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792A -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792A
KR20150131792A KR1020140059037A KR20140059037A KR20150131792A KR 20150131792 A KR20150131792 A KR 20150131792A KR 1020140059037 A KR1020140059037 A KR 1020140059037A KR 20140059037 A KR20140059037 A KR 20140059037A KR 20150131792 A KR20150131792 A KR 2015013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ntenna
door lock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박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792A/ko
Publication of KR2015013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 간의 통신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무분별하게 도어락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Door lo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 정보를 처리한 결과에 따라 도어락을 해제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한다.
다른 예로,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지문, 홍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생체 정보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한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휴대 전화, 키팝(key fob) 및 IC 카드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근접시키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가 무선 통신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 장치로 전송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595466호(등록일 2013. 04. 24)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폰을 디지털 도어록의 인증키로 사용하는 스마트키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근접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행위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킨다.
디지털 도어락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범위를 설정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설정된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어느 정도 증대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통신 범위를 설정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도어락이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 간의 통신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무분별하게 도어락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도어락 장치에 직접 입력하는 행위나 사용자 단말기를 도어락 장치에 근접시키는 행위를 하지 않고도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인증 단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인증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인증 단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안테나의 신호 세기 및 제2 안테나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하므로,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 단말기의 통신 범위 중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 간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사용자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 간의 인증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인증 정보를 도어락 장치에 직접 입력하는 행위나 사용자 단말기를 도어락 장치에 근접시키는 행위를 하지 않고도 실내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기타 다양한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내에서 언급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인증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이루어지는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인증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이루어지는 도어락 자동 해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락 시스템(1)은 인증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기지국(300) 및 위성(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는 사무실이나 집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건물의 도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등록 과정은 인증 단말기(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를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위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기술이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이 블루투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인증 단말기(100)의 모든 구성요소들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에 비하여, 저전력 모드는 인증 단말기(100)의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로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저전력 모드는 인증 단말기(100)의 주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면, 인증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는 사전 지정된 거리 내로 사용자 단말기(200)가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100)를 터치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결과는 인증 단말기(100)의 웨이크 업 이벤트(wake-up event)로 사용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이벤트란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키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되어,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 자동 해제란 사용자 단말기(200)가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에 위치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에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인증 단말기(100)의 기계적 구성 및 제어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와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와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와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단말기(100)가 설치된 건물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와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모든 구성요소들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에 비하여, 저전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로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저전력 모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주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기지국(300)으로부터 기지국(300) 신호를 수신하거나, 복수의 위성(400)으로부터 위성(400)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300) 신호 또는 복수의 위성(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성(400)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라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 전화, 키팝(key fob)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휴대 전화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인증 단말기(100)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100)는 실내측 몸체(101) 및 실외측 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몸체(101)는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설치된다. 실내측 몸체(101)는 부품 수납부(101b) 및 실내측 핸들(101a) 포함할 수 있다.
부품 수납부(101b)는 실내측 몸체(10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부품 수납부(101b)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및 전원부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인증 단말기(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실내측 핸들(101a)은 실내측 몸체(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내측 핸들(101a)은 실내측 몸체(101) 쪽으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는 실내측 핸들(101a)을 밀어 도어를 열 수 있다.
실외측 몸체(102)는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설치된다. 실외측 몸체(102)는 실내측 몸체(101)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실외측 몸체(102)는 터치 패널부(150) 및 실외측 핸들(102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부(15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부(150)는 입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패널부(15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부(150)는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다. 터치 패널부(150)가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경우, 터치 패널부(150)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등록 결과, 도어락 자동 해제 결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실외측 핸들(102a)은 실외측 몸체(10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외에 위치한 사용자는 실외측 핸들(102a)을 잡아 당겨 도어를 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100)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변환부(130), 제어부(140), 터치 패널부(150), 접근 감지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은 실내측 몸체(101)의 부품 수납부(101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제1 안테나(112), 제2 안테나(113), 제1 안테나(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베이스 밴드 처리부(114), 제2 안테나(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베이스 밴드 처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112)는 주로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안테나(113)는 주로 실외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112) 및 제2 안테나(113) 중 적어도 하나는 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 안테나란 특정 방향으로만 더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말한다. 제1 안테나(112)는 실내를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는 안테나일 수 있고, 제2 안테나(113)은 실외를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는 안테나일 수 있다. 113115113113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112)의 통신 거리 및 제2 안테나(113)의 통신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테나(113)는 제1 안테나(112)에 비하여 더 먼 통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안테나(112)의 통신 거리 및 제2 안테나(113)의 통신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불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안테나(112)의 통신 거리 및 제2 안테나(113)의 통신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지향성을 갖되, 서로 다른 통신 거리를 갖는 제1 안테나(112) 및 제2 안테나(113)를 이용하면, 두 안테나(112, 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200)가 실내에 위치하는지,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제2 안테나(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 보다 크다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실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안테나(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제1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 보다 크다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실외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200)가 실외에 위치한 상태이며,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에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어락 자동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락 자동 해제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변환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안테나(11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제2 안테나(1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단말기(100)의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 자동 해제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실외에 위치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전에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40)는 인증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터치 패널부(15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부(150)는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 패널부(150)의 입력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터치 패널부(150)에는 등록 실행 키 및 복수의 문자 키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 패널부(15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등록 실행 키를 터치하여,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등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수의 문자 키를 터치 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160)는 사용자나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에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160)는 예를 들어,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R 센서는 IR 센서를 기준으로 약 70cm 이내에 있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160)의 감지 결과는 인증 단말기(100)의 웨이크 업 이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등록 과정에 필요한 데이터나 알고리즘, 도어락 자동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알고리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220)는 명령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입력부(210)와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2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부(210)와 하드웨어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키는 터치 스크린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인증 단말기(100), 기지국(300) 및 위성(400)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알고리즘, 인증 단말기(100)와의 등록 과정에 필요한 데이터나 알고리즘,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알고리즘,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300) 신호나 복수의 위성(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성(400)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200)와 인증 단말기(100)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라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후, 제어부(230)는 인증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인증 단말기(100)와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도어락 자동 해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그래픽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 22, 23, 24, 25)는 도 5a 내지 도 6e와 같으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 22, 23, 24, 25)는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 22, 23, 24, 25)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에 이루어지는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소지한 채로, 도어의 근처에 위치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증 단말기(100)에 마련된 등록 실행 키를 눌러,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 이벤트를 입력한다(S700). 일 예로, 등록 실행 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100)의 실외측 몸체(102)에 배치된 터치 패널부(150)를 터치하면, 터치 패널부(150)에 등록 실행 키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등록 실행 키를 터치하여, 등록 실행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등록 실행 키는 실외측 몸체(102)나 실내측 몸체(101)에 하드웨어적으로 별도의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배치된 등록 실행 키를 눌러, 등록 실행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 실행 이벤트를 입력하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후, 사용자는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진 다음,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702).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지는 이유는 제2 안테나(115)의 통신 거리를 지정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2 안테나(113)의 통신 거리가 변경 불가능한 경우라면,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지는 행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704). 연결 정보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 요청 신호는 인증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모든 블루투스 장치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인증 단말기(100)는 연결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S706). 연결 정보는 인증 단말기(100)의 기기명 및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정보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S708).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 1'이 검색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를 확인하여, 표시된 기기들 중에서 연결을 원하는 인증 단말기(100)를 선택한다(S710). 예를 들어, '인증 단말기1'을 선택한다.
인증 단말기(100)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인증 단말기(100)로 등록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712).
이 후,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등록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를 저장한다(S712).
그 다음, 인증 단말기(100)는 등록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714). 등록 정보는 인증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던 비밀번호 혹은 인증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 정보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S716). 도 5b를 참조하면, 화면(21)에는 인증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 창(22)이 중첩되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안내 창(22)에는 예를 들어, '인증 단말기1과 등록 과정을 수행하려는 경우, 12345를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안내 창(22)에 표시된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후,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등록 정보 예를 들어, 비밀번호 '12345' 를 인증 단말기(100)에 입력한다(S718). 이 때, 사용자는 인증 단말기(100)의 터치 패널부(150)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 키를 터치하여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등록 정보가 입력되면, 인증 단말기(100)는 입력된 등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 등록 정보를 비교한다(S720).
이 후, 인증 단말기(100)는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한다(S722). 구체적으로, 인증 단말기(100)에 입력된 등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 등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인증 단말기(100)에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724).
만약, 인증 단말기(100)에 입력된 등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 등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인증 단말기(100)는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터치 패널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등록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 결과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S726).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등록 기기 리스트에 '인증 단말기 1'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인증 단말기1'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이용하여,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S728). 예를 들면, 인증 단말기(100)가 설치된 건물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730).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도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732).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면, 인증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증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에 이루어지는 도어락 자동 해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d, 도 5e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에서 도어락 자동 해제 기능을 활성화한다(S800).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24)에서, 도어락 자동 해제 기능을 '켜짐'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복수의 위성(400)은 위성(400) 신호를 전송한다(S802). 위성(400) 신호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위성(400)으로부터 수신된 위성(400)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S804).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3개 이상의 위성(400)들로부터 수신한 위성(400)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기지국(300)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지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를 비교한다(S806).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것으로, 인증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등록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S808).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인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사전 지정된 거리 예를 들어, 100m 이내라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의 접근 감지 영역 예를 들어,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70cm 내에 들어오면,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 결과 인증 단말기(100)에서는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다(S810). 다른 예로, 인증 단말기(100)의 터치 패널부(150)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인증 단말기(100)에서는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증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는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S811).
이 후, 인증 단말기(100)는 웨이크 업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12).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 단말기(100)로부터 웨이크 업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인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814).
인증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해제한다(S816).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신호는 인증 단말기(100)의 제1 안테나(112) 및 제2 안테나(113)를 통해 각각 수신될 수 있는데, 인증 단말기(100)는 제1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제2 안테나(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인증 단말기(100)는 제2 안테나(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제1 안테나(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보다 크고,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 단말기(100)에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도어락을 해제한다.
이후, 인증 단말기(100)는 도어락 해제 결과를 터치 패널부(150)를 통해 표시하고(S818), 도어락 해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20).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5e와 같이, 표시부(220)를 통해 도어락 해제 결과를 표시한다(S822). 도 5e를 참조하면, 화면(24)에 도어락이 해제되었다는 안내 메시지를 나타내는 안내 창(25)이 중첩되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도어락 시스템
100: 도어락 장치
101: 실내측 몸체
101a: 실내측 핸들
101b: 부품 수납부
102: 실외측 몸체
102a: 실외측 핸들
103: 스트라이크 박스
104: 모티스
105: 스트라이크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기지국
400: 위성

Claims (18)

  1.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증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를 향하여 지향성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를 향하여 지향성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인 인증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보다 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상기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인증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의 통신 거리는 상기 제1 안테나의 통신 거리보다 먼 인증 단말기.
  5. 인증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인증 단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신호 또는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사용자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인증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사전 지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는 상기 인증 단말기에서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사용자가 상기 인증 단말기의 접근 감지 영역 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기.
  11.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를 향하여 지향성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를 향하여 지향성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인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보다 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기기인 경우, 상기 도어의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인증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인증 단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신호 또는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도어록 장치의 위치로부터 사전 지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말기의 동작 모드는 상기 인증 단말기에서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사용자가 상기 인증 단말기의 접근 감지 영역 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59037A 2014-05-16 2014-05-16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131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37A KR20150131792A (ko) 2014-05-16 2014-05-16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37A KR20150131792A (ko) 2014-05-16 2014-05-16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792A true KR20150131792A (ko) 2015-11-25

Family

ID=5484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37A KR20150131792A (ko) 2014-05-16 2014-05-16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7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34A (ko) * 2017-09-11 2019-03-21 (주)링크일렉트로닉스 Rssi 기준값 변경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 방법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1952522B1 (ko) *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190094164A (ko) * 2016-12-06 2019-08-12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서비스 공급자의 락에 대한 액세스 제공
KR20210063554A (ko) * 2019-11-25 2021-06-02 (주)데이터허브 스마트폰 및 lea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164A (ko) * 2016-12-06 2019-08-12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서비스 공급자의 락에 대한 액세스 제공
KR20190029834A (ko) * 2017-09-11 2019-03-21 (주)링크일렉트로닉스 Rssi 기준값 변경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 방법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1952522B1 (ko) *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210063554A (ko) * 2019-11-25 2021-06-02 (주)데이터허브 스마트폰 및 lea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96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10218834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of plurality of devices
US10650825B2 (en) Communication device
US10181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at access point
US118772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location and direction of object
KR20160021046A (ko)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사용자 단말기,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00094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545375B1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070015003A (ko)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폐쇄되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50131792A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61057B1 (ko)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US9141901B2 (en) Dual range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objec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2023000751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network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2057475A1 (zh) 近场通信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865762B (zh) 防止误熄屏的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80058873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04317A (ko)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US2010009718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863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US20230026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
US20230130891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297360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20417723A1 (en) Home applian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ommunicating with home appliance
KR20240021536A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