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742A - 스마트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42A
KR20190062742A KR1020170161244A KR20170161244A KR20190062742A KR 20190062742 A KR20190062742 A KR 20190062742A KR 1020170161244 A KR1020170161244 A KR 1020170161244A KR 20170161244 A KR20170161244 A KR 20170161244A KR 20190062742 A KR20190062742 A KR 2019006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door
unit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슬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16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742A/ko
Publication of KR2019006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 및 차량에 설치되며, 스마트키가 기설정된 이탈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스마트키 유닛을 포함하고, 스마트키는, 도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키 통신부와,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하는 스마트키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스마트키 시스템이라 함은,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키(smart key)를 휴대하고, 스마트키 유닛(SMK Unit)은 스마트키로부터 인가되는 암호화 코드를 해석하여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경우에만, 차체의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사고를 예방 및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하면서 차량에 소정 접근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스마트키 유닛은 스마트키를 웨이크 업(wake-up) 시킨 후, 스마트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의 암호와 데이터를 상호 통신하여 정상 사용자 ID를 인증하는 절차를 거친 후, 정상 사용자라고 판정되면, 도어의 개폐, 트렁크 도어의 개폐, 차량의 엔진 시동 등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차량이 정상 사용자 ID를 인증하여 차량의 도어를 언락(unlock)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채로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 내부의 귀중품 도난은 물론 차량 도난 발생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도난 방지 기술의 일예로써, 운전자 이탈시 경고움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을뿐더러, 종래 도난 방지 기술의 다른 예로써, 운전자 이탈시 도어를 자동 잠금하는 방법은, 하드웨어적 변경을 요구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 및 차량에 설치되며, 스마트키가 기설정된 이탈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스마트키 유닛을 포함하고, 스마트키는, 도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키 통신부와,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하는 스마트키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내의 스마트키 유닛은, 스마트키가 기설정된 이탈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에 전송하고, 스마트키는,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하므로, 사용자는, 도어 상태 정보 확인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하드웨어적 구성을 변경할 필요없이, 간단한 소프트웨어 작업 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하드웨어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하드웨어적 구성 변경 방법에 비해, 그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간단한 조작 만으로, 도어 상태 정보를 LED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키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키 유닛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 내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10)은, 차량(30) 및 스마트키(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30)과 스마트키(20)는, RF 신호 및 LF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30) 내의 스마트키 유닛(40)은, LF 신호(Low Frequency signal)를 기설정된 제1 접근 거리(D1) 이내로 송출할 수 있다. 제1 접근 거리(D1)는, LF 송신부(431)의 출력, 차량 디자인, 외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m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휴대한 채로, 스마트키 유닛(40)에 제1 접근 거리(D1)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키(20)가 웨이크 업(wake-up)되고, 스마트키(20)에 구비된 입력 버튼 조작에 의해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형태의, 도어 제어 명령이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30) 내의 스마트키 유닛(40)은, 차량 도어 제어 명령을 기초로,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킬 수 있으며, 도어 개폐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휴대한 채로, 스마트키 유닛(40)에 제2 접근 거리(D3)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도어를 언락(unlock) 시키고(이른바 "웰컴 모션"), 도어 언락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차량(30)이 사용자를 인식하여, 차량(30)의 도어를 언락(unlock)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차량(30)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30) 내부의 귀중품 도난은 물론 차량(30) 도난 발생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휴대한 채로, 기설정된 이탈 거리(D2)에 도달하는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이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하여, 도어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차량 도난 방지 기술이, 하드웨어적 변경을 통해 구현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그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키 시스템(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키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키(20)는, 원격지에서 사이드 도어의 개폐, 트렁크 도어의 개폐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키(20)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350), 차량(30)과 무선 통신하는 스마트키 통신부(320) 및 스마트키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20)는, 도어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40) 및 도어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20)는, 스마트키(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 케이스(203)의 선단에는 키 홀더(201)와, 릴리즈 버튼(202)이 배치되고, 스마트키 케이스(203) 상면에는, 복수의 입력 버튼(204, 205, 206, 207)을 구비하는 입력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키 케이스(203)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마트키 통신부(320), 메모리(340) 및 스마트키 제어부(36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키 홀더(201)에는, 차량(30)의 사이드 도어(이하 "도어"라 함)에 장착된 키홈에 삽입되어 도어를 수동으로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시키거나,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스팅어링 휠 부근의 키홈에 삽입되어 차량(30)의 엔진을 시동 온(on) 하거나 오프(off)하는 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릴리즈 버튼(202)은, 키 홀더(201)를 도 2와 같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키 홀더(201)가 도 2와 같은 상태일 때,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202)을 누르면, 키 홀더(201)가 그루브 내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푸쉬 버튼 타입의 복수의 입력 버튼(204, 205, 206, 207)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50)는, 차량(30)의 도어를 락(lock)시키는 도어 락 버튼(351), 차량(3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키는, 도어 언락 버튼(352), 트렁크 도어인 트렁크 리드를 잠금 해제시키는, 트렁크 버튼(353), 및 경적음 버튼(35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락 버튼(204)을 사용자가 푸쉬하면, 차량(30)의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 되고, 상기 도어 언락 버튼(205)을 푸쉬하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해제되며, 상기 트렁크 버튼(353)을 사용자가 푸쉬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자동으로 잠금해제되고, 상기 경적음 버튼(354)을 푸쉬하면, 차량(30)에 설치된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부져를 울린다.
스마트키 통신부(320)는, LF 수신부(321) 및 RF 송신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스마트키(20)는, LF 수신부(321)를 통해, 스마트키 유닛(40)이 전송한 LF 신호를 수신하고, RF 송신부(322)를 통해, 스마트키(20)가 생성한 RF 신호를 스마트키 유닛(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키 통신부(320)는, LF 안테나(미도시) 및 RF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키 통신부(320)는, 도어 락 명령 또는 도어 언락 명령 등의 도어 제어 명령을 스마트키 유닛(40)에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키 유닛(40)으로 부터 도어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스마트키 유닛(40)으로부터 수신 받은 도어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어 상태 정보에는, 도어 락 상태 또는 도어 언락 상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330)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도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30)는, 도어 락 상태 및 도어 언락 상태를 적색, 청색 등의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330)는, 도어가 락(lock) 된 상태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5초)동안 점등 후 점멸하고, 도어가 언락(unlock)된 상태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횟수 점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 하나로 도어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 제조 원가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배치는 일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발광 다이오드(LED)는, 스마트키(20)의 구조, 사용자의 시안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스마트키(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스마트키 유닛(40)의 LF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스마트키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 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 받은, 차량 제어 명령을 스마트키 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락 명령을 소정의 도어 락 제어 신호를 변환하고, 도어 락 제어 신호를 스마트키 통신부(320)를 통해 스마트키 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언락 명령을 소정의 도어 언락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도어 언락 제어 신호를 스마트키 통신부(320)를 통해 스마트키 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스마트키 통신부(320)가 수신한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락 버튼(351)이 임계 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 입력되는 경우, 롱키(long-key)로 연산할 수 있다.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락 버튼(351)이 롱키(long-key) 입력되는 경우, 표시부(330)를 제어하여, 도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입력 버튼이 임계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경우, 숏키(short-key)로 연산하여,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신호(예들 들어, 도어 락 제어 신호, 도어 언락 제어 신호 등)를 스마트키 유닛(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키(20)는, 포브(FOB) 키, 폴딩 키를 비롯한 여하의 명칭의 구성이라도, 스마트키 유닛(4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스마트키(20)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키 유닛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키 유닛(40)은,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430), 기능 동작부(450), 저장부(410) 및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430)는, LF 송신부(431) 및 RF 수신부(432)를 구비할 수 있다. LF 송신부(431)는,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가 생성한 LF 신호를 스마트키(20)로 전송하며, RF 수신부(432)는, 스마트키(20)가 전송한 RF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430)는, LF 안테나(미도시) 및 RF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430)는, 스마트키(20)의 도어 제어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고,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가 연산한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
기능 동작부(450)는, 스마트키(20)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 받아. 해당 기능 동작부를 작동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능 동작부(450)는, 도어를 락킹시키는 도어 락킹부(451), 도어를 언락시키는 도어 언락킹부(452), 트렁크 도어를 언락 후 개방시키는 트렁크부(453) 및 차량(30)에 설치된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부져를 울리는, 경적부(454)를 구비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스마트키(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를 기초로, 스마트키 유닛(40)과 스마트키(2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RF 안테나(미도시)는, 차량(30)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키(20)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RF 기초로 스마트키 유닛(40)과 스마트키(2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가 5V인 경우,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 간의 거리가 상당히 근접한 경우이고, 1V로 수신한 경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수신신호강도지표(RSSI)의 세기에 대응하여, 거리 정보를 수치화하여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수신신호강도지표(RSSI)의 세기에 대응하여, 스마트키(20)의 제1 접근 거리(D1)를 연산할 수 있고, 제1 접근 거리는, 3m 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수신신호강도지표(RSSI)의 세기에 대응하여, 스마트키(20)의 제2 접근 거리(D3)를 연산할 수 있고, 제2 접근 거리는, 1m 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수신신호강도지표(RSSI)의 세기에 대응하여, 스마트키(20)의 이탈 거리(D2)를 연산할 수 있고, 이탈 거리(D2)는 2m 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접근 거리(D1), 제2 접근 거리(D3) 및 이탈 거리(D2)의 크기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그 거리는, 외부 환경, 안테나의 성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도어 상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락킹부(451)가, 도어 락 명령을 기초로, 차량(30)의 도어를 락킹 시킨 경우,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도어의 현재 상태가 도어 락 상태라고 연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 언락킹부(452)가, 도어 언락 명령을 기초로, 차량(30)의 도어를 언락킹 시킨 경우,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도어의 현재 상태가 도어 언락 상태라고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도어의 최종 상태를 연산하여, 그 정보를 저장부(410)에 저장하고, 도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9는, 도 5 내지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차량(30)이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10)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10)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 및 도 7에서, 스마트키 유닛(40)은, LF 신호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S510). LF 신호는,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430)를 통해, 차량(30)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주기적 방사 될 수 있다.
스마트키(20)는, LF 신호를 수신 받고, LF 신호에 대응하는 RF 신호를 스마트키 유닛(40)에 전송할 수 있다(S511).
스마트키 유닛(40)은, RF 신호를 기초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과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520). 특히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수신신호강도지표(RSSI)의 세기를 기초로, 그 거리를 수치화하여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스마트키 유닛(40), 특히,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스마트키(20)가 이탈 거리(D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530).
이때, 이탈 거리(D2)는, RF 신호 및 LF 신호의 최대 도달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스마트키 유닛(40)은, 스마트키(20)가 RF 신호 및 LF 신호의 최대 도달 거리에 도달하기 전에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하여,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RF 신호 및 LF 신호의 최대 도달 거리는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이 통신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하 제1 접근 거리" 라고 함) 일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이탈 거리(D2)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를 기초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과의 거리를 재연산할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이탈 거리(D2)에 도달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스마트키(20)가 이탈 거리(D2)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도어 상태 정보를 저장부(410)에 저장하고(S540), 상기 도어 상태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S550).
스마트키(20), 특히, 스마트키 통신부(320)는, 도어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20), 특히,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560).
한편, 사용자는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제1 접근 거리(D1)를 초과하여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의 최대 통신 가능 거리를 이탈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후술하는 단계를 통해, 차량(30)의 도어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키(20), 특히,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락 버튼(351)의 롱키 입력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570). 즉, 스마트키 제어부(360)는, 도어 락 버튼(351)이 임계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롱키로 연산할 수 있고, 도어 락 버튼(351)이 임계 시간 미만 입력되는 경우, 숏키로 연산할 수 있다.
도어 락 버튼(351)이 롱키 입력 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키(20)는, 롱키 입력을 대기한다.
도어 락 버튼(351)이 롱키 입력 된 경우, 스마트키(20) 특히, 표시부(330)는, 도어 상태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580).
예를 들어, 표시부(330)는, 도어가 락(lock)된 상태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시간 점등 후 점멸할 수 있고, 도어가 언락(unlock)된 상태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횟수 점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키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제1 접근 거리(D1)를 이탈한 경우라도, 도어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만일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라면, 사용자가 다시 차량의 제1 접근 거리(D1)에 접근하여 도어를 락(lock) 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키 시스템(10)은, 하드웨어적 구성 변경 없이 간단한 소프트웨어 작업 만으로 구현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그 구현이 용이하다.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스마트키(20)가 LF 신호를 수신 받고(S610), RF 신호를 전송하며(S611), 스마트키 유닛(40)이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를 기초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S620)은, 도 5에서와 같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소지한 채로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키 유닛(40), 특히,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스마트키(20)가 제1 접근 거리(D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630).
이때, 제1 접근 거리(D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의 최대 통신 가능 거리일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제1 접근 거리(D1)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를 기초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과의 거리를 재연산할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제1 접근 거리(D1)에 도달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도어 제어 명령의 수신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640).
도어 제어 명령은, 도어 락 명령 또는 도어 언락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 명령은, 스마트키(20)가 스마트키 유닛(40)에 제1 접근 거리(D1) 이내로 접근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도어 락 버튼(351) 또는 도어 언락 버튼(352) 입력에 대응하여, 스마트키 제어부(360)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된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40)이 도어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 특히,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도어 제어 명령을 기초로,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킬 수 있다(S650).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 동작부(450) 내의 도어 락킹부(451)는, 도어 락 명령을 기초로, 도어를 락킹시킬 수 있다. 또는 기능 동작부(450) 내의 도어 언락킹부(452)는, 도어 언락 명령을 기초로, 도어를 언락킹시킬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40)은,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시키고, 도어 락 정보 또는 도어 언락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S651).
스마트키(20)는 도어 락 정보 또는 도어 언락 정보를 기초로 도어 상태를 연산할 수 있다(S680). 또한, 스마트키(20)는, 도어 상태 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S690).
이후 단계에서, 스마트키(20)는, 스마트키 유닛(40)으로부터 차회의 도어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메모리(340)에 저장된 도어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시킨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20)는, 도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도어 상태 정보의 혼선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도어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키 유닛(40)이 도어 제어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 특히,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스마트키(20)가 제2 접근 거리(D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660).
즉, 도 9에서와 같이,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470)는,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휴대한 채로 제1 접근 거리(D1) 및 이탈 거리(D2)보다 작은, 제2 접근 거리(D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
제2 접근 거리(D3)는, 차량(30)이 웰컴 모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키(20)와 스마트키 유닛(40) 간의 최대 이격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근 거리(D3)는 사용자 편의성, 안테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제2 접근 거리(D3)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S620 단계의 거리 연산을 할 수 있다.
스마트키(20)가 제2 접근 거리(D3) 이내로 접근한 경우, 스마트키 유닛(40)은, 도어를 언락(unlock)시킬 수 있다(S67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키(20)를 휴대한 채로, 제2 접근 거리(D3) 이내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키(20)는, 스마트키 유닛(40)의 LF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40)은, 응답 신호를 디코딩하여, 사용자 ID를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40)은, 사용자 ID를 기초로, 정상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기능 동작부(450)의 도어 언락킹부(452)를 제어하여, 도어를 언락(unlock) 시킬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40)은, 도어를 언락(unlock) 시키고, 도어 언락 정보를 스마트키(20)에 전송할 수 있다(S671).
스마트키(20)는 도어 언락 정보를 기초로,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라고 연산할 수 있다(S680). 또한, 스마트키(20)는 도어 언락 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S690).
이후 단계에서, 스마트키(20)는, 스마트키 유닛(40)으로부터 차회의 도어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메모리(340)에 저장된 도어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시킨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스마트키 시스템
20: 스마트키
30: 차량
40: 스마트키 유닛
320: 스마트키 통신부
330: 표시부
350: 입력부
360: 스마트키 제어부
430: 스마트키 유닛 통신부
450: 기능 동작부
470: 스마트키 유닛 제어부

Claims (8)

  1. 스마트키; 및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키가 기설정된 이탈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도어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스마트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도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키 통신부와, 상기 도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여부를 연산하는 스마트키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LF 신호에 대응하여, RF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RF 신호의 수신신호강도지표(RSSI)를 기초로, 상기 이탈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거리는,
    상기 RF 신호 및 LF 신호의 최대 도달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도어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도어 락 버튼, 도어 언락 버튼, 트렁크 버튼 및 경적음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 락 버튼이 임계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 상태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가 락(lock) 된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시간 점등 후 점멸하고, 상기 도어가 언락(unlock) 된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를 소정 횟수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제1 접근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에서, 도어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도어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시키고, 도어 락 정보 또는 도어 언락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스마트키가 제2 접근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상기 도어를 언락(unlock) 시키고, 도어 언락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KR1020170161244A 2017-11-29 2017-11-29 스마트키 시스템 KR20190062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44A KR20190062742A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44A KR20190062742A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42A true KR20190062742A (ko) 2019-06-07

Family

ID=6684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44A KR20190062742A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7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161A (ko) * 2019-10-29 2021-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 팝의 이동 거리 산출을 통한 릴레이 공격 방지 방법
CN114347948A (zh) * 2022-01-19 2022-04-1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4475518A (zh) * 2022-01-17 2022-05-13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检测智能钥匙遗留在后尾箱装置和方法
KR20220141040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잠금 해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161A (ko) * 2019-10-29 2021-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 팝의 이동 거리 산출을 통한 릴레이 공격 방지 방법
KR20220141040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잠금 해제 방법
CN114475518A (zh) * 2022-01-17 2022-05-13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检测智能钥匙遗留在后尾箱装置和方法
CN114475518B (zh) * 2022-01-17 2024-03-08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检测智能钥匙遗留在后尾箱装置和方法
CN114347948A (zh) * 2022-01-19 2022-04-1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244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97676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vehicle
EP3005655B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9764713B2 (en) Provision of a status indication to a user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62742A (ko) 스마트키 시스템
US7683757B2 (en) Multi-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function
US807701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EP3005749B1 (en) Position-based performance of a vehicle function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600393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75928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function
JP2013533400A (ja) 車両アクセスにおけるまたは車両アクセスに関する改良
US20140210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communication device keypad in a vehicle
CN115635942A (zh) 商用车的行动的激活
CN112365632A (zh) 车辆进入隐私模式的nfc激活
US10062223B2 (en) Intermediary access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CN109312576A (zh) 具有整合的到达角度(aoa)检测的无线锁具
KR1011808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ⅰ)
US20100207722A1 (en) Wireless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with touch sensor
EP1416776B1 (en) Key-controlled lighting system
JP5168052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4933226B2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
KR20110105470A (ko) 듀얼 경보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54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ⅱ)
JP2022092895A (ja) 認証システム、制御装置、モバイ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141341A (ko) [0001] 스마트폰과 연동 된 다기능 보조 자동차 lcd 스마트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