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37B1 -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37B1
KR101564937B1 KR1020140014324A KR20140014324A KR101564937B1 KR 101564937 B1 KR101564937 B1 KR 101564937B1 KR 1020140014324 A KR1020140014324 A KR 1020140014324A KR 20140014324 A KR20140014324 A KR 20140014324A KR 101564937 B1 KR101564937 B1 KR 10156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ight
supporting
elev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484A (ko
Inventor
박병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towing or transporting ships or for like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중량체 설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지지판 상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중량체가 안착되는 지지블록과 지지판의 하부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승강부가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 승강부가 상승하여 지지판을 들어올렸을 때 지주부와 지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승강부가 하강하여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지지판과 승강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Apparatus for installing heavy object and Method for installing heavy object}
본 발명은 선체 구조물과 같은 중량체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를 원하는 설치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 해상 시추시설 또는 정유시설 등과 같은 거대 구조물은 일체로 건조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서로 분리된 수 개의 블록형태로 나누어 제작된 후 서로 조립된다. 이 때 선 제작된 각각의 블록 구조물들은 그 자체로 톤(ton) 단위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가 된다.
이러한 블록 구조물과 같은 중량체들은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한 도크(Dock)나 야드(Yard)에서 각각 제조되며, 조립을 위해서는 조립위치 또는 설치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과 같은 대형크레인이 사용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0264호 등에는 이러한 대형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이송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의 블록 구조물이 아닌 특정 형태의 선체 구조물이나, 설치위치가 한정되어 있는 초 중량체 등의 경우에는 종래의 크레인 만으로는 정확한 위치에, 원활하기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물체를 하부에서 상부로 견인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의 구조상, 특정 높이에 위치한 건조물의 하단부로 접근하거나, 진입위치에 존재하는 장애물 등을 회피하여 설치위치까지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워, 중량체 설치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80264호, (2013.07.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량체를 원하는 설치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량체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량체를 원하는 설치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량체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중량체가 안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판을 들어올렸을 때, 상기 지주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여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승강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 및 상기 수평이동부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조절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부 상단에 상기 중량체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평이동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1 조절실린더, 및 상기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2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중량체를 안착시키는 (b) 단계;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터를 상기 승강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c) 단계;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판을 들어올리고 상기 지주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제1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d) 단계; 및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켜 상기 승강부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제2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를 서로 교대로 반복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면 사이에 받침부를 설치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중량체가 안착된 상기 지지프레임을 들어올려 상기 중량체의 설치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이동부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조절프레임의 상기 수직이동부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d) 단계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수직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중량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는 (g)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로 크레인 등이 접근하기 어려운 특정위치나 제한된 설치위치에 중량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초 중량체의 경우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으로, 역시 특정위치나 제한된 설치위치에 중량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초 중량체의 경우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선박 건조작업과 같은 거대 구조물의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량체 설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조절프레임의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이를 토대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량체 설치장치의 측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1)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 하부에서 승강부(310)로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1)을 들어올리는 트랜스포터(30), 승강부(310)가 지지판(11)을 들어올렸을 때 지지프레임(10)의 지주부(13)와 지면(도 2의 A 참조) 사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재(40), 및 승강부(310)가 하강하여 지지판(11)과 이격되었을 때 지지판(11)과 승강부(310)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장치(1)는 승강 가능한 트랜스포터(Transporter)(30)로 지지프레임(10)을 들어올리되, 트랜스포터(30)의 상승시에는 지지프레임(10)과 지면(A) 사이에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반대로 트랜스포터(30)의 하강시에는 일시적으로 이격되는 지지프레임(10)과 트랜스포터(30) 사이에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중량체를 소정의 설치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체 설치장치(1)는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프레임(20)을 이용하여, 중량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당한 높이에 위치하는 구조체의 하단부 또는 저면부와 같이 종래 크레인이 도달하기 어려운 설치위치에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접근하여 중량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중량체 설치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프레임(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11), 지지판(11) 위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중량체가 안착되는 지지블록(12), 지지판(11)의 하부로 지면(도 2의 A 참조)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판(11)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13)를 포함한다.
즉, 지지프레임(10)은 지지판(11)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는 지지블록(12)이 서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지주부(13)가 지지판(11)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A)에 대해 지지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11)과 지면(A)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지판(11) 하부에 트랜스포터(3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판(11)은 상부에 위치한 지지블록(12)이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넓은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블록(12)의 연결공간을 제공한다. 지지판(11)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강재가 적층되어 형성됨으로써 강성을 보강하고 중량체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2)은 하나 이상이 지지판(11) 상에 넓게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각종 연결부재를 활용하여 수평방향으로도 서로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10)의 지지력을 극대화하고 지지프레임(10)의 전체 높이를 중량체 설치가 용이한 높이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지블록(12)은 휨 강도가 커지도록 골재를 서로 교차 연결하여 블록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지주부(13)는 복수개가 각각 서로 다른 지점에서 지지판(11)의 하부로 지면(A)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지주부(13)는 지지판(11)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블록(12), 지지판(11) 및 중량체 전체의 하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분산시킬 수 있다. 지주부(13) 역시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나 구조는 큰 하중에 견디기 유리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주부(13)는 트랜스포터(3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지지판(11)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트랜스포터(30)는 상단부에 판상의 승강부(3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A)과 접하는 바퀴와 승강부(310) 사이에 승강부(310)를 구동하는 구동부(320)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트랜스포터(30)는 톤(ton) 단위의 중량체나 구조물 등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320)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320)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승강부(310) 전체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거나 다시 하강시켜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트랜스포터(3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원하는 위치로 운행할 수 있으며, 지주부(13)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11)의 하부로 이동한 후, 승강부(310)를 상승시켜 지지판(11)을 들어올리거나, 다시 승강부(310)를 하강시켜 상기 승강부(310)를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트랜스포터(30)는 중량체가 안착된 지지프레임(10) 전체를 들어올려 중량체가 설치되는 설치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각각 서로 다른 지점에 삽입된다. 즉, 제1 지지부재(40)는 트랜스포터(30)의 승강부(310)가 지지판(11)을 들어올렸을 때, 지지판(11)과 함께 상승하는 지주부(13)와 지면(A) 사이에 삽입되고, 제2 지지부재(50)는 제1 지지부재(40) 삽입 후 승강부(310)가 하강하여 지지판(11)과 이격되면, 지지판(11)과 승강부(310)의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승강부(310)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지주부(13)와 지면(A) 사이, 또는 승강부(310)와 지지판(11) 사이에 복수개가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10) 전체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상승되며, 지지프레임(10) 상단부에 안착된 중량체가 설치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를 이용한 중량체 이동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이와 다른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예를 들어, 고강도의 금속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스틸 서포트(Steel support)일 수 있으며, 지주부(13) 또는 지지판(11)의 일 측에 용접 등의 연결방식으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또는 수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절프레임(20)이 설치되어 중량체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은 조절프레임의 작동도이다.
도 2 및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조절프레임(20)은 각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상단부 특히,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블록(12)에 고정되는 지지부(21)와, 지지부(21) 상단에 다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22), 및 수평이동부(22)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2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와 수평이동부(22)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1 조절실린더(221)가 배치되고, 수평이동부(22)와 수직이동부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2 조절실린더(231)가 배치되어, 수평이동부(22)가 지지부(2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이동부(23)는 다시 수평이동부(2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실린더(221)는 지지부(21) 일 측에 형성된 돌출부(211)와 수평이동부(22)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조절실린더(231)는 수평이동부(22)와 수직이동부(23)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지지부(21) 및 수평이동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방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평이동부(22)는 제1 조절실린더(221)의 신축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수평이동부(22)가 이동하는 수평방향은 전술한 승강부(310)가 승강하는 방향(도 1 및 도 2의 화살표 참조)과 수직한 평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평면 상의 어떠한 방향이라도 될 수 있다. 즉, 지지부(21)가 이동하는 수평방향은 제1 조절실린더(221)의 배치상태에 따라 도 3 (a)의 좌우 방향(화살표 참조)뿐만 아니라 도면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직이동부(23)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다른 기둥형태의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입체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직이동부(23)의 상단에는 중량체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2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절실린더(231)는 이러한 안착부(232)의 직하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개재되고, 신축되어 안착부(232)에 안착된 중량체를 도 3 (b)의 상하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프레임(20)의 수평 또는 수직이동에 의한 위치 조절작용은 제1 조절실린더(221) 및 제2 조절실린더(231)의 신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를 이용한 지지프레임(10) 전체의 단계적인 상승에 비해 그 조절 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즉, 조절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0) 상단부에서 지지프레임(10)의 움직임과 별도로 움직여 중량체의 위치를 미세하게, 입체적으로 조절하고, 중량체(B)를 설치위치에 최종적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은 전술한 중량체 설치장치(1)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구성부에 관한 설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모두 전술한 중량체 설치장치(1)의 구성부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은 지지판(11), 지지블록, 지주부(1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와, 지지프레임(10) 상단부에 중량체(B)를 안착시키는 단계, 트랜스포터(30)를 승강부(310)가 지지프레임(10)의 지지판(11)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승강부(310)를 상승시켜 지지판(11)을 들어올리고 지지프레임(10)의 지주부(13)와 지면(A) 사이에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다시 승강부(310)를 하강시켜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승강부(310)와 지지판(11) 사이에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특히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는 단계를 서로 교대로 반복하여 수행하여, 복수개로 형성된 제1 지지부재(40)와 제2 지지부재(50) 각각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중량체(B)가 안착된 지지프레임(10) 전체를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중량체(B)를 설치위치까지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체(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상단부에 형성된 조절프레임(20)에 안착되고,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 또는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 조절프레임(20)을 조절하여 중량체(B)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중량체(B)를 최종적으로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중량체 설치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a)를 참조하면, 수평방향으로 지지판(11)을 배치하고, 지지판(11)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지지블록(12)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하며, 지지판(11) 하부에 지면(A) 향해 연장되도록 복수의 지주부(13)를 마련하여 지지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를 완료한다. 이 때, 지지판(11), 지지블록(12), 및 지주부(13)는 용접 등의 연결방식으로 접합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종류의 체결부재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지지프레임(10) 상단부에는 지지부(21), 지지부(21)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22), 수평이동부(22)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23)를 포함하는 조절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조절프레임(20)을 설치한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B)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중량체(B)는 지지프레임(10) 상단부 특히, 조절프레임(20)의 수직이동부(23) 상단에 안착되며, 종래의 크레인 등을 이용해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B)는 예를 들어, 선체 또는 해양 구조물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단순한 블록형상이 아닌 도시된 바와 같은 콘(Cone) 형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B)는 지면(A)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위치한 건조물의 하단부와 같은 특정 설치위치(도 7의 C 참조)에 접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바, 중량체(B) 상방에서 견인하는 종래의 크레인으로는 구조상 상기 건조물과 충돌되어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설치방법은 지지프레임(10)을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설치위치(C)의 하부로부터 접근하는 방법이므로, 이와 같은 장애 요인을 제거하여 중량체(B)를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설치위치(C)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트랜스포터(30)로 중량체(B)가 안착된 지지프레임(10)을 들어올려 중량체(B)의 설치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0) 및 조절프레임(20)은 별도의 장소에서 설치되어 중량체(B)를 안착한 후, 트랜스포터(30)를 이용하여 설치장소(전술한 설치위치의 하부가 될 수 있다)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10)를 상승시켜 지지판(11)을 들어올리고, 지주부(13)와 지면(A) 사이에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점선화살표 참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로써, 1차로 지지프레임(10) 전체의 높이가 상승한다. 이 때 구동부(320)는 일정길이로 신장할 수 있다.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10)를 하강시켜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승강부(310)와 지지판(11) 사이에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점선화살표 참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지지프레임(10) 전체는 제1 지지부재(40)에 의해 지지되어 전술한 1차 상승높이를 유지하고, 구동부(320)의 수축에 따라 승강부(310)만 하강하게 된다. 제2 지지부재(50)는 이와 같이 승강부(310)가 하강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10)의 2차 상승을 준비하게 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50)가 삽입된 상태로 승강부(310)가 재차 상승하면, 제2 지지부재(50)에 의해 지지된 지지프레임(10) 전체가 더 높이 2차 상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이 상승하면, 지주부(13)와 지면(A) 사이에 추가적으로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점선화살표 참조)하여 지지프레임(10)의 2차 상승높이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을 상승시킨 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10)를 다시 하강시켜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추가로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점선화살표 참조)하여 지지프레임(10)의 추가적인 상승을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는 단계를 교대로 반복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B)를 설치위치(C)까지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고, 각각의 위치에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도 7의 (a)는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를 5회 수행하고, 그 사이에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는 단계를 교대로 4회 수행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설정된 설치위치(C)의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지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2 지지부재(50)를 삽입하는 단계의 교대 및 반복 횟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로 적층된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의 개수 역시 이에 대응하여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어 지지프레임(10)의 최종 상승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을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중량체(B)를 설치위치(C)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프레임(20)의 수평이동부(22) 및 수직이동부(23)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중량체(B)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중량체(B)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단계는, 지지프레임(10)이 최종 상승하는 시점의 제1 지지부재(40)가 삽입된 직후, 또는 제2 지지부재(50)가 삽입된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0)의 상승이 종료한 후, 조절프레임(20) 상단에 안착된 중량체(B)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유기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체(B)와 설치위치(C) 사이의 남은 간격을 해소하고, 중량체(B)를 상기 설치위치(C)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중량체(B)의 설치면(콘 형상의 중량체 상면일 수 있다)을 설치위치(C)에 밀착시켜 추후 결합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의 상승이 종료하여 중량체(B)가 설치위치에 인접한 이후, 또는 조절프레임(20)의 미세 조정 단계를 거쳐 중량체(B)가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한 이후에, 지지판(11)과 지면(A) 사이에 받침부(60)를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0)이 최종 상승하는 시점의 제1 지지부재(40)가 삽입된 이후, 또는 제2 지지부재(50)가 삽입된 이후에 지지프레임(10)에 받침부(60)를 설치하여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받침부(6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A)과 접하는 지지면을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지지프레임(10) 일 측, 특히 지지판(11) 둘레에 복수개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60)를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0) 전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제1 지지부재(40), 및 제2 지지부재(50)는 해체하여 회수하고, 트랜스포터(30)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 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설치위치(C)에 중량체(B)를 위치시킨 후 중량체(B) 설치작업이 종료하기 전이라도, 트랜스포터(30) 및 제1 지지부재(40), 제2 지지부재(50)와, 또 다른 지지프레임(10)을 활용하여 두번째 또는 세번째 설치위치(C)에 또 다른 중량체(B)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중량체(B) 설치작업을 간결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중량체 설치장치 10: 지지프레임
11: 지지판 12: 지지블록
13: 지주부 20: 조절프레임
21: 지지부 22: 수평이동부
23: 수직이동부 30: 트랜스포터
40: 제1 지지부재 50: 제2 지지부재
60: 받침부 211: 돌출부
221: 제1 조절실린더 231: 제2 조절실린더
232: 안착부 310: 승강부
320: 구동부
A: 지면 B: 중량체
C: 설치위치

Claims (9)

  1.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며 상단부에 중량체가 안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 및 상기 수평이동부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부 상단에 상기 중량체가 안착되는 조절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판을 들어올렸을 때, 상기 지주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여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승강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중량체 설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평이동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1 조절실린더, 및
    상기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신축되도록 배치되는 제2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장치.
  5.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중량체를 안착시키는 (b) 단계;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터를 상기 승강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c) 단계;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판을 들어올리고 상기 지주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제1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d) 단계; 및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켜 상기 승강부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제2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e)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이동부 상단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조절프레임의 상기 수직이동부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d) 단계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수직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중량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는 (g)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를 서로 교대로 반복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중량체 설치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면 사이에 받침부를 설치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중량체가 안착된 상기 지지프레임을 들어올려 상기 중량체의 설치장소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방법.
  9. 삭제
KR1020140014324A 2014-02-07 2014-02-07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KR10156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24A KR101564937B1 (ko) 2014-02-07 2014-02-07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24A KR101564937B1 (ko) 2014-02-07 2014-02-07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84A KR20150093484A (ko) 2015-08-18
KR101564937B1 true KR101564937B1 (ko) 2015-11-02

Family

ID=5405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324A KR101564937B1 (ko) 2014-02-07 2014-02-07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117A (ko) 2022-01-03 2023-07-1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대면적 및 고중량 구조물 이송을 위한 군집이동방식의 트랜스 포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001B1 (ko) * 2022-11-28 2024-01-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양중용 이중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KR102628253B1 (ko) * 2022-11-28 2024-01-2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태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KR102584877B1 (ko) * 2022-11-28 2023-10-0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하중 분산형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117A (ko) 2022-01-03 2023-07-1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대면적 및 고중량 구조물 이송을 위한 군집이동방식의 트랜스 포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84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937B1 (ko)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EP2681400B1 (en) A cantilev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935353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 building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KR102092727B1 (ko) 족장 해체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191860B1 (ko)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JP6917948B2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KR101554952B1 (ko) 모형시험 수조
KR102045022B1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1588848B1 (ko) 타워 받침용 스키드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KR102176757B1 (ko)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20060026332A (ko) 대형 구조물 이동 및 잭킹 장치
KR101310013B1 (ko) 유압 잭을 이용한 가설 장치
JP6849701B2 (ja) モジュール式支持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ービンアセンブリの据え付け方法
KR101487504B1 (ko) 선박 건조방법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KR102683589B1 (ko) 실내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 빔 시공 방법
JP2011168348A (ja) ジャッキ用反力発生装置
JP2017210721A (ja) 揚重装置
KR20140006150U (ko) 선박블록 지지장치
KR102679363B1 (ko) 냉각재 펌프 전동기 정비용 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