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681B1 -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681B1
KR101358681B1 KR1020130023458A KR20130023458A KR101358681B1 KR 101358681 B1 KR101358681 B1 KR 101358681B1 KR 1020130023458 A KR1020130023458 A KR 1020130023458A KR 20130023458 A KR20130023458 A KR 20130023458A KR 101358681 B1 KR101358681 B1 KR 10135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dule
smart phone
remote control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길
Original Assignee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이 개시된다.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꽂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며, 구비된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버튼 모듈; 상기 적외선 모듈 및 상기 버튼 모듈 간에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상기 버튼 모듈로 공급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의하면,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구비된 버튼 모듈과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 수신기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스마트 폰의 화면 꺼짐이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에 따른 불편한 조작을 할 필요 없어 마치 기존의 리모트 컨트롤을 이용하듯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PURSE-TYPED SMART PHONE CASE EQUIPPED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 폰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고 있는데, TV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도 등장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의 각 버튼 신호를 스마트 폰 상에서 생성하여 별도의 적외선 모듈을 통해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버튼 신호를 미리 지정된 신호로서, 해당 버튼을 터치스크린 상에서 누르면 신호가 방사된다.
리모트 컨트롤을 잃어버리거나 없다 하더라도,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만 실행하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리모트 컨트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실행해야 한다. 또한, 화면 밝기 제어에 따라 화면이 꺼지게 되면 다시 화면을 켜서 리모트 컨트롤을 실행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전화가 오거나, 문자 메시지 또는 SNS 메시지가 오면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 대기 상태가 되어 버린다.
즉,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필요할 때 버튼만 누르면 실행할 수 있도록 편리해야 하는데, 너무나 다양한 용도와 사용 빈도를 갖는 스마트 폰에서는 너무나 많은 터치와 조작을 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볼륨 업/다운을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버튼을 눌렀다가, 다시 채널을 바꾸려고 할 때, 화면을 다시 켜고 백그라운드 모드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여 해당 버튼을 눌러야 할 수 있다. 간단한 기능 구현에 비하면 너무나 불편한 조작이다. 사실상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효용성이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스마트 폰에 생기는 스크래치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를 끼워 이용한다. 최근에는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 중 뒷면에는 스마트 폰을 고정시키고, 앞면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를 끼운 스마트 폰 상에서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앞면 덮개까지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한편, 종래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는 지갑 겸용으로 신용 카드 등을 꽂아 보관할 수 있는 정도의 용도 이 외에는 별다른 부가적인 용도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현한다면, 보다 편리하고 사용자 지향적인 장치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공보 10-2012-012908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4767
본 발명은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구비된 버튼 모듈과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 수신기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을 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는,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꽂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며, 구비된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버튼 모듈; 상기 적외선 모듈 및 상기 버튼 모듈 간에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상기 버튼 모듈로 공급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TV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버턴, 채널 업 버튼, 채널 다운 버튼, 볼륩 업 버튼, 볼륨 다운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버튼, 채널 업 버튼, 채널 다운 버튼, 볼륩 업 버튼, 볼륩 다운 버튼은, 2 겹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사이에 구비되는 카본(carbon) 접점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본 접점층 부위를 누름에 따라 해당 버튼 인식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외선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을 바라보고 세로로 잡는 경우, 적외선 방사 방향이 상기 사용자의 앞면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을 연결하는 내측 연결면에 상기 적외선 모듈을 보관/휴대하도록 구성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의하면,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구비된 버튼 모듈과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 수신기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스마트 폰의 화면 꺼짐이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에 따른 불편한 조작을 할 필요 없어 마치 기존의 리모트 컨트롤을 이용하듯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실물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모듈의 카본 접점층의 실물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실물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는 적외선 모듈(110), 버튼 모듈(120), 케이블(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는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에 구비된 버튼 모듈(120)을 누르면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110)에서 적외선 신호가 방사되어 TV 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과 달리,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필요없이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버튼 모듈(120)만 조작하면 언제든지 리모트 컨트롤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외선 모듈(110)은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꽂기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자가 이어폰 홀에 꽂히면 단자를 통해 스마트 폰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스마트 폰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적외선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모듈(110)은 버튼 모듈(120)의 버튼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 즉, 데이터 코드를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버튼에 대응되는 데이터 코드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설정 시 정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버튼 모듈(120)의 각 버튼과 특정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대응시켜 적외선 모듈(110)의 제어부(미도시)에 입력/설정하면, 특정 버튼에 대한 해당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채널 업/다운 기능이나 볼륨 업/다운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셋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이 상의 버튼이 눌려지면, 미리 정해진 다른 특정 데이터 코드가 방사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채널 업 버튼/채널 다운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면, 방송 안내 버튼의 기능을 한다든지, 볼륨 업 버튼/볼륨 다운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면, 이전 채널로 채널 변경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버튼 수에 제한을 받는 본 발명의 특수성을 감안한 것이다.
한편, 적외선 모듈(110)은 사용자가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전면부 표면을 바라보고 세로로 잡는 경우, 적외선 방사 방향이 사용자의 앞면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단자와는 대략 40 도 내지 60 도 정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면,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를 세워 잡았을 때, 적외선 방사 방향이 사용자의 전방향을 향하게 된다.
버튼 모듈(120)은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에 구비될 수 있다. 버튼 모듈(120)은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전면부 표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 모듈(120)은 리모트 컨트롤에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나, 편의상 전원 버튼, 채널 업 버튼, 채널 다운 버튼, 볼륨 업 버튼, 볼륨 다운 버튼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 모듈(120)은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130)은 적외선 모듈(110) 및 버튼 모듈(120) 간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케이블(130)은 두가닥의 전원선과 한가닥의 데이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130)은 전원선을 통해 스마트 폰의 전원을 버튼 모듈(1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버튼 누름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적외선 모듈(110)을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해야만 버튼 인식이 된다. 그러므로, 적외선 모듈(110)이 장착되지 않은 평소에는 버튼 누름이 인식되지 않는다.
한편, 케이블(130)의 데이터선은 버튼 모듈(120)의 신호를 적외선 모듈(11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신호가 케이블(130)을 통해 적외선 모듈(110)로 전달되고, 적외선 모듈(110)이 이를 TV 수신기를 향해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홀더(미도시)는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앞뒤 양면을 연결하는 내측 연결면에 적외선 모듈(110)을 보관/휴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양면을 접어서 스마트 폰을 덮었을 때, 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의 안쪽에 생기는 빈 공간에 적외선 모듈(110)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는 적외선 모듈(110)을 내측 연결면에 구성되어 적외선 모듈(11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모듈의 카본 접점층의 실물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모듈(120)의 실물 구성으로서, 도 2의 (a)는 버튼의 내부 구조이며, 도 2의 (b)는 버튼 내부 구조의 확대 형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튼은 2 겹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사이에 구비되는 카본(carbon) 접점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본 접점층은 1 mm 단위로 22 mm X 22 mm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넓게 분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본 접점층 부위를 누르면 해당 버튼 인식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버튼 모듈(120)은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전면부 표면에 고정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면부 표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재질에 따라 버튼 모듈(120)과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다면, 적외선 모듈(110), 버튼 모듈(120), 케이블(130)을 휴대할 필요가 없다.
가정에서만 리모컨 기능을 이용한다면, 가정에서 적외선 모듈(110), 버튼 모듈(120), 케이블(130)을 보관하고, 이용할 때에만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에 부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케이블(130)이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100)의 앞면에 내장되어 보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케이블(130)이 적외선 모듈(110)의 연결 부위에서만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이 길게 늘어뜨려지지 않고 걸리적 거리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110: 적외선 모듈
120: 버튼 모듈
130: 케이블

Claims (4)

  1.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꽂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며, 구비된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버튼 모듈;
    상기 적외선 모듈 및 상기 버튼 모듈 간에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상기 버튼 모듈로 공급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TV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버턴, 채널 업 버튼, 채널 다운 버튼, 볼륩 업 버튼, 볼륨 다운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버튼, 채널 업 버튼, 채널 다운 버튼, 볼륩 업 버튼, 볼륩 다운 버튼은, 2겹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사이에 구비되는 카본(carbon) 접점층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카본 접점층 부위를 누름에 따라 해당 버튼 인식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을 바라보고 세로로 잡는 경우, 적외선 방사 방향이 상기 사용자의 앞면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을 연결하는 내측 연결면에 상기 적외선 모듈을 보관/휴대하도록 구성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KR1020130023458A 2013-03-05 2013-03-05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KR10135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58A KR101358681B1 (ko) 2013-03-05 2013-03-05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58A KR101358681B1 (ko) 2013-03-05 2013-03-05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681B1 true KR101358681B1 (ko) 2014-02-10

Family

ID=5026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58A KR101358681B1 (ko) 2013-03-05 2013-03-05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017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랜티스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760A (ko) * 2005-07-06 2007-01-10 (주)넥스지텔레콤 전자제품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1185190B1 (ko) 2012-04-06 2012-09-24 이명수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760A (ko) * 2005-07-06 2007-01-10 (주)넥스지텔레콤 전자제품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1185190B1 (ko) 2012-04-06 2012-09-24 이명수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017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랜티스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01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infrared signalling in smart phone devices
US93572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ppliance control
US8760269B2 (en) Control system for augmenting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US20080096620A1 (en) Mobile terminal and case for mobile terminal
US2014017217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ing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I475869B (zh) 手持式行動電話及重置該手持式行動電話之方法
CN104155881A (zh) 卫浴产品控制方法和控制系统
US20120004740A1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KR101358681B1 (ko)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US9697727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US20090072993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00021995A (ko) 멀티 빔 적외선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개인 리모컨
KR101612382B1 (ko) 정전식 터치 패널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 케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폰 본체 제어 방법
KR20190104317A (ko)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US20130234876A1 (en) Remote control power units
TWI556664B (zh) To achieve a wireless interac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initiator
CN103152625A (zh) 电视系统、便携式智能终端、智能电视机、人机交互系统
US20120184332A1 (en) Mobile phone
KR101853697B1 (ko) 리모컨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659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확장이 가능한 동글형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CN202677355U (zh) 一种操作可遥控式的电子白板
CN106157577A (zh) 一种透明键盘智能遥控器
KR20150067607A (ko) 전자기기 제어용 다기능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CN203573490U (zh) 智能遥控器识别器
CN202677354U (zh) 一种可监控式的电子白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