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516B1 -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516B1
KR101056516B1 KR1020100105379A KR20100105379A KR101056516B1 KR 101056516 B1 KR101056516 B1 KR 101056516B1 KR 1020100105379 A KR1020100105379 A KR 1020100105379A KR 20100105379 A KR20100105379 A KR 20100105379A KR 101056516 B1 KR101056516 B1 KR 10105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remote control
wireless ta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대
Original Assignee
조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대 filed Critical 조용대
Priority to KR102010010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16B1/ko
Priority to PCT/KR2011/008070 priority patent/WO2012057541A2/ko
Priority to CN2011800522241A priority patent/CN103238342A/zh
Priority to US13/881,753 priority patent/US201302221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acilitating integration of the record carrier with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f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방식을 이용한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 무선태그부 및 제1스위치부를 포함하고, 리모컨에 구비된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전자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신호정보가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부; 및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버튼이 선택된 경우 안테나부와 복수의 버튼부에 구비된 각각의 무선태그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수신되는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가 동시에 각각의 무선태그부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고, 버튼부의 무선태그부는 무선태그부 고유의 식별정보 및 리모컨신호 정보가 저장되고, 제1스위치부는 버튼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무선태그부 및 안테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는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및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에 저장될 리모컨신호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리모컨을 가지고도 복수의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이 변경되더라도 용이하게 그에 따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Updatable remote controller system having wireless tag}
본 발명은 RFID 방식을 이용한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RFID 방식을 이용한 리모컨에서 간편한 방식으로 각각의 버튼의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리모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현대 가정에서 TV, 세탑박스, 에어컨 등 많은 종류의 전자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많은 제품은 리모컨으로 제어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리모컨의 사용비율은 점점 높아질 전망이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리모컨은 하나의 전자제품만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전자제품이라 하더라도 제조사가 다르면 다른 리모컨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까닭으로 각 가정에는 전자제품의 수와 동일한 수의 리모컨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한 가정에서 많은 수의 리모컨을 가지게 되면서, 리모컨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자제품이 교체되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에 리모컨을 교체해야 하는데, 이렇게 될 경우 새로운 리모컨을 구입해야 하고, 기존의 리모컨은 폐기해야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의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품의 기능이 업데이트되거나 교체될 때마다 해당되는 리모컨도 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다 해결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업데이트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또한, 업데이트에 대해 현재까지 연구된 바도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버튼별로 하나하나 업데이트를 별개로 하여야 하였으므로 대단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동작으로 리모컨에 구비된 각 버튼에 할당된 리모컨신호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 무선태그부 및 제1스위치부를 포함하고, 리모컨에 구비된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전자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신호정보가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부; 및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복수의 버튼부에 구비된 각각의 무선태그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수신되는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무선태그부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의 무선태그부는 상기 무선태그부 고유의 식별정보 및 상기 리모컨신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태그부 및 상기 안테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에 저장될 리모컨신호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태그부는 리모컨신호정보와 상기 무선태그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고, 리모컨신호정보만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한 연결경로와 상기 제2스위치부를 통한 연결경로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는 3로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무선태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1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1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2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되어지면 상기 제1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되어지면 상기 제2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1단자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상기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버튼 및 상기 업데이트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그룹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어그룹별로 서로 다른 전자제품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리모컨신호정보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외부연결부; 상기 외부연결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리모컨신호정보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외부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리더/라이터부; 및 상기 안테나부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리더/라이터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는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리모컨을 가지고도 복수의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이 변경되더라도 용이하게 그에 따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무전원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제품 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버튼에 할당되는 기능을 손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태그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로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가 서로 다른 연결경로를 갖는 예를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로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가 3로스위치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에서 전자제품 등에 구현되는 업데이트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로 리모컨 시스템 내에 업데이트부를 더 구비한 예를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에서 컴퓨터 등에 구현되는 업데이트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것
도 9는 본 발명이 컴퓨터 등에 연결되었을 때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
본 발명의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리모컨에 구비된 각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업데이트란 각각의 버튼을 눌렀을 때 전송되는 리모컨신호정보를 새롭게 변경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외부의 신호는 리모컨의 제어를 받는 전자제품으로부터, 리모컨의 기능을 업데이트하는 기능이 있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또는 리모컨 업데이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 등으로부터 유,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로, 외부에서 리모컨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경우에 업데이트가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복수개의 버튼부(110-1, 110-2,…, 110-n)와 제2스위치부(120) 및 안테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버튼부(110-1, 110-2,…, 110-n)는 무선태그부(112-1, 112-2,…, 112-n) 및 제1스위치부(111-1, 111-2,…, 111-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버튼부 중 특정한 버튼부를 특정할 필요없이 어느 하나의 버튼부를 지칭할 때에는 버튼부(110)로 기재하고, 그 안에 포함된 무선태그부는 무선태그부(112), 제1스위치부는 제1스위치부(111)로 기재한다.
무선태그부(112)는 일반적인 RFID태그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메모리부(11), 제어부(12), 전원공급부(13), 송신부(14) 및 수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11)에는 무선태그부 고유의 식별정보 및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신호정보가 저장된다.
전원공급부(13)는 무선태그부(112)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하나는 내부에 건전지 등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그 구성요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태그부(112)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켜 그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태그부(112)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RF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경우에 리모컨의 제어를 받는 전자제품에서 RF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거나, RF 신호를 송출하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그 장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전원이 필요없는 무전원 방식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건전지를 갈아야 한다던가, 충전을 해야한다던가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송신부(14)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를 송출한다.
수신부(15)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2)는 전원공급부(13)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가 송신부(14)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고, 수신부(15)로부터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신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이 정보를 메모리부(11)에 기존에 저장된 정보 대신에 저장하여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되는 형태는 일반적인 RFID라이터에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하는 형식을 따른다.
이러한 형식은 RFID 라이터와 RFID태그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정해지며, 프로토콜이 변경되면 변경되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RFID태그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정하여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코드와 무선태그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코드와 무선태그에 저장될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가 하나의 신호 내에서 결합되어 수신되면, 해당되는 식별정보를 가지는 무선태그부(111)의 제어부(12)는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를 새로 수신된 정보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를 송신부(14)를 통하여 송출할 때에는,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 중 리모컨신호정보만 송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와 리모컨신호정보가 함께 송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제1스위치부(111)는 버튼부(110)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무선태그부(112)와 안테나부(13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특정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에 대응되는 버튼부(110)의 제1스위치부(111)는 무선태그부(112)와 안테나부(13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무선태그부(112)의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정보가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버튼이 선택된다는 의미는 버튼의 형태와 작동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리모컨의 경우 누름 버튼이 있어서 누르면 순간 또는 눌렀다 손을 떼는 순간 신호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버튼이 선택된다는 의미는 버튼을 누른다는 의미 또는 버튼이 눌러졌다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리모컨이 터치스크린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버튼에 해당되는 영역이 터치되는 것이 버튼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한번 누르면 다시 눌를 때까지 계속하여 눌러져 있는 버튼과 같은 경우는 눌러져 있는 상태는 곧 계속하여 선택을 받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것이다.
안테나부(130)는 무선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위한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스위치부(120)는 업데이트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버튼이 눌러진 경우 안테나부(130)와 모든 버튼부(110)의 무선태그부(112)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수신되는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무선태그부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스위치부(111)의 경우, 사용자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누른 하나의 버튼에 대응되는 무선태그부(112)와 안테나부(130)만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제2스위치부(120)는 안테나부(130)와 모든 버튼부(110-1, 110-2,…, 110-n)의 무선태그부(112-1, 112-2,…, 112-n)가 연결되도록 한다.
즉, 제2스위치부(120)만 연결되면 한번에 모든 무선태그부(112-1, 112-2,…, 112-n)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모컨의 업데이트를 할 때에 사용자는 업데이트를 위한 하나의 버튼만 누르면 모든 버튼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되며, 업데이트를 위하여 각각의 기능을 위한 버튼을 개별적으로 누를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스위치부(111)와 제2스위치부(120)의 관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별개의 연결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스위치부(111)를 통한 연결경로와 제2스위치부(120)를 통한 연결경로를 별도로 구성하여 제1스위치부(111)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른 경우와 업데이트를 위한 버튼을 누른 경우 연결되는 경로가 서로 독립적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에서와 같이 3로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첫 번째 버튼부(110-1)를 중심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3로 스위치를 이용한 제1스위치부(111) 및 제2스위치부(1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스위치부(111)를 구성하는 3로스위치(single pole double throw switch)의 공통단자(210)는 동일한 버튼부의 무선태그부(112)에 연결되어 있다.
대응되는 버튼의 선택여부에 따라 스위치의 연결상태에 관여하는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12) 중 제1단자는 제2스위치부(120)를 구성하는 3로스위치의 제1단자(2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스위치부(111)의 제2단자(212)는 제2스위치부(120)의 제2단자(222)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특정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의 제1스위치부(111)의 3로스위치는 공통단자(210)와 제2단자(212)가 연결되어, 무선태그부(112), 제1스위치부(111)의 공통단자(210), 제1스위치부(111)의 제2단자(212), 제2스위치부(120)의 제2단자(222), 제2스위치부(120)의 공통단자(220) 및 안테나부(130)의 순서로 연결되게 된다.
반대로 업데이트를 위한 버튼이 눌려진 경우, 제2스위치부(120)의 3로스위치는 공통단자(220)와 제1단자(221)가 연결되게 되어, 무선태그부(112), 제1스위치부(111)의 공통단자(210), 제1스위치부(111)의 제1단자(211), 제2스위치부(120)의 제1단자(221), 제2스위치부(120)의 공통단자(220) 및 안테나부(130)의 순서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복수의 버튼부(110-1, 110-2,…, 110-n) 중에는 업데이트의 시작을 지시하는 기능이 저장된 무선태그부를 구비한 버튼부와, 업데이트의 종료를 지시하는 기능이 저장된 무선태그부를 구비한 버튼부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리모컨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에서 직접 RF신호로 보내도록 하거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송출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RF신호로 보내도록 하여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의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인데, 리모컨 내에 이러한 업데이트를 시작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 정보를 송출하는 장치 등에 가서 업데이트 정보를 송출하도록 조작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송출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면,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컨 내에 업데이트의 시작 및 종료를 지시하는 기능키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업데이트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서 업데이트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가 송출되면, 해당되는 전자제품 등에서는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가 송출되며,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위하여 제2스위치부(120)와 연결된 버튼을 누르면 안테나부(130)와 각 버튼부의 무선태그부가 모두 연결되어,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업데이트 정보가 각 버튼부의 무선태그부에 전송되어 각각의 버튼의 기능이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시작을 위한 버튼을 누르는 것과 다운로드를 위한 버튼을 누르는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도 4와 같이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가 3로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먼저 업데이트 신호의 다운로드를 위한 제2스위치부(120)가 먼저 연결(제2스위치부의 공통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기능제어를 위한 다른 버튼을 누르면 오히려 그 버튼에 연결된 제1스위치 내의 연결이 끊기게(제1스위치부의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 되므로, 이러한 상태정보에 따라 업데이트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제품 등에서 업데이트 시작을 지시하는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일반적인 경우와는 반대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일단 무선태그부(112)와 안테나부(130)가 서로 연결되면, 업데이트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는 별개로 무선태그부(112)에 저장된 정보가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송출된다. 따라서, 제2스위치부(120)가 연결되면 모든 무선태그부(112-1, 112-2,…, 112-n)에 저장된 정보가 송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버튼에 연결된 무선태그부만이 안테나부와의 연결이 끊기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되는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정보만이 전송이 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무선태그부의 정보가 전송되다가 특정 무선태그부의 정보만이 전송이 되지 않으면, 그 무선태그부에 연결된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을 하면, 위와 같은 상황에서도 어떤 버튼이 눌러지고 있는지 외부의 장치에서 판단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업데이트 시작을 위하여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는 전자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이 사용되거나, TV, 에어컨 등 전자제품의 종류별로 일정한 값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데이트 시작을 지시하는 정보가 전자제품별로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각 전자제품의 업데이트 시작을 지시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미리 리모컨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올라가게 되므로, 업데이트 시작을 알리는 정보는 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혹은 적어도 제품의 종류별로 일정한 값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는 시작/종료를 위한 버튼이 제어그룹(100) 내에 포함되도록 설명을 하였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제어그룹(100)에 포함되지 않도록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시작/종료를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모든 전자제품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면, 업데이트가 필요가 없으므로 굳이 제어그룹(100) 내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괜찮을 것이다.
특히, 하나의 리모컨에 여러 개의 제어그룹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각의 제어그룹마다 업데이트 시작/종료를 위한 버튼을 할당한다면 좁은 공간에 더 많은 버튼을 배열해야 되므로 제어그룹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시작/종료를 위한 버튼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작/종류를 위한 버튼에 연결된 구성은 버튼부와 같이 무선태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업데이트가 필요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리모컨이나 기타의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자제품만을 제어하기 위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제어그룹(100)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하나의 리모컨 내에 복수의 제어그룹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제어그룹(100, 200, 300)은 안테나부(130)를 공유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어그룹은 각각 별개의 전자제품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어그룹의 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업데이트는 제어그룹별로 수행이 된다.
도 6은 리모컨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별개의 장치로 구현이 될 수도 있고, 리모컨의 제어를 받는 전자제품의 내부에 구현이 될 수도 있다.
이 시스템은 무선태그의 리더/라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송수신부(610), 제어부(620), 업데이트정보부(630) 및 입력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610)는 제어부(620)를 통하여 전송이 결정된 신호를 RF신호 등 무선신호로 전송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입력부(640)는 마우스, 키보드 등을 통하여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업데이트정보부(630)는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위하여 외부에 출력될 정보를 생성한다.
리모컨 내에 하나의 제어그룹만이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리모컨이 모두 동일한 형식을 갖도록 제조된 경우에는 외부에 출력될 정보도 항상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업데이트정보부(630)는 업데이트를 위하여 저장하고 있는 정보가 그대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것이다.
업데이트할 때마다 각기 다른 형태의 업데이트를 한다던가, 리모컨별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업데이트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업데이트정보부(630)는 업데이트를 위하여 외부에 출력될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여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업데이트는 리모컨에 구비된 각각의 기능제어를 위한 버튼에 연결된 무선태그부의 메모리에 새로은 정보를 기록하는 작업으로, 무선태그의 라이터(writer)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에 따라서 신호의 형식이 정해지며, 이러한 신호의 형식은 무선태그와 무선태그 라이터간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복수의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정보를 동시에 업데이트할 때에는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에 각각의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와 그 무선태그부에 저장될 전자제품의 기능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정보가 모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의 리모컨시스템이 항상 일정한 형태로만 제작이 되고, 각각의 버튼별로 할당되는 기능이 일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각각의 기능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정보는 항상 동일한 버튼에 연결된 무선태그부에 저장될 것이므로,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리모컨신호정보가 무엇인지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정보부(630)에는 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고, 업데이트가 시작되면 그 정보가 그대로 전송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버튼에 할당되는 기능이 리모컨별로 서로 다르게 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를 할 때마다 새로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어그룹이 구비된 리모컨에서 제1제어그룹에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신호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제1제어그룹에 속한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업데이트를 하고자 하는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를 먼저 확인한 후, 그 식별정보 및 리모컨신호정보를 같이 전송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업데이트를 하고자 하는 무선태그부의 식별정보는 제2스위치부(120)가 연결되어 각각의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리모컨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리모컨에서 업데이트 시작을 위한 버튼을 눌렀을 때 전송되는 신호에 업데이트가 필요한 무선태그부의 모든 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내부에 무선태그의 리더/라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여, 컴퓨터 등 전자제품의 업데이트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가능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직접 업데이트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무선태그의 리더/라이터 기능을 구비하고,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의 리모컨 시스템은 제1안테나부(130)와 연결된 제어그룹(100)과 제2안테나부(730)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그룹(100)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그룹(100)과 동일하다. 제어그룹(100) 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에는 하나의 제어그룹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5와 같이 복수의 제어그룹이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업데이트부(700)는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장치(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태그부(112)에 저장된 리모컨신호정보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부(700)는 제2안테나부(730) 외에 외부연결부(710) 및 리더/라이터부(720)를 포함하며, 제2안테나부(730)를 통하여 제어그룹(100)과 통신하여 제어그룹(100)내의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외부연결부(710)는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외부 장치와 연결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외부 장치로는 컴퓨터가 가장 많이 이용될 것이며, 이러한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에스비를 통하여 데이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외에도 전원의 공급도 받을 수 있으므로, 리모컨 시스템 내부에 건전지 등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없는 경우에도 업데이트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외부연결부(710)는 블루투스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리더/라이터부(720)는 제어그룹(100) 내의 무선태그의 정보를 읽어서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받아서 이를 무선태그에 라이팅을 하기 위한 신호로 변경하여 해당되는 무선태그에 전송하여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안테나부(730)는 안테나부(130)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리더/라이터부(720)와 버튼부(110) 사이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2스위치부(120)가 연결되어 모든 무선태그부가 제1안테나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업데이트가 진행되게 된다.
도 8은 컴퓨터 등에 설치되는 업데이트 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 등에 설치되는 업데이트 시스템(800)은 외부연결부(810), 제어부(820), 업데이트정보부(830) 및 입력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연결부(810)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등 도 7의 리모컨 시스템의 외부연결부(710)와 유,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입력부(84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업데이트정보부(830)는 전자제품의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업데이트부(700)에 전송될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820)는 입력부(84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업데이트정보부(850)의 업데이트 정보 생성의 제어 및 정보의 전송, 수신, 화면의 출력을 제어한다.
출력부(850)는 업데이트 정보의 생성 진행 상황, 테스트 상황 등을 화면을 통하여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전자제품 내에 구비되는 업데이트 시스템에 비하여 도 8에 도시된 컴퓨터에 구비된 업데이트 시스템은 웹브라우저(860)를 통하여 각종 전자제품의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의 업데이트가 보다 용이하고,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각 버튼에 할당되는 기능을 조절하기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리모컨 시스템과 도 8에 도시된 업데이트 시스템을 연결하고,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제2스위치부(120)를 연결시켜 각 무선태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면, 제어부(820)는 제어그룹(100)에 구비된 각 무선태그 정보가 출력부(850)를 통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 때, 리모컨 시스템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리모컨의 종류가 확인가능하다면, 즉 업데이트정보부(830)에 해당되는 리모컨의 모양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출력부(850)를 통하여 연결된 리모컨의 모양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가 업데이트정보부(830)에 저장된 전자제품의 업데이트 정보 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면 그 제품에서 리모컨을 통하여 실행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가 출력부(8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을 리모컨의 각 버튼에 매칭시킬 수 있다.
업데이트정보부(830)는 이렇게 사용자가 매칭한 정보에 따라 각 무선태그부의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정보가 생성되고, 이 업데이트 정보는 외부연결부(810, 710)를 통하여 리더/라이터부(720)로 전송되고, 리더/라이터부(720)는 제2안테나부(730) 및 제1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제어그룹(100) 내의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시킨다.
도 6에 도시된 전자제품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서도 위와 같은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 없으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출력화면이 필요하고, 각 버튼과 기능의 매칭 작업을 리모컨의 방향이동키 등만을 이용하여 하는 경우 조금 더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을 것이다.
한편, 컴퓨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전자제품에 대해 그 기능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컴퓨터 화면을 통해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은 화면을 통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다.
도 9의 왼쪽에 도시된 리모컨은 컴퓨터의 출력부(850)를 통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리모컨(900)이고, 오른쪽에 도시된 리모컨(1000)은 실제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컨이다.
사용자가 특정 버튼(1010)을 누르게 되면, 그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신호정보가 제1안테나부(130), 제2안테나부(730), 리더/라이터부(720), 외부연결부(710)를 통하여 업데이트 시스템(800)에 전달되고, 업데이트 시스템(800)의 제어부(820)는 출력부(850)를 통하여 해당되는 버튼(910)이 반짝거리게 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버튼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이에 더 나아가, 해당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무엇인지도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9)

  1.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
    무선태그부 및 제1스위치부를 포함하고, 리모컨에 구비된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전자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신호정보가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부; 및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복수의 버튼부에 구비된 각각의 무선태그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수신되는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무선태그부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의 무선태그부는 상기 무선태그부 고유의 식별정보 및 상기 리모컨신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무선태그부 및 상기 안테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리모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에 저장될 리모컨신호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부는 리모컨신호정보와 상기 무선태그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한 연결경로와 상기 제2스위치부를 통한 연결경로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와 상기 제2스위치부는 3로스위치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제1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무선태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1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1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2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되어지면 상기 제1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제1스위치부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부에 대응되는 버튼이 선택되어지면 상기 제2스위치부의 공통단자는 상기 제2스위치부의 제1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상기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버튼 및 상기 업데이트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그룹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제어그룹별로 서로 다른 전자제품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시스템은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리모컨신호정보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전송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외부연결부;
    상기 외부연결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태그부에 저장된 리모컨신호정보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외부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리더/라이터부; 및
    상기 안테나부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리더/라이터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의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KR1020100105379A 2010-10-27 2010-10-27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KR10105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79A KR101056516B1 (ko) 2010-10-27 2010-10-27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PCT/KR2011/008070 WO2012057541A2 (ko) 2010-10-27 2011-10-27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CN2011800522241A CN103238342A (zh) 2010-10-27 2011-10-27 具有可更新的无线标签的遥控器系统
US13/881,753 US20130222120A1 (en) 2010-10-27 2011-10-27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an updatable wireless 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79A KR101056516B1 (ko) 2010-10-27 2010-10-27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516B1 true KR101056516B1 (ko) 2011-08-11

Family

ID=4493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79A KR101056516B1 (ko) 2010-10-27 2010-10-27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22120A1 (ko)
KR (1) KR101056516B1 (ko)
CN (1) CN103238342A (ko)
WO (1) WO201205754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2774A (zh) * 2013-08-09 2013-11-27 深圳市富斯遥控模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遥控发射机实现系统程序自动更新的方法及系统
KR101542931B1 (ko) 2014-02-07 2015-08-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를 이용하는 적외선, 블루투스 겸용 리모트 컨트롤러
KR101618461B1 (ko) 2014-12-02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5657504A (zh) * 2015-12-31 2016-06-08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器升级方法及机顶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81B1 (ko) 2002-12-31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형 통합 리모컨 및 작동 방법
KR100546674B1 (ko) 2003-11-0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구현장치 및 그 방법
JP2006197377A (ja) 2005-01-14 2006-07-27 Sharp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48406B1 (ko) 2005-09-08 2007-08-10 주식회사 유시스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8902B2 (en) * 1998-12-14 2004-12-07 Soundcraft, Inc. Wireless data input to RFID reader
US6133833A (en) * 1999-02-25 2000-10-17 Motorola, Inc. Wireless add-on keyboard system and method
KR100568227B1 (ko) * 2003-04-21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리모컨 장치 및 상기무선 리모컨 장치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방법
US20060061482A1 (en) * 2004-09-23 2006-03-23 Patrick Monney RFID auto-connect for wireless devices
KR20070017672A (ko) * 2005-08-08 200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키의 재등록 방법
KR20090016316A (ko) * 2007-08-10 2009-02-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및 통합 리모컨의 학습 방법
US8638191B2 (en) * 2007-09-28 2014-01-28 Stryker Corporation Wireless hand-control of device by means of wireless button
JP2009192327A (ja) * 2008-02-13 2009-08-27 Toshiba Tec Corp 無線タグ探知装置
KR20100043620A (ko) * 2008-10-20 2010-04-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모콘의 키 배열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JP5293271B2 (ja) * 2009-02-27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046967B2 (en) * 2009-07-02 2015-06-02 Uusi, Llc Vehicle accessory control interface having capactive touch switches
CN101645196B (zh) * 2009-08-25 2012-09-12 深圳市融创天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遥控器生成方法
US20120062366A1 (en) * 2010-09-10 2012-03-15 Trimble Navigation Limit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i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81B1 (ko) 2002-12-31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형 통합 리모컨 및 작동 방법
KR100546674B1 (ko) 2003-11-0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구현장치 및 그 방법
JP2006197377A (ja) 2005-01-14 2006-07-27 Sharp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48406B1 (ko) 2005-09-08 2007-08-10 주식회사 유시스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2774A (zh) * 2013-08-09 2013-11-27 深圳市富斯遥控模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遥控发射机实现系统程序自动更新的方法及系统
KR101542931B1 (ko) 2014-02-07 2015-08-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를 이용하는 적외선, 블루투스 겸용 리모트 컨트롤러
KR101618461B1 (ko) 2014-12-02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5657504A (zh) * 2015-12-31 2016-06-08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器升级方法及机顶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541A3 (ko) 2012-07-12
CN103238342A (zh) 2013-08-07
WO2012057541A2 (ko) 2012-05-03
US20130222120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7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9812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frared remote controls of home appliances
CN100591164C (zh) 无线遥控系统
WO2013073492A1 (ja) 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コン
KR101056516B1 (ko)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JP200632504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遠隔制御装置ならびに制御対象機器
CN102405649A (zh) 遥控装置、通信装置、遥控方法和程序
CN103997570A (zh) 一种移动终端的配对方法、系统和移动终端
WO2013035213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電気機器
CN101853567A (zh) 一种学习型遥控器
US20160119741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signal converter of the same
CN105308983A (zh) 电气设备、空气调节机、外部控制器、便携终端以及空调系统
CN103460712A (zh) 终端设备、其通信方法以及通信模块
CN104835304A (zh) 蓝牙遥控装置及其配置方法
US20130271380A1 (en) Display integrated control systems and display integrated input device
KR100828931B1 (ko) 다수의 기기제어를 위한 범용 리모콘 시스템
KR20120005315A (ko) 가전기기 통합 제어시스템
US201301691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ouped devices
KR20050068297A (ko)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1379B1 (ko) 리모컨에서 tv의 hdmi 포트 설정 방법
US103683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system
US9786160B2 (en) Interior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156738B1 (ko)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CN112882393A (zh) 电气设备、控制电气设备的方法和控制器
US20040157544A1 (en) Home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