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02B1 -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02B1
KR102200002B1 KR1020190078112A KR20190078112A KR102200002B1 KR 102200002 B1 KR102200002 B1 KR 102200002B1 KR 1020190078112 A KR1020190078112 A KR 1020190078112A KR 20190078112 A KR20190078112 A KR 20190078112A KR 102200002 B1 KR102200002 B1 KR 10220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control
power
voice search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677A (ko
Inventor
이홍민
김상태
임원균
장범우
김강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9007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음성검색이 가능하도록 셋탑박스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저장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요청한 음성검색을 허락한다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Voice search applied remote control and how to support it}
본 발명은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음성검색이 가능하도록 셋탑박스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리모컨으로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어 각 가정에서 보유하는 리모컨의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처럼 가정에서 사용하는 리모컨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리모컨의 관리 및 필요한 때에 리모컨을 찾는 것이 어려워져 여러 리모컨의 기능이 통합된 통합 리모컨이 개발되었다.
통합 리모컨은 하나의 리모컨에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통합 리모컨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출력한다.
도 1은 종래 리모컨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종래 일반적인 리모컨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리모컨은 입력부 및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셋탑박스 전원버튼, 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TV 전원버튼, TV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채널 변경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는 버튼이 조작되면, 각 버튼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TV 또는 셋탑박스가 원격제어 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리모컨은 음성검색 버튼을 포함하며,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한 후 음성 명령에 부합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기존 출시된 리모컨으로 셋탑박스의 음성기능을 사용할 경우, 셋탑박스의 전원이 온(on) 상태이면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음성 명령에 부합하는 제어코드의 송신이 가능하지만, 셋탑박스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면,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후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 리모컨의 경우, 사용자가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며,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5566호(발명의 명칭: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849229호(발명의 명칭: 음성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인지 꺼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음성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의 송신이 가능한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셋탑박스의 전원과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의 송신이 가능한 리모컨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셋탑박스의 전원과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의 송신 시점을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저장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요청한 음성검색을 허락한다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저장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요청한 음성검색을 허락한다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과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코드로 송신하거나, 두 개의 제어코드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꺼진 상태이면,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코드로 송신하거나, 두 개의 제어코드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꺼진 상태이더라도 음성검색 버튼을 한 번만 조작하는 것으로 음성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셋탑박스의 전원상태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상태를 동기화시켜 셋탑박스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경우에도 한 번의 버튼 조작으로 두 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음성검색을 위한 리모컨의 버튼 조작 횟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리모컨을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이 포함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이 포함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이 포함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200)은 리모컨(210), 셋탑박스(220) 및 제어 대상기기(23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대상기기(230)는 셋탑박스(2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 대상기기(230)는 셋탑박스(220)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특히 HDMI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대상기기(230)는 리모컨(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대상기기(230)는 리모컨(210)으로부터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를 수신되면 제어 대상기기(230)의 전원을 켜고, 전원을 꺼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대상기기(230)의 전원을 끊다. 이외에도 제어 대상기기(230)는 리모컨(21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셋탑박스(220)는 제어 대상기기(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셋탑박스(220)는 제어 대상기기(230)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탑박스(220)는 리모컨(210)과 연결되며, 특히 셋탑박스(220)는 리모컨(210)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셋탑박스(220)는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리모컨(210)으로 제공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셋탑박스(220)는 현재 전원 상태가 켜진 상태인지 꺼진 상태인지 여부를 리모컨(210)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셋탑박스(220)는 전원 상태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210)으로 제공한다.
리모컨(210)은 셋탑박스(220), 제어 대상기기(230)와 연결되며, 특히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210)은 셋탑박스(220)로부터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리모컨(210)은 음성검색 버튼이 조작되면, 셋탑박스(22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 리모컨(210)은 셋탑박스(220)의 전원이 켜진 상태라면, 음성검색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리모컨(210)은 셋탑박스(220)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셋탑박스(220)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먼저 송신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도 3은 리모컨에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S300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전원 상태를 제공받는다.
S302단계에서 리모컨은 제공받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전원이 꺼진 상태인지, 전원이 켜진 상태인지 확인한다. 리모컨은 제공받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S310단계로 이동하며,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S312단계로 이동한다.
S310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고 저장한다.
S312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라고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외에도 리모컨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상태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셋탑박스는 연결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전원 상태에 변경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셋탑박스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전원 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셋탑박스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꺼기 직전,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직후에는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으로 제공한다.
물론 제어 대상기기는 직접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리모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400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되었음을 감지한다.
S402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켜진 상태라면 S404단계로 이동하며,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S410단계로 이동한다.
S404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출력(송신)한 후 음성검색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S410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후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S410단계에서의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는 S404단계에서의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와 상이하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리모컨은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리모컨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온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S412단계에서 리모컨은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전원이 켜진 상태임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제공받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물론 리모컨은 전원이 켜진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셋탑박스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S414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음성검색을 허락하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한다.
S416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셋탑박스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셋탑박스의 전원과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성검색이 가능한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500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되었음을 감지한다.
S502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켜진 상태라면 S508단계로 이동하며,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S504단계로 이동한다.
S504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는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리모컨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꺼진 경우에는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S506단계에서 리모컨은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전원이 켜진 상태임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제공받은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물론 리모컨은 전원이 켜진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셋탑박스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S508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출력(송신)한 후 음성검색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S510단계에서 리모컨은 셋탑박스로부터 음성검색을 허락하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한다.
S512단계에서 리모컨은 음성검색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셋탑박스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 조작으로 셋탑박스의 전원과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리모컨은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212)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12)는 셋탑박스 전원버튼, 제어 대상기기 전원버튼, 통합 전원버튼, 셋탑박스의 볼륨 및 셋탑박스의 채널을 조절하는 버튼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음성검색을 요구하는 음성검색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셋탑박스 또는 제어 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버튼을 포함한다.
통신부(214)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며, 송신부는 제어부(218)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제어코드를 외부로 송신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송신부는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부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와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송신부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를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 및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셋탑박스의 전원은 켜진 상태이고,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은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송신부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와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는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는 전원 상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며, 수신부는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외에도 수신부는 전원이 켜진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셋탑박스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물론 통신부(2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 이외에 제어 대상기기에도 제어 대상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4)는 셋탑박스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 물론 통신부(214)는 블루투스 통신 이외에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Z-WAV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RF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셋탑박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16)는 리모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216)는 입력부(212)를 구성하는 각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부(216)는 셋탑박스의 전원상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18)는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8)는 입력부(212)로부터 버튼 조작이 감지되면,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218)는 음성검색 버튼이 조작되면, 셋탑박스의 전원상태 및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한다. 제어부(218)는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셋탑박스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18)는 셋탑박스로부터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가 수신되면 마이크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셋탑박스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18)는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로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코드로 송신하거나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물론 제어부(218)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코드를 분리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에 대응하여 셋탑박스의 전원을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경우에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코드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부(218)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켰다는 제어코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반복하여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물론 제어부(218)는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반복하여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8)는 셋탑박스로부터 음성검색을 허락하는 제어코드가 수신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도록 통신부(214)를 제어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00: 제어 시스템 210: 리모컨
220: 셋탑박스 230: 제어 대상기기
212: 입력부 214: 통신부
216: 저장부 218: 제어부

Claims (9)

  1.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저장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요청한 음성검색을 허락한다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로 RF 통신으로 송신하는 상기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는,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으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꺼기 직전 또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직후 상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4.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저장된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셋탑박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면,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셋탑박스의 전원이 켰다는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저장하는 단계;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음성검색 요청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요청한 음성검색을 허락한다는 음성검색 허락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된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RF 통신으로 송신하는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는,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라는 제어신호가 포함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으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꺼기 직전 또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직후 상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이 켜진 셋탑박스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이 켜졌다는 제어신호가 포함된 제어코드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에서 음성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7.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음성검색 버튼과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코드로 송신하거나, 두 개의 제어코드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음성검색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 상태가 꺼진 상태이면,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검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코드로 송신하거나, 두 개의 제어코드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RF 통신으로 송신하는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에는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된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으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셋탑박스의 전원을 꺼기 직전 또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켠 직후 상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제어 대상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검색을 지원하는 리모컨.
  9. 삭제
KR1020190078112A 2019-06-28 2019-06-28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10220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12A KR102200002B1 (ko) 2019-06-28 2019-06-28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12A KR102200002B1 (ko) 2019-06-28 2019-06-28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77A KR20210001677A (ko) 2021-01-06
KR102200002B1 true KR102200002B1 (ko) 2021-01-08

Family

ID=7412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12A KR102200002B1 (ko) 2019-06-28 2019-06-28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99B1 (ko) * 2022-07-18 2024-02-2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레비전을 이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585A (ja) * 1999-02-15 2000-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機器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制御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190Y2 (ja) * 1991-08-28 1999-03-17 株式会社精工舎 電子機器の遠隔操作装置
KR101849229B1 (ko) 2017-08-25 2018-05-24 (주)비전정보통신 음성인식을 통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975566B1 (ko)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585A (ja) * 1999-02-15 2000-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機器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制御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77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6245B2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EP26895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KR101623162B1 (ko)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0781509B1 (ko)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원격제어장치
US77745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umerous slave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US1155720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element in a display device
US8634720B2 (en) Remote control relay for wirelessly-controlled devices
US108530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hearing device and an appliance
TWI582731B (zh) 協助使用不同電子裝置之控制裝置
KR102013291B1 (ko) 리모컨에서 tv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방법
KR102200002B1 (ko) 음성검색이 적용된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EP2987333B1 (en) Remote control for first and second apparatus
KR102058386B1 (ko) 리모컨을 이용한 제어 대상기기의 코드셋 등록 방법
KR101911379B1 (ko) 리모컨에서 tv의 hdmi 포트 설정 방법
US10298991B2 (en) Associating a control device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KR102279049B1 (ko)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 및 셋탑박스
KR20110065987A (ko)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KR102329164B1 (ko) 대기압에 따라 제어대상기기를 변경하는 리모컨
KR102329166B1 (ko)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234758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대상기기 동작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14572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evice configura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401433B1 (ko) 업데이트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방법
JP2005269372A (ja) リモコン信号変換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
KR1015429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를 이용하는 적외선, 블루투스 겸용 리모트 컨트롤러
JP2006526320A (ja) 電子装置を制御する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