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039B1 -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039B1
KR102020039B1 KR1020190021811A KR20190021811A KR102020039B1 KR 102020039 B1 KR102020039 B1 KR 102020039B1 KR 1020190021811 A KR1020190021811 A KR 1020190021811A KR 20190021811 A KR20190021811 A KR 20190021811A KR 102020039 B1 KR102020039 B1 KR 10202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reinforcing shee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륜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륜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륜스포츠
Priority to KR102019002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01C13/065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at least one in situ layer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탄성바닥재는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최하층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극채움층과;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과 상층과의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역할을 하는 접착프라이머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표층과의 중간층 역할을 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간보강층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하는 1차표층과; 상기 1차표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최종 표층을 구성하고, 운동하는 선수의 미끄름을 방지하는 난슬립층으로 구성되며,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며 공극이 채워져 내구성이 향상되고 복원력이 뛰어난 충격흡수층을 가지며, 탄소섬유시트 재질의 보강시트층이 형성되어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고, 상부에 1차표층의 아크릴계 수지층과 난슬립층을 형성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니스 코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장, 다목적 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Elastic Floor Materials for Sports Facili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에 재활용 고무에 개질제를 혼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고,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하는 보강시트층을 넣어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켰으며, 아크릴계 고분자수지를 사용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우수하게 한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생활 체육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학교 운동장이나 근린공원, 아파트 등 생활공간 주변에 테니스 코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장, 다목적 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들이 들어서고 있고, 이러한 스포츠 시설에는 미끄럼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바닥재를 도포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바닥재로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된 하지면에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도포한 폴리우레탄계 바닥재와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한 아크릴계 바닥재가 있다.
먼저, 폴리우레탄계 바닥재는 내마모성 및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표면 난슬립성에 대한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미끄럼 사고로 부상을 입을 우려가 높고, 예를 들어, 테니스 코트용 바닥재로 사용할 경우 테니스공의 컨트롤이 정확하지 못하여 경기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아크릴계 바닥재는 표면에 공극이 있어서 물 고임이 없고 미끄럼 현상이 적은 장점은 없으나, 상기 폴리우레탄계 바닥재보다 반발 탄성이 떨어져서 사용자의 피로도를 증폭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아크릴계 바닥재의 탄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칩과 아크릴 수지를 혼합한 탄성층을 시공하고 있으나, 이 경우 탄성층의 두께 형성이 어렵고, 고무칩의 뭉침 현상으로 인해 바닥면의 레벨링성이 떨어지는 등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바닥재는 아크릴 수지의 특성상 열 충격에 의한 급격한 물성 저하, 저온 유연성 부족으로 인한 끈적임 발생, 장기의 수분 침지에 의한 부풀음, 표면 크랙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 난슬립제로 주로 사용되는 규사의 입자 불균일로 인하여 테니스공의 바운딩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바닥재에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가 적고 접착력이 우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혼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경우 아크릴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단순한 물리적 혼합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용성 파라미터 차이로 인한 상분리 현상 및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기 쉽고, 상기 아크릴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특성이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균일한 물성을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바닥재는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는데 따른 원형의 보존과 충격흡수와 관련한 내구도가 성능과 품질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로서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경화와 충격에 따라 미세한 크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충격흡수의 기능이 떨어져 인체에 작용하는 충격이 충분히 완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25024 (등록일자 : 2013년 10월 29일) 테니스 코트용 난슬립 바닥재의 시공방법 및 그의 상도층 조성물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5522 (등록일자 : 2003년 08월 25일) 탄성바닥재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26488 (등록일자 : 2014년 07월 29일)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639933 (등록일자 : 2006년 10월 24일)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 그 탄성바닥재 및스포츠 시설 바닥면 시공방법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081484 (등록일자 : 2011년 11월 02일) 스포츠시설 및 어린이 놀이터용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050213 (등록일자 : 2011년 07월 12일) 탄성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극채움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간보강층과;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하는 1차표층과; 최종 표층을 구성하고, 운동하는 선수의 미끄름을 방지하는 난슬립층으로 구성되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탄성바닥재는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최하층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극채움층과;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과 상층과의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역할을 하는 접착프라이머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표층과의 중간층 역할을 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간보강층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하는 1차표층과; 상기 1차표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최종 표층을 구성하고, 운동하는 선수의 미끄름을 방지하는 난슬립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재생타이어 분말과 재생고무분말을 포함하는 재활용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 0.1~10 중량부로 조성되며, 압착되어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로 제조된다.
상기 개질제는 스티렌뷰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뷰타디엔고무(SBR), SBR라텍스, 스티렌이스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뷰타디엔스티렌(SEBS), 천연고무분말, 액상천연고무, 천연고무분말, 이피디엠분말(EPDM Powder),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수지, 폴리우레탄(PU)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상기 공극채움층은 폴리우레탄 계열의 실링제로 채워진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5 중량부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50~150 중량부와; 물 20~10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보강시트층은 일정 두께의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과 보강시트층은 상온 경화형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중간보강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70~250 중량부와;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안료 30~100 중량부와; 물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1차표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되거나,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열성,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1~10 중량부 추가로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난슬립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되거나,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미끄럼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는 견운모 분말 20~6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재활용 고무에 개질제를 혼합하여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를 제조하여 충격흡수층을 제조하는 충격흡수층 제조공정과;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공극 채움공정과; 접착프라이머층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과; 보강시트층을 제조하는 보강시트층 제조공정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층을 부착하는 보강시트층 부착공정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중간보강층 형성공정과;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1차표층 형성공정과;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난슬립층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상기 탄성바닥재 하부의 기층을 조성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하거나, 기존의 기층을 보수하는 하부기층 조성 또는 하부기층 보수단계와; 상기 하부기층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기층용 프라이머층 형성시키는 기층프라이머 도포단계와; 기층프라이머층 상부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탄성바닥재를 청구항 제 9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 설치하는 탄성바닥재 제조 설치단계와; 상기 탄성바닥재의 상부에 아크릴계 도료로 라인 마킹을 하는 라인 마킹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며 공극이 채워져 내구성이 향상되고 복원력이 뛰어난 충격흡수층을 가지며, 탄소섬유시트 재질의 보강시트층이 형성되어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고, 상부에 1차표층의 아크릴계 수지층과 난슬립층을 형성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니스 코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장, 다목적 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제조방법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바닥재는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며, 최하층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극채움층과;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과 상층과의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역할을 하는 접착프라이머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표층과의 중간층 역할을 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간보강층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하는 1차표층과; 상기 1차표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최종 표층을 구성하고, 운동하는 선수의 미끄름을 방지하는 난슬립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최하층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준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우레탄고무를 포함하는 고무분말이나 고무칩을 사용하여 쇼어 경도 기준 55~70Hs 이고, 두께는 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칩을 사용시 크기는 최장축 길이 기준으로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층은 재활용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층은 재생타이어 분말과 재생고무 분말을 포함하는 재활용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 0.1~10 중량부와; 상기 재활용 고무를 한 덩어리로 결합해주는 바인더 수지가 0.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압착되어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로 제조된다.
상기 개질제는 재활용 고무를 100 중량% 사용시 탄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질제는 스티렌뷰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뷰타디엔고무(SBR), SBR라텍스, 스티렌이스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뷰타디엔스티렌(SEBS), 천연고무분말, 액상천연고무, 천연고무분말, 이피디엠분말(EPDM Powder),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수지, 폴리우레탄(PU)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바인더 수지이며, 재활용 고무가 서로 혼합되어 있어서 내부 구조가 치밀하면서도 최상의 탄성을 유지하며, 특히 밀착력이 높아 내충격성이 매우 높은 특성을 갖는다.
상기 공극채움층은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공극채움층은 폴리우레탄 계열의 실링제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채움층은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극채움층을 채우지 않으면 상부의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이 공극으로 스며들어 역할을 못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접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과 상층과의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5 중량부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50~150 중량부와; 물 20~10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추가로 촉매제를 포함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0.5~0.7l/m2 의 비율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l/m2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없고, 0.7l/m2 를 초과하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시트층은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보강시트층은 일정 두께의 유리섬유시트나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과 보강시트층은 상온 경화형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보강시트층은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을 도포하고 상기 보강시트층을 상기 상온 경화형 에폭시수지로 설치할 후 상기 유리섬유시트를 사용할 때는 최소 24시간 양생을 하고,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할 때는 최소 10시간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시트층을 일정 두께의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할 때에는 아래와 같은 사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섬유시트는 유기섬유를 비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탄화하여 만든 시트로 만든 섬유이며, 일반적으로 탄소의 육각 고리가 연이어 층상격자를 형성한 구조 즉, 육각형의 탄소 원자들이 켜켜이 쌓여 층상 격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금속광택이 있고 검은색이나 회색을 띠고, 92% 이상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무기섬유로서, 미세한 흑연결정 구조를 가진 섬유상의 탄소 물질을 말하며, 수분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하며, 유리섬유나 아라미드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뛰어난 내수성을 나타내며, 150~250g/m2의 중량과, 1.5~2.1g/cm3의 섬유비중과, 0.05~0.15mm의 두께와, 300~500kg/cm폭의 인장강도와, 25000~40000kg/cm2의 설계강도와, 20000~60000kg/(cm폭)의 인장탄성률과, 0.5~2.0의 파탄신도(변형률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보강층은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표층과의 중간층 역할을 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중간보강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70~250 중량부와;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안료 30~100 중량부와; 물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1차표층은 상기 중간보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한다.
상기 1차표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로서 2,4-Dihydroxybenzophenone 구조인 벤조페논(Benzophenone) 또는 2-(2'-Hydroxyphenyl)-Benzotriazole 구조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0.1~5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1차표층은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열성,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1~10 중량부 추가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난슬립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되거나, 상기 난슬립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미끄럼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는 견운모 분말 20~6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40~15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견운모 분말은 700~800℃에서 15~45분 가열한 후 분쇄하여 제조되고, 50~120메쉬의 입자 크기이다.
상기 난슬립층은 추가로 자외선 안정제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s), 켄처(Quenchers), 과산화물 분해제(Hydroperoxide Decomposers), 라디칼 포착제(Radical Scavengers)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보강층과 1차표층 및 난스립층은 추가로 수지의 용해와 점도 조절을 위한 희석제 0.1~5 중량부와; 수지와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제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반응성 희석제일 때는 부틸글리시딜에테르, 폐닐글리시딜에테르, 카복실릭 글리시딜에테르, 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에폭시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고, 비반응성 희석제일 때는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셀로솔브,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분산제는 도데실황산나트륨(SDS, Sodium Dodecylsulfate), 나프탈렌설폰산(NSF, Beta-naphthalene sulfonic Acid),스테아르산칼슘(Calcium Stearate) 또는 석신이미드(Succinimide)계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술한 탄성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고무에 개질제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를 제조하여 충격흡수층을 제조하는 충격흡수층 제조공정과;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공극 채움공정과; 접착프라이머층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과; 보강시트을 제조하는 보강시트 제조공정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를 부착하여 보강시트층을 형성시키는 보강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중간보강층 형성공정과;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1차표층 형성공정과;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난슬립층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층 제조공정은 재생타이어 분말과 재생고무 분말을 포함하는 재활용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 0.1~10 중량부와; 상기 재활용 고무를 한 덩어리로 결합해주는 바인더 수지가 0.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 분말 또는 칩 형태의 재활용 고무를 금형에 채운 후 압력을 가하면서 일정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압착하여 일정 두께와 규격으로 성형하여 고무패드의 상기 층격흡수층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공극 채움공정은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은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추가로 촉매제를 포함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0.5~0.7l/m2 의 비율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l/m2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없고, 0.7l/m2 를 초과하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시트층 제조공정은 일정 두께로 전문 제조설비에서 제조한다.
상기 보강시트층은 유리섬유시트나 탄소섬유시트이다.
상기 보강시트층 부착공정은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층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을 도포하고 나면 즉시 상기 보강시트를 설치하며, 설치된 보강시트 사이에 공극이나 거품 등이 발생하지 않고 평탄한 표층을 보장할 수 있도록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롤라 등을 이용하여 문지른다.
상기 보강시트층 부착공정은 강도 보강을 위한 것이므로 일정 시간 이상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섬유시트인 경우 24시간 양생하고, 탄소섬유시트인 경우 15시간 이상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보강층 형성공정은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1차표층 형성공정은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난슬립층 형성공정은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술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은 상기 탄성바닥재 하부의 기층을 조성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하거나, 기존의 기층을 보수하는 하부기층 조성 또는 하부기층 보수단계와; 상기 하부기층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기층용 프라이머층 형성시키는 기층프라이머 도포단계와; 기층프라이머층 상부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탄성바닥재를 청구항 제 8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 설치하는 탄성바닥재 제조 설치단계와; 상기 탄성바닥재의 상부에 아크릴계 도료로 라인 마킹을 하는 라인 마킹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층 조성 또는 하부기층 보수단계는 상기 탄성바닥재 하부의 기층을 조성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하거나, 기존의 기층을 보수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부기층 조성 또는 하부기층 보수단계는 먼저 기층의 침하면을 보수한다.
침하면의 보수 방법은 침하된 부분의 표층제를 제거하고 별도의 고무칩을 이용하여 평탄하게 수평작업을 실시한다.
침하면의 보수가 완료되면 기층의 크랙 발생부분이나 수축, 팽창 등으로 틈이 발생된 곳을 도려내고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우레탄을 이용하여 보수한다.
이물질의 제거방법은 고압세척기로서 경기장 표면의 먼지, 모래, 찌든때, 기름기 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하고 표면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으로, 샌딩디스크(Sanding disk)를 사용하여 기존표면을 갈아낸 후에 다시 고압세척기를 사용하여 표면을 청소하고 건조한다.
상기 기층프라이머 도포단계는 상기 하부기층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기층용 프라이머층 형성시킨다.
상기 기층용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5 중량부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50~150 중량부와; 물 20~10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된다.
상기 탄성바닥재 제조 설치단계는 재활용 고무에 개질제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를 제조하여 충격흡수층을 제조하는 충격흡수층 제조공정과;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공극 채움공정과; 접착프라이머층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과; 보강시트을 제조하는 보강시트 제조공정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를 부착하여 보강시트층을 형성시키는 보강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중간보강층 형성공정과;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1차표층 형성공정과;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난슬립층 형성공정을 포함하여 제조 후 상기 기층용 프라이머층 위에 설치한다.
상기 탄성바닥재 제조 설치단계는 상기 충격흡수층 제조공정을 거쳐 충격흡수층을 제조한 후 상기 기층용 프라이머층 위에 설치하고,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공극 채움공정과; 접착프라이머층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과; 보강시트을 제조하는 보강시트 제조공정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를 부착하여 보강시트층을 형성시키는 보강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중간보강층 형성공정과;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1차표층 형성공정과;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난슬립층 형성공정을 거쳐 탄성바닥재 시공한다.
상기 라인 마킹단계는 최종적으로 상기 탄성바닥재의 상부에 아크릴계 도료로 라인 마킹을 하는 단계로 시공작업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탄성을 가지며 공극이 채워져 내구성이 향상되고 복원력이 뛰어난 충격흡수층을 가지며, 탄소섬유시트 재질의 보강시트층이 형성되어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고, 상부에 1차표층의 아크릴계 수지층과 난슬립층을 형성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니스 코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장, 다목적 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 시설에 적합하다.

Claims (9)

  1.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탄성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닥재는 최하층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흡수층과;
    상기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계열의 실링제로 채워져서 상기 충격흡수층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주어 탄성률을 높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극채움층과;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과 상층과의 접착력과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역할을 하는 접착프라이머층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층의 내열성과,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 두께의 탄소섬유시트로 만들어진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의 표층과의 중간층 역할을 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간보강층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표층을 형성하며, 표면의 마이크로 크랙을 방지하여 하부의 상기 중간보강층과 보강시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시설에 필요한 평탄성, 치밀성, 불투수성 및 자외선을 흡수하는 1차표층; 및
    상기 1차표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최종 표층을 구성하고, 운동하는 선수의 미끄름을 방지하는 난슬립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층은 재생타이어 분말과 재생고무분말을 포함하는 재활용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 0.1~10 중량부와, 상기 재활용 고무를 한 덩어리로 결합해주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바인더 수지가 0.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2~5mm, 두께로 압착되어 쇼어 경도 55~70Hs의 고무패드로 제조되고,
    상기 개질제는 스티렌뷰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뷰타디엔고무(SBR), SBR라텍스, 스티렌이스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뷰타디엔스티렌(SEBS), 천연고무분말, 액상천연고무, 천연고무분말, 이피디엠분말(EPDM Powder),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수지, 폴리우레탄(PU) 분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5 중량부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50~150 중량부와, 물 20~10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고,
    상기 접착프라이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은 상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고,
    상기 중간보강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70~250 중량부와,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안료 30~100 중량부와, 물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되며,
    상기 1차표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난슬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50~20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페논(Benzophenone) 또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0.1~5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와,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열성,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도포되고,
    상기 난슬립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10~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50 중량부와, 미끄럼을 방지하고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방출되는 견운모 분말 20~60 중량부와, 난스립제로서 실리카 크리스탈라인(Silica Crystaline, SiO2) 40~150 중량부와, 착색제로서 크롬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Cr2O3) 10~50 중량부와, 물 10~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슬립층은 추가로 자외선 안정제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s), 켄처(Quenchers), 과산화물 분해제(Hydroperoxide Decomposers), 라디칼 포착제(Radical Scavengers)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중간보강층과 1차표층 및 난슬립층은 추가로 수지의 용해와 점도 조절을 위한 희석제 0.1~5 중량부와, 수지와 분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제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희석제는 반응성 희석제일 때는 부틸글리시딜에테르, 폐닐글리시딜에테르, 카복실릭 글리시딜에테르, 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에폭시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고, 비반응성 희석제일 때는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셀로솔브,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분산제는 도데실황산나트륨(SDS, Sodium Dodecylsulfate), 나프탈렌설폰산(NSF, Beta-naphthalene sulfonic Acid),스테아르산칼슘(Calcium Stearate) 또는 석신이미드(Succinimide)계를 사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제 1항의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재활용 고무에 개질제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를 제조하여 충격흡수층을 제조하는 충격흡수층 제조공정과;
    상기 충격흡수층에 폴리우레탄 계열을 실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의 공극을 채워 공극채움층을 형성시키는 공극 채움공정과;
    접착프라이머층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공극채움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접착프라이머층 형성공정과;
    보강시트을 제조하는 보강시트 제조공정과;
    상기 접착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상기 보강시트를 부착하여 보강시트층을 형성시키는 보강시트 부착공정과;
    상기 중간보강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보강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여 중간보강층을 형성시키는 중간보강층 형성공정과;
    상기 1차표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중간보강층 상부에 도포하여 1차표층을 형성시키는 1차표층 형성공정과;
    상기 난슬립층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1차표층 상부에 도포하여 난슬립층을 형성시키는 난슬립층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9.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 발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제 1항의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상기 탄성바닥재 하부의 기층을 조성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하거나, 기존의 기층을 보수하는 하부기층 조성 또는 하부기층 보수단계와;
    상기 하부기층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기층용 프라이머층 형성시키는 기층프라이머 도포단계와;
    기층프라이머층 상부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탄성바닥재를 청구항 제 8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설치하는 탄성바닥재 제조 설치단계와;
    상기 탄성바닥재의 상부에 아크릴계 도료로 라인 마킹을 하는 라인 마킹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0190021811A 2019-02-25 2019-02-25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202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11A KR102020039B1 (ko) 2019-02-25 2019-02-25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11A KR102020039B1 (ko) 2019-02-25 2019-02-25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039B1 true KR102020039B1 (ko) 2019-11-04

Family

ID=6857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11A KR102020039B1 (ko) 2019-02-25 2019-02-25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0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63B1 (ko) * 2021-06-21 2021-09-30 에이치그라운드 주식회사 친환경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8026B1 (ko) 2022-01-24 2022-04-19 주식회사 베노 온도저감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스포츠시설용 아크릴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2131A (ko) * 2021-01-12 2022-07-19 (주)대건씨앤엘 Pva와 축광안료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 코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4960344A (zh) * 2022-06-17 2022-08-30 广东高捷体育产业有限公司 运动场地结构和耐刻划防滑场地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22Y1 (ko) 2003-06-20 2003-09-03 흥 곤 선 탄성 바닥재
KR100530647B1 (ko) * 2003-08-14 2005-11-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KR100639933B1 (ko) 2005-07-27 2006-11-01 리바운드이엔씨 주식회사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 그 탄성바닥재 및스포츠 시설 바닥면 시공방법.
KR100667364B1 (ko) * 2006-02-03 2007-01-10 주식회사 소일콘 저온 내충격성 및 표면광택이 우수한 우레탄 탄성포장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포장체
KR101050213B1 (ko) 2011-02-11 2011-07-19 (주)금강페이버 탄성 바닥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1081484B1 (ko) 2010-11-05 2011-11-15 주식회사 애플그린 스포츠시설 및 어린이 놀이터용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KR20130011390A (ko) * 2011-07-21 2013-01-30 안창기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
KR101282837B1 (ko) * 2013-03-08 2013-07-05 주식회사 베노 난슬립 전천후 경기장 마감재 및 이를 사용한 경기장 표층
KR101325024B1 (ko) 2013-04-16 2013-11-0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테니스 코트용 난슬립 바닥재의 시공방법 및 그의 상도층 조성물
KR101426488B1 (ko) 2013-04-25 2014-08-05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037B1 (ko) * 2013-06-14 2014-09-18 광진산업(주) 타이어칩을 사용한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762172B1 (ko) * 2017-01-06 2017-07-27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탄성 및 경도가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체육시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22Y1 (ko) 2003-06-20 2003-09-03 흥 곤 선 탄성 바닥재
KR100530647B1 (ko) * 2003-08-14 2005-11-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KR100639933B1 (ko) 2005-07-27 2006-11-01 리바운드이엔씨 주식회사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 그 탄성바닥재 및스포츠 시설 바닥면 시공방법.
KR100667364B1 (ko) * 2006-02-03 2007-01-10 주식회사 소일콘 저온 내충격성 및 표면광택이 우수한 우레탄 탄성포장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포장체
KR101081484B1 (ko) 2010-11-05 2011-11-15 주식회사 애플그린 스포츠시설 및 어린이 놀이터용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KR101050213B1 (ko) 2011-02-11 2011-07-19 (주)금강페이버 탄성 바닥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11390A (ko) * 2011-07-21 2013-01-30 안창기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
KR101282837B1 (ko) * 2013-03-08 2013-07-05 주식회사 베노 난슬립 전천후 경기장 마감재 및 이를 사용한 경기장 표층
KR101325024B1 (ko) 2013-04-16 2013-11-0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테니스 코트용 난슬립 바닥재의 시공방법 및 그의 상도층 조성물
KR101426488B1 (ko) 2013-04-25 2014-08-05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037B1 (ko) * 2013-06-14 2014-09-18 광진산업(주) 타이어칩을 사용한 탄성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762172B1 (ko) * 2017-01-06 2017-07-27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탄성 및 경도가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체육시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31A (ko) * 2021-01-12 2022-07-19 (주)대건씨앤엘 Pva와 축광안료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 코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7341B1 (ko) * 2021-01-12 2023-12-06 (주)대건씨앤엘 Pva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 코트
KR102305763B1 (ko) * 2021-06-21 2021-09-30 에이치그라운드 주식회사 친환경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8026B1 (ko) 2022-01-24 2022-04-19 주식회사 베노 온도저감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스포츠시설용 아크릴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60344A (zh) * 2022-06-17 2022-08-30 广东高捷体育产业有限公司 运动场地结构和耐刻划防滑场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39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784950B1 (ko)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US6896964B2 (en) Treated rubber and products made therefrom
KR20120118015A (ko) 복합 포장 구조물
KR102209863B1 (ko)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JPH01502763A (ja) スポーツ用サーフェス
NL2015377B1 (en) PERS comprising coated particles.
KR101449677B1 (ko) 스포츠 시설물 도포용 탄성 바닥 코팅재
KR100639933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 그 탄성바닥재 및스포츠 시설 바닥면 시공방법.
KR100784455B1 (ko) 다양한 용도의 바닥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330774A (zh) 一种健身绿道用高强耐磨复合弹性地坪系统及其制备方法
US20110278757A1 (en) Unitary mat for playgrounds and the lik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2289428B1 (ko) 미세먼지흡착, 방수, 제설 및 차열효과를 가지는 다기능 아스팔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
KR102186680B1 (ko) 어린이 놀이시설용 현장 포설형 탄성포장재
CN209024921U (zh) 一种健身绿道用高强耐磨复合弹性地坪系统
KR100938212B1 (ko) 보행로 포장재 조성물
JP4382966B2 (ja) 弾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6488B1 (ko)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88026B1 (ko) 온도저감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스포츠시설용 아크릴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9840B1 (ko) 메쉬층이 형성된 탄성바닥재
KR102012704B1 (ko) 코르크칩-함유 친환경 탄성포장재 조성물
JP2655387B2 (ja) 舗装用弾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413094B1 (ko) 스포츠용 바닥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170A (ko) 광석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 포장재
CN111074725A (zh) 一种复合型塑胶跑道及其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