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713B1 -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713B1
KR101197713B1 KR1020120035602A KR20120035602A KR101197713B1 KR 101197713 B1 KR101197713 B1 KR 101197713B1 KR 1020120035602 A KR1020120035602 A KR 1020120035602A KR 20120035602 A KR20120035602 A KR 20120035602A KR 101197713 B1 KR101197713 B1 KR 10119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part
cylinder
upper fix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홍
최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39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977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에스텍
Priority to KR102012003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는, 공사용 자재와 같은 소정의 물체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물체가 연결되는 바; 상기 바를 고정하여 상기 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상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의 위치를 변위할 수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를 고정하여 상기 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변위함에 따라서 상기 상부 고정부, 상기 바, 및 상기 바와 연결된 상기 물체의 위치가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지하철과 같은 대규모 공사,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조시, 단순한 작업의 반복만으로 자재 운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토목, 건축 기술 및 제조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왔다. 이에 따라서, 초고층 빌딩 건축, 지하철 공사와 같은 대규모의 작업 공정이 수많은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작업 공정에서는 대형 자재가 사용된다. 예컨대, 지하철 공사의 경우 도로, 노면과 같은 일반적인 공간 하부에 지하 통로가 위치하므로 상당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크고 튼튼한 골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골조를 이루는 자재를 지하로 운반하여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은 지하철 공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자재는 매우 대형이며 아울러 큰 중량을 가짐에 따라서, 이러한 자재를 운반하는 것은 쉽지 아니한 문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 1996-0490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재와 같은소정의 물체가 연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와, 상기 바를 그립할 수 있는 수개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변위할 수 있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바의 그립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한 상기 고정부의 변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상기 바의 변위 및 상기 바에 연결된 물체의 운반이 달성되는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는,
공사용 자재와 같은 소정의 물체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물체가 연결되는 바; 상기 바를 고정하여 상기 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상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의 위치를 변위할 수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를 고정하여 상기 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변위함에 따라서 상기 상부 고정부, 상기 바, 및 상기 바와 연결된 상기 물체의 위치가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상기 하부 고정부에 의한 상기 바의 위치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부 고정부의 위치를 변위함에 따라서, 상기 바 및 상기 바와 연결된 상기 물체의 위치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상기 바는 외주면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 및 상기 하부 고정부는 각각 상기 바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요철부가 체결될 수 있는 제2 요철부 및 제3 요철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압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상기 운반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상기 실린더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인장 지그; 및 상기 인장 지그 상에 놓이며 상기 하부 고정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는, 상기 실린더는상기 피스톤의 변위가 소정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바의 그립 및 고정, 상기 그립의 해제 또는 바의 위치 구속의 해제, 및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서 목적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작업의 반복만으로 목적 물체의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무거운 중량을 갖는 철골 부재와 같은 자재의 운반이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지하철 공사와 같은 지면 아래 부분의 공사를 진행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지면 아래에 위치한 소정의 물체를 이동시킬 때 용이한 컨트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 및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사용한 운반 공정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가로놓을 경우, "높이방향" 은 "좌우방향" 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하"는 좌우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 및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상부 고정부(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인장 지그(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은 받침대(60)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사용한 운반 공정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1)는, 바(bar)(L), 상부 고정부(10), 상부 지압판(20), 실린더(30), 인장 지그(40), 하부 고정부(50), 받침대(60), 및 하부 지압판(70)을 포함할 수 있다.
바(L)는 소정의 굵기 및 길이를 가지며, 금속 재질, 섬유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L)와 같이, 상기 바(L)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요철부(T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요철부(T1)를 통해 소정의 위치 또는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디비닥 바(Dywidag bar)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요철부(T1)는 소정의 나사 형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L)와 같이 상기 바(L)는 수개의 바(L)가 연결되어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바(L) 사이의 연결을 위해 소정의 커플링(coupling)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바(L)의 일 단부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체가 연결된다. 이때, 운반하고자 하는 물체와 바(L) 사이의 연결을 위해서 소정의 연결 부재가 바(L)의 일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고정부(10)는 상기 바(L)를 고정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10)는 상기 바(L)를 그립(grip)할 수 있는 부재로서 예컨대 소정의 집게, 요철부가 형성된 부재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부 고정부(10)는 단독으로 바(L)를 그립할 뿐 아니라 타 부재와 함께 맞물려서 바(L)를 그립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0)는 각각 홈이 형성된 수개의 몸체(11, 1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 12)가 결합되면 상기 홈은 상기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홀(1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13)의 내주면에 상기 디비닥 바(L)에 형성된 제1 요철부(T1)에 대응하는 제2 요철부(T2)가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요철부(T1) 및 제2 요철부(T2)를 통해 디비닥 바(L)와 상부 고정부(10)가 서로 나사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요철부(T1)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형태로 구성되며, 제2 요철부(T2)는 상기 제1 요철부(T1)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압판(20)은 상부 고정부(10)와 실린더(30)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지압판(20)은 실린더(30) 상에 놓이며 상부 고정부(10)를 지지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예컨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소정의 홀이 형성된 판형 부재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압판(20)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부 고정부(1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10)의 일부는 상기 홀에 삽입됨에 따라서 상부 고정부(10)와 바(L)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지압판(20) 하부에는 실린더(30)가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30)는 내부에 배치된 피스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2)은 소정의 역원(力源)의 인가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때, 길이방향이란 실린더(30)가 길게 연장된 방향을 지칭하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의 높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역원은 소정의 전원의 인가, 인력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30)는 소정의 유체의 유입 및 유체의 압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32)의 위치가 가변되는 유압 실린더(30)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는 소정의 비압축성 유체일 수 있다.
실린더(30)는 예컨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바(L)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중공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지압판(20) 및 상부 고정부(10)를 지지하며 상부 고정부(10) 및 상부 지압판(20)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임의의 형태를 갖는 임의의 수의 실린더(30)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아니한다.
실린더(30) 상에 상기 상부 지압판(20) 및 상기 상부 고정부(10)가 배치됨에 따라서, 실린더(30) 내의 피스톤(32)의 변위에 따라서 실린더(30) 상의 상부 지압판(20) 및 상부 고정부(10)가 변위될 수 있다. 즉, 실린더(30) 내의 피스톤(32)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 지압판(20) 및 상부 고정부(10)가 상승할 수 있고, 실린더(30) 내의 피스톤(32)이 하강하면 상기 상부 지압판(20) 및 상부 고정부(10)도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부(10)에 고정된 바(L) 또한 같이 변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장 지그(40)는 운반 장치(1)가 설치된 설치면(S)과 상기 실린더(30) 사이의 이격시키며, 내부에 개방된 공간을 가짐으로써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가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지그(40)는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받침 판(41, 42) 및 상기 받침 판(41, 42) 사이의 거리를 형성하며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수개의 받침 기둥(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 판(41, 42)의 내측에는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는 실린더(30)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실린더(30) 하부에 하부 고정부(50)와 받침대(6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인장 지그(40)가 실린더(30)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하부 고정부(50)는 상부 고정부(10)와 같이 바(L)를 단단히 그립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예컨대 소정의 그리퍼, 집게,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L)는 외주면에 제1 요철부(T1)가 형성된 디비닥 바로 구성되며 하부 고정부(50)는 상기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요철부(T1)와 맞물리는 제3 요철부(T3)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요철부(T1)이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형태로 구성되며, 제3 요철부(T3)는 상기 제1 요철부(T1)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받침대(60)는 상기 하부 고정부(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장 지그(40)의 하부 받침판 상에 배치된다. 받침대(60)는 예컨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홈이 형성된 수개의 몸체(61, 62)와, 상기 몸체(61, 62)를 관통하는 수개의 봉(64), 및 상기 봉(64)과 체결되어 상기 몸체(61, 62)를 서로 결합하도록 하는 고정 너트(6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몸체(61, 62)가 결합될 때 상기 홈은 상기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홀(63)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너트(65)를 상기 봉(64)에 연결하고 조임에 따라서 상기 몸체(61, 62)간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60)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부 고정부(10) 및 상부 지압판(20)의 경우와 같이, 받침대(60)에 형성된 홀에 상기 하부 고정부(5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구성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의 형태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는 바(L)와 연결되고 소정의 면 상에 지지됨으로써 바(L)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지압판(70)은 인장 지그(40)하부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지면 상에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이용한 물체의 운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홀이 형성된 설치면(S)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설치한다. 이때, 설치면(S)은 큰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보강 부재를 통해 보강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L)는 운반 장치(1)가 설치된 설치면(S)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L)의 하부에는 소정의 연결 부재(C)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부재(C)를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 물체(K)가 바(L)에 연결릴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장치(1)의 설치 후, 하부 고정부(50)를 통해 상기 바(L)를 고정한다. 따라서, 바(L)는 하부 고정부(5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서 바(L) 및 바(L)에 연결된 목적 물체(K)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0)를 제거한 후, 실린더(30) 내의 피스톤(32)을 상방향(P)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상부 고정부(10)가 제거됨에 따라서 바(L)와 피스톤(32) 사이에는 연결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바(L)는 하부 고정부(50)에 의해 고정되어 위치를 유지하면서 피스톤(32)만이 상방향(P)으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30)는 유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30)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30) 내에 소정의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32)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의 상승이 이루어진 후 상부 고정부(10)를 통해 상기 바(L)를 고정하고, 피스톤(32)을 하방향(Q)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하부 고정부(50)는 해제하여 제거하거나, 또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부(50)를 상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하부 고정부(50)가 받침대(60)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에 의해서 바(L)의 위치가 구속되는 것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스톤(32)에 의해 바(L)가 하방향(Q)으로 하강할 수 있다.
피스톤(32)이 하강함에 따라서 상부 고정부(10) 및 상부 지압판(20)이 하강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50) 및 받침대(60)에 의한 바(L)의 위치 고정이 해제되고, 상부 고정부(10)와 바(L) 사이의 연결이 유지된 상태로 피스톤(32)이 하강함에 따라서 상부 고정부(10)에 고정된 바(L) 또한 하방향(Q)으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바(L)에 연결된 목적 물체(K) 또한 하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의 하강이 완료되면 다시 하부 고정부(50)와 받침대(60)를 통해 바(L)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한 순서를 반복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L)의 하강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바(L)의 단부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의 상단부에 인접할 때, 상기 바(L)와 다른 바(L')를 소정의 커플링 부재(M)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후속 운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는 단순한 바(L)의 그립 및 고정, 상기 그립의 해제 또는 바(L)의 위치 구속의 해제, 및 실린더(30) 내의 피스톤(32)의 상승 및 하강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서 목적 물체(K)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L)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이용하여 소정의 목적 물체(K)를 하 방향으로 운반할 때, 하부 고정부(50)와 바(L) 고정 - 피스톤(32) 상승 - 상부 고정부(10)와 바(L) 고정 - 하부 고정부(50)와 바(L) 사이의 연결 해제 - 피스톤(32) 하강을 통한 바(L)의 하강 - 하부 고정부(50)와 바(L) 고정의 순서를 반복함에 따라서 목적 물체(K)의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작업의 반복만으로 목적 물체(K)의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컨대, 무거운 중량을 갖는 철골 부재와 같은 고중량 물체의 운반이 더욱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지하철 공사와 같은 지면 아래 부분의 공사를 진행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지면 아래에 위치한 소정의 물체를 이동시킬 때 용이한 콘트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예컨대 상부 고정부(10) 및 하부 고정부(50)가 일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바(L)가 상기 일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고정부(10) 및 하부 고정부(50)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실린더(30)를 관통하지 않게 구성되는 실시 형태 또한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체를 하강시키는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달리 조작하거나, 또는 운반 장치(1)와 운반하고자 하는 자재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서 자재의 운반 방향이 가변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1)를 설치한 후, 하부 고정부(50)를 해제하고 실린더(30)를 가동하여 상부 고정부(10) 및 상부 고정부(10)에 연결된 바(L)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하부 고정부(50)를 바(L)에 고정하고 상부 고정부(10)를 해제한 후 피스톤(32)을 원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바(L)에 연결된 자재를 상방향으로 운반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운반 장치 10: 상부 고정부
11, 12: 몸체 13: 홀
20: 상부 지압판 30: 실린더
32: 피스톤 40: 지그
41, 42: 받침 판 43: 받침 기둥
44: 홀 50: 하부 고정부
60: 받침대 61, 62: 몸체
63: 홀 64: 봉
65: 고정 너트 70: 하부 지압판
L : 바 T1: 제1 요철부
T2: 제2 요철부 T3: 제3 요철부

Claims (6)

  1. 공사용 자재와 같은 소정의 물체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1)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물체가 연결되는 바(L);
    상기 바(L)를 고정하여 상기 바(L)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상부 고정부(10);
    상기 상부 고정부(10)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10)의 위치를 변위할 수 있는 실린더(30);
    상기 실린더(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L)를 고정하여 상기 바(L)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30)는 피스톤(32)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32)이 변위함에 따라서 상기 상부 고정부(10), 상기 바(L), 및 상기 바(L)와 연결된 상기 물체의 위치가 변위되되,
    상기 하부 고정부(50)와 상기 바(L)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10)에 의한 상기 바(L)의 위치 유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2)이 변위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50)에 의한 상기 바(L)의 위치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10)와 상기 바(L)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2)이 상기 상부 고정부(10)의 위치를 변위함에 따라서 상기 바(L) 및 상기 바(L)와 연결된 상기 물체의 위치의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L)는 외주면에 제1 요철부(T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10) 및 상기 하부 고정부(50)는 각각 상기 바(L)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요철부(T1)가 체결될 수 있는 제2 요철부(T2) 및 제3 요철부(T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10)와 상기 실린더(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10)를 지지하는 상부 지압판(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장치(1)가 설치되는 설치면(S)과 상기 실린더(3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인장 지그(40); 및
    상기 인장 지그(40) 상에 놓이며 상기 하부 고정부(50)를 지지하는 받침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0)는,
    상기 피스톤(32)의 변위가 소정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유압 실린더(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KR1020120035602A 2012-04-05 2012-04-05 운반 장치 KR10119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02A KR101197713B1 (ko) 2012-04-05 2012-04-05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02A KR101197713B1 (ko) 2012-04-05 2012-04-05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713B1 true KR101197713B1 (ko) 2012-11-05

Family

ID=4756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602A KR101197713B1 (ko) 2012-04-05 2012-04-05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739B1 (ko) * 2016-02-22 2016-08-08 삼호쏘일텍(주) 하강 장치
KR101769617B1 (ko) * 2016-11-02 2017-08-30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탑다운 방식의 거푸집 하강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4588B1 (ko) * 2016-12-30 2017-11-07 이상진 탑다운 방식 거푸집 하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725B2 (ja) 2004-04-07 2009-07-08 三井ホーム株式会社 搬送用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725B2 (ja) 2004-04-07 2009-07-08 三井ホーム株式会社 搬送用金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739B1 (ko) * 2016-02-22 2016-08-08 삼호쏘일텍(주) 하강 장치
KR101769617B1 (ko) * 2016-11-02 2017-08-30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탑다운 방식의 거푸집 하강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4588B1 (ko) * 2016-12-30 2017-11-07 이상진 탑다운 방식 거푸집 하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287B1 (en) Pre-fabricated threaded bar assemblies
JP2010013866A (ja) 大梁ブロック吊上げ工法およびこれに利用されるジャッキアップステージ
KR101197713B1 (ko) 운반 장치
JP2012012835A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CN103822830A (zh) 一种岩石真三轴试验加载系统
KR101744437B1 (ko)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N202265778U (zh) 高精度预制梁定位结构
KR101564937B1 (ko)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JP5213381B2 (ja) 高炉用熱風炉の解体および構築工法
JP2012197657A (ja) 杭の圧入装置
CN205571798U (zh) 楼承板框架焊接工作台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KR101646739B1 (ko) 하강 장치
CN104372948A (zh) 一种电梯井升模架
JP2016180250A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0150035A (ja) 重量物昇降装置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2014059083A (ja) 熱交換器用吊上げ治具
JP2015129410A (ja) ソーラパネルの支柱構築用治具
CN102704691A (zh) 整束退锚器及采用此整束退锚器的退锚方法
CN105710582A (zh) 楼承板框架焊接工作台
KR101310013B1 (ko) 유압 잭을 이용한 가설 장치
CN105089271A (zh) 机械式预埋螺栓定位安装组件
JP6467202B2 (ja) 鉄塔の主柱材取替工法
JP7062357B2 (ja) 建物施工用治具及び建物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08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11

Effective date: 201705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041;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4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517

Effective date: 201708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500626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829

Effective date: 2018020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04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02

Effective date: 2018020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5010657;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180226

Effective date: 201806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640;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310

Effective date: 2018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