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647B1 -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 Google Patents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647B1
KR100530647B1 KR10-2003-0056401A KR20030056401A KR100530647B1 KR 100530647 B1 KR100530647 B1 KR 100530647B1 KR 20030056401 A KR20030056401 A KR 20030056401A KR 100530647 B1 KR100530647 B1 KR 10053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fiber
fiber sheet
thermoplastic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497A (ko
Inventor
정훈희
윤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6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적층하여 별도의 수지를 사용하여 함침시켜 경화시키는 복합재료 적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국부적으로 융착되어 있어 일방향 강화섬유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수지의 침투성이 우수하여 보강현장에서 보강효과를 증대시키는 보강용 강화섬유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Reinforced fiber shee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등의 수작업에 의한 시트 적층과 별도의 수지를 현장에서 함침시켜 경화시키는 복합재료 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층과 상기 강화섬유층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수지의 침투성이 우수하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의 흐트러짐에 의한 방향성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 시이트를 직물 강화섬유시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취급성이 개선된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각 또는 건축물의 빔이나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화섬유 시이트를 사용하여 보강하거나 보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부위를 그라인더 등으로 연마하여 콘크리트 표면처리를 하고, 에폭시 퍼티 등으로 굴곡된 부위를 평활화 시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이후 상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보강섬유 시트를 부착시켜 탈포 롤러로 문질러서 도포된 에폭시 수지를 보강섬유 시트에 스며들도록 함침 공정을 수행하고 부착된 강화섬유 시트 표면에 다시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콘크리트에 부착된 강화섬유시트를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보강 및 보수하게 된다.
이때 강화섬유 시트는 직물상태 또는 일방향으로 배열시킨 강화섬유시이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직물 상으로 배열된 강화섬유 시이트의 경우, 강화섬유의 위사와 경사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섬유의 굴곡이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이 저하되어 충분한 보강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직물 상으로 배열된 섬유강화 시트 재료보다는 일방향으로 배열된 섬유강화 복합재료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 3-222,734 호 및 평 3-224,901 호에서는 지지체층위에 강화섬유를 접착제 층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배열시킨 강화섬유 시이트가 제시되어 있고, 이러한 강화섬유시이트는 붙이기 전 또는 붙인 후에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서 경화시키는 접착 방법에 의해 건축물이나 교량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장소 표면에 접착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강화섬유 시트는 강화섬유를 일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는 강화섬유를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키거나 또는 지지체층 상단부를 에폭시 수지 또는 불포화 에스테르 화합물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전히 코팅하여 강화섬유층에 지지체층을 접착하게 된다. 이러한 강화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보강을 행할 때 접착제 층에 의해 보강현장에서 수행하는 함침공정에서 수지의 침투가 억제되는 문제가 있으며, 지지체는 보강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단지 현장 시공시의 취급성을 위해 일방향 강화섬유층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런 함침공정에서의 수지 침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방향 강화섬유층에 지지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국부적으로 코팅하여 지지체를 접착하는 방법 대한민국특허 제10-264137호에 제시되었다. 또한 망직물 지지체를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망직물 지지체를 가열, 가압하여 강화섬유 시트에 융착시켜 결합시킨 제조방법이 대한민국특허 제10-225919호에 제시되었다.
이러한 지지체는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취급시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의 폭 방향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것으로서,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취급성을 보완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지체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층으로 인하여 보강현장에서 수행하는 수지의 함침공정에서 수지의 함침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미국특허 제10-264137호에서는 접착제층을 국부적으로 코팅하는 방법은 접착제 코팅 부위를 최소화하여 수지의 함침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를 개선하였으나, 지지체 접착부위가 적은 문제로 인하여 시공시 탈포 롤러 작업과정에서 접착제 코팅 부위가 없는 부위에서 지지체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시공 후에 분리된 지지체 들이 그대로 나타나서 외관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지체가 붙어 있지 않은 반대면에서는 시공 시 함침과정에서 수지 유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 배열이 흐트러짐으로써 방향성 강도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 제10-225919호에 제시된 망직물 지지체를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 시킨 후 일방향 강화섬유층에 가열가압하여 결합시킨 방법은 지지체가 부착되지 않은 면에서 강화섬유층들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섬유시트 층 양면에 지지체를 융착시킬 경우 시공시 강화섬유시트를 여러장 적층하여야 하므로 지지체끼리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강화섬유시트의 층간에 접착 강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지체 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지체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프리프레그의 일부분만을 열경화성 수지 또는 상온경화형 수지로 함침시켜서 강화섬유 시트로 사용하는 다점함침 프리프레그가 대한민국특허 제10-026285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경화성 수지나 상온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강화섬유층에 국부적으로 함침시키는 방법은 제품의 보관중에 국부적으로 함침된 수지가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장기간 보관에 따른 물성의 변화와 수지의 경화문제로 제품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제품을 냉장보관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화섬유 시트를 사용 취급함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나 상온경화형 수지의 국부적 함침방법은 지지체가 없으므로 일방향 강화섬유시트의 취급시에 폭방향 갈라짐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화섬유층과 상기 강화섬유층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시공시 수지의 침투성이 우수하고, 강화섬유의 분할이 거의 생기지 않으면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의 흐트러짐에 의한 방향성 강도저하를 방지하여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를 직물 강화섬유시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취급성이 개선되고, 유리섬유 지지체와 같은 별도의 지지체층이 없는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강화섬유를 일 방향으로 배열시킨 강화섬유 시트에서 나타나는 수지의 침투력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의 보강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지체를 제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이형지 위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국부적으로 형성시키고 그 위에 강화섬유를 일방향으로 배열시켜서 열가소성 수지층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융착시켜서 일방향 강화섬유를 지지하도록 하여, 취급시에는 강화섬유가 열가소성 수지층과 양호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보강 현장에서는 우수한 수지 침투력을 갖도록 하므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성 강화섬유 시트에 있어서,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국부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성 강화 섬유시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국부적으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를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닿도록 배열시킨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에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의 일면에 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메쉬(Mesh)모양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1)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1)은 상기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에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모양은 그라비아 코팅 방식에서 코팅 롤 표면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코팅이 가능하며, 이를 도 2a, 2b 및 2c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수지 침투성의 향상과 강화섬유 시이트의 취급시 폭방향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는 일정한 폭을 갖는 실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실선형 수지로 된 열가소성 수지층(1)은 도2a, 2b 및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로스형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또는 사각형 모양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메쉬(Mesh)형태를 갖거나(도 2a 및 2c 참조), 강화섬유층의 강화섬유 배열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코팅되어 직각을 이루는 것(도 2b 참조)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1)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강화섬유층(3)과 이형지(2)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융착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형지(2)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1)은 코팅 면적이 작을수록 시공현장에서의 수지 함침이 용이하지만,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를 지지해주는 면적이 작아져서 취급시에 강화섬유가 쉽게 손상되어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의 배열이 흐트러지거나 갈라지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 코팅 면적이 강화섬유층(3)의 한 면의 면적의 8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8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5%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층(3)을 지지해주는 힘이 약해지게 되므로 취급시에 강화섬유층(3)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고,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강현장에서 상온 경화 수지의 함침과정에서 상온경화 수지의 침투성이 낮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무게 비율은 전체 강화섬유 시이트의 20%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형지(2) 또는 이형필름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1)을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닿도록 배열시킨 후 강화섬유층(3)에 접착시켜 30∼200℃의 범위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열융착시켜 강화섬유 시이트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는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형지(2)와 상기 이형지(2)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1, 1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융착되어 있는 강화섬유층(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상기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융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의 예로서, 도 3은 열가소성 수지층(1)이 강화섬유층(3)의 일면에 융착되어 형성된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의 예시도로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형지(2)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1)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강화섬유층(3)의 일면에 융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열과 압력을 가하는 방식은 강화섬유층(3)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상에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을 강화섬유층에 접촉시킨 후, 상하로 배치된 고온(120℃)의 금속 롤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에 융착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강화섬유층의 한 면에만 열가소성 수지층을 융착시키는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층이 융착되지 않은 강화섬유층의 반대면을 지지해 주지 못하므로 강화섬유시트의 취급과정에서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가 분리되어 헝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보강현장에서 상온 경화형 수지의 함침과정에서 수지의 유동에 의해 강화섬유의 배열이 흐트러지게 되어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강화섬유층의 양면에 국부적으로 융착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섬유층(3)은 강화섬유를 단위면적당 100∼400 g/㎡가 되도록 일방향으로 배열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300g/㎡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100g/㎡미만일 경우에는 보강효과를 위해 강화섬유 시트를2장 이상 반복하여 시공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400g/㎡를 초과할 경우에는 시공시 함침과정에서 보강섬유 시트가 두꺼우므로 수지의 충분한 함침 공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층(1, 11)이 강화섬유층(3)의 양면에 융착시킨 후 한쪽 면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보강성 강화섬유 시트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제품 구성은 강화섬유 시이트의 취급시에 강화섬유층(3)이 분리되지 않으며, 시공시 상온 경화수지의 유동이 있어도 강화섬유의 일방향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국부적으로 융착된 열가소성 수지층(1, 11)이 일방향 강화섬유층(3)을 양면에서 지지해 주므로 취급성도 더욱 양호해 진다. 또한 제품 구성에 속한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는 제품 제조시에 모두 수거하여 반복하여 사용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시공 현장에 분진 등의 오염물이 많이 있으므로 이로부터 제품의 오염방지를 위해 제품 제조시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2)를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한쪽 면에 그대로 부착시켜 제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였고, 강화섬유는 일본 미쓰비시레인온社 제품인 탄소섬유 TR50(인장강도 500 kg/㎟, 인장탄성 24,000 kg/㎟)을 사용하였다.
먼저 이형지(2)의 일면에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단위 면적당 6∼7 g/㎡ 정도로 폭방향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쉬(Mesh)형 모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국부적으로 코팅을 하였으며, 상기 코팅 면적은 강화섬유층 일면 전체면적의 25%정도가 되도록 하였다.
강화섬유층은 일본 미쓰비시레인온社 제품인 탄소섬유 TR50(인장강도 500 kg/㎟, 인장탄성 24,000 kg/㎟)을 사용하여 단위면적당 200g/㎡가 되도록 하여 일방향으로 배열하였다. 상기 이형지에 그라비아 방식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를 강화섬유층의 일면에 닿도록 배열시킨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에 융착되도록 하여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를 상온 경화수지(SK케미칼에서 판매하는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의 표준형 제품인 SKRN)에 함침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7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키고, 경화된 상기 시이트 층을 폭 13mm, 길이 250 mm 의 시편 크기로 잘라내고 양단에 길이 50mm의 탭(tab)을 부착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였다. (상세 시험시편 및 시험방법은 ASTM D3039 참조).
또한, 콘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를 수행하여 건조시킨 후에 상온경화 수지인 SKRN을 도포하고 본 발명의 강화섬유시트를 부착시킨 후, 다시 상온 경화수지를 사용하여 함침시키고 7일간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이렇게 경화된 강화 섬유시트 표면에 가로세로 40㎜인 철편(steel plate)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고, 철편의 주변을 깊이 3㎜ 정도로 그라인더로 파내고 철편을 잡아당겨 큰크리트가 뽑혀져 나오는 인장하중을 측정하므로써 콘크리트 접착강도를 시험하였다.(상세 시험시편 및 시험방법은 JIS K5400 참조).
상기와 같이 시험한 인장강도 및 콘크리트 접착강도 시험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2]
탄소섬유 함량이 단위면적당 300 g/㎡ 가 되도록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이트를 제조하여 동일한 형태의 시험편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형태의 시험편을 제조하여 인장강도 및 콘크리트 접착강도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종래의 유리섬유 지지체(mesh)가 부착된 탄소섬유 보강시트 SK-N200(단위면적당 탄소섬유 함량 ; 200 g/㎡)제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형태의 시험편을 제조하였고,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콘크리트 접착강도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종래의 유리섬유 지지체(mesh)가 부착된 탄소섬유 보강시트 SK-N300(단위면적당 탄소섬유 함량 ; 300 g/㎡)제품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형태의 시험편을 제조하였고,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콘크리트 접착강도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단위: kg/cm)
시편 번호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12345 398.8487.7422.0390.0411.3 559.6754.3618.7595.9716.0 454.1470.9440.3452.8424.5 746.2691.4757.5702.1695.5
평균 값 421.9 648.9 448.5 718.5
* 시험방법 ; ASTM D3039
콘크리트 접착강도
(단위: kg/㎠)
시편 번호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1 ply 시공2 ply 시공 22.123.5 24.122.8 23.223.4 25.526.9
평균 값 22.8 23.4 23.3 26.2
* 시험방법 ; JIS K5400
상기 기계적 물성 평가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는 기존에 사용되던 유리섬유 지지체가 부착된 탄소섬유 보강시트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6∼10%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방향 강화섬유시트의 한 면에 유리섬유 지지체가 부착된 제품은 유리섬유 지지체가 없는 면에서는 시공시 함침과정에서 수지의 유동에 의해 일방향 강화섬유 배열이 흐트러 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인장강도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반면에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국부적으로 융착된 제품은 함침과정에서 상온 경화형 수지의 유동이 있어도 열가소성 수지가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여 강화섬유의 배열을 유지하게 되므로 인장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일방향 강화섬유 시트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국부적으로 융착된 제품은 함침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접착강도도 기존 제품에 비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층에 의해 콘크리트 접착 강도의 저하 또는 여러 층을 적층하여 시공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층간 접착강도에도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는, 지지체를 강화섬유층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별도로 코팅되어 있지 않아서 시공 현장에서 수행하는 수지 함침공정에서, 수지 침투성이 우수하고, 열가소성 수지층에 의해 강화섬유를 지지해 주므로 수지 유동에 의한 인장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취급성도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는 지지체와 접착제층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하여 이형지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코팅한 후 강화섬유층에 융착시키므로써 별도의 지지체 및 접착제층을 없애고 제품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비용절감을 효과를 얻었으며, 시공시 요구되는 제품의 물성을 유지시켜 취급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에 메쉬(Mesh)모양으로 코팅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된 모양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의 일면에 융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의 양면에 융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7)

  1. 보강성 강화섬유 시트에 있어서,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국부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강화섬유층의 일면 전체 면적의 80% 이하가 되도록 국부적으로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우레탄, 비닐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층은 단위면적당 섬유중량(FWA) 100~400 g/㎡ 범위에서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무게 비율이 전체 강화섬유 시이트의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
  7. 보강성 강화 섬유시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의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국부적으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를 강화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섬유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닿도록 배열시킨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국부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강화섬유층에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성 강화섬유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2003-0056401A 2003-08-14 2003-08-14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KR10053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01A KR100530647B1 (ko) 2003-08-14 2003-08-14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401A KR100530647B1 (ko) 2003-08-14 2003-08-14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497A KR20050018497A (ko) 2005-02-23
KR100530647B1 true KR100530647B1 (ko) 2005-11-22

Family

ID=3722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401A KR100530647B1 (ko) 2003-08-14 2003-08-14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6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78B1 (ko) 2009-09-30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일방향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혼성 복합재료
KR102020039B1 (ko) * 2019-02-25 2019-11-04 주식회사 오륜스포츠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83B1 (ko) * 2010-11-16 2011-06-16 (유)한국기계 구조물 보강용 내진강화섬유시트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1607362B1 (ko) 2012-12-21 2016-03-30 (주)엘지하우시스 복합재료 제조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재료, 복합재료 제조 방법
KR102156131B1 (ko) * 2019-06-20 2020-09-16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개량형 섬유 보강재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량형 섬유 보강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78B1 (ko) 2009-09-30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일방향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혼성 복합재료
KR102020039B1 (ko) * 2019-02-25 2019-11-04 주식회사 오륜스포츠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497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0407C2 (ru) Тонкослойные ламинаты
JP3693426B2 (ja) 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45678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ue-laminated wood structural member with synthetic fiber reinforcement
JPH10510015A (ja) 強化木質構造部材
EP0645239B1 (en) Reinforcing fiber sheet and structure reinforced thereby
US6281148B1 (en) Resin starved impregnated panels, wood composites utilizing said pan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722714B2 (ja) 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工法
US5747151A (en) Glue-laminated wood structural member with sacrificial edges
KR100530647B1 (ko)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JPH0575575B2 (ko)
JPH01197532A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による構築物強化方法
JP5041976B2 (ja) 母材の補強方法
TWI832842B (zh) 構造物之補強用積層材料、補強方法及補強構造體
KR102066538B1 (ko)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03551B1 (ko)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RU263401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изделия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EP2148776B1 (en) A watertight composite support for bituminous membranes with limited thickness and weight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264137B1 (ko)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US6331340B1 (en) Honeycomb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17017246A1 (en)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with high energy absorption and process for its realization
AU2016204704B2 (en) Novel pool shell and method
EP1724297B1 (en) Wooden blockboard
CN111566064B (zh) 具有改进的疲劳性能的纤维增强的材料
JP3220540B2 (ja) 一方向配列強化繊維シートによるコンクリート補修方法
KR100896766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통기성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