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317A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317A
KR20190104317A KR1020197015400A KR20197015400A KR20190104317A KR 20190104317 A KR20190104317 A KR 20190104317A KR 1020197015400 A KR1020197015400 A KR 1020197015400A KR 20197015400 A KR20197015400 A KR 20197015400A KR 20190104317 A KR20190104317 A KR 2019010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remote control
function key
mobile terminal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훈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티스
Publication of KR2019010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이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은 백커버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백커버에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키 등을 제공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의 리모컨 앱과 연동되도록 한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경우 각기 다른 위치에 소재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개별 등록한 후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기능키를 선택한 후 앱 실행 기능키를 작동시키면 해당 위치에 있는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된 신호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거쳐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기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전자제품을 휴대 단말기로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본 발명은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과 같이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은 백커버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백커버에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키 등을 제공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의 리모컨 앱과 연동되도록 하며, 휴대 단말기에 등록된 다양한 전자제품의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리모컨 기능을 자동적으로 탐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 폰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고 있는데, TV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도 등장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의 각 버튼 신호를 스마트 폰 상에서 생성하여 별도의 적외선 모듈을 통해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버튼 신호를 미리 지정된 신호로서, 해당 버튼을 터치스크린 상에서 누르면 신호가 방사된다.
리모트 컨트롤을 잃어버리거나 없다 하더라도,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만 실행하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리모트 컨트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실행해야 한다. 또한, 화면 밝기 제어에 따라 화면이 꺼지게 되면 다시 화면을 켜서 리모트 컨트롤을 실행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전화가 오거나, 문자 메시지 또는 SNS 메시지가 오면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 대기 상태가 되어 버린다.
즉,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필요할 때 버튼만 누르면 실행할 수 있도록 편리해야 하는데, 너무나 다양한 용도와 사용 빈도를 갖는 스마트 폰에서는 너무나 많은 터치와 조작을 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볼륨 업/다운을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버튼을 눌렀다가, 다시 채널을 바꾸려고 할 때, 화면을 다시 켜고 백그라운드 모드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여 해당 버튼을 눌러야 할 수 있다. 간단한 기능 구현에 비하면 너무나 불편한 조작이다. 사실상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효용성이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스마트 폰에 생기는 스크래치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를 끼워 이용한다.
최근에는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 중 뒷면에는 스마트 폰을 고정시키고, 앞면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를 끼운 스마트 폰으로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앞면 덮개까지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한편, 종래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는 지갑 겸용으로 신용 카드 등을 꽂아 보관할 수 있는 정도의 용도 이외에는 별다른 부가적인 용도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현한다면, 보다 편리하고 사용자 지향적인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일예로 2013년03월05일 특허출원되고 2014년01월28일 특허등록(제10-1358681호)된 발명의 명칭이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인 종래 기술에서는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전면부 표면에 구비된 버튼 모듈과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 수신기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을 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위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구성도이다.
위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서 기재된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는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꽂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며, 구비된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버튼 모듈; 상기 적외선 모듈 및 상기 버튼 모듈 간에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전원을 상기 버튼 모듈로 공급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위에 기술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위 종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주요 구성은 적외선 모듈과, 버튼 모듈과,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면부 표면에 구비된 버튼 모듈과 스마트 폰의 이어폰 홀에 장착된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 수신기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본 기술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과의 연동없이 기존의 리모컨 기능을 단순히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현한 것에 불과한 기술이다.
즉, 본 기술은 스마트 폰 케이스에 단순히 리모컨 기능을 탑재한 것에 불과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2.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까닭에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모듈이 케이블을 통하여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리모컨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을 연결하는 내측 연결면에 구비된 홀더에 적외선 모듈을 보관/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3.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처럼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다양한 전자제품에 대한 개별적인 리모트 컨트롤이 곤란하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앱과 연동 가능함은 물론 독립적인 리모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상단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백커버 전면에 부설되며 리모트 컨트롤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조절할 수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버튼 모듈,
상기 백커버의 하단부 후면에 부설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기능키,
상기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에는 전원 기능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원 기능키가 턴온되면 상기 리모컨 앱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리모컨 앱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GPS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위치에서 소정 반경(범위)내에 위치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상기 버튼 모듈을 통하여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기능키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소정의 기능 조작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백커버의 상단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백커버 전면에 부설되며 리모트 컨트롤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조절할 수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버튼 모듈, 상기 백커버의 하단부 후면에 부설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기능키, 상기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전면 일측에 부설되는 전원 기능키를 구비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기능키를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앱 실행 기능키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리모컨 앱이 활성화 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기저장된 리모컨 앱에 저장된 GPS 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
리모컨 앱이 활성화 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매칭이 되는 기저장된 GPS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통하여 백커버의 버튼 모듈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버튼 모듈을 구성하는 소정의 기능키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가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어 전자제품을 리모트 컨트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경우 각기 다른 위치에 소재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개별 등록한 후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기능키를 선택한 후 앱 실행 기능키를 작동시키면 해당 위치에 있는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된 신호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거쳐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기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전자제품을 휴대 단말기로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 폰, 태플릿 등과 같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 후면은 배터리 등을 커버하는 백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백커버에 간편한 리모컨 기능을 탑재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구성은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백커버에 구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백커버 내측(미도시)에는 아래에서 사용하는 구성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는 백커버의 상단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백커버 전면에 부설되며 리모트 컨트롤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조절할 수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버튼 모듈, 백커버의 하단부 후면에 부설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 백커버의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기능키,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 그리고 전원 기능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적외선 모듈은 리모트 컨트롤의 대상이 되는 객체인 소정의 전자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버튼 모듈은 통상의 리모컨에 탑재되어 있는 기능키 중에서 적어도 채널 선택을 숫자 기능키, 볼륨 저절을 위한 기능키, 채널 상하 이동을 위한 기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은 휴댄 말기 본체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에서 활성화되는 소정 앱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앱 실행 기능키,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 그리고 전원 기능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외선 모듈과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 즉 버튼 모듈, 앱 실행 기능키, 카메화 활성 기능키, 전원 기능키 등은 러버 버튼 등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백커버에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기능키 등과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의 리모컨 앱과 연동되도록 하고, 휴대 단말기에 등록된 다양한 전자제품의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리모컨 기능을 자동적으로 탐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자제품을 소정 앱에 등록시키는 단계와 등록 이후 사용하는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리모컨 동작을 위한 전자제품의 사전 등록]
먼저, 본 발명의 백커버에 있는 전원 기능키를 턴온시킨다. 전원 기능키를 선택하면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통하여 백커에 형성된 각 모듈 및 기능키로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 앱 실행 기능키는 선택하면,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로 앱 실행 기능키의 정보가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소정의 리모컨 앱을 활성화시킨다.
리모컨 앱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활성화된 리모컨 랩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GPS 정보를 저장시킨다.
마지막으로, 리모컨 앱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집, 사무실 등)에 있는 소정 전자제품을 등록시킨다. 참고로, 앱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등록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한 동작]
사용자가 집안에서 백커버의 전원 기능키를 턴온시킨 다음, 앱 실행 기능키는 선택한다.
다음, 휴대 단말기의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면서,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기저장된 리모컨 앱에 저장된 GPS 정보(집에서 등록한 전자제품, 사무소에서 등록한 전자제품에 대응하는 GPS)를 상호 비교한다.
다음,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매칭이 되는 기저장된 GPS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집에서 등록한 전자제품의 경우 GPS 정보가 GPS1이고, 사무소에서 등록한 전자제품의 GPS 정보가 GPS2라고하면, 현재 GPS정보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내에 GPS1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리모컨 앱은 현재 집에서 등록한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할 것이다.
다음, 추출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통하여 백커버의 버튼 모듈과 연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모듈을 구성하는 소정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가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어 전자제품을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경우 각기 다른 위치에 소재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개별 등록한 후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기능키를 선택한 후 앱 실행 기능키를 작동시키면 해당 위치에 있는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된 신호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거쳐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기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전자제품을 휴대 단말기로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 지적한 기술적 한계성 즉 종래 기술은 (1)스마트 폰과의 연동없이 기존의 리모컨 기능을 단순히 스마트 폰 케이스에 구현한 것에 불과하고, (2)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까닭에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모듈이 케이블을 통하여 케이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리모컨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 케이스의 양면을 연결하는 내측 연결면에 구비된 홀더에 적외선 모듈을 보관/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는 사용상의 불편성, 그리고 (3)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처럼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다양한 전자제품에 대한 개별적인 리모트 컨트롤이 곤란하다는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되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로서,
    상기 백커버의 상단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백커버 전면에 부설되며 리모트 컨트롤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조절할 수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버튼 모듈,
    상기 백커버의 하단부 후면에 부설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기능키,
    상기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에는 전원 기능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원 기능키가 턴온되면 상기 리모컨 앱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리모컨 앱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GPS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위치에서 소정 반경내에 위치하는 전자제품에 대하여 상기 버튼 모듈을 통하여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 기능키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소정의 기능 조작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4. 백커버의 상단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모듈,
    상기 백커버 전면에 부설되며 리모트 컨트롤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조절할 수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버튼 모듈,
    상기 백커버의 하단부 후면에 부설되는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컨 앱을 실행시키는 앱 실행 기능키,
    상기 백커버의 또 다른 일측에 부설되는 기능키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카메라 활성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전면 일측에 부설되는 전원 기능키를 구비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기능키를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앱 실행 기능키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기저장된 리모컨 앱에 저장된 GPS 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
    리모컨 앱이 활성화되는 위치에서의 GPS 정보와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매칭이 되는 기저장된 GPS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GPS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 및 데이터 접속 모듈을 통하여 백커버의 버튼 모듈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버튼 모듈을 구성하는 소정의 기능키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신호가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하여 송출되어 전자제품을 리모트 컨트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방법.
KR1020197015400A 2016-12-13 2016-12-13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KR2019010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572 WO2018110721A1 (ko) 2016-12-13 2016-12-13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17A true KR20190104317A (ko) 2019-09-09

Family

ID=6255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400A KR20190104317A (ko) 2016-12-13 2016-12-13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40919A1 (ko)
KR (1) KR20190104317A (ko)
WO (1) WO2018110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9896A (zh) * 2020-09-25 2022-04-26 汉桑(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遥控设备图像配置遥控功能数据的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590B (zh) * 2020-04-27 2023-05-0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器及遥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2997B1 (en) * 2008-11-17 2009-11-03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WO2011146782A1 (en) * 2010-05-19 2011-11-24 Mophie, Inc. Modular mobile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8825124B1 (en) * 2013-04-22 2014-09-02 Matthew P. Davies Interactive protective smart case with touchscreen display and laser pointer for the display and broadcast of images, video, and audio respectively from a smartphone
US9082292B2 (en) * 2013-05-02 2015-07-14 pita4 mobile LLC Display apparatus, hardware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JP6096899B2 (ja) * 2013-06-07 2017-03-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端末装置
KR101446570B1 (ko) * 2013-06-28 2014-10-07 주식회사 바이오쉴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60105114A (ko) * 2015-02-27 201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케이스를 이용한 기능 확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9896A (zh) * 2020-09-25 2022-04-26 汉桑(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遥控设备图像配置遥控功能数据的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721A1 (ko) 2018-06-21
US20190340919A1 (en)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25480A1 (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862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ith an orientation detector
KR102398488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KR10103739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US10116781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evice
TWI581641B (zh) 家電設備控制系統及方法
KR20110023567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방법
KR101716757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거치장치
KR102269473B1 (ko)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US20180110113A1 (en) Method and indicating system for a vehicle
KR20190104317A (ko)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KR201701368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61184B2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key of portable terminal
EP42282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612382B1 (ko) 정전식 터치 패널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 케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폰 본체 제어 방법
KR201501148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31792A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14938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제어방법
US8193985B2 (en) Radio frequency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10110044B2 (en) Wireless charging mouse, wireless input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20190066989A (ko) 커버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커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58681B1 (ko) 리모컨 기능이 구비된 지갑형 스마트 폰 케이스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KR1014659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확장이 가능한 동글형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CN205249420U (zh) 信号转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