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50U - 선박블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50U
KR20140006150U KR2020130004290U KR20130004290U KR20140006150U KR 20140006150 U KR20140006150 U KR 20140006150U KR 2020130004290 U KR2020130004290 U KR 2020130004290U KR 20130004290 U KR20130004290 U KR 20130004290U KR 20140006150 U KR20140006150 U KR 201400061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wheel
receiving bracket
sl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150U/ko
Publication of KR20140006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하부받침부의 테두리 둘레에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로서, 상기 바퀴 구동부는 선박블록이 상부받침부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적재 하중에 의해 바퀴가 수용 브라켓 내에 장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공하중시에는 바퀴가 수용 브라켓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블록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of a block for ship building}
본 고안은 선박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 작동이 가능한 바퀴 구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밀거나 끌어서 작업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는 블록분할공법의 채택으로 여러 공장에서 고중량의 대형 블록들이 제작된 후, 도장(painting), 선행탑재(pre-erection), 탑재(erection)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각 공정 간의 상기 대형블록의 이동시에는 대차나 기중기를 이용하게 되며, 각 공정에서는 상기 대형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는, 단순 지지대(simple pipe support)나 문형 지지대(trestle or A-carrier)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단순 지지대는, 상기 블록을 제작 후, 상기 블록 하부의 잉여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기중기로 상기 블록을 인양 후 상기 블록을 거치하거나, 대차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이동시 상기 블록 하부에 상기 대차가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순 지지대는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지지대를 지게차나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킨 후, 상기 블록을 지지하도록 설치 해야 하는 것으로서, 지지대를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과 장비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8112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 작동이 가능한 바퀴 구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밀거나 끌어서 작업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하부받침부의 테두리 둘레에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로서, 상기 바퀴 구동부는 선박블록이 상부받침부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적재 하중에 의해 바퀴가 수용 브라켓 내에 장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공하중시에는 바퀴가 수용 브라켓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 구동부는 하부받침부의 테두리 둘레에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바퀴가 장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하는 수용 브라켓과, 상기 수용 브라켓의 슬라이드홈 내에 장입되어 수축 및 팽창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수용 브라켓의 슬라이드홈 내의 탄성부재 단부에 장입되어 수용브라켓의 슬라이드홈 내벽을 따라 승강 안내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에 구름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승강블록과 함께 승강 안내되는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 작동이 가능한 바퀴 구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밀거나 끌어서 작업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장비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110)와, 상기 서포트(110)의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하부받침부(120)와,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상부받침부(130) 및 상기 하부받침부(120)의 테두리 둘레에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이다.
상기 서포트(110)는 중량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으로서 원형 파이프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110)의 하부단과 상부단에는 각각 하부받침부(120) 및 상부받침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받침부(120) 및 상부받침부(130)는 각각 작업장 바닥과 선박블록(101)의 저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위로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넓은 판형으로 제작되며, 사각이나 원형의 판재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부(120)에는 선박블록 지지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퀴 구동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 구동부(14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선박블록(101)이 상부받침부(130)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적재 하중에 의해 바퀴(147)가 수용 브라켓(141) 내에 장입되어 선박블록 지지장치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선박블록(101)이 탑재되지 않은 공하중시에는 바퀴(147)가 수용 브라켓(141)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하부받침부(120)의 테두리 둘레에 설치되는데,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를 테두리 둘레에 등 간격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수용 브라켓(141)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 브라켓(141)은 중심부에 컵형상의 슬라이드홈을 형성하는데, 이 슬라이드홈 내에 바퀴(147)가 장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테두리는 하부받침부(120)의 테두리와 맞닿아 결합되는데,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의 가장 안쪽에는 탄성부재(143)가 장입되며, 이때 탄성부재(143)는 수축 및 팽창작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금속 또는 고무재를 이용한 스프링류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탄성부재(143) 대신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길이가 피스톤의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탄성부재(143)의 단부에는 승강블록(145)이 위치하여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내에 장입되어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내벽을 따라 승강 안내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145)에는 구름운동이 가능한 상태의 바퀴(147)가 결합된다. 상기 바퀴(147)는 승강블록(145)과 함께 승강 안내되는 것으로서,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cas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선박블록 지지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관중이던 선박블록 지지장치를 작업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선박블록 지지장치의 하부받침부(120)에는 복수 개의 바퀴 구동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선박블록 지지장치를 밀거나 끌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탄성부재(143)에 지지되는 바퀴(147)가 수용 브라켓(141) 내에 장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박블록(101) 등의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용 브라켓(141)의 외부로 바퀴(147)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3)는 탄성력은 선발블록 지지장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작업자가 선박블록 지지장치를 작업장소로 이동한 후에는 상부받침부(130) 위에 선박블록(101)이 올려져 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선박블록 지지장치는 동시에 여러 개가 설치되어 선박블록(101)을 지지하게 되는데, 선박블록(101)의 하중이 전해짐으로써, 탄성부재(143)가 압축되며, 바퀴(147)는 수용 브라켓(141) 내로 장입되고, 하부받침부(120)의 바닥면이 지면과 맞닿아 위치가 고정된다.
선박블록(101)은 지지장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조립 등의 작업이 진행되며, 작업후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해 이동하게 된다.
이후, 중량물이 제거된 선박블록 지지장치는 탄성부재(143)의 팽창작용에 의해 바퀴(147)가 돌출되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선박블록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 작동이 가능한 바퀴 구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밀거나 끌어서 작업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장비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 선박블록
110: 서포트
120: 하부받침부
130: 상부받침부
140: 바퀴 구동부
141: 수용 브라켓
143: 탄성부재
145; 승강블록
147: 바퀴

Claims (2)

  1.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110)와, 상기 서포트(110)의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하부받침부(120)와,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단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상부받침부(130) 및 상기 하부받침부(120)의 테두리 둘레에 등 간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로서,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선박블록(101)이 상부받침부(130)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적재 하중에 의해 바퀴(147)가 수용 브라켓(141) 내에 장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선박블록(101)이 탑재되지 않은 공하중시에는 바퀴(147)가 수용 브라켓(141)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구동부(140)는 하부받침부(120)의 테두리 둘레에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바퀴(147)가 장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하는 수용 브라켓(141)과, 상기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내에 장입되어 수축 및 팽창되는 탄성부재(143)와, 상기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내의 탄성부재(143) 단부에 장입되어 수용 브라켓(141)의 슬라이드홈 내벽을 따라 승강 안내되는 승강블록(145) 및, 상기 승강블록(145)에 구름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승강블록(145)과 함께 승강 안내되는 바퀴(1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장치.
KR2020130004290U 2013-05-29 2013-05-29 선박블록 지지장치 KR201400061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90U KR20140006150U (ko) 2013-05-29 2013-05-29 선박블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90U KR20140006150U (ko) 2013-05-29 2013-05-29 선박블록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50U true KR20140006150U (ko) 2014-12-09

Family

ID=524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90U KR20140006150U (ko) 2013-05-29 2013-05-29 선박블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1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37839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 갱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337839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 갱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88536U (zh) 移动可折叠式起重运输设备
KR100905861B1 (ko)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KR20140006150U (ko) 선박블록 지지장치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RU148441U1 (ru) Передвижная грузоподъёмная платформа
JP5914203B2 (ja)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JP5390553B2 (ja) 杭の圧入装置
CN103287989A (zh) 一种可多方位移动的龙门吊架
CN207108405U (zh) 移动式轻型顶升装置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JP5958764B2 (ja) 揚重装置、揚重方法および建物の解体方法
JP2019210109A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RU2016111128A (ru) Баш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105417397A (zh) 一种移动式起重吊装运输设备及方法
CN202429882U (zh) 移动式吊装架
CN104191220B (zh) 振动放矿机电机拆装系统及其拆装方法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JP5940404B2 (ja) 梁部材の架設方法
CN105271060A (zh) 液压起升机构
CN105178189A (zh) 钢箱梁挑臂安装作业平台
JP4727136B2 (ja) 架台への重量物収納又は取り出し方法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重量物据付冶具
CN203638976U (zh) 一种可多方位移动的龙门吊架
CN106672854A (zh) 一种货物搬运机自动卸货装置
KR20070077559A (ko) 자주식 중량물 수송장치
AU2016101598A4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 R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