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713B1 -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 Google Patents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713B1
KR101198713B1 KR1020100078319A KR20100078319A KR101198713B1 KR 101198713 B1 KR101198713 B1 KR 101198713B1 KR 1020100078319 A KR1020100078319 A KR 1020100078319A KR 20100078319 A KR20100078319 A KR 20100078319A KR 101198713 B1 KR101198713 B1 KR 10119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juice
enzyme
concentrat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712A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건강마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강마을 filed Critical (주)건강마을
Priority to KR102010007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7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의 과육을 착즙한 착즙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주정을 가해 농축시켜 감의 장기 보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감의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한 과육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준비하는 착즙단계와, 착즙액에 물을 혼합한 혼합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액 중의 당을 분해하는 효소반응단계와, 혼합액과 상기 당 분해효소를 반응시킨 효소반응액에 주정을 가한 후 여과해서 여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와, 여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Manufacturing method of concentrated persimmon solution and bever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의 과육을 착즙한 착즙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주정을 가해 농축시켜 감의 장기 보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에 관한 것이다.
감나무는 감나무과(Ebenaceae) 낙엽교목으로 키가 10여미터에 달하며 5~6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를 딴다. 감나무에서 약용하는 것은 시병(건시 또는 곶감),시체(익은 감꼭지),시엽(감나무 잎)등이며 우리나라의 경기도 이남에서 주로 과수로서 재배한다.
감나무는 원래 온대 과수로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고 병충해에 강해서 특별한 관리를 하지 않아도 재배할 수 있다. 감에는 단감과 떫은 감이 있는데 단맛을 갖는 것이 단감이다. 감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이 곶감이고, 익어서 붉고 말랑말랑해진 것이 홍시 또는 연시이다.
감은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과일 중의 하나이다. 감은 다른 과일에 비해서 수분은 작은 편이며 당분은 주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지는데 약 14%정도가 된다. 비타민 A가 400단위(IU)/100g정도로 매우 많으며 비타민 C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감에 들어 있는 비타민 C는 비타민 C 전구체로서 일반 비타민 C와 달리 열이나 물, 공기 등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감에서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은 탄닌이다. 다 익지 않은 감은 떫은 맛을 내고 다 익거나 우린감(침시), 곶감은 단맛을 내는데 이것은 탄닌이 불용성이 되어 떫은 맛을 느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은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와 비타민 A, C의 함량이 많고 지혈작용과 장의 수축과 장의 분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고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좋은 식품이다.
하지만, 감은 타 과실에 비하여 저장 중에 세포벽 분해효소인 폴리갈락투로네이스(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틴 메틸 에스테라아제(pectinmethylesterase) 등의 활성이 증가하고, 이들 효소들이 세포벽을 분해함으로써 세포벽 성분인 펙틴(pectin), 헤미셀롤로즈(hemicellulose)가 저분자 되고 가용성 폴리우로니드(polyuronide)가 증가하며, 갈락토스(galactose)와 아라비노스(arabinose)의 감소와 더불어 세포벽 중층이 붕괴되어 세포벽 구조가 변화되어 저장과 유통과정 중에 생리, 화학적 변화로 인하여 값이 하락하고 변질과 부패를 유발하여 문제점 등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감을 저장하는 과정 중에 연화작용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관성을 증대시키고 누구나 쉽게 음용할 수 있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감 음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 분해효소에 의해 유용한 다당류를 체내 흡수가 용이한 생리활성물질로 전환시켜 유용성을 높인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감 음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감의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한 과육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준비하는 착즙단계와; 상기 착즙액에 물을 혼합한 혼합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액 중의 당을 분해하는 효소반응단계와; 상기 혼합액과 상기 당 분해효소를 반응시킨 효소반응액에 주정을 가해 가열한 후 여과해서 여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여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반응단계는 상기 혼합액에 펑가밀(Fungamyl),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ucosidase),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첨가하여 55 내지 6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효소반응시킨 다음 스페자임(Spezyme)을 첨가하고 70 내지 75℃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2차 효소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즙단계 후 상기 착즙액에 배지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균주, 견운모를 혼합한 다음 30℃에서 120rpm으로 교반하여 10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감 농축액을 이용한 본 발명의 감 음료는 감 농축액 2.0 내지 11.00중량%, 탈지분유 0.7 내지 1.0중량%, 구연산 0.10 내지 0.20중량%, 구연산나트륨 0.02 내지 0.05중량%, 대두다당류 0.10 내지 0.20중량%,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0.003 내지 0.007중량%, 백설탕 4.0 내지 10.0중량%, 천연색소 0.02 내지 0.05중량%, 정제수 80.0 내지 87.0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감농축액은 감의 과육을 착즙한 착즙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 후 주정을 가하고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농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을 농축액으로 제조함으로써 감을 저장하는 과정 중에 연화작용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관성을 증대시키고 누구나 쉽게 음용할 수 있는 감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당 분해효소에 의해 유용한 다당류를 체내 흡수가 용이한 생리활성물질로 전환시켜 음료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정을 처리하여 감의 떫은맛을 띄는 탄닌을 불용화시킴으로써 음료의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1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크게 착즙단계와, 효소반응단계와, 추출단계와,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데, 각 단계별로 살펴본다.
1. 선별 및 과육분리
먼저, 착즙단계 이전에 전처리 작업으로 선별 및 과육분리과정을 거친다. 감의 선별은 부패나 상처가 심한 감은 추려낸다. 선별된 감은 1차적으로 흐르는 물에서 깨끗하게 세척하여 감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1차적으로 세척된 감은 살균세척을 위해 오존수로 2차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오존수는 산소를 전기방전, 플라즈마, 화학분해, 자외선을 이용한 산소분해 등의 방법으로 생성된 오존(O3)이 용해된 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속에 용존된 오존의 농도가 1ppm인 오존수를 이용한다. 상기의 오존수는 수돗물 살균에 사용하는 염소의 25배나 되는 살균력이 있어 일반세균 및 박테리아는 물론 곰팡이, 바이러스, 대장균 등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살균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물속에 있는 비브리오, 일반대장균, 살모넬라, O-157, 황색 포도상 구균 등의 병인성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오존수는 강력한 산화력으로 암모니아(NH3), 유화수소(H2S),메탄(CH4) 등을 비롯한 각종 악취물질을 산화 분해하고 강력한 살균력으로 세균과 바이러스 등을 살균한다.
상기와 같이 감을 오존수로 세척함으로써 감의 표면에 발생한 상처 등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각종 세균 및 인체에 해로운 농약이나 각종 유기 화합물을 제거한다. 또한, 오존수로 세척된 감은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세척작업은 연시(軟枾)를 이용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세척된 감은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하여 과육만을 분리해낸다. 분리된 과육은 선택적으로 세절공정을 거칠 수 있다. 즉, 과육이 단단한 단감은 슬라이스 형태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육이 무른 연시는 세절공정이 생략된다.
2. 착즙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한 과육은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한다. 착즙기로 다양한 공지의 착즙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3. 효소반응
착즙단계에서 수득된 착즙액에 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준비한 다음, 혼합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혼합액 중의 당을 분해시킨다. 일 예로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내지 120중량부을 혼합한 혼합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킨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당 분해효소로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 속 곰팡이로부터 생산된 효소를 이용한다. 효소로 펑가밀(Fungamyl),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ucosidase), 비스코자임(Viscozyme), 스페자임(Spezym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는 단독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혼합액에 펑가밀(Fungamyl),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ucosidase),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첨가하여 55 내지 6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효소반응시킨다. 이때 착즙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펑가밀 1 내지 3중량부, 아밀로글루코시다제 1 내지 3중량부, 비스코자임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한다. 1차 효소반응이 끝난 후 스페자임(Spezyme)을 더 첨가하고 70 내지 75℃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2차 효소반응시킨다. 이때 착즙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스페자임 0.8 내지 1.4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와 같은 효소반응단계에서 당 분해효소에 의해 감의 다당류가 가수분해되어 체내 흡수가 용이한 생리활성물질로 전환된다.
4. 여액추출
상기 효소반응단계에서 수득된 효소반응액에 주정을 가한 후 여과해서 여액을 수득한다.
효소반응액에 주정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용성분을 추출함과 동시에 효소반응액 중의 가용성 탄닌(Tannin)을 불용화시킨다. 이때 불용화시키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약 90℃로 가열한 상태에서 30분 동안 130 내지 170rpm으로 교반한다. 주정으로 곡주를 이용할 수 있다. 곡주는 누룩과 곡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로서, 곡주의 원료인 곡물은 쌀, 조, 수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40 내지 60도의 알코올 함량 곡주를 이용한다. 곡주를 이용함으로써 주정에 의해 탄닌을 불용화시키고, 곡주에 함유된 곡물의 각종 유용성분을 감 농축액에 함유시킬 수 있다.
주정을 첨가하고 교반한 효소반응액은 가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다음 300mesh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고형물을 제거한 여액은 50.0 내지 65.0 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한다. 농축과정에서 주정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농축액을 제조함으로써 감의 저장 중 흑변과 연화작용으로 인한 품질 열화의 문제를 극복하고, 저장비용 감소, 운반 및 저장성 편리, 다양한 가공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감 농축액은 동결건조, 진공건조, 저온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에서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동결건조(freeze drying, FD)의 일 예로, -40℃ 이하의 온도에서 12~13시간 감 농축액을 급속동결시킨 다음, 0.5torr 이하의 진공도를 가진 동결건조기에서 단계적으로 30 내지 40℃로 저온의 열을 가하여 약 20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동결된 상태에서 승화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건조된 제품은 가벼운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모양과 크기도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휘발성 향기 성분의 손실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저온에서 처리되고 액상의 수분이 존재하지 않으며, 승화가 일어나는 부분에서는 완전히 수화된 상태에서 거의 탈수된 상태로 급속히 전이되므로 일반건조에서 일어나는 가용성 성분의 이동, 비효소적 갈변, 단백질의 변성 등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5. 음료의 제조
상기 감 농축액을 이용한 감 음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감음료는 종래의 감 음료보다 부드럽고 상큼한 혼합음료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상기 감 농축액에 탈지분유와 구연산을 첨가한다. 탈지분유는 음료에서 부드러운 맛을 내고, 구연산은 음료에서 상큼한 맛을 낸다. 이와 함께 탈지분유의 단백질을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대두다당류를 첨가하고,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해 음료제품의 성상 안정성을 높인다.
감 음료는 감 농축액 2.0 내지 11.00중량%, 탈지분유 0.7 내지 1.0중량%, 구연산 0.10 내지 0.20중량%, 구연산나트륨 0.02 내지 0.05중량%, 대두다당류 0.10 내지 0.20중량%,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0.003 내지 0.007중량%, 백설탕 4.0 내지 10.0중량%, 천연색소 0.02 내지 0.05중량%, 정제수 80.0 내지 87.0중량%를 함유한다.
감음료의 제조방법으로 먼저, 정제수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백설탕, 대두다당류를 용해시킨 다음 탈지분유를 첨가하고 용해시킨다. 그리고 감 농축액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구연산나트륨, 구연산을 혼합한 후 천연색소를 첨가한다.
각 재료들을 혼합한 후 고형물의 제거를 위해 여과한 후 균질화시킨다. 균질화된 음료를 95~105℃에서 30~60초간 1차 살균한 다음 포장용기에 충전한 후 냉각시킨다. 포장용기로 유통과정에서의 간편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파우치(pouch), 스파우트 파우치(spout pouch), PE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용기에 음료를 충전한 후에 2차 살균을 수행하고 30~40℃에서 냉각함으로써 감 농축액을 함유한 음료수를 제조한다.
상기 재료들 이외에도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가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될 수 있다.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수크랄로스,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감 농축액은 상술한 음료 이외에도 당류가공품, 쨈, 빙과, 사탕 등 가공식품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착즙단계 후 숙성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숙성단계에 의해 감의 떫은 맛을 감소시키고, 유용한 발효 대사산물을 얻을 수 있다.
숙성단계는 착즙액에 배지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KCTC6292) 균주, 견운모를 혼합한 다음 30℃에서 120rpm으로 교반하여 10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킨다. 가령,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배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균주 3 내지 7중량부를 접종한다. 배지는 증류수 1L에 감자전분 4g, 덱스트로우스 20g을 혼합한 Potato Dextrose Broth를 이용할 수 있다.
견운모(sericite)는 단사정계(單斜晶系)족에 속하는 운모류 광물질의 한 종류로서, 화학성분은 칼륨원자를 정점으로 하여 이를 받치는 산소원자와 이를 기저로 한 Al, Si원자 및 여타 금속과 수소등의 원자가 결합되어 극히 안정된 백운모(MICA, Muscovite)의 결정구조를 이루고, 이 기본 결정구조에서 산소 및 칼륨 원자가 불규칙 치환되어 생긴 불특정 결정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견운모의 주성분은 SiO2 54.20중량%, Al2O3 26.70중량%, Fe2O3 1.03중량%, CaO 1.10중량%, MgO 1.66중량%, K2O 1.57중량%, Na2O 9.44중량%이다.
이러한 견운모는 계면활성이 가장 높은 광물질로서, 독성을 해독시키는 역할을 하면 농약 성분의 해독과 중금속 배출 및 각종 중화제로 알려져 있고, 일반 독성물질을 중화시키는 제균 제독력이 가장 높은 광물이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탈취하는 강력한 탈취작용을 하는 데, 베럴리움이라는 원적원선과 음이온을 방출케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견운모는 채광하여 수비, 입도 분리 등의 단순 공정을 거친 다음 볼 형상으로 성형한 후 800 내지 90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가열하여 볼 형상으로 만들어 이용한다. 상기 견운모는 발효시 발생할 수 있는 잡균에 의한 오염방지 및 이상발효로 인해 생성될 수 있는 물질 등의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숙성단계를 거친 착즙액은 가열처리한 후 고형물을 여과한다. 이후 여과된 착즙액에 물을 혼합하고, 당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당을 분해하는 효소반응단계 및 추출단계, 농축단계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전북 정읍에서 구입한 단감을 선별 후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한 다음 착즙기를 이용해 과육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준비하였다.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10중량부와, Novozymes(덴마크)사에서 구입한 펑가밀(Fungamyl),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ucosidase), 비스코자임(Viscozyme)을 각각 2중량부를 첨가한 후 57℃에서 2시간 동안 1차 효소반응시켰다. 그리고 착즙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Genencor Inc(덴마크)에서 구입한 스페자임(Spezyme) 1.1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72℃에서 30분 동안 2차 효소반응시켰다.
다음으로 효소반응액에 착즙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탄올 3중량부를 첨가하여 약 90℃에서 30분간 150rpm으로 교반한 후 가열처리하고 300mesh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은 55.0Brix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기(BUCHI, BUCHI Rotary Evaporayor,스위스)를 이용하여 60℃의 저온에서 감압농축하여 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 예에서 수득한 착즙액을 300mesh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55.0Brix가 될 때까지 60℃의 저온에서 감압농축하여 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 예의 감 농축액을 상대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로 훈련된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1회에 2가지의 시료를 제시하고 10회에 걸쳐 시료의 반복횟수는 3번으로 하여 시료의 향, 색, 맛, 종합적 기호도를 다음과 같은 9점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결과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ANOVA test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시료 간의 유의성은 5% 수준에서 최소 유의 차 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으로 조사하였다.
이상의 감 농축액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종합적기호도
실시예 8.36 7.72 8.60 8.15
비교예 8.31 7.64 6.85 7.4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실시 예와 비교예와 비교시 향 및 색상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맛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 예의 감 농축액은 가용성 탄닌의 함량이 낮아 떫은 맛이 크게 감소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의 보관시 연화작용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관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음료의 기호도를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감의 꼭지 및 껍질, 씨를 제거한 과육을 착즙하여 착즙액을 준비하는 착즙단계와;
    상기 착즙액에 물을 혼합한 혼합액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액 중의 당을 분해하는 효소반응단계와;
    상기 혼합액과 상기 당 분해효소를 반응시킨 효소반응액에 주정을 가해 가열한 후 여과해서 여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여액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단계는 상기 혼합액에 펑가밀(Fungamyl),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ucosidase),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첨가하여 55 내지 6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효소반응시킨 다음 스페자임(Spezyme)을 첨가하고 70 내지 75℃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2차 효소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단계 후 상기 착즙액에 배지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 균주, 견운모를 혼합한 다음 30℃에서 120rpm으로 교반하여 10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00078319A 2010-08-13 2010-08-13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KR10119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19A KR101198713B1 (ko) 2010-08-13 2010-08-13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19A KR101198713B1 (ko) 2010-08-13 2010-08-13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12A KR20120021712A (ko) 2012-03-09
KR101198713B1 true KR101198713B1 (ko) 2012-11-06

Family

ID=4612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319A KR101198713B1 (ko) 2010-08-13 2010-08-13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136A (ko) * 2018-05-03 2019-11-13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대봉감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5722A (zh) * 2013-08-07 2013-10-23 黄馨莹 一种柿子糖水及其制备方法
KR101704908B1 (ko) * 2015-06-15 2017-02-09 (주)두레방식품 식혜용 엿기름 티백의 제조방법
KR102126604B1 (ko) * 2016-10-28 2020-06-24 (주)두레방식품 식혜용 엿기름 티백의 제조방법
KR102269917B1 (ko) * 2020-12-21 2021-06-28 경상남도 단감잎차 및 단감 착즙액을 포함하는 2차 발효에 의한 감잎 발효음료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02B1 (ko) * 2007-08-02 2009-02-06 서강영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02B1 (ko) * 2007-08-02 2009-02-06 서강영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136A (ko) * 2018-05-03 2019-11-13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대봉감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3723B1 (ko) * 2018-05-03 2020-03-02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대봉감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12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304B1 (ko)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8713B1 (ko) 감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 음료
KR20160072382A (ko) 율피를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4008167A (ja) タマネギ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885684B1 (ko)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braham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pineapple processing and its by-product valorization in India
JP2000032909A (ja) 微生物由来の腸内環境改善による消化吸収向上食品
KR20170120760A (ko) 사과즙의 제조방법
KR0145505B1 (ko) 무우를 주재로 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825482B1 (ko) 수박주스의 제조방법
KR102339451B1 (ko) 과채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137B1 (ko) 홍시생강 퓨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시생강 퓨레
CN102907490A (zh) 一种纯天然绿色草莓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17093A (ko) 노니 착즙 주스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니 착즙 주스
CN106119061A (zh) 柑橘醋的制备方法
KR20170052885A (ko) 올리고당을 이용한 저당도 딸기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딸기잼
KR101662798B1 (ko) 밤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밤 가공 식품
KR20160109347A (ko) 사과페퍼민트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2629B1 (ko) 풋귤(청귤)을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풋귤(청귤)잼
KR20190082038A (ko) 비가열 파인애플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비가열 파인애플 발효식초가 함유된 음료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비가열 파인애플 발효식초
KR100913292B1 (ko) 초란과 생강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초란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2668366B1 (ko) 스테비아가 혼합된 과일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705B1 (ko) 홍도라지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438592B1 (ko) 과일퓨레의 제조방법
KR101287065B1 (ko) 위생성 및 소화성이 향상된 함초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