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08B1 -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108B1
KR101198108B1 KR1020097017430A KR20097017430A KR101198108B1 KR 101198108 B1 KR101198108 B1 KR 101198108B1 KR 1020097017430 A KR1020097017430 A KR 1020097017430A KR 20097017430 A KR20097017430 A KR 20097017430A KR 101198108 B1 KR101198108 B1 KR 10119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egassing
soymilk
filth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863A (ko
Inventor
토이치로 타카이
토루 아와즈
토시오 히라타
Original Assignee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0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1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짜기 공정이 기포로 흘러 넘칠 것 같은 사태를 방지하여 품질이 높은 두유를 제조함과 아울러 두유의 추출률을 높인다. 오액(go1)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H1, H2)와, 가열된 오액(go2)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장치(F)와, 탈기포된 오액(go3)을 두유(Tn1)와 비지(Tn2)와 잔재액(Tn3)으로 분리하는 짜기 장치(B)와, 분리된 잔재액(Tn3)을 상기 탈기포 장치(F) 앞이나 또는 가열 장치(H2(H1))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장치(F)에 다시 보내는 배관(u11, u12)을 구비하고, 상기 탈기포 장치(F)에 보내는 배관(u11, u12)과 상기 짜기 장치(B)의 분리된 잔재액(Tn3)을 취출하는 잔재액 출구(B3j)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 펌프(P4)로 잔재액(Tn3)을 다시 탈기포 장치(F)에 강제적으로 보낸다.
두유 제조 방법, 두유 제조 장치

Description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PROCESS FOR PRODUCING SOYMILK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OYMILK}
본 발명은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부나 유부 또 그들의 모액이 되는 두유는 대두를 원료로 한 영양가가 높은 전통적인 건강식품이다. 최근 자연식품으로서의 두부나 유부 또 그들의 모액이 되는 두유가 건강 지향이라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두유를 제조하려면 대두를 하룻밤 침지하여 충분히 흡수시킨 후, 물을 가하면서 마쇄하여 얻어진 "오액(吳液, soybean paste)"을 가열 장치에서 가열하고, 오액을 짜기 장치에서 두유와 비지로 분리한다. 두유의 분리시에 두유에 많은 미진(미세한 대두 섬유)이 혼입하면, 두부가 되는 경우에는 혀에 깔깔하거나 가루같이 느껴지거나 탄력이 없어지는 등 두부 본래의 풍미나 식감을 해치고, 유부가 되는 경우에는 생지의 신장을 방해하거나 껍질의 당겨짐이 나빠진다. 그 때문에, 종래 짜기 장치에서는 오액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여 두유에 미진이 혼입하지 않도록 자연 여과가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자연 여과의 경우에는 두유의 추출률이 낮아 원료의 낭비가 많다. 한편, 강제 여과의 경우에는 추출된 두유 에 미진이 혼입해 버려 풍미를 해친다는 문제를 가진다.
특허문헌 2에는, 두유에 거품이 남아 있으면 간수와의 반응이 나쁘고 응고 시간이 길어지며 고운 두부를 제조할 수 없는 점에서,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 장치에서 1차 탈포를 행하고, 가압 짜기 장치로 상기 오액을 짜서 두유와 비지로 나누고, 가압 짜기 장치로 짠 두유를 미진 제거기에 넣어 두유를 여과한 후, 여과된 두유를 진공솥에서 2차 탈포하는 손두부용 두유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39232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8-24280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2-306104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2003-24550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짜기 장치에는 여과하기 위한 망이나 짜내기 위한 스크류 등의 회전체가 배치되어 있어 짜기 장치로 짠 두유로부터는 대량의 기포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 두유를 미진 제거기(짜기 장치)에 넣어도 발생한 기포에 의해 미진 제거기(짜기 장치)의 망이 즉시 막혀 버려, 여과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자연 여과부와 같은 개방부에 거품이 축적되면 두유로부터 분리된 여과 잔사의 출구가 거품으로 막히고, 넘쳐 나온 거품과 함께 비지나 미진이 두유 경로에 흘러 들어, 본래 미진이 제거된 두유가 얻어져야 하나 비지나 미진을 많이 포함한 두유가 다음 공정으로 보내져 버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없었다. 이들의 대책으로서 소포제를 두유에 가하는 방법도 생각되는데, 소포제를 가함으로써 두유 본래의 맛이 손상되어 버릴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이라고는 할 수 없게 된다.
또 본원 출원인은 발포성이 높은 오액으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는 탈기포 장치를 특허문헌 3이나 4로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 3이나 4와 상기 짜기 장치(예를 들어 특허문헌 1)를 조합하여 사용했다고 해도, 상기 과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두유와 비지가 분리된 후에 남는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미진액」, 「미진을 포함하는 두유」나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두유」라고도 함)은 폐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짜기 공정이 기포로 흘러 넘치는 것 같은 사태를 방지하여, 품질이 높은 두유를 제조함과 아울러, 두유의 추출률을 높일 수 있는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두유 제조 방법은, 오액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공정과, 탈기포된 오액을 두유와 비지와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으로 분리하는 짜기 공정과, 분리된 잔재액을 되돌리는 잔재액 되돌림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된 잔재액을 상기 탈기포 공정 앞이나 또는 가열 공정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공정에 다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두유 제조 장치는, 오액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장치와, 탈기포된 오액을 두유와 비지와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으로 분리하는 짜기 장치와, 분리된 잔재액을 상기 탈기포 장치 앞이나 또는 가열 장치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장치에 다시 보내는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탈기포 장치에 보내는 배관과 상기 짜기 장치의 분리된 잔재액을 취출하는 잔재액 출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탈기포 공정 앞」은 가열 장치보다 탈기포 장치에 가까운 측을 의미하고, 「가열 장치 뒤」는 탈기포 장치보다 가열 장치에 가까운 측의 의미이며, 엄밀하게는 열의 영향을 받는 방법 등에 차이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오액의 가열」은 의도적인 가열 수단에 의해 오액을 승온시키는 것이며, 특히 그 온도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오액을 40℃~150℃의 임의의 온도까지 최종적으로 승온시키는 것을 가리키고, 승온의 과정에 있어서 온도를 올리고 내리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짜기 공정에서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을 탈기포 공정 앞이나 또는 가열 공정 뒤로 되돌려 탈기포 공정에 다시 보내므로, 종래 폐기되는 일이 많았던 잔재액으로부터 두유 성분을 취출하여 두유의 추출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잔재액의 온도는 저하되고 있는데, 가열된 오액과 섞이는 것으로 가열되고, 다시 탈기포 공정에 들어가 비등 및 발포, 냉각을 거쳐 오액의 기포가 부서져 액상화된다. 그리고 탈기포 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오액 중의 거품은 모두 소멸하고, 또 완전히 액상화되어 다음의 분리 공정으로 보내진다. 또 분리된 여과 잔사의 잔재액 출구에서의 거품도 전량 되돌려지므로, 종래 두유로부터 분리된 여과 잔사의 출구가 거품으로 막히는 것 같은 사태가 방지된다. 따라서, 거품과 함께 미진액이 두유 경로에 혼입하거나 하는 것도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짜기 공정(짜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잔재액을 상기 이송 펌프로 가열 공정(가열 장치) 앞으로 되돌리는 것이나, 연속식 가열(자비) 장치의 경우에는 그 가열 공정 도중에 분리된 잔재액이나 두유를 되돌리는 것도 생각된다. 또 상기 짜기 공정(짜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두유를 다시 상기 짜기 공정(짜기 장치)에 가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짜기 공정(짜기 장치)에 의해 분리된 두유는 대량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는 점에서, 다시 짜기 공정(짜기 장치)에 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가열 공정 앞이나 가열 공정 도중으로 되돌린 경우, 부분적이긴하지만 반복 가열되면 단백질이 변질하여 두유의 색이 암색으로 바뀌는 일이 생기거나, 장시간에 걸쳐 계속 가열하면 과도하게 가열된 것이 섞이는 것에 의한 품질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잔재액을 이송 펌프로 상기 탈기포 공정 앞이나 또는 가열 장치 뒤로 되돌려, 상기 가열 공정에서 가열된 오액을 교반 혼합하여 상기 탈기포 공정에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펌프로 강제적으로 되돌림으로써 잔재액 출구에서의 거품의 퇴적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된 오액과의 혼합의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탈기포 장치는 상기 교반 혼합된 잔재액과 오액을 감압하에서 비등시킴과 아울러, 비등한 액체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등시키는 것으로 탈기포 장치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거품은 거품의 내부가 수증기가 되고, 그 수증기는 냉각 수단으로 냉각되고 액상화(응축)되어 거품이 소멸한다. 또 냉각 수단이 없다고 하면 거품의 소멸에 시간이 걸려 장치 내부가 거품으로 흘러 넘칠 우려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짜기 공정에서 분리된 잔재액을 이송 펌프로 상기 탈기포 장치 앞이나 또는 가열 장치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공정에 다시 보내므로, 종래는 폐기될 수 밖에 없었던 잔재액으로부터 두유 성분을 취출하여, 두유의 추출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장치를 대규모인 것으로 하지 않아도, 상기 잔재액 되돌림 공정을 취함으로써 소형의 장치에서도 품질이 높은 두유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래 두부나 유부의 제조 원료로서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두유 제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은 저감되고 또 여분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 만큼 대두 본래의 풍미가 손상되는 일이 없어진다. 대두, 물, 응고제 이외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건강식품으로서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짜기 공정에 자연 여과부와 같은 개방부가 있어도, 거품이 축적하여 흘러 넘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율 저하가 없어진다. 또 거품과 함께 미진액이 두유 경로에 혼입되거나, 종래 흘러 넘치고 있던 여과 잔사의 출구에서의 거품도 되돌려지므로, 여과 잔사의 출구가 거품으로 막히는 것 같은 사태도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두유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유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유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유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유 제조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탈기포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두유 제조 장치(Z1)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두유 제조 장치는 오액 제조 공정(V1)과, 오액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V2)과,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공정(V3)과, 탈기포된 오액을 두유와 비지와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으로 분리하는 짜기 공정(V4)과, 분리된 잔재액을 되돌리는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을 구비한다.
오액 제조 공정(V1)은 대두가 침지 대두 호퍼로부터 마쇄 장치(M)에 일정량씩 보내져, 마쇄 장치(M)에 의해 생 오액이 제조된다. 마쇄 장치(M)는 원료 대두와 마쇄수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Mh)와, 원료 대두를 마쇄하는 그라인더부(Mg)로 구성된다. 제조된 오액은 공급 펌프(정량 펌프)(P1)에 의해 가열 공정(V2)으로 보내져 가열된다.
가열 공정(V2)은 제1 가열 장치(H1)와 제2 가열 장치(H2)가 연속하여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1과 제2 가열 장치(H1, H2)는 증기 송입 수단(Y1, Y2)에 의한 직접 증기 취입(J1, J2) 외에 간접 증기 가열, 즉 배관(파이프)(u3이나 u4)의 외주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가열시키는 것이나, 전기 히터, IH 가열, 마이크로파 가열, 통전 가열, 직화 가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가열 공정(V2)으로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연속 가열식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솥(Bt)을 연결시킨 것이나, 이들이 각각 단독 가열이어도 된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장치 뒤에 밸런스 탱크(BT)를 배치하고, 이 밸런스 탱크(BT) 뒤에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의 배관(u12)이 배관(u4)과 연결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밸런스 탱크(BT) 뒤에는 이송 펌프(Bp)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열 공정(V2)에서 가열된 오액은 배관(u3, u4, u5)을 통하여 탈기포 장치(F)에 보내진다. 이송 펌프(정량 펌프)(P1)로서는 로터리 펌프, 기어 펌프, 튜빙 펌프, 모노 펌프, 플런저 펌프, 베인 펌프 등 외에 증기 이젝터, 유압?수압?에어압 등에 의한 압입에 의한 방법이어도 된다.
탈기포 공정(V3)은 오액을 감압하에서 탈기포한다. 이 공정에서의 탈기포 장치(F)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 부분(Fa)의 하방에 소경 부분(Fb)이 설치된 금속제의 것으로, 대경 부분(Fa)의 하방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벽(a)과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벽(b)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이 이중 구조의 내벽(a)과 외벽(b) 사이에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냉각 수단(냉각 수단)(R1)이 설치되어 있다. 소경 부분(Fb)의 하방 선단에는 배관(파이프)(u6)이 설치되어 배출 펌프(P2)에 의해 배출된다. 탈기포 장치(F)는 그 장치 내를 진공으로 하는 진공 펌프(수봉식)(P3) 외에 공급 펌프(정량 펌프)(P1)에 의해 일정 유량 공급되는 오액(가열된 오액)을 내부에서 산포하는 산포 수단(fd)과, 제1 냉각 수단(R1)과, 액면 검출기(15) 등을 구 비하고 있다. 액면 검출기(15)는 액압이나 초음파식, 음차식, 플로트 등의 방법으로도 검출이 가능하다. 이 액면 검출기(1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기포 장치(F)의 대경 부분(Fa)의 상하 2개소에 설치되고, 이들 2개소의 차압을 차압 센서로 액위를 검출하는데, 소경 부분(Fb)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액면 검출기(15)로부터의 신호는 액위 지시 조절계(16)에 보내져 배출 펌프(P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진공 펌프(수봉식)(P3)에 의해 탈기포 장치(F) 내는 탈기(탈공기)되는데, 그 밖에 수류 이젝터나 에어 이젝터나 증기 이젝터, 루트식 진공 펌프, 메커니컬 부스터 펌프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진공 펌프(P3)의 경로에는 진공계(5), 진공 조정 밸브(6), 콘덴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탈기포 장치(F) 내의 증발한 수증기는 진공 펌프(수봉식)(P3)에 이르는 배기관(20)의 도중에 설치한 제2 냉각 수단인 콘덴서(R2)로 응축, 냉각시켜, 진공 펌프(P3)의 배기와 함께 계외로 배출하고 있다. 콘덴서 방식은 배기관(20)을 외측으로부터 냉각수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이중 구조(이중 관 방식)를 취하는데, 다관식, 코일식, 플레이트식 등 방식은 상관없다. 또한 탈기포 장치는 대경 부분(Fa)만이 관(罐)형상인 것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산포 수단(fd)은 오액을 탈기포 장치(F) 내에 공급할 때에 오액을 박막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오액이 공급되는 노즐의 선단에 플래시 원반(fd)이 부착되고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탈기포 장치(F)에 도입된 오액(또한 잔재액)은 플래시 원반(fd)에 의해 비산되면, 탈기포 장치(F)의 관벽(罐壁)(a)을 향해 비산되어, 내벽(a)을 타고 바닥부에 흘러내린다. 산포 수단(fd)으로서는 세공을 다수 가지는 스프레이 볼형, 박막상의 산포를 행하는 슬릿 형 등이나, 일반적인 산포용, 분무용, 탱크 세정용 등의 노즐이나, 오액이 자연히 산포되는 형상의 노즐만이어도 되고, 노즐이 회전하는 것 같은 것이어도 된다. 또 산포 수단(fd)은 회전하는 원판 상에 오액을 공급하여, 오액이 회전판의 원심력으로 주위에 비산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노즐로부터 분출시키는 방법이어도 된다.
제1 냉각 수단(R1)은 탈기포 장치(F)의 외벽에 부착되는 수류식의 것으로, 관형상의 탈기포 장치(F)의 대경 부분(Fa)의 대략 중앙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화살표(부호 W2로 도시함)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경로와 송출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즉, 하방측으로부터 들어와 이중 구조의 내부(내벽(a)과 외벽(b) 사이)를 돌아 상방으로부터 배출된다. 제1 냉각 수단(R1)은 냉각수 뿐만 아니라, 칠러수, 브라인(염화칼슘,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등의 부동액), 냉각 가스, 프론 가스 등 수단은 상관없다. 제1 냉각 수단(R1)은 탈기포 장치(F) 내의 액체(거품이 없는 액체)가 저류되는 위치(T3)보다 상방 위치(T2)가 바람직하다(도 6). 탈기포 장치(F)의 벽면(a)을 타고 흘러내리기 때문이다. 가열 공정(V2)에 의한 가열은, 예를 들어 탈기포 장치(F)의 상방에 가열 공정(V2)을 배열 설치함으로써 이송 수단(이송 펌프)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탈기포 장치(F)의 소경 부분(Fb)의 하방에는 배출구(Fj)가 설치되고, 이 배출구(Fj)에 배관(u6)이 연결되어 이송 펌프(P2)를 통하여 배출됨과 아울러, 짜기 공정(V4)의 1차 짜기 장치(B1)에 공급된다. 배출구(Fj)의 위치는 액체(오액)가 저류되는 위치이면, 관형상의 탈기포 장치(F)의 대경 부분(Fa)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배출 펌프(P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해도 된다.
짜기 공정(V4)에는, 짜기 장치(B)가 배치되고, 이 짜기 장치(B)는 1차 짜기 장치(B1)와 2차 짜기 장치(B2)로 이루어진다. 1차 짜기 장치(B1)는 탈기포된 오액(go3)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는 자연 여과에 의해 두유(Tn1)를 추출하는 것으로, 모터(M1)에 의해 회전하는 균등한 피치의 나선(S1)과, 나선(S1)의 외주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SUS망(N1)으로 이루어지고, 두유(Tn1)와 오액(죽상태의 오액)으로 분리하고, 상기 두유(Tn1)를 추출하여 두유 탱크(T1)에 보낸다. 한편, 2차 짜기 장치(B2)는 1차 짜기 장치(B1)에 의해 두유(Tn1)가 추출된 오액(죽상태의 오액)(go4)을 압축하면서 비지(Tn2)를 취출함과 아울러, 죽상태의 오액으로부터 잔재액(Tn3)을 분리한다. 2차 짜기 장치(B2)는 모터(M2)에 의해 회전하고, 오액의 진행 방향을 향해 서서히 피치가 좁아지는 나선(S2)과 나선(S2)의 외주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SUS망(N2)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에 되돌리기 위해서, 2차 짜기 장치(B2)의 출구(B3j)는 하방을 향해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방 선단에 배관(u11)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u11)의 근방 위치에는 이송 펌프(P4)가 접속되고, 이송 펌프(P4)의 출구는 제2 가열 장치(H2)의 출구의 배관(u4)(또는 배관(u5))과 접속하는 배관(u12)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u12)은 배관(u4)(또는 배관(u5))과 배관 커넥터(CN11)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짜기 공정(V4)에서 분리된 잔재액(미진액)(Tn3)은 이송 펌프(P4)로 탈기포 공정(V3)에 다시 보낼 수 있다. 또한 배관(u12)의 타방측에는 오액(go2)이 송액 펌프(P4)의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지 밸브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배관(u5)에는 정지형 믹서(K1)가 접속되고 보압 밸브를 통하여 탈기포 장치(F)로 연결되어 있다. 정지형 믹서(K1)는 내부에 동력원을 가지지 않는 혼합기이며, 가열된 오액(go2)과 잔재액(Tn3)이 정지형 믹서 내를 통과할 때에 분산?충돌?비틀기 등을 반복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정지형 믹서(K1)로부터 송액된 오액(go2)(또한 잔재액(Tn3))은 보압 밸브에 의해 그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탈기포 장치(F)에 보내진다.
그 다음에 두유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두유 제조에 앞서 진공 펌프(P3)에 의해 관형상 등의 탈기포 장치(F) 내의 기압을 감압한다. 기포가 발생하는 요인으로서는, 짜기 공정(V4)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경우, 배관(u3, u4, u5, u7, u12) 등에서의 이송 공정이나 자비(가열)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또한 상기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에 의해 잔재액을 되돌려, 가열된 오액과 혼합할 때 등에도 생긴다. 또 개방 상태에서 대두에 물을 가하면서 마쇄하면 가열 전 상태에서도 이미 오액에는 많은 거품이 포함되게 된다.
오액 제조 공정(V1)은 두부나 유부의 원료인 대두가 침지 대두 호퍼로부터 마쇄 장치(M)에 일정량씩 보내지고 마쇄 장치(M)에서 으깨지고 부서져 생 오액이 된다. 그 다음에 가열 공정(V2)에 공급된 오액은 배관(u3, u4) 내에 증기를 불어넣는 직접 가열 수단(Y1, Y2)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오액(go2)은 배관(u4, u5)을 통하여 탈기포 장치(F) 내에 공급된다. 또 배관(u4, u5) 사이는 배관 커넥터(CN11)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잔재액(Tn3)이 합류하여 탈기포 장치(F) 내에 공급된다. 여기서 합류하는 위치가 탈기포 장치(F)보다 가열 장치(H2(H1))에 가까운 측인 「가열 장치 뒤」에서는 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가열 장치(H2(H1))보다 탈기포 장치(F)에 가까운 측인 「탈기포 공정 앞」에서는 열의 영향을 그만큼 받지 않는다.
상기 커넥터(CN11)에서 합류한 잔재액(Tn3)과 가열된 오액(go2)은 정지형 믹서(K1)로 균일하게 교반 혼합되고, 이 때, 잔재액(Tn3)의 온도는 오액(go2)이 가지는 열에 의해 상승하므로 오액(go2)과 잔재액(Tn3)의 균일화를 행하면서 불균일하지 않고 신속하게 온도를 높일 수 있다.
탈기포 장치(F)에 보내진 오액은 산포 수단(fd)에 의해 관 내에 산포됨과 동시에 감압하에서 비등시키고, 비등과 동시에 발포한 오액을 탈기 장치(F)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할 때 응축시킨다. 탈기포 장치(F)의 관체 내부는 외부의 진공 펌프(P3)에 의해 감압되는데, 그 때의 진공도는 탈기포 장치(F)에 공급된 오액이 비등 상태를 나타낼 정도로 조정한다. 오액이 비등할 때에는 오액 중에 녹아 있던 공기는 계속 용존할 수 없어 기화하고, 물도 액체로부터 수증기로 변화할 때에는 급격히 체적이 팽창하기 때문에, 오액이 곱게 포함하고 있던 거품도 팽창하여 파열해 버린다. 그리고 일단은 오액으로부터 공기가 제거되지만, 관벽에 충돌할 때에 다시 거품이 일어 버린다. 특히 소포제 무첨가의 경우에는 매우 거품이 일기 쉽고, 두유 뿐만 아니라 비지나 미진액이 섞인 오액의 거품은 매우 강고하기 때문에 좀처럼 부서지지 않고 관체 내부에 점점 퇴적해간다. 장치(F)의 관체의 내부에서 생성된 거품을 형성하는 기체는 공기가 아니라 수증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탈기포 장치(F)는 플래시 원판(fd)으로부터 산포된 오액이 관체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 려 저류될 때까지의 경로의 도중의 관벽 부분에 냉각수(W2)에 의해 냉각된 냉각 수단(R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수단(R1)을 통과할 때에 거품 내부의 수증기는 응축되어 부서지고, 거품상태로 되어 있던 오액은 모두 액상화된다. 이와 같이 탈기포 장치(F)는 냉각 수단(R1)을 구비하여 가열된 오액을 냉각하면서 탈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기포 장치(F)가 냉각 수단(R1)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관 내에서 생성된 거품은 비지나 미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히 소멸하려면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동안에 전공정으로부터 차례차례로 오액이 공급되는 결과, 관 내는 거품으로 충만하여 진공 펌프(P3)측으로 흘러나와 로스가 된다. 또 오액이 충분히 액상화되지 않고 배출되기 때문에, 이송 펌프(P2)의 토출측에 보내지면 즉시 거품이 부서지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접속 배관(u7(u6))이 진동하여 조인트가 느슨해져, 기기가 고장나는 등의 장애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또 관 내에 있어서의 오액은 완전히 액상은 되지 않기 때문에, 액위 검출이 불가능해져 액위 제어도 실행할 수 없다. 또 거품이 관벽의 방열에 의해 자연 냉각되어 응축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용적을 가지는 관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탈기포 장치(F)를, 가열된 오액을 감압하에서 비등시킨 후 냉각하는 장치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액(go2)과 잔재액(Tn3)이 섞인 오액으로부터 발생하는 강력한 거품을 응축시켜 액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설비에서도 탈기포 장치(F)를 통과함으로써 오액 중의 거품은 모두 소멸하고, 또 완전히 액상화되어 짜기 공정(V4)(짜기 장치(B))에 보내진다.
여기서 탈기포 장치(F) 내에서는 기포는 대부분이 수증기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기포는 제1 냉각 수단(R1)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바로 부서져(한번에 부서져) 액상화한다. 기포를 포함한 액체(오액(go2)과 잔재액(Tn3)의 혼합)는 탈기포 장치(F) 내의 그 때의 진공도에 따른 물의 비점이 될 때까지 오액 중의 수분을 기화시킨다. 그 때, 다시 발생한 기포는 제1 냉각 수단(R1)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즉시 부서져 액상화한다. 바꾸어 말하면, 포화 증기압 이하로 감압된 탈기포 장치(F)에 들어간 순간 오액은 비등하는데, 그 때에 수분을 증발시켜(그 때 기화열을 빼앗겨), 진공도에 따른 비점까지 온도를 낮추기 때문에, 안에 들어온 것은 재비등하지 않고 그 상태에서 발포한 것 전량을 응축시켜 거품을 부수게 된다. 이 때문에 액면 검출기(15)에 의한 액면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액면 검출기(15)의 차압 센서에서의 액위 검출은, 하방의 검출부는 탈기포 장치(F) 내의 압력(정압에서도 부압에서도 또는 대기압에서도)에 액의 깊이만큼을 더한 압력을 검출하고, 상방의 검출부는 탈기포 장치(F) 내의 압력만을 검출하여, 액면이 상하의 검출부 사이에 있는 한 상하의 압력차를 판독함으로써 탈기포 장치(F) 내의 압력(예를 들어 진공도 등)이 변화해도 액의 깊이의 변화만을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따라서,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배출 펌프(배출 수단)(P2)의 토출량을 제어하면 액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출 펌프(배출 수단)(P2)에 의한 배출량(토출량)을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배출량은 일정하게 하고 공급량을 공급 펌프 등을 배치하여 제어하는 것으로도 액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액위가 정해진 위치로 정해짐으로써 흘러내리는 구간이 보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상으로 체류하는 높이(액위)는 희망하는 레벨로 제어될 수 있는 점에서, 흘러내리는 구간은 완전히 보증(결 정)할 수 있다. 그 구간을 오액의 박막의 안정 구간(도 6 중 부호 T1)이나, 냉각 구간(도 6 중 부호 T2)으로 하여 설정(설계) 가능하다.
탈기포 공정(V3)에서 액상화된 오액(go3)은 배출구(u6)로부터 이송 펌프(P2)에 의해 취출된다. 이송 펌프(P2)는 비점 가까이의 액을 배출하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온도가 낮아지는 쪽이 캐비테이션이 일어나기 어려워, 배출 펌프(P2)에 있어서 바람직한데, 오액은 냉각되어 있으므로 이송 펌프(P2)에 있어서 좋다. 또 오액이 거품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송 펌프(P2)에 대해서 충분히 압입압(액압)이 걸리고, 또 오액은 냉각됨으로써 배출 펌프(P2)에 유효한 NPSHav(유효 흡입 수두)도 커지므로, 액면(11c)의 유지 높이, 장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그 후에는 다음의 짜기 공정(V4)에 보내지는데, 이와 같은 후공정(V4)에 짜기 장치(B) 등이 있는 경우에도 일정량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짜기 장치(B)에 부하 변동을 주는 일이 없다. 또 부하 변동시의 최대 부하에 맞추어 장치를 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절감에도 효과가 있다.
짜기 공정(V4)에서는, 우선 1차 짜기 장치(B1)인 자연 여과기에 의해 탈기포된 오액(go3)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두유(Tn1)를 추출한다. 자연 여과기(B1)는 눈이 자잘한 망(N1)을 통형상으로 감아, 내부에 나선이 배치된 형상을 하고 있고, 회전하고 있는 원통망(N1)의 단으로부터 오액(go3)이 공급되면 두유(Tn1)는 중력으로 망(N1)을 통과하여 받침에 떨어지고 두유 출구(B1j)로부터 배출되어 두유 탱크(T1)에 보내진다. 한편, 망(N1)을 통과하지 않고 죽상태가 된 오액(go4)은 원통형상의 망(N1)의 회전과 나선 구조에 의해 공급측과는 반대의 단에 보내지 고 그 통과 경로로부터 2차 짜기 장치(B2)에 보내진다.
탈기포된 오액(go3) 전량을 자연 여과기(B1)에 공급하면, 입도가 거친 비지가 망(N1) 위에 실리고, 그것이 여과재가 되어 입도가 고운 미진도 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진이 직접 여과망(N1)에 접하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막히기 어려워진다. 또 후공정에 보내지는 두유(Tn1)의 대부분은 중력에 의한 자연 여과에 의해 얻어지고, 강한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이 변성하는 것 같은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두유(Tn1)는 탄력이 있는 좋은 두부를 만드는데 적합하고, 특히 유부(아부라아게)나 두부튀김(나마아게), 연두부튀김(기누나마아게) 등의 튀김색을 해치지 않으므로 튀김에는 최적인 두유를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두유(Tn1)가 분리되어 죽상태가 된 오액(go4)은 2차 짜기 장치(B2)에 보내지고, 거기서 탈수된 비지(Tn2)와 잔재액(미진액)(Tn3)으로 분리된다. 이 잔재액(Tn3)은 출구(B3j)로부터 배관(u11)에 모여, 이송 펌프(P4)에 의해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에 보내진다. 여기서 1차 짜기 장치(B1)에서는 오액(go3)은 회전하는 나선에 부딪쳐 거품이 발생하는데, 1차 짜기 장치(B1)에서 발생한 거품은 죽상태의 오액(go4)과 함께 2차 짜기 장치(B2)에 보내지고, 2차 짜기 장치(B2)에서는 가압하여 여과를 하기 때문에, 상기 거품은 그대로 미진액(Tn3)과 함께 여과 스크린(N2)을 통과했다고 해도, 잔재액 출구(B3j)에 모여 이송 펌프(P4)에 의해 배관(u12)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되돌려진다. 즉, 거품은 잔재액 출구(B3j)로부터 흡인되도록 배출되어 되돌려진다. 이 때문에, 종래 거품과 함께 미진액이 두유 경로에 혼입되거나, 분리된 여과 잔사의 거품으로 하부 탱크가 흘러넘치는 것 같은 사 태가 방지된다. 또한 이송 펌프(P4)는 로터리 펌프, 베인 펌프, 기어 펌프, 모노 펌프, 튜빙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아프램 펌프 등 자흡력을 가지는 용적식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잔재액(미진액)(Tn3)은 폐기하거나 짜기 장치 입구에 되돌려 순환시킴으로써 거품이 축적되어 넘쳐 나왔지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2차 짜기 장치(B2)로부터 회수된 거품이 섞인 미진액(Tn3)은 오액 탈기포 공정(V3) 앞이나 또는 가열 공정(V2) 뒤에 전량을 되돌린다. 탈기포 공정(V3)에는 가열 공정(V2)으로부터 가열 직후의 고온의 오액(go2)이 보내지므로, 1차, 2차의 여과 공정(짜기 공정)(V4)을 거쳐 온도가 저하된 미진액(Tn3)을 공급해도 고온의 오액(go2)과 혼합됨으로써 탈기포 효과가 얻어지는 온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 탈기포 장치(F)에 이를 때까지의 관로(u5)에 정지형 혼합부를 설치해도 되고, 동적인 교반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또 오액(go2)의 최종 자비 온도가 100℃를 넘는 경우에는 짜기 공정(V4)에 있어서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가열 공정(V2) 출구에 냉각관을 설치하여 오액(go2)의 온도가 100℃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미진액(Tn3)을 되돌림으로써 오액(go2)의 온도를 적온으로 낮추는 효과도 있어, 상기 냉각관의 냉각수의 사용량을 줄이는 결과도 된다.
이와 같이 거품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는 자연 여과기(B1)를 가지는 짜기 공정(V4)을 경유하여 순환하는 경로가 생기고, 그 경로 중에 탈기포 장치(F)라는 거품을 소멸시키는 요소가 더해짐으로써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품질이 높은, 즉 두유 본래의 풍미가 좋은 두유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짜기 장치(B)의 1차 짜기 장치(B1)에서의 작업에는 중력을 이용한 자연 여과기(B1)를 사용하고, 2차 짜기 장치(B2)에서의 작업에는 가압 여과기(B2)를 사용했지만, 이 이외의 조합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짜기 장치(B1)에서의 작업을 가압 여과 장치(Bv1)로 가압에 의한 여과를 행하여 비지와 미진을 많이 포함하는 두유로 분리하고, 이 두유로부터 미진을 제거하는 2차 짜기 장치(B2)에서의 작업에는 자연 여과 장치(Bv2)를 이용해도 된다. 자연 여과 장치(Bv2)에서는 두유를 출구(Tx)로부터 취출하고, 미진액을 출구(Ty)와 연결된 배관(u11, u12)과 이송 펌프(P4)에 의해 잔재액 되돌림 공정(V5)에 보내게 된다. 이 방식은 두유에 물리적인 강한 힘을 가해 버리기 때문에 두유 중의 대두 단백질이 변질하여 두부나 유부에 불리하기는 하지만, 비지에 잔류하는 두유량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두유 농도가 높아도 분리 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진을 포함한 두유를 자연 여과부(B1)에 공급하면 자연 여과부(B1)의 눈이 세세한 망에 미진이 박혀 막힘을 일으키기 쉽지만, 최초로 오액 전량을 자연 여과부(B1)에 공급하면 입도가 거친 비지가 망 상에 실리고, 그것이 여과재가 되어 입도가 고운 미진도 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진이 직접 여과망에 접하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막히기 어려워진다. 또 후공정에 보내지는 두유의 대부분은 중력에 의한 자연 여과에 의해 얻어지고, 강한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이 변성하는 것 같은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 여 얻어진 두유는 탄력이 있는 좋은 두부를 만드는데 적합하고, 특히 유부나 두부튀김, 연두부튀김 등의 튀김색을 해치지 않으므로 튀김에는 최적인 두유를 얻을 수 있다.
도 4의 형태의 자연 여과 장치 대신에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인 클래리파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래리파이어에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보울 내에 두유를 공급하여 원심력에 의해 두유 중의 미진을 침강시키고, 일정 간격으로 보울을 개폐함으로써 외주부에 모인 미진을 보울 외로 배출하는데, 통상은 수분 함량이 적어 유동성이 없는 것을 배출하여 세정수로 씻어 흘리거나, 또는 유동성이 있는 상태로 배출하여 그대로 폐기하기 때문에 배수 처리의 부하가 증가하거나 수율 저하를 일으키고 있었다. 또 소포제를 가하지 않고 제조한 두유는 발포성이 있기 때문에 미진을 포함하는 폐액은 거품을 많이 포함하여, 배수 경로에서 거품이 이는 것에 의한 오염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다.
그러나 클래리파이어로부터 유동성이 있는 채 배출되어, 배출시의 충격으로 거품이 인 미진액을 용적식 펌프(P4)에 의해 탈기포 공정(V3) 앞으로 되돌려, 탈기처리 후 1차 짜기 장치(B1)에서의 작업으로 거친 비지와 함께 배출시킴으로써 수율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 배수 부하를 늘리지 않으며, 또 배수 경로의 오염도 일으키지 않는다. 원심 침강에 기포의 함유는 장애가 되므로, 1차 짜기 장치(B1)에서의 작업으로 두유가 거품이 일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짜기 장치(B1)에서의 작업 후에도 두유용의 탈기포 장치를 설치하고 그 후 클래리파이어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대두를 12시간 정도 물에 담그고 원래 중량의 2.2~2.3배의 중량이 될 때까지 흡수시켜, 다카이세이사쿠쇼제의 연속 마쇄 자비 장치(미라클선더)에 공급한다. 미라클선더에서는 그 침지 대두를 매분 8.8kg와 물을 매분 14리터 가하면서 마쇄 장치(M)로 마쇄하여 생 오액(go1)을 얻어, 로터리 펌프(P1)로 가열 장치(H1, H2…)에 보낸다. 이 때, 소포제는 일절 첨가하지 않는다. 가열 장치는 6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H1…H6), 그 도중, 6개소에 증기 취입 수단(Y1, Y2…Y6)이 배치되고, 각각 순서대로 55℃, 75℃, 95℃, 100℃, 102℃, 105℃가 되도록 가열하며, 출구에 이르는 시간은 약 6분으로 했다. 가열을 끝낸 오액(go2)은 탈기포 장치(F)에 도입된다. 탈기포 장치(F)에 있어서 오액(go2)은 감압된 관체 내에 산포되는데, 이 관체 내부는 -0.0168MPa로 감압되어 있고, 관체에 도입된 오액(go2)은 비등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잠열이 빼앗기고, 온도를 낮춰 관벽에 도달하여 관벽(a)을 타고 흘러내린다. 여기서 -0.0168MPa는 물이 95℃에서 비등하는 진공도이며, 오액은 약 95℃까지 온도가 저하하게 된다. 관벽(a)에 도달할 때에 고운 기포를 포함하지만, 오액(go2)은 비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오액(go2)과 잔재액(Tn3)의 혼합), 두유와 같이 용이하게는 거품이 부서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 기포 내부에 포함되는 기체는 공기가 아니라 수증기이기 때문에 관벽을 흘러내릴 때에 관체 동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W2)로 냉각된 냉각 수단(R1)을 통과할 때에 거품상태의 오액은 냉각되고, 거품을 형성하고 있는 수증기는 응축하여 오액은 모두 액상화되어 버린다. 또 냉각 수단(R1)에서 오액은 냉각되기 때문에 탈기포 장치(F)로부터 송출되는 오액(go3)은 85℃~90℃에서 모두 액상화되고,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오액(go3)을 다카이세이사쿠쇼제 짜기 장치(시리우스)(B)의 자연 여과기(B1)에 직접 공급했다. 자연 여과기(B1)에서는 두유(Tn1)와 죽상태의 오액(go4)으로 분리된다. 오액(go4)은 하부 탈수기(B2)에 보내져, 스크류(S2)와 원통형상의 여과 스크린(N2)으로 가압 탈수되어, 비지(Tn2)는 전부(前部) 배출구(B2j)로부터 배출했다. 잔재액(Tn3)인 미진을 포함한 두유는 하부 탱크에 받아진다. 용적식 펌프(P4)로 탈기포 장치(F)에 배관(u12)을 경유하여 되돌려진다.
상기 되돌려진 미진을 포함한 두유(Tn3)는 가열 장치(H)로 가열된 오액(go2)과 합류되어 정지형 믹서(K1)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또한 잔재액(Tn3)의 양은 가열된 오액(go2)의 양의 1할 내지 2할 정도이다. 짜기 공정(V4)을 거친 미진이 섞인 두유(Tn3)는 65~75℃까지 온도가 저하되는데, 미진이 섞인 두유(Tn3)의 양에 대해서 가열 장치(H)로부터 보내지는 고온의 오액(go2)의 양은 많기 때문에, 교반 혼합 후의 오액의 온도는 액을 되돌리는 타이밍에도 따르긴 하지만 100℃ 전후이며, 탈기포 장치(F)에서 비등하기에 충분한 온도이다. 이상과 같이 미진을 포함하는 두유(Tn3)를 교반 혼합한 고온의 오액은 탈기포 장치(F)를 거쳐 짜기 장치(B)에 보내지고, 미진은 새로 공급된 오액에 포함되는 비지와 함께 배출되어, 이하, 마찬가지의 흐름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소포제를 일절 첨가하지 않고 생산을 계속해도 짜기 공정(V4)에서는 전혀 거품의 축적이나 거품에 기인하는 장애는 일어나지 않아, 장시간 안정된 생산을 계속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2차 짜기 장치(B2)의 배출구(B3j)로부터 배출된 미진액(Tn3)을 1차 짜기 장치(B1)에 되돌린 경우를 비교예 1로서 설명한다. 연속의 가열 장치와 탈기포 장치(F)를 거쳐 가열되고 탈기포된 오액(go3)을 얻을 때까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탈기포 장치(F)로부터 나온 오액(go3)은 다카이세이사쿠쇼제 짜기 장치(시리우스)(B)의 상부의 자연 여과기(B1)에 보내진다. 자연 여과기(B1)에서 두유(Tn1)와 죽상태의 오액(go4)으로 분리된 후, 오액(go4)은 하부의 탈수기(B2)에 보내져, 스크류(S2)와 원통형의 여과 스크린(N2)으로 가압 탈수되어, 비지(Tn2)는 배출구(B2j)로부터 배출되고 미진액(Tn3)은 하부 탱크에 저류된 후 배출구(B3j)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미진액(Tn3)은 펌프(P4)로 자연 여과기(B1)에 보내진다. 그러나 분리 개시로부터 서서히 하부 탱크에는 거품이 모이기 시작해 개시 약 15분 후에는 하부 탱크 내가 거품으로 가득해졌다. 또한 상부 자연 여과기(B1)에서는 거품이 장애가 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고, 분리된 두유(Tn1)의 배출량도 감소하여 개시 30분도 못되어 하부 탱크 내는 오액으로 흘러 넘쳐 운전 계속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실시예 2)
연속 가열 장치 및 탈기포 장치(F)를 거쳐 탈기포된 고온의 오액(go3)을 얻을 때까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탈기포 장치(F)로부터 나온 오액(go3)을 야나기야제 짜기 장치(트윈마이스터)의 짜기부에 직접 공급했다. 2개의 스크린 롤에 의해 오액은 비지와 두유로 나뉘어 두유 출구로부터 두유가 배출되었다. 그러나 두유 중에는 미진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두유를 다카이세이사쿠쇼제 미진 제거기(자연 여과 방식)의 회전하는 원통형상 망으로 이끌어 두유 중의 미진을 분리했다. 분리된 미진액은 원통 내에 배치된 나선에 의해 두유 입구와 반대의 방향으로 보내져 원통의 단으로부터 배출구(Ty)로 배출된다. 배출구(Ty) 하부는 용적식 펌프(P4)의 흡입구와 접속되며, 배출된 미진액은 용적식 펌프(P4)로 가열 장치의 출구, 즉 탈기포 장치(F)의 입구로 되돌렸다. 또한 잔재액(Tn3)의 양은 가열된 오액(go2)의 양의 1할 내지 2할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소포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운전해도 10시간 이상 어떠한 장애도 없이 생산할 수 있었다(도 4).
(비교예 2)
실시예 2의 분리된 미진액(잔재액)을 배출구 하부에 설치된 용적식 펌프(P4)에 의해 야나기야제 짜기 장치(트윈마이스터)의 오액 탱크(도시 생략)에 되돌려 보았다. 오액 탱크로부터 펌프로 보내진 오액은 상부의 짜기부에 공급되고, 2개의 스크린 롤에 의해 오액은 비지와 두유로 나뉘어 두유 출구로부터 두유가 배출되었지만, 두유 중에는 미진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두유를 다카이세이사쿠쇼제 미진 제거 장치(자연 여과 방식)의 회전하는 원통형상 망으로 이끌어 두유 중의 미진을 분리했다. 분리된 미진액은 원통 내에 배치된 나선에 의해 두유 입구와 반대의 방향으로 보내져 원통의 단으로부터 배출구로 배출되고, 배출구 하부에 설치된 용적식 펌프에 의해 트윈마이스터의 오액 탱크로 되돌렸다. 생산 개시 후로부터 오액 탱크 내에 거품이 모이기 시작해 약 15분에서 오액 탱크로부터 거품이 흘러넘쳤다. 생산 개시 후 약 20분에서 미진 제거기의 미진 출구가 거품으로 폐색하여, 흘러 넘친 미진액이 두유 경로 측에 흘러들어 생산 불능이 되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냉각 기구를 구비한 탈기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탈기포 장치(감압 장치)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경우, 감압 장치의 관 내에서 생성된 거품은 비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히 소멸하려면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동안에 전공정으로부터 차례차례 오액이 공급되는 결과, 관 내는 거품으로 충만하여 진공 발생 장치측(진공 펌프(P3)측)으로 흘러나와 로스가 되었다. 또 오액이 충분히 액상화되지 않고 배출되기 때문에, 펌프의 토출측에 보내지면 즉시 거품이 부서지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접속 배관이 진동하여 조인트가 느슨해지거나 기기가 고장나는 등의 장애도 발생했다. 또 관 내에 있어서의 오액이 완전히 액상은 되지 않기 때문에 액위 검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액위 제어도 실행할 수 없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인 가열 후의 고온의 오액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미가열의 생으로 짜기 공정에 대해서도 상온에서 비등하는 진공도나 상응하는 진공 발생 기구, 냉각에 사용하는 냉매의 종류나 온도에 유의하는 것으로 응용은 가능하다. 즉 상온에서 마쇄하고 즉시 분리하여 두유를 얻는 방식의 경우, 진공 발생부에는 루트형 진공 펌프나 메커니컬 부스터 펌프 등, 고진공을 얻는 것이 가능한 기기를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서술한 콘덴서(제2 냉각 수단) 대신에 콜드 트랩을 사용하며, 상기 서술한 제1 냉각 수단에서의 냉각도 브라인 외의 냉매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상온은 의도적인 가열 수단을 수반하지 않아도 얻어지는 온도 범위이며, 특히 온도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 만, 통상 0℃ 이상 40℃ 이하의 임의의 온도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7)

  1. 오액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공정, 탈기포된 오액을 두유와 비지와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으로 분리하는 짜기 공정, 분리된 잔재액을 되돌리는 잔재액 되돌림 공정이 순서대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된 두유와 비지는 배출하고, 상기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만을 가열 공정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공정에 다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만을 이송 펌프로 가열 공정 뒤로 되돌려, 상기 가열 공정에서 가열된 오액을 교반 혼합하여 상기 탈기포 공정에 다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포 공정은 상기 교반 혼합된 잔재액과 오액을 감압하에서 비등시킴과 아울러, 비등한 액체를 냉각 수단으로 냉각하여 탈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방법.
  4. 오액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가열된 오액을 탈기포하는 탈기포 장치, 탈기포된 오액을 두유와 비지와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으로 분리하는 짜기 장치가 순서대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된 두유와 비지는 배출하고, 상기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만을 가열 장치 뒤로 되돌려 상기 탈기포 장치에 다시 보내는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탈기포 장치에 다시 보내는 배관과 상기 짜기 장치의 분리된 잔재액을 취출하는 잔재액 출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만을 상기 가열 장치 뒤로 되돌리는 이송 펌프를 상기 잔재액을 취출하는 잔재액 출구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펌프로 되돌려지는 상기 분리된 고운 비지를 포함하는 잔재액과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 오액을 교반 혼합하는 교반 수단을, 상기 이송 펌프로 되돌려지는 잔재액과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 오액의 합류 위치보다 상기 탈기포 장치측의 배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포 장치는 상기 교반 혼합된 잔재액과 오액을 감압하에서 비등시킴과 아울러, 비등한 액체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 장치.
KR1020097017430A 2007-02-23 2007-12-10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KR101198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3923 2007-02-23
JPJP-P-2007-043923 2007-02-23
PCT/JP2007/073751 WO2008102503A1 (ja) 2007-02-23 2007-12-10 豆乳製造方法及び豆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863A KR20090102863A (ko) 2009-09-30
KR101198108B1 true KR101198108B1 (ko) 2012-11-09

Family

ID=397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30A KR101198108B1 (ko) 2007-02-23 2007-12-10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6867B2 (ko)
JP (1) JP5038390B2 (ko)
KR (1) KR101198108B1 (ko)
WO (1) WO20081025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5437A (zh) * 2015-04-29 2016-12-0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豆浆机及制作豆腐脑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4617B2 (en) * 2009-09-30 2016-08-16 Jui-Tai Cheng Automatic bean curd maker
US20110072984A1 (en) * 2009-09-30 2011-03-31 Chen Cheng-Feng Automatic bean curd maker
US8132501B2 (en) * 2009-10-01 2012-03-13 Jui-Tai Cheng Complex high-density soybean grinder
KR101306771B1 (ko) * 2011-05-19 2013-09-10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두유 추출 방법
KR101258364B1 (ko) 2011-11-01 2013-04-30 씨제이제일제당 (주) 두유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유 탈기 방법
CN102669287B (zh) * 2012-02-06 2013-08-07 北京康得利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豆浆物理消泡装置
US9615595B2 (en) * 2013-03-05 2017-04-11 Mera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less homogenized soybean beverage production
CN105193256B (zh) * 2014-05-30 2018-05-0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
CN106264127B (zh) * 2015-06-05 2019-11-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豆浆机的粉碎组件及具有其的豆浆机
CN106308524A (zh) * 2015-06-26 2017-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豆浆机的预约控制方法、装置和豆浆机
JP6423768B2 (ja) * 2015-08-21 2018-11-14 井村屋グループ株式会社 高カロリー豆腐の製造方法
CN105193267B (zh) * 2015-11-07 2017-12-15 孟玲琳 一种精磨豆浆机
CN106419572A (zh) * 2016-11-29 2017-02-22 宁波夏纳电器有限公司 一种意式咖啡机
CN111134528B (zh) * 2018-11-06 2021-10-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控制方法、加热控制装置、存储介质及液体加热容器
JP2023032896A (ja) * 2021-08-27 2023-03-0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大豆類、穀物類又は種実類の搾汁方法、及び搾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494A (ja) 1997-04-30 1998-11-10 Takai Seisakusho:Kk スクリュウ式搾り装置
JP2002095433A (ja) 2000-09-22 2002-04-02 Takai Seisakusho:Kk 豆乳、豆腐またはその二次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2306104A (ja) 2001-02-09 2002-10-22 Takai Seisakusho:Kk 豆乳製造装置
JP2003245503A (ja) 2002-02-25 2003-09-02 Takai Seisakusho:Kk 脱気装置及びその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5878A (en) * 1946-08-27 1950-01-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Beverage cooling apparatus having a quick cooling reservoir
JPH08242801A (ja) 1995-03-07 1996-09-24 Yamaki Jozo Kk 手作り豆腐用豆乳の製造方法
JP3392322B2 (ja) 1997-07-01 2003-03-31 株式会社高井製作所 固液混合物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494A (ja) 1997-04-30 1998-11-10 Takai Seisakusho:Kk スクリュウ式搾り装置
JP2002095433A (ja) 2000-09-22 2002-04-02 Takai Seisakusho:Kk 豆乳、豆腐またはその二次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2306104A (ja) 2001-02-09 2002-10-22 Takai Seisakusho:Kk 豆乳製造装置
JP2003245503A (ja) 2002-02-25 2003-09-02 Takai Seisakusho:Kk 脱気装置及びその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5437A (zh) * 2015-04-29 2016-12-0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豆浆机及制作豆腐脑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3075A1 (en) 2010-12-23
JP5038390B2 (ja) 2012-10-03
WO2008102503A1 (ja) 2008-08-28
JPWO2008102503A1 (ja) 2010-05-27
US9756867B2 (en) 2017-09-12
KR20090102863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108B1 (ko)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JP4023752B2 (ja) 脱気装置及びその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JP3871575B2 (ja) 豆乳製造装置及び豆乳製造方法
JP4956601B2 (ja) ローラ式の固液分離装置
KR101611248B1 (ko) 포도즙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도즙제조방법
JPS60216880A (ja) スラリ−から氷を分離し洗浄するための装置
JP2006015206A (ja) 液中磨砕装置用付属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中磨砕装置、液中磨砕システム、液中磨砕方法
JP5747372B2 (ja) 油揚用の豆乳凝固熟成方法及び油揚用の豆乳凝固熟成装置
EP2895002B1 (en) Method, use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reversal or breaking of an oil-in-water emulsion food product by means of hydrodynamic cavitation
JP3978350B2 (ja) 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KR101611246B1 (ko) 칡즙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칡즙제조방법
CN106999872A (zh) 混合单元和混合方法
JP2011097891A (ja) ローラ式の固液分離装置
US36283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on of liquid bearing solids by freezing
US3512471A (en)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by evaporation from liquid mixtures
JP3171805B2 (ja) 充填豆腐の製造方法
KR101782829B1 (ko) 감압추출기를 이용한 알로에 엑기스 제조방법
KR101611247B1 (ko) 녹즙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즙제조방법
CN201131269Y (zh) 一种用于脱气机中的喷嘴
JP4383979B2 (ja) 豆腐の製造方法
KR102504935B1 (ko) 농산물 원액 프탈레이트 제거방법 및 제거시스템
CN214071699U (zh) 分离机用豆液排出机构
RU2232517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оевой пищевой основ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2272403A (ja) 連続加熱式煮沸装置
JP2013135664A (ja) 食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