매트(120)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매트(120)는 상기 스캔 메시지에 응답하여 자신의 ID와 채널을 상기 서브 매트(121)에게 전달한다. 이를 받은 서브 매트(121)는 상기 메인 매트(12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나머지 서브 매트(122 내지 128)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메인 매트(120)를 찾아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위와 같이 서브 매트(121 내지 128)와 연결된 메인 매트(120)는 각 서브 매트(121 내지 128)로부터 현재 상태 값을 수신하고, 이를 단말(110)에 전달한다.
단말(110)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110)은 사용자가 운동용 매트 시스템을 이용한 기록과 결과를 서버(13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형 운동 시스템은 단말(110)과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를 포함하며, 각 매트(120 내지 128)의 발광부(1202) 점등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신체를 해당 매트에 접촉함으로써 운동을 하게 된다. 복수의 매트(120 내지 128)의 점등 순서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단말(110)을 통해 복수의 매트의 점등 순서 및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기록은 서버(130)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사용자의 운동 기록을 통하여 현재 운동 프로그램이 사용자 수준에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꾸준한 사용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능력 향상도를 체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직접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형 운동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9개(211 내지 219)의 매트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하나의 매트(213)가 점등되고, 사용자가 점등된 매트(213)를 밟도록 유도한다. 매트(213)는 압력이 감지되면 소등하거나 점등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매트(213)는 압력이 감지된 사실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매트(213)가 서브 매트인 경우, 감지 결과를 메인 매트를 통하여 단말에게 제공하게 된다. 매트의 점등 시점과 압력 감지 시점간의 차이가 적을수록 인지 감각이 좋다고 볼 수 있다. 단말은 이러한 시간차를 서버에 기록하여 개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메인 매트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 순서의 매트가 점등되도록 지시하며, 점등 지시에 응답하여 해당 매트는 점등되고 사용자가 밟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두 개의 매트(223, 226)가 함께 점등되고, 사용자가 점등된 두 개의 매트(223, 226)를 함께 밟도록 유도한다. 상기 매트(223, 226)는 압력이 감지된 사실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메인 매트는 프로그램에 따른 다음 순서의 매트에게 점등을 지시하고, 해당 매트는 점등되어 사용자의 컨택을 유도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매트 및 서브 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10)과 메인 매트(320)가 제1 통신망에 연결되고, 메인 매트(320)와 서브 매트(330)가 제2 통신망에 연결된다.
먼저, 메인 매트(320)는 제1 센서부(321), 제1 통신 모듈(322), 제1 제어부(323), 제2 통신 모듈(324), 제1 발광부(325), 제1 전원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321)는 압력 또는 터치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매트를 밟을 때 제1 센서부(321)를 통해 압력이 감지된다.
제1 통신 모듈(322)은 상기 단말(310)과 통신하며, 단말(31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 통신 모듈(322)은 메인 매트(320) 및 서브 매트(33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3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모듈(322)은 제1 센서부(321)의 압력 감지 결과 또는 제2 통신 모듈(324)를 통해 획득한 서브 매트(330)의 압력 감지 결과를 단말(3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322)은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322)은 블루투스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23)는 제1 통신 모듈(322)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점등 지시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발광부(325)에 전달하거나 또는 제2 통신 모듈(324)을 통해 서브 매트(3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점등 지시가 메인 매트(320)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제1 발광부(325)에 전달하고, 상기 점등 지시가 서브 매트(330)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제2 통신 모듈(324)를 통해 서브 매트(330)에 전달한다. 또한 매인 매트(320) 또는 서브 매트(330)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제1 제어부(323)가 제1 센서부(321) 또는 서브 매트(330)로부터 이를 획득하여 제1 통신 모듈(322)를 통해 단말(310)에 통보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324)은 상기 서브 매트(330)와 통신하며, 상기 점등 지시를 서브 매트(3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모듈(324)는 상기 서브 매트(3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모듈(324)은 상기 서브 매트(330)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이를 통보받을 수 있다.
제1 발광부(325)는 상기 제1 제어부(323)의 점등 지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327)는 상기 제1 센서부(321), 상기 제1 통신 모듈(322), 상기 제1 제어부(323), 상기 제2 통신 모듈(324), 상기 제1 발광부(325)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메인 매트(320)는 제1 스피커(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제1 발광부(325)를 점등하는 대신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1 발광부(325) 점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 발광부(325)는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고, 제1 스피커(326)는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그에 따른 반응과 운동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매트(330)는 제2 센서부(331), 제3 통신 모듈(332), 제2 제어부(333), 제2 발광부(334), 제2 전원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331)는 압력 또는 터치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매트를 밟을 때 제2 센서부(331)를 통해 압력이 감지된다.
제3 통신 모듈(332)은 상기 메인 매트(320)의 제2 통신 모듈(324)과 통신하며, 메인 매트(320)로부터 점등 지시를 수신한다. 상기 제3 통신 모듈(332)은 서브 매트(330)의 상태 정보를 메인 매트(3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통신 모듈(332)은 제2 센서부(331)의 압력 감지 결과를 메인 매트(3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매트(32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3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3 통신 모듈(332)은 제2 통신 모듈(324)과 동일한 통신 규격을 지원하여 메인 매트(320)와 서브 매트(330)간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제어부(333)는 제3 통신 모듈(332)을 통해 수신한 점등 지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2 발광부(33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331)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이를 제3 통신 모듈(332)를 통해 메인 매트(3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발광부(334)는 상기 제2 제어부(333)의 점등 지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제2 전원부(335)는 상기 제2 센서부(331), 상기 제3 통신 모듈(332), 상기 제2 제어부(333), 상기 제2 발광부(334)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서브 매트(330)는 제2 스피커(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제2 발광부(334)를 점등하는 대신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2 발광부(334) 점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2 발광부(334)는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고, 제1 스피커(326)는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그에 따른 반응과 운동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트,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310: 단말 120, 320: 메인 매트
121 내지 128: 제1 내지 제8 서브 매트
130: 서버
321: 제1 센서부 322: 제1 통신 모듈
323: 제1 제어부 324: 제2 통신 모듈
325: 제1 발광부 326: 제1 전원부
327: 제1 스피커 330: 서브 매트
331: 제2 센서부 332: 제3 통신 모듈
333: 제2 제어부 334: 제2 발광부
335: 제2 전원부 336: 제2 스피커

Claims (8)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 및
    각각, 상기 단말이 수신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 점등되고 이후 압력이 감지되면 소등하거나 색상을 변경하는 복수의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매트 중 하나인 메인 매트가 상기 단말과 통신하면서 나머지 매트인 복수의 서브 매트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매트는 상기 단말과는 제1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매트는 복수의 상기 서브 매트와는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되되, 복수의 상기 서브 매트 각각은 다른 서브 매트의 개입없이 상기 메인 매트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서브 매트가 상기 메인 매트의 ID 및 채널을 알고 있는 경우, 서브 매트의 전원이 들어오면 상기 메인 매트에게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서브 매트가 상기 메인 매트의 ID 및 채널을 모르는 경우, 각 서브 매트의 전원이 들어오면 주변에 상기 메인 매트가 있는지 스캔 메시지를 방송하고, 방송 커버리지 내에 상기 메인 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인 매트는 상기 스캔 메시지에 응답하여 자신의 ID와 채널을 상기 서브 매트에 전달하고, 이를 받은 상기 서브 매트는 상기 메인 매트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1:1 통신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1:n(n은 2이상의 자연수) 통신인 매트형 운동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매트는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 결과를 상기 단말에 통보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메인 매트에게 전달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점등 대상을 확인하고, 순서에 따라 해당 매트의 점등을 제어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는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단말과 통신하며,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해당 매트의 압력 감지 결과를 전달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점등 지시를 생성하고 제1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서브 매트와 통신하며, 상기 점등 지시 중 상기 서브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압력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점등 지시 중 상기 메인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2 통신 모듈,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발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매트는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서브 매트에 대한 점등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의 압력 감지 결과를 송신하는 제3 통신 모듈;
    수신된 상기 점등 지시에 응답하여 제2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센서부, 상기 제3 통신 모듈, 상기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발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하는 매트형 운동 시스템.
KR1020190148560A 2019-11-19 2019-11-19 매트형 운동 시스템 KR10228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60A KR102283180B1 (ko) 2019-11-19 2019-11-19 매트형 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60A KR102283180B1 (ko) 2019-11-19 2019-11-19 매트형 운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47A KR20210060947A (ko) 2021-05-27
KR102283180B1 true KR102283180B1 (ko) 2021-07-28

Family

ID=7613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560A KR102283180B1 (ko) 2019-11-19 2019-11-19 매트형 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1795A (zh) * 2022-09-21 2022-12-30 安徽中飞星梦体育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防漏踩荷叶垫及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26Y1 (ko) 2013-02-20 2014-08-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요가 매트
KR101914265B1 (ko) 2017-06-05 2018-11-01 (주)메덱스힐링 브레인 요가 매트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44B1 (ko) * 2017-10-19 2019-06-26 노영희 스퀘어 스텝핑 운동 매트,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26Y1 (ko) 2013-02-20 2014-08-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요가 매트
KR101914265B1 (ko) 2017-06-05 2018-11-01 (주)메덱스힐링 브레인 요가 매트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47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46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20190273885A1 (en)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125001B2 (en) Individualized short-range radio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central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101737123B1 (ko) 네트워트 장치의 제어방법
CN104122999A (zh) 智能设备交互方法及系统
KR102283180B1 (ko) 매트형 운동 시스템
EP3210388B1 (en)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648246B1 (ko) 체형 관리 장치
US9849377B2 (en) Plug and play tangible user interface system
CN100381987C (zh) 控制照明参数的方法、控制装置、照明系统
KR102588392B1 (ko) 체형 관리 장치
JP2013098821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遠隔制御システム用のリモコン装置
JP6400341B2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CN108369561A (zh) 电子设备控制装置、电子设备控制方法和电子设备控制程序
CN102641198A (zh) 基于无线网络和声音定位的盲人环境感知方法
JP2014501474A (ja) 複数のディスプレイ統合制御システム及びディスプレイ統合入力装置
KR20170071414A (ko)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정지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949163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움직임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384527B1 (ko)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255107A (ja) コントローラ、制御端末、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をプロセッサ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7060096A (ja) 操作器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034094B1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10460595B2 (en) Instruction device, program, instruction system, and instruction method
KR101415213B1 (ko) Gui로 구현된 동물훈련용 무선 휴대단말기 및 조작방법
JP201515330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