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156B1 - 휴대기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기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156B1
KR101201156B1 KR20110022441A KR20110022441A KR101201156B1 KR 101201156 B1 KR101201156 B1 KR 101201156B1 KR 20110022441 A KR20110022441 A KR 20110022441A KR 20110022441 A KR20110022441 A KR 20110022441A KR 101201156 B1 KR101201156 B1 KR 101201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supply state
vehicle
antenna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2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365A (ko
Inventor
마사히또 고지마
가즈히로 나까시마
다께시 구마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1010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제1 엘리먼트,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제2 엘리먼트, 및 제1 및 제2 엘리먼트 사이의 접속점에 일단부가 접속된 우회 배선을 갖는 안테나와; 제1 전력 공급 상태, 제2 전력 공급 상태, 및 제3 전력 공급 상태를 갖는 안테나의 3개의 전력 공급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여, 전력 공급 상태가 전환되었을 때의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기 검지 시스템 {PORTABLE EQUIPMENT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상호 통신 가능한 휴대기를 검지하는 차량 탑재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통신 장치가 다양한 휴대기와 통신하도록 채용되었다. 특히,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7-132119호에는 휴대기 및 차량 탑재기가 서로 통신 가능한 적은 수의 차량 탑재 안테나를 갖는 차량용 통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휴대기에 전력 전송 효율을 강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통신 장치는 차량 탑재기 및 차량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탑재기는 출력빔의 방향이 임의로 변화될 수 있는 송수신 안테나와,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검지하기 위한 접근자 검출 수단과, 접근자의 방향으로 송수신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차량 탑재기가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를 검지하면, 전력 공급에 사용된 전자기파를 도어 로크-언로크 신호가 강한 지향성을 갖는 전파로써 검지되는 방향으로 송신한다. 계속해서, 차량 탑재기와 휴대기 사이의 통신 신호를 교환한 결과를 기초로 휴대기가 인증될 때, 차량 탑재기는 차량 도어가 로크/언로크되게 하는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32119호 공보
상술한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차량에 접근하는 자는 차량의 각각의 도어 핸들에 배치된 스위치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의 지향성을 단일 빔으로 변화시키고, 차량의 각각의 창문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향을 연속 주사하도록 단일 빔을 출력하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연속하여 도래 전자기파(반사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통신 장치는 가장 높은 전력을 갖는 무선빔이 수신되는 방향을 추출하고, 이러한 검지 방향으로부터 사람이 접근하는지를 추정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는, 각각의 도어 핸들에 배치된 스위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와 각각의 창문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향에서의 연속 주사 결과인 반사파를 검지함으로써 차량에 접근하는 자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기의 위치는 이러한 절차로 검지될 수 없다.
휴대기의 위치가 검지되면, 통신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의 지향성을 단일 빔으로 변화시키고, 차량의 각각의 창문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향을 향해 연속 주사하도록 단일 빔을 송신한다. 이후, 통신 장치는 휴대기로부터 송신된 웨이크업 완료 신호가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면 무선 빔의 방향을 추출한다. 계속하여, 무선 빔의 추출 방향을 기초로 하여, 무선 장치는 차량 접근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기의 위치/방향을 추정한다.
따라서, 상술한 통신 장치에서, 무선 빔이 각각의 창문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향을 향해 연속하여 주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휴대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응답 시간이 저하된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구가 필요하여, 상기 구성이 복잡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쟁점의 관점에서 다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빠른 응답 시간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태양은 차량에 탑재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기와 통신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전자기파를 방사하며, 제1 엘리먼트와, 제1 엘리먼트에 직렬로 전기 접속된 제2 엘리먼트와, 일단부가 제1 및 제2 엘리먼트의 접속점에 접속된 우회 배선을 구비하고, 제1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고 제2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되도록 배치된 안테나와; 응답 신호를 회신할 것을 휴대기에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요구 신호는 안테나로 송신되어 요구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통해 휴대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상기 휴대기에 의해 회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을 포함하며, 전력은 제1 공급 상태, 제2 공급 상태 및 제3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3개의 공급 상태 중 하나에서 안테나로 공급되고, 상기 제1 공급 상태는 제1 엘리먼트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우회 배선과 제1 엘리먼트가 전기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 상태는 제2 엘리먼트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우회 배선과 제2 엘리먼트가 전기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공급 상태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전력이 공급되게 구성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3개의 공급 상태들 사이에서 전환하여 상기 공급 상태가 전환될 때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공급 상태가 설정되면,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인 제1 엘리먼트에만 전력이 공급되므로,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즉, 요구 신호의 송신 범위)는 탑승원실의 내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결국, 제1 공급 상태가 설정된 때 응답 신호가 검지되면,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가 탑승원실의 내측에 있다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2 공급 상태가 설정되면, 제2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인 제2 엘리먼트에만 전력이 공급되므로,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즉, 요구 신호의 송신 범위)는 탑승원실의 내측 및 운전자석 영역 외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결국,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제1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고 응답 신호가 제2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는 경우,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가 운전자석 영역의 외측 및 탑승객석 영역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제1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고 응답 신호가 제2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는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3 공급 상태가 설정되면,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제1 엘리먼트로부터 방사된 전자기파 및 제2 엘리먼트로부터 방사된 전자기파는 운전자석 영역의 외측 및 탑승객석 영역의 외측으로 되는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즉, 요구 신호의 송신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제1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고 제2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응답 신호가 검지되고 응답 신호가 제3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는 경우, 휴대기는 운전자석 영역의 외측이나 탑승객석 영역의 외측 중 어느 하나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상술한 검지 시스템에 따르면, 2축(제1 엘리먼트 및 제2 엘리먼트) 안테나로의 공급 상태만이 3회 전환되기 때문에, 휴대기는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여 검지될 수 있고, 휴대기의 위치는 신속한 응답 시간으로 검지될 수 있다.
검지 시스템에서, 공급 상태는 제1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1 공급 상태에서보다 높은 제4 공급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4 공급 상태가 설정되면, 전자기파 도달 범위는 차량의 외측 즉, 운전자석 영역의 외측, 탑승객석측 영역의 외측 및 트렁크 공간의 외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제1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고 응답 신호가 제4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며 응답 신호가 제2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 외측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시스템에서, 공급 상태는 제2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2 공급 상태에서보다 작은 제5 공급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공급 상태가 설정되면, 전자기파 도달 범위는 탑승원실의 내측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제1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고 응답 신호가 제5 공급 상태에서 검지되지 않을 때,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 내측에 있다고 판정한다.
전지가 전원으로써 휴대기에 사용되는 경우,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의 통신은 전지의 소모로 인해 신뢰할 수 없게 될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경우,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검지 시스템에 백업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백업 장치는 휴대기가 차량에 놓일 수 있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백업 장치는, 탑승원실에 배치된 스타트 스위치(또는 점화키)가 온(ON)으로 전환되더라도, 휴대기가 응답 신호를 회신하지 않는 경우 휴대기에 사용되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한편, 휴대기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션 회로(generation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제너레이션 회로는 백업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기의 전지 전력이 소모되었을 때에도,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의 통신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에 기전력을 유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계를 발생시키도록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백업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은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방사시킬 때의 전력보다 높다.
이 방식으로,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와, 백업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가 통합될 수 있어, 안테나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검지 시스템에서, 안테나는 제3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안테나는 제1 엘리먼트, 제2 엘리먼트 및 제3 엘리먼트에 의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가 백업 회로를 위해 사용될 경우, 휴대기가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검지 시스템이 휴대기를 지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3 엘리먼트는 우회 배선과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빠른 응답 시간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의 (a), (b) 및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배치된 안테나의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의 배치와,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및 도 8e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의 배치와,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휴대기와 상호 통신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상호 통신)을 통해 교환된 식별(ID) 코드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들의 로크/언로크 상태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스티어링의 로크/언로크 상태 및 엔진 시동의 허가/금지 상태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스마트 스타트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제어 블록(10) 및 안테나(20)를 포함한다. 이 제어 블록(10)은 검지 회로(11)(송신 수단, 수신 수단에 대응) 및 CPU(12)(검지 수단에 대응)를 포함한다.
검지 회로(11)는 CPU(12)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검지 회로(11)는 안테나(20)로부터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써 휴대기에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요구 신호는 휴대기가 응답 신호를 회신하는 것을 요구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검지 회로(11)는 안테나(20)의 3개의 접속점(A, B, C)의 구성을 선택함으로써 안테나(20)의 전력 공급 상태가 3개의 전력 공급 상태의 조합 중 하나로 변경된다. 전자기파의 지향성은 전력 공급 상태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후술됨). 검지 회로(11)는 수신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CPU(12)는 수신 회로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ID 코드와 미리 등록된 코드가 소정의 관계, 예컨대 일치하는 코드 등을 만족하는 지를 판정함으로써 대조하도록 구성된다.
검지 회로(11)는 3개의 전력 공급 상태로부터 일 상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CPU(12)는 전력 공급 상태가 선택(전환)된 때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한다. 제어 블록(10)은 검지된 휴대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바디 ECU(도시 생략), 전원 ECU(도시 생략), 엔진 ECU(도시 생략) 등에 출력한다. 이들 ECU는 제어 블록(1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의 로크/언로크 상태, 스티어링의 로크/언로크 상태 및 엔진 시동의 허가/금지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ID 코드가 미리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 지의 대조 결과에 응답하여, 개별 ECU(즉, 바디 ECU, 전원 ECU 및 엔진 ECU)는 도어의 상태(로크/언로크 상태), 스티어링의 상태(스티어링 로크/언로크 상태) 및 엔진의 시동을 제어한다.
안테나(20)는 휴대기를 향하여 응답 신호를 회신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설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는 제1 엘리먼트(21) 및 제1 엘리먼트에 직렬로 전기 접속된 제2 엘리먼트(22)를 포함한다. 제1 엘리먼트(21)는 제1 엘리먼트(21)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엘리먼트(22)는 제2 엘리먼트(22)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20)는 또한 전자기파를 방사할 수 없는 우회 배선을 포함한다. 우회 배선은 우회 배선의 일단부가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어 블록(10)에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엘리먼트는, LF(저주파수) 대역파(주파수 범위는 대략 120㎑ 내지 135㎑이다)를 방사하도록 설계된다. 우회 배선(200)은 안테나(2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는 제어 블록(10)에 접속된 3개의 접속점(A, B, C)을 포함한다. 제1 엘리먼트(21)는 제2 엘리먼트(22)의 일단부와 접속점(A)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엘리먼트(22)는 제1 엘리먼트(21)의 일단부와 접속점(B) 사이에 배치된다. 우회 배선(200)은 제1/제2 엘리먼트의 접속점과, 접속점(C)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차량에서의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의 배치와,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전자기파의 도달 범위는 요구 신호가 송신되는 범위로서 정의되고 이 범위에서 휴대기가 검지된다. 따라서, 이 범위는 휴대기 검지 영역(즉, 제1 검지 영역, 제2 검지 영역, 제3 검지 영역, 제4 검지 영역 및 제5 검지 영역)으로 칭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41은 탑승원실을 도시하고, 참조번호 42는 트렁크실을 도시한다. 차량의 주행 방향은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의 상방으로서 정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검지 회로(11)는 안테나(20)의 3개의 접속점(A, B, C)의 구성을 변경하여 안테나(20)의 전력 공급 상태가 3개의 전력 공급 상태 중 하나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검지 회로(11)는, 우회 배선(200)과 제1 엘리먼트(21)가 전기적으로 통하는 제1 전력 공급 상태, 우회 배선(200)과 제2 엘리먼트(22)가 전기적으로 통하는 제2 전력 공급 상태, 및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가 전기적으로 통하는 제3 전력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3개의 전력 공급 상태 중 하나인 구성을 선택한다. 제1 전력 공급 상태는 접속점(A, C)이 온(ON)으로 되고(접속되고) 접속점(B)이 오프(OFF)로 된(접속해제된) 때에 제공되고, 제2 전력 공급 상태는 접속점(B, C)이 온(ON)으로 되고 접속점(A)이 오프(OFF)로 된 때에 제공되고, 그리고 제3 전력 공급 상태는 접속점(A, B)이 온(ON)으로 되고 접속점(C)이 오프(OFF)로 된 때에 제공된다.
따라서, 검지 회로(11)가 안테나(20)의 전력 공급 상태(3개의 상태)를 전환시킴으로써 휴대기에 대한 검지 영역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상태가 제1 전력 공급 상태인 경우, 전력은 제1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제1 엘리먼트(21)에만 공급되어 휴대기의 검지 영역이 차량 내부가 된다. 도 2의 (a)에 의해 표시된 검지 영역은 제1 검지 영역(a1)이라고 칭한다.
유사하게,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 때, 전력은 제2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인 방향과 동일한 제2 엘리먼트(22)에 공급되어 휴대기에 대한 검지 영역이 차량의 탑승원실(41) 내부, 운전석[도 2의 (b)에서 D-시트]측 외부 및 탑승원석[도 2의 (b)에서 P-시트]측 외부일 수 있다. 도 2의 (b)에 의해 표시된 검지 영역은 제2 검지 영역(a2)이라 칭한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전력 공급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전력이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의 양쪽에 공급되고, 제1 엘리먼트(21)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기파와 제2 엘리먼트(22)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기파가 서로 영향을 끼침으로써, 휴대기 검지 영역은 차량의 실내 및 운전석측의 실외 또는 조수석측의 실외가 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 검지 영역은 차량의 실내 및 운전석측의 실외로 설정됨). 도 2의 (c)로 나타낸 검지 영역은 제3 검지 영역(a3)으로 칭한다.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 3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 순서는, 전체 도어가 폐쇄되고 전체 도어가 로크될 때에 작동되고, 소정 기간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우선, 단계(S1)에서, 차량의 실내 영역이 검지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C)을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접속점(B)을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하여, 우회 배선(200) 및 제1 엘리먼트(21)를 통해 제1 엘리먼트(2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제1 엘리먼트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제1 검지 영역(a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구 신호가 제1 검지 영역(a1) 내로 송신된다.
단계(S2)에서,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1 검지 영역(a1)이 제1 전력 공급 상태로서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pre-registered code)와 비교함으로써 대조하고, 그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다고, 즉 차량의 실내 사용자를 검지했다고 판정한다(S10).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없다고 판정하고,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 차량의 실외 영역이 검지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B 및 C)을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접속점(A)을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하여, 우회 배선(200) 및 제2 엘리먼트(22)를 통해 제2 엘리먼트(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엘리먼트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제2 엘리먼트(22)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정의되므로, 제2 검지 영역(a2)이 형성된다. 즉, 요구 신호가 제2 검지 영역(a2) 내로 송신된다.
단계(S4)에서, 휴대기가 차량의 실외(운전석측의 실외, 조수석측의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12)는,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제2 검지 영역(a2)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의 대조 결과를 기초하여 휴대기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4)에서 대조 결과가 진실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내에 있지 않으므로[단계(S2)에서 아니오],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외에 있다고 판정하고, 단계(S5)로 진행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 내에 없으므로[단계(S2)에서 아니오], CPU(12)는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S9).
단계(S5)에서, 검지 영역은 운전석측(D 시트측) 영역이 되도록 설정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B)을 온(ON)이 되도록 제어하고 접속점(C)을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3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이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의 양쪽에 공급되어,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로부터 방사되는 2개의 전자기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3 검지 영역(a3)이 형성된다. 즉, 요구 신호가 제3 검지 영역(a3) 내로 송신된다.
단계(S6)에서, 휴대기가 운전석측(D 시트측) 영역의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12)는, 제3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제3 검지 영역(a3)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의 대조 결과를 기초하여 휴대기가 차량의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S6)에서 대조 결과가 진실인 경우, CPU(12)는 휴대기가 운전석측(D 시트측) 실외에 있다고, 즉 운전석측의 실외에서 사용자를 검지했다고 판정한다(S7).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인 경우,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외에 있고[단계(S4)에서 예] 운전석측(D 시트측) 영역의 실외에 없다고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CPU(12)는 휴대기가 조수석측(P 시트측)의 실외에 있다고 판정한다(S8).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2축[즉,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를 채택하여, 전력 공급 상태를 3회만 전환한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성 및 적절한 응답 시간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지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운전석측의 실외, 조수석측의 실외 중 어디에 휴대기가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각 도어에 안테나를 요구하는 검지 시스템과 비교하여, 검지 시스템이 2축 안테나(20)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므로, 안테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시스템은 차량의 전체 도어가 폐쇄되고 전체 도어가 로크되어 있을 때 차량의 실내의 휴대기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검지 시스템은 차량 내의 휴대기의 검지를 시작하도록 제어 블록(10)[CPU(12)]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입력 회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 동일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트리거 입력 회로(30)는 제어 블록(10)에 접속된다. 트리거 입력 회로(30)는 각 도어 핸들에 설치된 터치 센서나 푸쉬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 입력 회로(30)는, 터치 센서나 푸쉬 스위치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가 차량 도어의 로크 또는 언로크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제어 블록(10)[CPU(12)]으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11)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변형예에 따르면, CPU(12)는, CPU(12)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트리거 입력 회로(3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12)는, 트리거 입력 회로(3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가 있을 때,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S1)로 진행하고, CPU(12)는, 트리거 신호 입력 회로(3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가 없을 때, 단계(S11)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입력 회로(30)가 제공되므로, 트리거 입력 회로(30)는 사용자가 어느 도어 주위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센서나 푸쉬 스위치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반드시 휴대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므로, 트리거 신호를 제어 회로(10)[CPU(12)]로 출력하는 트리거 신호 입력 회로(30)가 제공된 경우라도, 휴대기 검지 시스템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성과 적절한 응답 시간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2축[즉,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인 단일 안테나만이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도어에 설치되는 안테나와 비교하여, 안테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이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도 1 참조).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기능 블록이 제1 실시예의 기능 블록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블록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 단계들은 동일한 단계 번호를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 사이의 차이는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 내에 있는지 여부인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도 6(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에서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다고 CPU(12)가 판정한 경우, 단계(S12)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12)에서, 도 3의 단계(S3)와 마찬가지로, 제2 검지 영역(a2)이 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단계(S13)에서, 휴대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12)는,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제2 검지 영역(a2)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때, 휴대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CPU(12)는 휴대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를 대조하고, ID 코드가 미리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고[단계(S2)에서 예] 탑승원실(41) 실내에 있다고 판정한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실내에 있다고 판정한다(S10).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인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고[단계(S2)에서 예] 차량의 탑승원실(41)에 없다고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CPU(12)는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 내에 있다고 판정한다(S14).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2축[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를 채택하고,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의 전력 공급 상태를 4회만 전환한다. 그러므로 단순한 구성과 적절한 응답 시간으로 휴대기를 검지할 수 있다. 즉,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탑승원실, 운전석측 실외, 조수석측 실외를 포함하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에 휴대기가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검지 시스템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2축[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만으로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기능 블록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 블록은 도 1의 블록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전력 공급 상태의 면에서, 즉 안테나(20)[즉,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에 대한 추가적인 전력 공급 상태를 만들도록 사용되는 구성, 제4 전력 공급 상태 및 제5 전력 공급 상태에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 및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 및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를 포함한다.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는 CPU(1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검지 회로(11)에 의해 안테나(20)로 공급되는 출력 전류의 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는 CPU(1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검지 회로(11)에 의해 안테나(20)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의 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전력 공급 상태는 제1 엘리먼트(21)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전력 공급 상태에 의해 공급된 전력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B)을 오프(OFF)로 하고, 제1 엘리먼트(21)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1 전력 공급 상태의 것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 및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를 제어한다. 그 결과,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휴대기에 대한 검지 영역은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즉, 차량의 내부로부터 운전석 측의 외부, 조수석 측의 외부 및 트렁크 공간의 외부까지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검지 영역은 제4 검지 영역(a14)으로 정의된다.
제5 전력 공급 상태는 제2 엘리먼트(22)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2 전력 공급 상태의 것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검지 회로(11)는 접속점(B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A)을 오프(OFF)로 하고, 제2 엘리먼트(22)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2 전력 공급 상태의 것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 및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를 제어한다. 그 결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휴대기에 대한 검지 영역은 탑승원실(41)의 영역의 4분의 1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검지 영역은 제5 검지 영역(a12)으로 정의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제1 검지 영역(a11)은 제1 실시예의 제1 검지 영역(a1)과 동일한 영역을 갖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8e에 도시된 제2 검지 영역(a15)은 제1 실시예의 제2 검지 영역(a2)과 동일한 영역을 갖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8c에 도시된 제3 검지 영역(a13)은 제1 실시예의 제3 검지 영역(a3)과 동일한 영역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모든 도어가 폐쇄되고 로크되었을 때 개시되고, 소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단계(S21)에서, 차량의 내부 영역이 검지된다. 이때,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B)을 오프(OFF)로 하여, 전력 공급 상태가 제1 엘리먼트(21)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전력 공급 상태로 설정되도록 우회 배선(200)과 제1 엘리먼트(21)가 통전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엘리먼트(21)에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차량 내부를 커버하는 제1 검지 영역(a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구 신호가 제1 검지 영역(a11) 내에 송신된다.
단계(S22)에서,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히, 제1 검지 영역(a11)이 제1 전력 공급 상태로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있다고 판정되고, 단계(S30)로 진행한다. 반면에, 대조 결과가 거짓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없다고 판정되고,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차량의 외부 영역이 검지된다. 이때,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B)을 오프(OFF)로 하여, 전력 공급 상태가 제1 전력 공급 상태보다 큰 전력이 제1 엘리먼트(21)에 공급되는 제4 전력 공급 상태로 설정되도록 우회 배선(200)과 제1 엘리먼트(21)가 통전된다. 이때, 제4 검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검지 영역은 차량 내부로부터 운전석 측 영역의 외부, 조수석 측 영역의 외부 및 트렁크 공간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즉, 요구 신호가 제4 검지 영역(a14) 내에 송신된다.
단계(S24)에서, 휴대기가 차량 외부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히, 제4 검지 영역(a14)이 제4 전력 공급 상태로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없고[단계(S22)에서 "아니오"] 차량 외부에 있다고 판정되고, 단계(S25)로 진행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없고[단계(S22)에서 "아니오"] 차량 외부에 없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34)에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지된다.
단계(S25)에서, 검지 영역은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D/P 시트 영역)으로 설정된다. CPU(12)는 접속점(B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A)을 오프(OFF)로 제어하여, 전력 공급 상태가, 전력이 제2 엘리먼트(22)로 공급되는 제2 전력 공급 상태로 설정되도록 우회 배선(200)과 제2 엘리먼트(22)가 통전된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한 방향과 동일한 제2 엘리먼트(22)에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2 검지 영역(a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구 신호가 제2 검지 영역(a15) 내에 송신된다.
단계(S26)에서, 휴대기가 차량(운전석 영역 및 조수석 영역) 외부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히, 제2 검지 영역(a15)이 제2 전력 공급 상태로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있지 않고[단계(S22)에서 "아니오"], 운전석 측 외부 또는 조수석 측 외부에 있다고 판정되고, 이후 단계(S27)로 진행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있지 않고[단계(S22)에서 "아니오"], 차량 외부에 있고[단계(S24)에서 "네"], 운전석/조수석 측 외부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35)에서, 사용자는 트렁크 공간 외부에서 검지된다.
단계(S27)에서, 검지 영역은 운전석 측(D 시트측) 영역으로 설정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B)을 온(ON)으로, 접속점(C)을 오프(OFF)로 제어하여, 제3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이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 양쪽에 공급되어,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로부터 방사되는 2개의 전자기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3 검지 영역(a13)이 형성된다. 즉, 요구 신호는 제3 검지 영역(a13) 내에서 송신된다.
단계(S28)에서, 검지 영역은 운전석 측(D 시트측) 영역의 외부로 설정된다. 특히, 제3 검지 영역(a13)이 제3 전력 공급 상태로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휴대기는 운전석측의 외부에 있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29)에서, 사용자는 운전석측(D 시트측)의 외부에서 검지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일 때, 휴대기는 운전석 측 및 조수석 측의 외부에 있고[단계(S26)에서 "예"], 운전석 측의 외부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36)에서, 사용자는 조수석 측 영역(P 시트측)에서 검지된다.
단계(S22)에서의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실행되는 단계(S30)에서, 차량 내부가 검지된다. 검지 회로(11)는 접속점(B 및 C)을 온(ON)으로, 접속점(A)을 오프(OFF)로 하여, 전력 공급 상태가 제2 전력 공급 상태보다 낮은 전력이 제1 엘리먼트(21)에 공급되는 제5 공급 상태로 되도록 우회 배선(200)과 제2 엘리먼트(22)가 통전된다.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검지 영역(a12)은 차량의 탑승원실(41)에만 형성된다. 즉, 요구 신호가 제5 검지 영역(a12) 내에 송신된다.
단계(S31)에서, 휴대기가 내부 영역[탑승원실(41)]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 제5 전력 공급 상태를 설정함으로써 제5 검지 영역(a12)이 형성될 때,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하여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하여, CPU(12)는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때,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있고[단계(S22)에서 "예"], 탑승원실(41)에 있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32)에서, 사용자는 차량 내부[탑승원실(41)]에서 검지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일 때, 휴대기는 차량 내부에 있고[단계(S22)에서 "예"], 탑승원실(41)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즉, 단계(S33)에서, CPU(12)는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에 있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제1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되고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을 때, 그리고 제4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되고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가 검지될 때,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검지되는 경우 CPU(12)는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없다고 검지하고, CPU(12)는 휴대기가 트렁크 공간 내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5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전자기파가 도달하는 범위(즉, 요구 신호의 송신 범위)는 탑승원실 내부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검지되는 경우 그리고 제2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될 때,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 휴대기는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있다고 검지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2축[제1 엘리먼트(21)과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를 사용하고 이들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의 전력 공급 상태를 5회만 전환하는 것으로, 최소화된 구성으로 휴대기가 검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탑승원실, 운전석측의 실외, 조수석측의 실외, 트렁크실 내측 및 트렁크실측의 실외 중에서 휴대기가 존재하는 영역을 검지한다. 또한, 휴대기의 위치는 2축[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2)] 안테나(20)만을 사용함으로써 검지될 수 있어, 안테나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와 출력 전압 가변 회로(14) 모두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3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서, 공급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출력 전류 가변 회로(13)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비교해, 제4 전력 공급 상태 및 제5 전력 공급 상태가 추가된다. 그러나,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제1 실시예에 부가하여 제4 전력 공급 상태와 제5 전력 공급 상태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4 전력 공급 상태만을 제1 실시예에 추가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휴대기가 차량의 트렁크실의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동일한 것이 제5 전력 공급 상태가 추가된 구성에도 적용된다.
(제4 실시예)
이 후,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해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기능 블록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도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 블록에는 도 1의 블록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이 제1 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백업 회로가 제4 실시예의 구성에 추가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기가 전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전지의 소모로 인해, 휴대기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없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차량에 설치된 백업 회로는 휴대기가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통신하기에 필요한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백업 회로는, 휴대기가 차량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된다. 탑승원실 내에 설치된 스타트 스위치(또는 점화키)가 온(ON)인 것과는 관계없이 휴대기가 응답 신호를 보내지 않았을 경우에, 백업 회로는 휴대기에 의해 사용되는 전자기계를 발생시킨다. 한편, 휴대기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션 회로를 포함하고, 이 제너레이션 회로는 백업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계에 의해서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기의 전지 전력이 많이 소모되었을 경우에도,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휴대기 사이의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맞춰진 휴대기는 외부로부터 받는 전자기계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포함하고, 이 트랜스폰더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백업 회로(15)를 구비한다. CPU(1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백업 회로(15)는 기전력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계가 휴대기에서 발생되도록 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파의 전력보다 높은 전력을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에 공급한다.
이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검지 시스템과 관련한 작동 순서를 설명한다. 도 13의 흐름도에 도시된 작동 순서는, 차실 내에 설치된 스타트 스위치(점화키)가 온(ON)으로 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
단계(S41)에서는, 검지 회로(11)가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써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즉, 검지 회로(11)는 접속점(A 및 C)을 온(ON)으로 하고 접속점(B)을 오프(OFF)로 함으로써, 우회 배선(200) 및 제1 엘리먼트(21)를 통해서 제1 엘리먼트(21)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전력 공급 상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검지 영역(즉, 차량의 실내 영역)(a11)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요구 신호가 제1 검지 영역 내에서 송신된다.
단계(S42)에서는,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1 검지 영역(a11)이 제1 전력 공급 상태로서 형성된 경우,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함으로써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해,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S45)(즉, 사용자 검지됨)로 진행한다.
한편, 대조 결과가 거짓일 경우,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S43)로 진행한다. 이때, 스타트 스위치(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휴대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의 전지 전력이 너무 낮기 때문에 휴대기가 응답 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계(S43)에서는, 백업 회로가 작동된다. CPU(1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백업 회로(15)는 기전력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계가 휴대기에서 발생되도록 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파의 전력보다 높은 전력을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에 공급한다.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휴대기는 전자기파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에 의해 만들어진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44)에서는,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백업 회로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CPU(12)는 휴대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를 미리 등록된 코드와 비교함으로써 대조한 후, 대조 결과(즉, 진실 또는 거짓)에 기초해,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결과가 진실일 경우,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S45)(즉, 사용자 검지됨)로 진행한다. 반면에, 대조 결과가 거짓일 경우, CPU(12)는 휴대기가 차량의 실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S46)로 진행한다. 따라서, 단계(S46)에서는, 사용자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따라서, 휴대기와 휴대기 검지 시스템 사이의 상호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와, 백업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는 통합될 수 있어, 안테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2)를 포함하는 안테나(20)가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휴대기 검지 시스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 이외에 제3 엘리먼트(23)를 구비하는 안테나(20f)가 채용될 수 있으며, 제1 엘리먼트(21)는 자신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제2 엘리먼트(22)는 자신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3 엘리먼트(23)는 자신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연직 방향과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엘리먼트(21)의 방향이 X축이고 제2 엘리먼트(22)의 방향이 Y축이라고 하면, 제3 엘리먼트의 방향은 Z축이 된다. 따라서, 이들 엘리먼트[즉, 제1 엘리먼트(21), 제2 엘리먼트(22) 및 제3 엘리먼트(23)]는 3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3차원 형상을 형성함).
따라서, 안테나가 백업 회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관계없이,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어, 검지 시스템은 휴대기를 적절하게 백업할 수 있다. 제3 엘리먼트(23)는 우회 배선(200)과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10 : 제어 블록
11 : 검지 회로
12 : CPU
13 : 출력 전류 가변 회로
14 : 출력 전압 가변 회로
15 : 백업 회로
20, 20f : 안테나
21 : 제1 엘리먼트
22 : 제2 엘리먼트
23 : 제3 엘리먼트
200 : 우회 배선
30 : 트리거 입력 회로
41 : 탑승원실
42 : 트렁크실
a1 : 제1 검지 영역
a2 : 제2 검지 영역
a3 : 제3 검지 영역
a11 : 제1 검지 영역
a12 : 제5 검지 영역
a13 : 제3 검지 영역
a14 : 제4 검지 영역
a15 : 제2 검지 영역

Claims (5)

  1. 차량에 탑재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기와 통신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이며,
    상기 휴대기 검지 시스템은,
    전자기파를 방사하며, 제1 엘리먼트와, 제1 엘리먼트에 직렬로 전기 접속된 제2 엘리먼트와, 일단부가 제1 및 제2 엘리먼트의 접속점에 접속된 우회 배선을 구비하고, 제1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정의되고 제2 엘리먼트의 길이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차량의 연직 방향 양쪽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되도록 배치된 안테나와;
    응답 신호를 회신할 것을 휴대기에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요구 신호는 안테나로 송신되어 요구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통해 휴대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상기 휴대기에 의해 회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수단을 포함하며,
    전력은 제1 공급 상태, 제2 공급 상태 및 제3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3개의 공급 상태 중 하나에서 안테나로 공급되고, 상기 제1 공급 상태는 제1 엘리먼트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우회 배선과 제1 엘리먼트가 전기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급 상태는 제2 엘리먼트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우회 배선과 제2 엘리먼트가 전기 접속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공급 상태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전력이 공급되게 구성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3개의 공급 상태들 사이에서 전환하여 상기 공급 상태가 전환될 때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휴대기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 상태는 제1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1 공급 상태에서보다 높은 제4 공급 상태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급 상태는 제2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2 공급 상태에서보다 작은 제5 공급 상태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휴대기에 기전력을 유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기계를 발생시키도록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백업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은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방사시킬 때의 전력보다 높은, 휴대기 검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안테나는 제3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며, 안테나는 제1 엘리먼트, 제2 엘리먼트 및 제3 엘리먼트에 의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휴대기 검지 시스템.
KR20110022441A 2010-03-12 2011-03-14 휴대기 검지 시스템 KR101201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6517 2010-03-12
JP2010056517A JP5045774B2 (ja) 2010-03-12 2010-03-12 携帯機検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65A KR20110103365A (ko) 2011-09-20
KR101201156B1 true KR101201156B1 (ko) 2012-11-13

Family

ID=4456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22441A KR101201156B1 (ko) 2010-03-12 2011-03-14 휴대기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81699B2 (ko)
JP (1) JP5045774B2 (ko)
KR (1) KR101201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9868B2 (ja) * 2009-01-23 2013-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US9501880B2 (en) 2011-03-17 2016-11-2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remote access wireless device generated magnetic field based unlocking and related methods
US9336637B2 (en) * 2011-03-17 2016-05-10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196104B2 (en) * 2011-03-17 2015-11-24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057210B2 (en) 2011-03-17 2015-06-16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501883B2 (en) 2011-03-17 2016-11-2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lock assembly generated magnetic field based unlocking and related methods
JP2014098285A (ja) * 2012-11-15 2014-05-29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US9610893B2 (en) 2015-03-18 2017-04-04 Car1St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lerts to a driver of a vehicle via condi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10328855B2 (en) 2015-03-18 2019-06-25 Uber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lerts to a connected vehicle driver and/or a passenger via condi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JP6740637B2 (ja) * 2016-02-29 2020-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9092279A (ja) * 2017-11-14 2019-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電力設備
US10795986B2 (en) * 2018-02-12 2020-10-06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component in a power conver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81A (ja) 1999-03-05 2000-09-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遠隔操作装置のアンテナ
JP2005076329A (ja) 2003-09-01 2005-03-24 Omron Corp 無線端末位置検出装置及び無線端末位置検出方法
JP2008163633A (ja) 2006-12-28 2008-07-17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255750A (ja) 2007-04-09 2008-10-2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無線通信装置及び車載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623B2 (ja) 2003-09-30 2010-04-28 マツダ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7046119B2 (en) * 2004-05-19 2006-05-16 Lear Corporation Vehicle independent passive entry system
JP4184375B2 (ja) 2005-11-11 2008-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通信装置
JP4673251B2 (ja) * 2006-05-11 2011-04-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7850078B2 (en) * 2007-04-23 2010-12-14 Lear Corporation Remote control reactivation
JP5027083B2 (ja) 2008-09-04 2012-09-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位置判定装置
JP5684983B2 (ja) * 2009-12-18 2015-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の通信エリア形成装置
JP2011147104A (ja) * 2009-12-18 2011-07-28 Tokai Rika Co Ltd 通信端末位置判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81A (ja) 1999-03-05 2000-09-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遠隔操作装置のアンテナ
JP2005076329A (ja) 2003-09-01 2005-03-24 Omron Corp 無線端末位置検出装置及び無線端末位置検出方法
JP2008163633A (ja) 2006-12-28 2008-07-17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255750A (ja) 2007-04-09 2008-10-2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無線通信装置及び車載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65A (ko) 2011-09-20
US8581699B2 (en) 2013-11-12
US20110223868A1 (en) 2011-09-15
JP5045774B2 (ja) 2012-10-10
JP2011191140A (ja)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156B1 (ko) 휴대기 검지 시스템
US91265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971098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2005163522A (ja) 車両制御装置、携帯機、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機の制御方法
JP2015101908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6055743B2 (ja) キー使用可否切替システム
US9377764B2 (en) Plug lock device
WO2015040835A1 (ja) 車両制御装置
JP6347762B2 (ja) 車両制御装置
JP602169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車載システム、制御装置、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7057493B2 (en) Lighting system
JP2016178617A (ja) 車両制御装置
KR20190062742A (ko) 스마트키 시스템
US8330575B2 (en) Key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a truck and truck equipped with such a system
JPH11241539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4297934B2 (ja) 車両用通信装置
CN113202363A (zh) 上锁解锁组件及门把手组件
CN109693641B (zh) 无线通信系统
JP2016216963A (ja) 施解錠案内照明システム
JP2007297774A (ja) ドア錠制御装置
JP2007031962A (ja) 車両用アンロック装置
JP2009174257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16017367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184770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JP4528604B2 (ja) 通信端末、作動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