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710B1 -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710B1
KR101197710B1 KR1020120082016A KR20120082016A KR101197710B1 KR 101197710 B1 KR101197710 B1 KR 101197710B1 KR 1020120082016 A KR1020120082016 A KR 1020120082016A KR 20120082016 A KR20120082016 A KR 20120082016A KR 101197710 B1 KR101197710 B1 KR 10119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ating
weight
resin
eco
m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규
Original Assignee
(주)한일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오닉스 filed Critical (주)한일오닉스
Priority to KR102012008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9Antislip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배합되어 단시간에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성이 발현되는 반응성 수지 중 속경화성, 내화학성, 저온경화성,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그 물성 자체의 고마찰 특성 외에 규사와 같은 논슬립입자를 혼합하는 경우 시공성이 우수하여 미끄럼방지 바닥재로의 활용성이 뛰어난 MMA(Methyl Meth Acrylate)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의 혼합물을 방수피복제 조성물로 활용하여 성형한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는 지면상에 형성된 방수피복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피복층은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ECO-FLOORING AND BUILD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배합되어 단시간에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성이 발현되는 반응성 수지 중 속경화성, 내화학성, 저온경화성,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그 물성 자체의 고마찰 특성 외에 규사와 같은 논슬립입자를 혼합하는 경우 시공성이 우수하여 미끄럼방지 바닥재로의 활용성이 뛰어난 MMA(Methyl Meth Acrylate)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의 혼합물을 방수제로 활용하여 성형한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조체, 특히 건물이나 도로, 즉 건물의 실내 바닥 코팅재나 그라우팅(grouting) 소재, 또는 도로의 포장재 또는 보수재로는 에폭시 수지(EP),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 우레탄 수지(PUR) 등의 반응성 수지가 활용되고 있다. 반응성 수지란 현장에서 배합되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성이 발현되는 수지를 의미하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 및 시공방법에 따라 높은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갖게 되어 각광받고 있다.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0316083호(등록일자 2001년11월16일) [미끄럼방지 도로의 시공방법]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접착제 조성물을 도로에 스프레이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도로 위에 미끄럼 방지용 골재를 도포한 후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미끄럼 방지용 골재를 도로상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 미끄럼 방지용 골재의 상부에는 고반사율의 유리 비드가 포함되어 있어서, 제조된 미끄럼 방지판 내의 유리비드가 빛에 의해 반사되어 눈에 잘 띄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603813호(등록일자 2006년07월14일)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트랙 및 이의 시공방법]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폴리우레탄 트랙은 수발포 공법으로 형성된 연질 폴리우레탄층, 비발포 형태의 반경질 폴리우레탄층, 표면 돌기형의 엠보싱 폴리우레탄층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강화한 탑코팅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특징을 제공한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0752050호(등록일자 2007년08월18일) [도로의 미끄럼 방지재]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습도에 내구성이 강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시공 후 빠른 시간 내에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으로, 습도에 강하여 빗물이나 눈에 의해 훼손될 염려를 줄여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 미끄럼 방지재를 제공할 수 있고, 자외선이나 황변현상 등에 의해 물성이 쉽게 변화지 않으며, 경화 시간이 신속하여 시공 후 빠른 차량 통행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129457호(등록일자 2012년03월16일) [강도, 신율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방법]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가사시간, 작업성, 강도, 신율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레진계 결합재 3?90중량%, 경화열을 감소시키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충전재 1?40중량% 및 골재 5?8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계 결합재는 레진계 결합재 100중량%에 대하여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4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30중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20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30중량%, 우레탄 아크릴 올리고머 0.1?15중량% 및 알릴 메틸크릴레이트 수지 0.1?15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성, 신율, 접착력,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조기강도 발현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교통 개방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레진 결합재를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표면의 방수 및 표면 경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갈수록 친환경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또 생활 주변에서 빈번히, 필연적으로 접촉하는 바닥재의 소재와 관련하여 완벽한 친환경성 및 인체 무해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성까지 증대할 수 있는 바닥재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현장에서 배합되어 단시간에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성이 발현되는 반응성 수지 중 속경화성, 내화학성, 저온경화성, 친환경성이 우수한 MMA(Methyl Meth Acrylate)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의 혼합물을 방수제로 활용하여 성형한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바닥재의 그 물성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고마찰 특성 외에 규사와 같은 논슬립입자를 추가 혼합하여 미끄럼방지 바닥재로의 활용성이 뛰어나며, 시공성까지 우수한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친환경 바닥재로 바닥을 시공한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구제체가 구내식당인 경우, 그 구내식당에 구비되는 새로운 식기 불림장치를 갖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는
지면상에 형성된 방수피복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피복층은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에서
상기 지면과 상기 방수피복층 사이에는 MMA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과, 이 프라이머층 상부에 MMA수지를 포함하는 충진보수층이 더 구비되어 있고,
미끄럼방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방수피복층에는 규사, 제강 슬러그, 보크사이크의 일부 또는 모두를 이용한 논슬립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지면상에 형성되고,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방수피복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를 구비한 구조체이되,
상기 구조체는
저면부의 배출부측이 높고 그 반대쪽 투입부측이 낮으며, 침전물 수거용 함몰공간부가 투입부측에 구비된 담금조와
상기 담금조의 식기 배출부 측에서 상향 경사 배열된 컨베이어벨트와, 이 컨베이어벨트를 움직이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담금조에 배열된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식기 불림장치를 포함하는 구내식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MMA(Methyl Meth Acrylate)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수지의 혼합물을 방수피복제 조성물로 활용하여 바닥을 성형하므로 현장에서 배합되어 단시간에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성이 발현되는 반응성 수지 중 속경화성, 내화학성, 저온경화성,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또 바닥재의 그 물성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고마찰 특성 외에 규사와 같은 논슬립입자를 추가 혼합하여 미끄럼방지 바닥재로의 활용성이 뛰어나며, 시공성까지 우수하며, 나아가 상기 친환경 바닥재로 바닥을 시공한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구제체가 구내식당인 경우, 그 구내식당에 구비되는 새로운 식기 불림장치를 갖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를 도로 보수용도로 활용되는 경우의 시공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를 미끄럼방지용 도로 피복제로 활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 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를 파손 도로 보수 용도로 활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 대용 사진.
도 4는 친환경 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구내식당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구내식당 구조체에 사용되는 식기 불림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F)는 도로 파손시 이의 보수용 바닥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옥외 도로나 옥내 건물 각 층 등의 지면에 형성되는 방수피복층은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MMA(Methyl Meth Acrylate)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중합물은 유리 모양이 단단하고 투명한 수지로 내후성이 뛰어나고 투명하고 광택이 좋다.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는 MMA(Methyl MethAcrylate) 모노머를 주원료로 하는 아크릴 수지로, MMA와 MA 또는 MMA와 EA 공중합체가 생산성이 우수하고,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바닥재로서 품질이 뛰어나다.
이러한 PMMA는 수지 중 가장 뛰어난 투과성(93%)(이로 인하여 안료 혼합을 통한 착색성 및 시공후의 색발현도와 시인성이 뛰어나게 됨)과 함께 내후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착색성 및 아름다운 외관으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내후성 우수(Resistance to weathering) 특성 외에, 표면 강도 우수 (High surface hardness), 내마모성 (Scratch resistance), 뛰어난 착색성 과 아름다운 외관, 좋은 내열성 (Heat resistance), 높은 강성률 (Rigidity), 내약품성 (Chemical resistance), 재활용 가능 (100% Recyclable) 특성을 갖는다.
특히 내후성과 관련하여 PMMA는 합성수지 가운데 내후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장시간 옥외에서 사용하여도 자외선이나 비, 바람등에 의한 열화가 적고 초기 물성을 잘 보존되며,
착생성과 관련해서는 성형시 열에 의한 변색 또는 안료를 파괴하는 물질 생성 거의 없다는 특징까지 갖고, 또 경량성(비중 1.19 (유리의 1/2))을 갖는 반면 강도는 무기유리에 필적하며,
무엇보다도 인체에 독성이 있는 물질 미함유하고 환경호르몬(다른 말로 '내분비 교란 물질 (Endocrine Disrupter)')(정자수 감소, 성기 기형 증가, 호르몬 관련성 암 증가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 있음)과 무관하여, 식기, 의치, 치과용 충진제, 의안, 의골로도 활용될 정도이므로 말 그대로 무독성 특성 내지 친환경 특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F)는 다양한 옥내 또는 옥외 바닥 또는 도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일례로 도로 파손시 이의 보수용 바닥재(F)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지면(G)과 상기 방수피복층(F1) 사이에는 추가로 하부의 프라이머층(F3)과, 그 위의 충진보수층(F2)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1 [A]와 같이 동절기 이후 봄철 또는 장마시기 이후에 주로 파손되는 지면(G), 특히 도로의 손상면(G1)이 발생되면,
도 1 [B]와 같이 도로 보수 장비로 파손부위를 파 내이 절삭면(G2)을 형성한다.
이후 도 1 [C]와 같이 절삭면(G2)에 보수 바닥재(F)를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프라이머층(F3)을 형성한다.
PMMA수지 및 MMA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피복층(F1)과의 친화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방수피복층(F1)F3)은 MMA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MMA 수지 80?84중량%, 경화제 1?2중량%, 첨가제 14~19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F3) 상부에 시공?성형되고, MMA수지를 포함하는 충진보수층(F2)은 역시 MMA수지 및 MMA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피복층(F1)과의 친화도 향상을 위하여 MMA 수지 30?35중량%, 필러 60?68중량%, 안료 1?2중량% 및 경화제 1?2중량%일 수 있고, 필러는 모르타르 등일 수 있다.
방수피복층(F1) 시공후에는 상부에 아스팔트 보스층(G3)를 형성하였다.
그 외 본 발명의 바닥재는 방수제 용도로 교량 방수제, 강상판 방수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피복제 용도로 어린이 보호구역 표시용, 미끄럼방지용, 자전거 전용도로용, 차선 도색용, 버스전용차료용, 탄성 포장용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방수피복층' 및 '방수피복제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방수피복제 조성물이 활용될 수 있는 방수제와 피복제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도로용도로 본 발명의 바닥재가 활용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미량의 안료가 혼합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강판 등 다양한 지면에 활용되어도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특유의 뛰어난 시인성과 미끄럼 특성으로 교차로, (급)커브길,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적합하며,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1시간 이내에 작업을 완료를 할 수 있고 이후 충분히 통행이 가능하며,
미끄럼방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방수피복층에는 규사, 제강 슬러그, 보크사이크의 일부 또는 모두를 이용한 논슬립입자를 혼합하여 추가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바닥재 표면에 논슬립입자를 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저면에 일반 방수피복제 조성물로 시공한 후, 고압 분사기를 사용하여 논슬립입자 포함 방수피복제를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논슬립입자 포함 방수피복제와 일반 방수피복제를 활용한 2액형 제품 외에,
도 1과 같이 충진용 보수층(F2)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본 발명의 1액형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시공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는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MMA와 EA 공중합체 PMMA수지(LG MMA社 제품) 45중량%, MMA수지(LG MMA社 제품) 40중량%, 그리고 안료, 접착제 및 벤질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LG MMA社 제품) 15중량%를 혼합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용도로 아스팔트에 포장하여 방수피복층을 구성하는 바닥재 시공을 하였다. 그 결과 30~40분 정도 후 경화되어 우수한 속경화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같은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끄럼방지용 도로 피복제 용도로 시공하였고, 도 2에는 시공사진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논슬립입자로 크기가 0.8~1.2mm 정도의 규사, 특히 착색된 규사가 함유된 방수피복제를 추가 살포하여, 2액형 제품으로 시공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같은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파손 도로 보수 용도로 사용하였고, 도 3에는 시공관련 사진이 예시되어 있다.
중장비를 이용한 도로 절삭 후, 프라이머층(MMA 수지 84중량%, 경화제 2중량%, 첨가제 14중량%, LG MMA社 제품)을 이용하여 청소를 시행한 후 표면을 건조(도 3 사진에서의 '청소 및 표면 건조' 단계)하고,
이어 프라이머층 위에 충진보수층(MMA 수지 31중량%, 필러 65중량%, 안료 2중량% 및 경화제 2중량%)(필러로 사용된 모르타르 외 LG MMA社 제품)을 시공(도 3 사진에서의 '보수용 Mortar 혼합 및 타설' 단계)을 형성하였다.
도 3과 관련하여 추가설명을 하면, 이후 도 1에서와 같이, 실시예1의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방수피복층으로 시공(도 3 사진에서의 '경화' 단계)한 다음,
역시 도 1과 같이 아스팔트 보수층 및 차선 도색(도 3에 사진 없음)을 거쳐 '시공완료' 및 '교통개방'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친환경 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구내식당 평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는 옥내 바닥재로서 항상 습기에 노출되어 있는 구내식당 등 대형식당의 바닥재로서도 특유의 방수 특성 및 내화학성, 내마모성 특성 등으로 인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구조체(B)인 구내식당은 컨베이어벨트를 응용하여 구성된 퇴식대(A1)와, 식기 불림장치(A), 자동세척장치(A2)가 연속구성되어 있고,
밭솥(C1), 국솥(튀김솥)(C2), 그리고 조리를 위한 복수의 화구(C3)를 갖는다.
이러한 조리공간 내부의 바닥은 모두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F)가 도포되어 있다.
한편, 친환경 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조체(B)로서 구성된 구내식당은 특징적인 식기 불림장치(A)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식기 불림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를 나누고, 특히 좌우방향은 각각 배출부(15B)와 투입부(15A)를 이루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형 식기 불림장치(A)는 담금조(10)와 이송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김 담금조(10)의 하부에는 다리(30)를 구비하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 수평 조절을 위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저면부(11)와 좌우 및 전후 네 측벽부(13)를 갖는 상방 개구형 담금조(10)는 좌측벽부에 상부에 식기의 담금?불림 후에 수동, 자동,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본'세척을 위한 개수대나 (반)자동세척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계설(舌)부(13A)가 구비되어 있고, 식판, 국그릇, 밥그릇 등의 식기 배출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측 배출부(15B) 전후 양 측벽부 상단에는 이탈방지 날개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좌측 식기 배출부(15B) 반대편에는 투입부(15A)가 구비되며, 이 투입부 하부 공간에서 담금?불림이 이루어지는 식기가 주되게 저장되며, 이는 식기 배출부 측에서 상향 경사 배열된 컨베이어벨트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기도 하다. 투입부(15A)의 식기 담금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송수단(20)은 통상의 컨베이어벨트를 변형구성한 것으로, 양단 제1 및 제2 구속드럼(또는 스프로켓 등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음)(25A)(25B) 외에 중간의 제3구속드럼(25C)을 배치하여 제3구속드럼(25C)에서 변곡되어 경사가 시작하여 제2구속드럼(25B)을 정점으로 컨베이어벨트(23)가 경사 배열된다.
컨베이어벨트를 움직이는 구동모터(21)는 제1구속드럼(25A)을 구동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토크 향상을 위한 감속기가 개재될 수 있고, 구동모터 on/off 제어를 포함하여 속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패널이 식기 불림장치(A)에 별도로 구성되거나, (반)자동세척장치와 함께 통합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및 제3 구속드럼(25B)(25C)은 구동모터의 힘을 단순히 전달받는 아이들(idle) 드럼 또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모터의 위치 및 연결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구속드럼(25B)은 좌측 측벽부(13) 상단부에 컨베이어벨트(23)의 상사점이 위치하도록 하여 다른 수동 또는 (반)자동 식기 본세척을 위한 컨베이어벨트나 개수대와의 연계 구성이 단절 없이 이루어져 식기의 원활한 배출?이송이 보장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컨베이어벨트에는 담금?체류?불림 후 식기의 배출 이송의 확실성 보장과, 배출부(15B)측의 경사진 컨베이어벨트(23)에서 식기가 미끄러지고 식끼리의 충돌하여 식기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저항부재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항부재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벨트(23) 외면에 구비된 코팅층(29A)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는 식기 불림장치(A)의 제1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우선 담금조(10)의 저면부(11)가 배출부(15B)측이 높고, 그 반대쪽 투입부(15A)측이 낮아, 밥풀 등의 침전물이 투입부(15A) 측으로 쏠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담금조(10) 저면부(11)의 경사각도를 투입부(15A) 측의 완경사부(11A)와 배출부(15B)측의 급경사부(11B)로 구성하여 식기 담금?불림에 소용되지 않는 이송수단(20)의 컨베이어벨트(23) 저면 공간, 제2 및 제3 구속드럼(25B)(25C) 사이의 하부 공간(10S)을 최소화하여 불림용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본 구현예의 식기 불림장치(A)는 담금조(10)의 저면부(11)를 경사진 형태로 하여 밥풀 등의 침전물이 일측으로 모이도록 함과 아울러 경사 단부, 특히 투입부(15A)측 경사 단부에 침전물 수거용 함몰공간부(17)를 두어 침전물이 컨베이어벨트의 움직임이나 기타 불림용수의 유동에 의하여 뒤섞여 컨베이어벨트의 틈새에 끼고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담금조 청소시에도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함몰공간부(17)의 최저점에는 드레인(17C)을 설치하여 침전물 처리 편리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침전물의 유동 방지 확실성과 작은 식기나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투입된 젓가락, 숟가락, 포크, 나이프 등이 함몰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몰공간부(17) 경계 상부에는 거름망(17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거름망의 망목은 다양한 침전물이 함몰공간부로 충분히 수집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젓가락, 숟가락, 포크, 나이프 등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함몰공간부(17)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도어(17B)가 구비되어 있어 함몰공간부, 분리공간부 또는 거름망(17A)의 청소나 거름망이나 후술하는 분리공간부(19)에 떨어진 숟가락 등의 식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서비스도어(17B)와 담금조 측벽부의 접면에는 수밀성 보장을 위한 패킹(17b)이 구비될 수 있고, 힌지를 통하여 스윙 회동되어 여닫히는 도어는 제자리 선회하는 핸들(17a)을 통하여 록킹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수밀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함몰공간부와 분리공간부를 구성하는 우측 부위는 담금조 측벽부의 높이만큼 솟아 있고, 서비스도어는 상부에 수평 배열되어 있어 불림용수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식기는 물론 젓가락, 숟가락, 포크, 나이프 등이 컨베이어벨트(23) 하부공간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송수단(20)의 고장 등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식기의 이송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구속드럼(25A)이 담금조(10)의 담금?불림 공간 영역 밖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담금조(10)의 우측벽부(13), 특히 함몰공간부((17) 상부에는 분리공간부(1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리공간부(19)는 또 빗(comb) 모양의 거름망(17A)이 구비되어 있어 저항부재를 이루는 연질돌기(29B)의 움직임을 보장하면서도 젓가락, 숟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작은 식기가 제1구속드럼(25A)의 배열 영역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변형 식기 불림장치(A)는 또 이송수단(20)을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23) 외측에 저항부재를 이루는 연질돌기(29B)가 구비되어 있어, 식기 이송의 확실성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질돌기(29B)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일정 정도의 강성을 부여하는 강선 또는 경질 합성수지 소재의 중심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나아가 연질돌기(29B)를 집모(集毛)체인 브러시로 구성할 수 있고, 이 브러시는 식기의 간이(또는 애벌) 세척수단 기능도 겸하게 된다.
또 연질돌기(29B)와 저면부(11)(완경사부(11A) 및 급경사부(11B) 구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촉하도록 구성한다면 연질돌기는 침전물을 쓸어 함몰공간부(17)로 모는 빗자루 역할까지 겸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변형예에서 급경사부(11B)의 하부 공간(10S)은 저면부(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40)을 위한 장착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40)은 장착공간(10S) 내에 구비된 모터(41) 및 (필요에 따라)감속기(43)를 포함하고, 모터의 구동기어(미도시됨) 또는 감속기의 최종 노출 중계 기어는 승강봉(45)의 종동기어(45A)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봉(45)은 제자리 회전을 하고, 승강봉의 회전에 따라 담금조(10)에 배열?구속된 너트부재(47)가 영향을 받게 되고, 승강봉의 회전운동이 너트부재 및 담금조 우측의 승하강 운동으로 귀결된다.
승강봉(45)의 제자리 회전은 네 다리(30) 중 좌측 두 변위다리(31)의 상부 수용부(31A)에 결합된 각도조절부(49)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필요에 따라 베어링 등의 구름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49)는 특히 유니버설 조인트와 같이 구(球) 형상으로 담금조 좌측의 승하강에 따라 승강봉(45)이 수직을 이루지 않고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완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또 상기 수용부(31A)의 상부는 유격부(31a)를 갖는다.
또 다리(30) 중 우측 두 고정다리(33)의 단부는 하부 지면 접촉부가 라운드 형태를 이루고 있어 담금조 좌측의 승하강에 따라 지면 접촉부위가 변하는 것에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수단(40)의 도입시 담금조 저면부(11)는 자체 경사 형태가 아니어도 얼마든지 저면부(11) 경사 각도 및 경사 방향(좌측이 더 높거나 우측이 더 높게)을 변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MMA, PMMA, 경화제, 안료, 첨가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시공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지면상에 형성된 방수피복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피복층은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과 상기 방수피복층 사이에는
    MMA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과, 이 프라이머층 상부에 MMA수지를 포함하는 충진보수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방수피복층에는 규사, 제강 슬러그, 보크사이크의 일부 또는 모두를 이용한 논슬립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4. 지면상에 형성되고, PMMA수지 45중량%, MMA수지 40중량%,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된 방수피복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방수피복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를 구비한 구조체이되,
    상기 구조체는
    저면부의 배출부측이 높고 그 반대쪽 투입부측이 낮으며, 침전물 수거용 함몰공간부가 투입부측에 구비된 담금조와
    상기 담금조의 식기 배출부 측에서 상향 경사 배열된 컨베이어벨트와, 이 컨베이어벨트를 움직이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담금조에 배열된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식기 불림장치를 포함하는 구내식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구조체.
KR1020120082016A 2012-07-26 2012-07-26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KR10119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16A KR101197710B1 (ko) 2012-07-26 2012-07-26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16A KR101197710B1 (ko) 2012-07-26 2012-07-26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710B1 true KR101197710B1 (ko) 2012-11-06

Family

ID=4756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016A KR101197710B1 (ko) 2012-07-26 2012-07-26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7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4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1713896B1 (ko) *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KR102120411B1 (ko) * 2019-11-29 2020-06-10 홍기철 액상형 보수재 및 방수재 조성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형 보수재 및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및 방수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083B1 (ko) 1998-12-22 2002-02-19 한정국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KR100603813B1 (ko) 2004-03-25 2006-07-26 코오롱유화주식회사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트랙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083B1 (ko) 1998-12-22 2002-02-19 한정국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KR100603813B1 (ko) 2004-03-25 2006-07-26 코오롱유화주식회사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트랙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4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1713896B1 (ko) *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KR102120411B1 (ko) * 2019-11-29 2020-06-10 홍기철 액상형 보수재 및 방수재 조성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형 보수재 및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및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710B1 (ko) 미끄럼방지 기능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KR101109537B1 (ko) 차열성과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이에 의한 노면포장공법
KR101132207B1 (ko) 도로 노면의 미끄럼방지 및 야간시인성이 개선된 바닥재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바닥재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0999031B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JP4546328B2 (ja) 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0039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0784455B1 (ko) 다양한 용도의 바닥부재 및 그 제조방법
TWI814733B (zh) 彈性粒狀物及其製造方法、使用該粒狀物之人工草坪、鋪設體、鋪設路與該等之製造方法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0945949B1 (ko) 탄성바닥재용 칩 및 이를 이용한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266762B1 (ko)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JP5943667B2 (ja) 構造物塗布材及び構造物塗布材施工方法
KR970001036B1 (ko) 투수성 수지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체
Kozioł et al. Preliminary analysis of concept of producing polymer concrete surface for outdoor terraces
KR100352666B1 (ko) 노면 표시선의 도장 방법
KR20100045561A (ko) 고휘도 대구경 글래스비즈를 이용한 탄성포장재의 포장방법
KR20110102621A (ko) 재귀반사형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6037754B2 (ja) 構造物塗布材、構造物塗布材施工方法及び構造物塗布材の使用方法
CN111119004A (zh) 一种防滑效果好的塑胶跑道及施工工艺
JP2000086901A (ja) 抗菌弾性層組成物、抗菌弾性舗装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032041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도로포장재
KR101200501B1 (ko) 투수성을 갖고 온도 저감 효과를 갖는 수지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 방법
KR101743422B1 (ko) 콘크리트도로 및 하천변 산책로의 포장면 내구성 증대를 위한 탄성충진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107631A (ko) 도로 포장용 탄성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