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461B1 -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461B1
KR101618461B1 KR1020140170428A KR20140170428A KR101618461B1 KR 101618461 B1 KR101618461 B1 KR 101618461B1 KR 1020140170428 A KR1020140170428 A KR 1020140170428A KR 20140170428 A KR20140170428 A KR 20140170428A KR 101618461 B1 KR101618461 B1 KR 10161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product
firmwar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을 가지는 전기제품;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기능수행을 위한 펌웨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태깅이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 및 전력비용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제품은 메모리에 저장된 펌웨어에 의해서 구동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기제품의 성능이나 추가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기제품의 펌웨어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번호 제1276861호(등록일 2013.06.10.)에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온라인 시스템은, 와이파이 모듈을 가지는 가전제품과, 무선 공유기(access point)와, 외부 단말과,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서버 및 가전제품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은 무선 공유기를 통하여 외부 단말과 통신하여,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온라인 시스템에 의하면, 가전제품이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더라도, 가정 또는 가정과 인접한 위치에 무선 공유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서버로부터 펌웨어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버가 펌웨어를 직접 가전제품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더라도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펌웨어를 전송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펌웨어를 전송받더라도 가전제품이 전송된 펌웨어 파일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가전제품이 펌웨어를 전송받았으나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공유기 없이도 단말기로부터 펌웨어를 전송받을 수 있는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을 가지는 전기제품;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기능수행을 위한 펌웨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태깅이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 및 전력비용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송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에 매칭된 펌웨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비용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회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FC 모듈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펌웨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온/오프 여부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이 작동중인 경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또는 고장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비용 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시간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력비용 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방식을 결정하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시간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제품 상태정보 알림서비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GPS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맞춤형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균형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균형도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발생 방지용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단말기의 NFC 송수신 모드가 실행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전기제품에 제 1 태깅되어,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가 요청되는 단계;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제품에 제 2 태깅되어, 상기 펌웨어가 상기 전기제품에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펌웨어는,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및 전력회사로부터 수신한 전력비용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 된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NFC 태깅에 의하여 단말기와 전기제품이 직접 통신하여, 전기제품에 펌웨어를 다운로드 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 전력정보 및 단말기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2개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품 맞춤형 펌웨어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업데이트용 펌웨어 파일을 수신한 전기제품이 파일 이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업데이트용 펌웨어 파일을 수신하였으나, 파일 이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펌웨어의 업데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100) 및 전기제품(200)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기제품(200)은 펌웨어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어떠한 제품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일 예로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단말기거치대(209)가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거치대(209)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거치대(209)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 및 단말기 음성출력부(108)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와 단말기 음성출력부(108)에는,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가 화면 및 소리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본체(201)와, 다수의 입력부(205a,205b,205c)와, 제품 디스플레이부(206)와, 제품 음성출력부(207) 및 상기 제 1 단말통신부(110)를 인식할 수 있는 제품통신부(2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입력부(205a,205b)와, 디스플레이부(206) 및 제품 통신부(210)는 상기 본체(20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0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입력부(205a,205b,205c)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을 위한 운전조건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입력부(205a,205b,205c)에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을 통하여 운전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 입력부(205a) 및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통하여 운전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제 2 입력부(205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입력부(205a,205b,205c)에는, 터치조작을 통하여 운전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제 3 입력부(205c)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입력부(205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운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운전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입력부(205a,205b,205c)에서 입력된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동작(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 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메모리(140) 및 상기 단말기메모리(140)와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전기제품(200)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제품통신부(210)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품제어부(24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또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제어부(240)는 상기 제품통신부(210)에 전기제품(200)의 내부 정보를 Writing(읽기 기능) 하거나, 상기 제품통신부(210)에 전기제품의 외부 정보를 Reading(쓰기 기능)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정보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온/오프 여부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이 작동중인 경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또는 고장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의 외부 정보는, 전기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외부에서 발생한 정보 즉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제품의 외부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기능수행과 관련된 펌웨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펌웨어 정보에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에 관한 펌웨어, 제품상태 정보 알림서비스에 관한 펌웨어, 지역 맞춤형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 또는 진동발생 방지를 위한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작동 코스에는, 세탁기의 세탁코스 또는 조리기기의 조리코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상기 제품통신부(210)간에는, 일 통신방식으로서 제 1 인터페이스(101)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01)에는, NFC 방식이 포함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무선태그(RFID) 기술중의 하나로서, 특정 주파수(13.56MHz) 대용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NFC는 기기간의 통신거리가 짧기 대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상기 제품통신부(210)는 NF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이해되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 또는 제품통신부(210)를 "NFC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태깅(Tagging)되면, 즉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상기 제품통신부(210)가 설정거리 내에 있게 되면,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품통신부(210)와 제품제어부(240)간에는, 다른 통신방식으로서 제품 인터페이스(210a)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210a)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이 포함된다.
상기 제품통신부(210)에는,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가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의 접근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모듈 인식부에는, 안테나(antenn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통신부(210)에는, 전기제품(2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메모리 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메모리 영역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또는 통신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전기제품(200)의 현재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 및 전기제품(200)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로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일례로 전기제품의 종류(세탁기, 조리기기, 냉장고등)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고유 ID(동일 모델명이라도 ID는 달라질 수 있음)가 포함된다.
상기 통신에 관한 정보에는, 제 1 인터페이스(101) 또는 제품 인터페이스(210a)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현재 상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온/오프 여부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이 작동중인 경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또는 고장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중에 소모된 전력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설정거리 내로 접근되어, 상기 전력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제어부(240)는 제품메모리(240)에 저장된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품통신부(210)의 각 메모리 영역에 Writing(쓰기)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100)가 NFC 송수신 모드로 돌입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이하, 제 1 태깅)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제품정보를 요청하게 된다(도 4의 S15 참조). 그리고, 상기 제품제어부(24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상기 전기제품(200)의 정보를 Writing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외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정보에는, 전기제품(200)의 펌웨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펌웨어에 관한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인 경우, 상기 외부정보는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외부정보는 조리기기의 조리정보(Cook data)일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은 소정의 코스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품으로 이해되며,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코스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코스는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전기제품(200)의 펌웨어에 관한 정보, 즉 외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는 서버(300, 도 3 참조)에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품통신부(210)의 모듈 인식부는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를 인식하며,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외부정보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정보를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에 Writing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제어부(240)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외부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그리고, Reading 된 정보는 전기제품(200)의 제품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품제어부(240)가 Reading 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된 외부정보(펌웨어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업데이트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작동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내부정보,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현재 상태정보 또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펌웨어 정보는 최신정보가 발생되면 덮어쓰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정보 또는 외부정보는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정보이므로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발생되면, 기존의 정보는 삭제되고 상기 새로운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 또는 제 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하는 제품메모리(230)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펌웨어를 변조하고 펌웨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펌웨어 변조 및 확인부(250) 및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펌웨어의 업데이트(update)를 실행하는 제품제어부(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제품통신부(110)와 NFC 통신할 수 있는 제 1 단말기통신부(210)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업데이트용 펌웨어를 저장하는 단말기메모리(140)와,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수신한 등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정보 저장부(150)와, 펌웨어 변조부(1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제품정보 저장부(150)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단말기메모리(1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서버(300, 도 3 참조)와 통신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사용되는 펌웨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메모리(140)는 하나의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업데이트용 펌웨어를 저장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업데이트용 펌웨어를 각각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입력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 및 단말기 음성출력부(108)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과, 서버(300) 및 전력회사(4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서버(300)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서버이용자(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 서버(300) 및 전력회사(4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하는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제 2 단말기통신부(112) 및 상기 전력회사(400)와 통신하는 제 3 단말기통신부(11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와 상기 전기제품(200)의 사이에는, 제 1 인터페이스(101)가 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01)에는, NFC 방식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단말기통신부(112)와 상기 서버(300)의 사이에는, 제 2 인터페이스(102)가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단말기통신부(114)와 상기 전력회사(400)의 사이에는, 제 3 인터페이스(103)가 규정된다. 일례로, 상기 제 2,3 단말기통신부(112,114)에는, 와이파이(wi-fi)가 가능한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02)와 제 3 인터페이스(103)에는, 인터넷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02)에 접속하는 서버통신부(312)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정보, 상기 전기제품(200)의 정보 및 전력회사(400)의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기제품(200)의 구동에 필요한 펌웨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에는, 상기 펌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수의 펌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력회사(400)에는, 상기 제 3 인터페이스(103)에 접속하는 전력정보 통신부(414)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 3 인터페이스(103)를 통하여,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력정보에는, 시간에 따른 전력 비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이용자(500)에는,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필요한 펌웨어를 개발 또는 테스트 하는 개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이용자(500)는 상기 펌웨어의 개발단계에서, 펌웨어를 필요시 상기 서버(300)의 데이터 저장부(320)에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면서 상기 펌웨어에 관한 데이터 수집, 테스트 또는 분석등을 할 수 있으므로, 펌웨어의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감지부(180)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부(180)에는, 시간을 감지하는 클락(Clock),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 또는 단말기(100)의 균형도를 감지하는 센서, 일례로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거치대(209)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설치되므로, 상기 단말기(100)의 균형도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균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클락, GPS수신기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펌웨어의 업데이트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N 되고(S11),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100)에 규정되는 다수의 통신 모드 중 "NFC 모드"가 ON된 상태에서 시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FC 모드"가 OFF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NFC 모드"를 ON할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에는 화면메세지가 출력되고, 상기 단말기 음성출력부(108)에는, 음성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외부 정보, 일례로 펌웨어를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12).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다수의 모드 중, 특정 NFC 송수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NFC 송수신 모드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NFC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제 1 태깅(tagging)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태깅에 의하여, 상기 제품통신부(210)의 모듈 인식부는 상기 제 1 단말기통신부(110)를 인식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통신대상이 되는 적합한 전기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은 NFC 통신을 위한 매칭이 이루어진다(S14).
상기 매칭이 이루어지면, 상기 전기제품(200)에 전기제품의 정보가 요청되며, 상기 전기제품(200)은 요청된 제품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즉 전기제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고유 ID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현재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6).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력회사(400)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 상기 전력회사(400)로부터 수신한 전력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100) 자체에 저장된 단말기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7).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매칭된, 최적화 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는, 상기 서버이용자(500)가 개발 완료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한 다수의 펌웨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와,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S18).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는 상기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S19).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펌웨어를 NFC 통신방식에 적합한 포맷(format)으로 펌웨어를 변환한다(S2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전기제품(200)에 대하여, 태깅(제 2 태깅)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태깅은 상기 전기제품(200)이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를 Reading 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태깅으로서 이해된다. 반면에, 상기한 제 1 태깅은 상기 전기제품(200)이 상기 단말기(100)에 정보를 Writing 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태깅으로서 이해된다(S21).
상기 단말기(100)의 제 2 태깅에 의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다운로드 모드 준비요청이 이루어지며(S22),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펌웨어가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다운로드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200)은 상기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진행상태 정보 또는 완료정보를 피드백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웨어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전기제품(200)은 상기 제품메모리(230) 또는 상기 제품통신부(210)의 메모리부에 상기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S23,S24).
이하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S17,S18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7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제품정보, 전력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력회사(400)로부터 수신한 전력 비용정보가 상기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비용정보에는, 소정의 주기별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에는, 소정요금 이상의 전력요금이 부과되는 시간구간(온피크 시간구간, On-peak 시간구간) 또는 상기 소정요금 미만의 전력요금이 부과되는 시간구간(오프피크 시간구간, Off-peak 시간구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71).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시간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의 클락(Clock)에서 인식된 정보일 수 있다(S172).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2개의 정보, 즉 전력비용 정보 및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최적화 된 펌웨어로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펌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에는, 상기 전력비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방식을 결정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특정 코스의 제품작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특정 코스의 제품작동을 제한하는 것이 전력요금을 저감하는 데 좋다는 등의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상기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에는, 전력비용이 가장 저렴한 시간구간에 관한 정보 또는 전력요금을 저감하기 위한 코스에 관한 정보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천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7) 또는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에 표시될 수 있다(S18,S181).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7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제품정보, 전력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기제품(200)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전기제품(200)의 온/오프 정보, 전기제품(200)이 동작중인 경우에는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또는 제품의 고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73).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시간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74).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2개의 정보, 즉 전기제품(200)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 및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최적화 된 펌웨어로서, 제품 상태정보 알림서비스에 관한 펌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품 상태정보 알림서비스에 관한 펌웨어에는, 전기제품의 현재상태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 또는 단말기 음성출력부(108)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태깅이 이루어질 때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7) 또는 단말기 음성출력부(108)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S18,S182).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7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제품정보, 전력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가 상기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75).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GPS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PS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수신기로부터 인식된 정보일 수 있다(S176).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2개의 정보, 즉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및 GPS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최적화 된 펌웨어로서, 지역 맞춤형 제품 작동코스에 관한 펌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역 맞춤형 제품 작동코스에 관한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설치된 국가에 따라 언어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펌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기제품(200)의 제품 디스플레이부(206)와 제품 음성출력부(207)에서는, 상기 선택된 언어로 구성된 화면 또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지역 맞춤형 제품 작동코스에 관한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 또는 식기 세척기일 경우, 상기 전기제품(200)에 공급되는 해당 지역의 수질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또는 세척코스의 구성을 가이드 하는 펌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질이 설정값 이하로 좋지 않은 경우 헹굼코스의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커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 또는 식기 세척기에 사용되는 물이 경수인 경우 비누사용량이 더 많게 되므로 자동세제장치에서 세제를 더 많이 소모하도록 구성되거나, 침전물에 의하여 세탁기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보푸라기가 발생될 가능성이 크므로 탈수 회전수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해당 지역의 날씨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작동코스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당 지역이 비가 자주 오는 지역일 경우, 세탁기의 탈수 회전수를 높이거나, 건조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S18,S183).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 최적화 된 펌웨어의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17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제품정보, 전력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가 상기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77).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균형도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균형도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로부터 인식되는 정보일 수 있다(S178).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2개의 정보, 즉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및 균형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에 최적화 된 펌웨어로서, 진동발생 방지용 제품 작동코스에 관한 펌웨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적화 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진동발생 방지용 제품 작동코스에 관한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균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이 진동이 많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에서 설치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200)의 불균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동코스를 제안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수평도 또는 균형도를 측정한 후, 상기 수평도 또는 균형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7) 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수평도 또는 균형도를 조절하도록 사용자에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 또는 제품 음성출력부(207)를 통하여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도 조절이 불가한 경우에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작동코스가 포함된 펌웨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S18,S184).
이와 같이, 상기 서버(3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2개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전기제품(200)에 최적화 된 펌웨어를 선정할 수 있고, 상기 전기제품(200)은 상기 선정된 펌웨어를 다운로드 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200)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100 : 단말기 110 : 제 1 단말기통신부
112 : 제 2 단말기통신부 114 : 제 3 단말기통신부
180 : 감지부 200 : 전기제품
210 : 제품통신부 230 : 제품메모리
300 : 서버 312 : 서버통신부
320 : 데이터 저장부 400 : 전력회사
414 : 전력정보 통신부 500 : 서버이용자

Claims (16)

  1. 단말기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을 가지는 전기제품;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기능수행을 위한 펌웨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태깅이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상기 전기제품에 저장된 정보 및 전력비용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전송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에 매칭된 펌웨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펌웨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비용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회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펌웨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 상태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온/오프 여부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이 작동중인 경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 또는 고장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비용 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력비용 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방식을 결정하는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제품 상태정보 알림서비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식된 GPS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GPS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맞춤형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균형도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전송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및 상기 균형도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발생 방지용 제품작동 코스에 관한 펌웨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단말기의 NFC 송수신 모드가 실행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전기제품에 제 1 태깅되어,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가 요청되는 단계;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기제품에 제 2 태깅되어, 상기 펌웨어가 상기 전기제품에 전송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펌웨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정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및 전력회사로부터 수신한 전력비용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펌웨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삭제
KR1020140170428A 2014-12-02 2014-12-02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1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28A KR101618461B1 (ko) 2014-12-02 2014-12-02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28A KR101618461B1 (ko) 2014-12-02 2014-12-02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461B1 true KR101618461B1 (ko) 2016-05-04

Family

ID=5602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428A KR101618461B1 (ko) 2014-12-02 2014-12-02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4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16B1 (ko) 2010-10-27 2011-08-11 조용대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16B1 (ko) 2010-10-27 2011-08-11 조용대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태그를 구비한 리모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3845B (zh) 用于装置检测和app配置的系统和方法
CN106538042B (zh) 订户标识模块管理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EP2860295B1 (en) Washing machine system
US899595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8929811B2 (e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an application using NFC header information
US20210068068A1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CN104866333A (zh) 家用电器中软件的升级系统和升级方法
CN104699491A (zh) 一种应用程序的升级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9301084B2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681828A (zh) 终端设备和应用图标的生成方法
JP6323331B2 (ja) 情報端末、情報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CN105373378A (zh) 剩余使用时长的确定方法及装置
KR102137422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CN114253145A (zh) 用于家电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家电控制系统
CN104184768A (zh) 一种物联网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CN110113234B (zh) 设备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家用电器、电子设备
KR101618461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2700974B1 (en) Method for recognizing the locations of electric appliances
KR20150033046A (ko)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24516777A (ja) ネットワーク対応スマート機器、及び、システム、及び、起動及びプロビジョニングのための方法
CN104378403A (zh) 终端及其升级方法
KR20170023245A (ko)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이용한 오토 페어링 시스템
KR10115253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펌웨어 갱신 방법 및 그를 위한이동통신단말장치
KR101617548B1 (ko)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기제품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