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762B1 -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762B1
KR102266762B1 KR1020210034775A KR20210034775A KR102266762B1 KR 102266762 B1 KR102266762 B1 KR 102266762B1 KR 1020210034775 A KR1020210034775 A KR 1020210034775A KR 20210034775 A KR20210034775 A KR 20210034775A KR 102266762 B1 KR102266762 B1 KR 10226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layer
adhesive
adhesive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손현장
이진호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우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접착층의 양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포장 시공면의 상부에 아스팔트 바인더, 유기용제, 소성중합체 및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지 2시간 이내에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GUSS MASTIC ASPHALT ROAD PAVING METHOD USING SHORT-TERM CURING PRIMER}
본 발명은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접착층의 양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도로포장은 시공환경, 기상환경 및 교통하중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균열 및 포트홀 등의 문제점일 발생하고, 그에 따라 우수 및 염화물이 하부 구조체에 침투하여 포장구조체 내구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우수와 염화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층용 아스팔트 하부에 방수층을 설치하고 있으며, 방수층의 종류로는 구스 아스팔트, 도막식 및 시트식 방수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구스 아스팔트는 접착성능, 내구성능 및 방수성능을 겸비한 방수포장 재료로서 일반국도 및 고속국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스 아스팔트 시공방법은 하부 구조체의 상부에 접착층을 설치, 구스 아스팔트 포설, 표층 아스팔트 포설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접착층은 아스팔트 고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양생시간은 12 ~ 24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시공여건상 유지보수 공사가 많은 것이 현실이며, 그에 따라 주간 공사는 9시 ~ 18시, 야간공사는 21시 ~ 06시 사이에 공사를 마무리해야 한다.
이러한 실정 하에서, 공사기간의 촉박함으로 인해 프라이머의 양생시간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1일 시공면적의 제약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접착층의 양생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고되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712921호(등록일자 2017년 02월 28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함에 따라 접착층의 양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양생 시간 준수 및 동시간 대비 공사 면적 증진을 제공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포장 시공면의 상부에 아스팔트 바인더, 유기용제, 소성중합체 및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지 2시간 이내에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성중합체는 EVA, EMA, copolymer olefin, C5 석유수지, C9 석유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체는 SBS, SB, SIS, SBR, EPDM, polychloroprene, polynorbonene, polyolefin, EBA, SEBS, ABS, rubber, polybutene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는 침입도가 60 ~ 80인 아스팔트 바인더 30 ~ 40 중량%, 끓는점이 90 ~ 120℃인 유기용제 45 ~ 50 중량%, 소성중합체 10 ~ 20 중량% 및 탄성중합체 4 ~ 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은 PG 등급 76-22 이상의 개질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12 ~ 24시간 걸리던 접착층의 양생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시키고, 이를 통해 양생 시간이 준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동시간 대비 공사 면적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며, 결과적으로 공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단계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방법은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접착층의 양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접착층 형성 단계(S1), 방수층 형성 단계(S2) 및 포장층 형성 단계(S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착층의 양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동시간 대비 공사 면적을 증진시킴으로써 공사 효율을 향상시킨다.
각 단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접착층 형성 단계(S1)는 포장 시공면의 상부에 아스팔트 바인더 및 C5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포장 시공면은 하부 구조체의 상면으로, 하부 구조체는 도로 기초, 교량 등이 될 수 있고, 접착층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요철이 제거되어야 하며, 표면의 건조 및 이물질 제거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접착제는 정리된 포장 시공면의 상부에 도포되는데, 롤러나 스프레이, 또는 이를 장비한 도포장비에 의해 도포될 수 있으며, 구스 아스팔트 포장에서는 아스팔트 고무계 프라이머가 접착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양생 시간 단축을 위해 접착제가 아스팔트 바인더 및 C5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의 보다 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유기용제 및 고무를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고무계 프라이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한정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침입도가 60 ~ 80인 아스팔트 바인더 30 ~ 40 중량%, 끓는점이 90 ~ 120℃인 유기용제 45 ~ 50 중량%, C5 수지 10 ~ 20 중량% 및 고무 4 ~ 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스팔트 바인더는 특별히 어느 한 종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석유계 아스팔트로 구성될 수 있고, 침입도가 60 ~ 8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아스팔트 바인더의 함량은 30 ~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30 중량% 미만을 사용할 경우 프라이머층 두께 확보가 어려우며, 40 중량% 초과 시에는 양생시간 및 내구성 증진용 첨가제의 비율이 낮아져 프라이머의 성능을 확보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유기용제는 아스팔트 바인더 및 기타 조성들의 용해를 위해 첨가되며, 탄화수소계, 할로겐화 탄화수소, 알콜류, 알데히드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글리콜에테르를 포함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화수소계로는 지방족 탄화수소인 휘발유나 등유, 지환식 탄화수소인 시클로헥사놀이나 메틸시클로헥사놀, 방향족 탄화수소인 벤젠이나 톨루엔이나 크실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할로겐화 탄화수소로는 지방족 염화탄화수소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이 있고, 방향족 염화탄화수소로는 클로로벤젠 등이 있다. 그리고 알콜류로는 부타놀, 이소부틸알콜, 이소펜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이 있다. 그리고 에테르류로는 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부탄 등이 있다. 그리고 에스테르류로는 초산메틸, 초사에틸, 초산프로필, 초산이소프로필,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펜틸, 초산이소펜틸 등이 있다. 그리고 케톤류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이 있다. 그리고 글리콜에테르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텔,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이 있다.
특히 유기용제는 끓는점이 90 ~ 120℃인 것이 바람직한데, 끓는점 90 ℃ 미만의 유기용제를 사용할 경우 프라이머의 소요 건조시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끓는점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나 120 ℃ 초과 시에는 보관 및 안전상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어서 상한이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용제의 함량은 45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45 중량% 미만을 사용할 경우 프라이머의 소요 건조시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50 중량% 초과 시 보관 및 안전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아스팔트 바인더 및 기타 첨가제의 함량이 낮아져 프라이머의 성능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소성중합체는 접착성 촉진시키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접착제의 가소성과 접착성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하며 C5 석유수지, EVA, EMA, copolymer olefin, C9 석유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혼합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C5 피페릴렌 및 그 유도체로 제조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인 C5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기능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러한 소성중합체의 함량은 10 ~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 미만 사용 시 프라이머의 기능성 확보가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탄성중합체는 접착제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개질제로서 SBS, SB, SIS, SBR, EPDM, polychloroprene, polynorbonene, polyolefin, EBA, SEBS, ABS, rubber, polybut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혼합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SBS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기능적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탄성중합체의 함량은 4 ~ 1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4 중량% 미만 사용 시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11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이하 상기 조성물의 함량 한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예로서, 상기 접착제의 구성을 중심으로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성하여 물리 특성 및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접착제와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표 2 및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다.(일반 프라이머로는 아스팔트 고무계 프라이머를 사용)
구분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일반 프라이머 100 - - - - -
아스팔트 - 34 31 40 30 36
유기용제 - 45 45 45 50 50
C5 - 10 20 10 10 10
고무 - 11 4 5 10 4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항목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점도 (25℃, cps) 470 350 300 240 260
비중 (25℃) 1.02 0.96 0.97 0.95 0.95
불휘발분(%) 56 53 53 52 52
건조시간(시간) 14 2 2 1 1
내굴곡성(-10℃/3mm)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내염수성(Nacl 3% 수용액 4시간) 부식 없음 부식 없음 부식 없음 부식 없음 부식 없음
불휘발분 침입도(25℃) 30 22 33 26 32
연화점(R&B, ℃) 92 97 97 95 95
종류 부착강도 개별값(MPa) 평균(MPa)
S1 S2 S3 S4 S5
접착제 無처리 0.62 0.56 0.64 0.66 0.59 0.61
비교예 0.85 0.83 0.84 0.81 0.82 0.83
실시예1 0.99 0.90 0.90 0.98 0.95 0.94
실시예2 0.93 0.95 0.98 0.97 0.90 0.94
실시예3 0.91 0.85 0.83 0.89 0.86 0.87
실시예4 0.89 0.92 0.90 0.91 0.92 0.91
실시예5 0.92 0.93 0.94 0.91 0.93 0.93
본 발명은 단기양생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구스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신속한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접착제로 사용되는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방식으로 살포하기 위해 점도는 낮을수록 유리하며, 건조시간은 짧을수록 포장공사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실시예1 ~ 4와 비교예에서 볼 수 있듯이 유기용제의 사용량에 따라 점도가 낮아지는 것을 호가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프레이장비 사용 시 도포면에 뭉침현상 없이 골고루 살포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조시간은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 1 ~ 4 모두 현저히 짧은 시간에 건조가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 같이 건조시간의 단축은 공사시간 단축 또는 일일 시공량(시공면적) 증가에 기인하고, 이를 통해 공사비용을 절감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접착층의 내구성을 동등 이상으로 확보하였으며,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구스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하부 구조체와의 부착성능을 평가한 결과 비교예 대비 실시예 1 ~ 4의 부착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구스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방수층 형성 단계(S2)는 접착층이 형성된 이후, 접착층이 형성된 지 2시간 이내에 접착층의 상부에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방법은 상기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프라이머를 단기 양생시킴으로써 제한된 시간 안에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1일 시공면적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하는데, 일반적인 프라이머의 양생 시간이 12 ~ 24시간 정도인데 반해, 본 방법의 프라이머는 접착층이 형성된 지 2시간 이내(하절기 약 30분, 동절기 약 1시간 30분)에 양생이 마무리되고, 다음 단계인 방수층 형성 단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은 PG 등급 76-22 이상의 개질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구스 아스팔트의 품질기준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PG 등급 76-22 이상의 개질아스팔트로 바인더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포장층 형성 단계(S3)는 방수층의 상부에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별히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 및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방법은 종래의 아스팔트 고무계 프라이머가 양생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12 ~ 24시간이던 것을 하절기에는 30분, 동절기에는 1시간 30분가량으로 대폭 단축시킴으로써, 현재 공사의 시간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예를 들면 주간 공사의 경우 09시 ~ 18시로, 야간공사의 경우 21시 ~ 06시로, 양생 시간을 충분히 준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1일 시공 면적을 대폭 늘려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방법에서, 접착제의 도포는 소정의 도포장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특별히 그 형태가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접착제를 교반하는 교반 챔버의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도포장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비의 교반 챔버의 하우징(H)은 베이스(미도시), 베이스(미도시)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H1) 및 측벽(H1)의 상부에 결합 커버(H2)를 포함하고, 측벽(H1)과 커버(H2)를 결합시키는 잠금수단(H3)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커버(H2)은 상기 측벽(H1)의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덮는다.
이러한 하우징(H)은 커버(H2)를 상측에서 하강시켜서 덮어주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커버(H2)를 회전시키면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커버(H2)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챔버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잠금수단(H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수단(H3)은 커버(H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와 측벽(H1) 상단에서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을 포함한다.
도 2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H2)는 수평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끼움홈(H32)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을 포함하고, 끼움돌부(H3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H341), 끼움돌부(H31)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H341)과 연통되는 수평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방향은 도 3에서 후술하는 제2방향(d2)에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수직관(H3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과 수평관(H3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관(H34), 제1피스톤(H35), 제2피스톤(H37)이 형성하는 공간에, 유체(예시적으로 공기 등)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제1피스톤(H35)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를 포함하고, 제2피스톤(H37)에서 상기 제1방항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2방향(d2)으로 돌출되고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상태에서 제1피스톤(H35)은 자체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커버(H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 2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되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눌려져 제1피스톤(H35)이 수직관(H341)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여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홈(H33)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커버(H2)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만을 통해, 측벽(H1)과 결합되는 데, 끼움돌부(H31) 및 끼움홈(H32)에 의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는 동시에,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홈(H33)에 삽입되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커버(H2)가 하측으로만 이동하였는데 측벽(H1)에 대하여 수평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걸림부(H38)는 경사부(H382)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정단면상에서 봤을 때(도 2 참조) 제2방향(d2)(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하향 경사진 것이다. 이를 통해 도 2의 [B]와 같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의해 살짝 눌려져(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끼움홈(H32)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 걸림부(H38)가 제2방향(d2)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도 경사부(H382)와 끼움홈(H3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끼움돌부(H31)가 보다 용이하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H382)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도 2를 상측에서 봤을 때) 제2방향(d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H382a)을 포함하고, 걸림홈(H33)은 걸림부(H38)와 걸림홈(H33)의 완전 걸림 상태에서, 일 측에서 상기 경사면(H382a)의 법선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가압편(H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H2)가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경우, 경사부(H382) 또한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예시적으로 경사부(H382)가 도 Y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편(H331)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H35)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끼움홈(H32)의 바닥을 밀게 되고 커버(H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측벽(H1)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포장 시공면의 상부에 아스팔트 바인더, 유기용제, 소성중합체 및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지 2시간 이내에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침입도가 60 ~ 80인 아스팔트 바인더 30 ~ 34 중량%, 끓는점이 90 ~ 120℃인 유기용제 45 중량%, C5 수지를 포함하는 소성중합체 10 중량% 및 SBS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4 ~ 1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은 PG 등급 76-22 이상의 개질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접착제의 도포는 개폐가 용이한 하우징을 갖는 교반챔버가 구비된 도포장비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H1), 상기 측벽(H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H1)의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덮는 커버(H2), 및 상기 측벽(H1)과 상기 커버(H2)를 결합시키는 잠금수단(H3)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H3)은,
    커버(H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
    상기 측벽(H1) 상단에서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
    상기 끼움홈(H32)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
    상기 끼움돌부(H3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H341)과 상기 끼움돌부(H31)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H341)과 연통되는 수평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
    상기 수직관(H3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
    상기 수평관(H3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
    상기 제1피스톤(H35)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 및
    상기 제2피스톤(H37)에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4775A 2021-03-17 2021-03-17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KR10226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75A KR102266762B1 (ko) 2021-03-17 2021-03-17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75A KR102266762B1 (ko) 2021-03-17 2021-03-17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62B1 true KR102266762B1 (ko) 2021-06-18

Family

ID=7662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75A KR102266762B1 (ko) 2021-03-17 2021-03-17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8533A (zh) * 2023-06-27 2023-09-19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冷补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10B1 (ko) * 2013-06-04 2014-06-27 태륭건설(주) 구스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KR101845242B1 (ko) * 2017-05-15 2018-04-04 태륭건설(주) 반사균열 방지 및 소성변형 저항성을 갖춘 구스 아스팔트의 조성물
KR20180108360A (ko) * 2017-03-23 2018-10-04 가미소재(주)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102222058B1 (ko) * 2020-09-15 2021-03-03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샌드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10B1 (ko) * 2013-06-04 2014-06-27 태륭건설(주) 구스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KR20180108360A (ko) * 2017-03-23 2018-10-04 가미소재(주)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101845242B1 (ko) * 2017-05-15 2018-04-04 태륭건설(주) 반사균열 방지 및 소성변형 저항성을 갖춘 구스 아스팔트의 조성물
KR102222058B1 (ko) * 2020-09-15 2021-03-03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샌드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과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8533A (zh) * 2023-06-27 2023-09-19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冷补料及其制备方法
CN116768533B (zh) * 2023-06-27 2024-01-30 长春市城建维护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冷补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3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도로 포장용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4950B1 (ko)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864168B1 (ko) 재생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현장타설이 용이한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41021B1 (ko) 접착력과 방수성이 우수하여 균열 보수에 이용되는아스팔트 조성물
KR101084704B1 (ko) 아스팔트 크랙보수 도장재 및 아스팔트 크랙보수 시공방법
KR10205240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4189141A1 (ja) アスファルト・ウレタン組成物
KR102266762B1 (ko)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KR101682679B1 (ko) 합성고무 폴리머 점착겔 타입의 방수제 및 실링용 방수제, 그 제조방법, 시공방법 및 시공 구조체
KR101925469B1 (ko) 반사균열 제어 및 응력완화를 위한 고탄성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2146981B1 (ko)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이용한 고내유동성 불투수성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1555352A (zh) 一种新型路面裂缝养护材料及其制备与应用
KR20220036361A (ko)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와 유리섬유 부직포를 구비한 방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42156B1 (ko) 아스팔트 표면 보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균열 보수방법
KR102077051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고분자 개질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psma)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25136B1 (ko) 미끄럼저항성 에폭시바인더조성물 및 상기 바인더조성물을 이용한 열화 콘크리트도로 포장면 보수방법
AU2014293470A1 (en) A coating system
KR100620367B1 (ko) 개질 아스팔트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4847B1 (ko) 폐아스팔트 골재 내 노화 아스팔트의 기능을 회복하여 연성 및 침투성을 향상시킨 폴리머-아스팔트 복합 도로 보수재
KR102059837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반탄성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KR102077055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이용한 중온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71292B1 (ko) 방수용 아스팔트 접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아스팔트시트방수시공방법
KR1023498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탄성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탄성도막방수재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
KR101731882B1 (ko) 인도네시아 천연아스팔트를 활용한 저비용 및 고성능 도막식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