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405B1 - 금형 냉각홀 마개 - Google Patents
금형 냉각홀 마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7405B1 KR101197405B1 KR1020120068996A KR20120068996A KR101197405B1 KR 101197405 B1 KR101197405 B1 KR 101197405B1 KR 1020120068996 A KR1020120068996 A KR 1020120068996A KR 20120068996 A KR20120068996 A KR 20120068996A KR 101197405 B1 KR101197405 B1 KR 101197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pressing member
- cooling hole
- nut
- tigh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냉각홀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는,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제1,2링가압부재 사이 및 제2링가압부재와 링확대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된 2단의 제1,2분할링 역시 2, 3차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이 밀폐 및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의 내경과 조임볼트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금형 사용 중에 고무링이 파손되더라도 확대된 제1,2분할링의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지 않고 그 확대된 직경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냉각홀의 내부압력 작용에 의한 2단의 제1,2분할링 자체가 밀리지 않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무링의 파손에 따른 분할링의 직경 감소와 함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는,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제1,2링가압부재 사이 및 제2링가압부재와 링확대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된 2단의 제1,2분할링 역시 2, 3차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이 밀폐 및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의 내경과 조임볼트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금형 사용 중에 고무링이 파손되더라도 확대된 제1,2분할링의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지 않고 그 확대된 직경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냉각홀의 내부압력 작용에 의한 2단의 제1,2분할링 자체가 밀리지 않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무링의 파손에 따른 분할링의 직경 감소와 함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하는데 사용되는 냉각홀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의 개방단부에 결착되는 냉각홀 마개에 대하여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제1,2링가압부재 사이 및 제2링가압부재와 링확대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된 2단의 제1,2분할링 역시 2, 3차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이 밀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냉각홀 내에 수용된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의 내경과 조임볼트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금형 사용 중에 고무링이 파손되더라도 너트가압부재의 중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제1링가압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걸림작용을 통해확대된 제1,2분할링의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지 않고 그 확대된 직경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냉각홀의 내부압력 작용에 의한 2단의 제1,2분할링 자체가 밀리지 않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무링의 파손에 따른 분할링의 직경 감소와 함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형 냉각홀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수지를 캐비티에 주입하여 일정시간 냉각시킨 후 상기 캐비티에서 물품을 빼내는 등 여러 모양의 물품이나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을 사출금형이라 하며, 이러한 사출금형에는 캐비티 내에 주입된 고온의 수지를 빨리 냉각시키기 위해 여러 경로의 냉각홀을 형성하여 여기에 냉각수를 주입해 주된 냉각 목적 부위인 캐비티와 함께 금형 전체 또한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의 냉각홀에 주입되는 냉각수는 물 등 액상물질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냉각홀 내에 냉각수를 담아 놓기 위해서는 상기 냉각홀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의 개방단부에 필수적으로 냉각홀 마개를 결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홀(C)의 개방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각홀 마개(1)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조임볼트(13)의 헤드부분과 분할링(14)이 각각 대응 접촉되도록 내측경사부(11)와 외측경사부(12)를 갖는 링확대부재(10)와; 상기 링확대부재(10)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분할링(14)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링확대부재(10) 측으로 이송되면서 분할링(14)을 가압해 링확대부재(10)의 외측경사부(12)를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링가압부재(15)와; 상기 링확대부재(10)를 통해 삽입 관통된 조임볼트(13)와 체결되면서 링가압부재(15)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링가압부재(15) 측으로 이송되면서 링확대부재(10), 링가압부재(15)에 작용되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너트가압부재(30)와; 상기 링가압부재(15)와 너트가압부재(30) 사이에 설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이를 통해 링가압부재(15) 측으로 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됨과 함께 냉각홀(C)을 밀폐시키는 고무링(40)과; 상기 링가압부재(15)와 링확대부재(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의 확대 팽창과 함께 링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C)에 견착되는 분할링(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각홀 마개(1)의 경우 본 출원인이 "파이프 마개"라는 물품으로 선출원하여 디자인 등록(등록번호 제30-0475307호)을 통해 개시한 바 있는데, 이는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C)의 개방단부에 결착되는 냉각홀 마개(1)에 대하여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13)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의 확대 팽창과 함께 링가압부재(15)와 링확대부재(10) 사이에 설치된 분할링(14) 또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C)이 밀폐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40)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1)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3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40)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15)의 내경과 조임볼트(13)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어 상기 냉각홀(C)로부터 냉각수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냉각홀 마개(1)에 있어,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40)의 열화작용이나 고무링(40)의 크랙 발생으로 인한 조직이 파괴될 경우 상기 고무링(40)의 확대 팽창된 직경이 감소함에 따른 분할링(14) 역시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게 되는 단점과 함께, 냉각홀(C)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14) 즉, 직경이 급격히 감소된 분할링(14) 자체가 외부로 밀리게 되면서 결국에는 총알과 같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의 개방단부에 결착되는 냉각홀 마개에 대하여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제1,2링가압부재 사이 및 제2링가압부재와 링확대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1,2분할링 역시 2, 3차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이 밀폐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냉각홀 내에 수용된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의 내경과 조임볼트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금형 사용 중에 고무링이 파손되더라도 너트가압부재의 중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제1링가압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걸림작용을 통해 확대된 제1,2분할링의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지 않고 그 확대된 직경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냉각홀의 내부압력 작용에 의한 제1,2분할링 자체가 밀리지 않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무링의 파손에 따른 분할링의 직경 감소와 함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형 냉각홀 마개는, 조임볼트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부분과 제2분할링이 각각 대응 접촉되도록 내측경사부와 외측경사부를 갖는 링확대부재와; 상기 링확대부재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2분할링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의 조임작용에 따라 링확대부재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분할링을 가압해 링확대부재의 외측경사부를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분할링의 상단과 대응 접촉되도록 하단경사부를 갖는 제2링가압부재와; 상기 링확대부재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1분할링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의 조임작용에 따라 제2링가압부재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1분할링을 가압해 제2링가압부재의 하단경사부를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분할링의 하단과 대응 접촉되도록 상단경사부를 갖는 제1링가압부재와; 상기 링확대부재를 통해 삽입 관통된 조임볼트와 체결되면서 제1링가압부재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 측으로 이송되면서 링확대부재, 제2링가압부재, 제1링가압부재에 작용되는 가압력을 부여하는 너트가압부재와; 상기 제1링가압부재와 너트가압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조임볼트의 조임 시 이를 통해 제1링가압부재 측으로 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됨과 함께 냉각홀을 1차적으로 밀폐시키는 고무링과; 상기 제1링가압부재와 제2링가압부재 사이 및 상기 제2링가압부재와 링확대부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링의 직경이 2, 3차 순차적으로 확대되면서 냉각홀에 견착되는 제1분할링 및 제2분할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홀 내에 수용된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금형의 내부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한 고무링의 열화작용이나 냉각홀 마개의 체결 시 볼트 조임에 따른 마개 최하단인 너트가압부재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무링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링가압부재의 내경과 조임볼트 간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크랙과 함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 사용 중에 고무링이 파손되더라도 너트가압부재의 중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제1링가압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걸림작용을 통해 확대된 제1,2분할링의 직경이 급격히 축소되지 않고 그 확대된 직경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냉각홀의 내부압력 작용에 의한 제1,2분할링 자체가 밀리지 않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무링의 파손에 따른 분할링의 직경 감소와 함께 내부압력 작용에 따른 분할링이 외부로 발사되어 주위의 작업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금형 냉각홀 마개를 개락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 냉각홀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 중 너트가압부재의 중간단부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냉각홀 체결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 냉각홀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 중 너트가압부재의 중간단부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냉각홀 체결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금형 냉각홀 마개(이하, 냉각홀 마개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 냉각홀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냉각홀 마개(1)와 동일구조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C)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홀(C)의 개방단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조임볼트(13)의 헤드부분과 제2분할링(37)이 각각 대응 접촉되도록 내측경사부(11)와 외측경사부(12)를 갖는 링확대부재(10)와; 상기 링확대부재(10)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2분할링(37)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링확대부재(10)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분할링(37)을 가압해 링확대부재(10)의 외측경사부(12)를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제2링가압부재(20)와; 상기 링확대부재(10)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1분할링(35)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제2링가압부재(20)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1분할링(35)을 가압해 제2링가압부재(20)의 하단을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제1링가압부재(25)와; 상기 링확대부재(10)를 통해 삽입 관통된 조임볼트(13)와 체결되면서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1차 고무링의 가압과 함께 제1링가압부재(25), 제2링가압부재(20), 링확대부재(10)에 순차적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너트가압부재(30a)와;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와 너트가압부재(30a) 사이에 설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이를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되어 냉각홀(C)을 1차적으로 밀폐시키는 고무링(40a)과;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와 제2링가압부재(20) 사이 및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와 링확대부재(1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a)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a)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링(35,37)의 직경이 2, 3차 순차적으로 확대되면서 냉각홀(C)에 견착되는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링확대부재(10)의 경우 전체형상이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단축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링확대부재(10)의 내측에는 접시머리 형태를 취하고 있는 조임볼트(13)의 헤드부분이 대응 접촉되도록 호퍼형태와 같이 경사진 내측경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확대부재(10)의 외측에는 하단부에 제2분할링(37)이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제2링가압부재(20)가 링확대부재(10)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분할링(37)을 가압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한 외측경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의 경우 앞서 밝힌 링확대부재(10)와 마찬가지로, 전체형상이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단축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의 하단에는 제1분할링(35)의 상단과 대응 접촉되기 위한 하단경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경우 앞서 밝힌 제2링가압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전체형상이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단축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상단에는 제1분할링(35)의 하단과 대응 접촉되기 위한 상단경사부(2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상단경사부(26)의 경우 제2분할링(37)의 하단경사부(21)와 서로 마주보는 대응된 동일 각도로 경사져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의 경사각도 보다는 작게 즉,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 또는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의 경사각도에 비해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의 경사각도가 크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와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의 혼합각도 보다는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의 경사각도가 작게 형성되어야 함이 토크렌치를 이용한 체결 시 조임볼트(13)의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a)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a)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제1,2링가압부재(20,25) 사이 및 제2링가압부재(20)와 링확대부재(10) 사이에 각각 설치된 2단의 제1,2분할링(35,37) 역시 2, 3차 순차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C)이 밀폐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개발 목적에 부합(符合)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의 경사각도는 30도 내지 35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상호 동일각도를 이루는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와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의 경사각도 모두 각각 25도 내지 30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의 경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1차 고무링의 가압과 함께 제1링가압부재(25), 제2링가압부재(20), 링확대부재(10)에 순차적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고무링(40a)이 삽착되도록 직경 단차를 갖는 원통체 즉, 상기 고무링(40a)이 삽입 위치되는 중간단부인 고무링삽입부(31)와, 상기 삽입된 고무링(40a)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지지턱(33)이 일체화된 하단부와, 내부에 조임볼트(13)와 체결되는 암나사홀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되는 고무링(40a)이 제1링가압부재(25)와 조임볼트(13) 사이로 끼임 방지와 함께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한 고무링(40a)의 압축량을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무링(40a)이 삽착되는 중간단부 끝단에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턱(34)의 형성 높이에 따라 고무링(40a)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아울러, 상기 걸림턱(34)의 상단에는 중간단부인 고무링삽입부(31)와 직경차를 갖으면서 상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 시 제1링가압부재(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가압부재(30a)의 이송작용을 안내하는 연결가이드부(32)가 더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의 중간단부 즉, 고무링삽입부(3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4)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한 고무링(40a)의 압축량을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무링(40a)의 파손 시에도 상기 걸림턱(34)이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밀착 지지되는 걸림작용을 통해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의 결속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냉각홀(C)로부터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가 분리되지 않게 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고무링(40a)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제1링가압부재(25)와 너트가압부재(30a) 사이에 설치되어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이를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되어 냉각홀(C)을 1차적으로 밀폐시키는 요소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외주면 중앙에 "V"자 형태의 홈이 1줄 또는 2줄 이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내열, 내압 및 내화성을 가지는 불소고무나 우레탄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제1링가압부재(25)와 제2링가압부재(20) 사이 및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와 링확대부재(1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a)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a)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링(35,37)의 직경이 2, 3차 순차적으로 확대되면서 냉각홀(C)에 견착되어 상기 냉각홀 마개(1a)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요소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링의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금속재질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각홀 마개(1a)의 구성요소 중 제1,2분할링(35,37)과 고무링(40a) 간의 설치위치를 경우에 따라 서로 바꾸는 등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2분할링(35,37)에 대한 설치 갯수 역시 금형의 크기나 압력에 따라 더 늘려 설치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 중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의 중간단부 즉, 고무링삽입부(3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4)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링(40a)이 삽착되는 너트가압부재(30a)의 고무링삽입부(31) 끝단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무링삽입부(31)와 대응되는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 내측으로 걸림턱(34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너트가압부재(30a)가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나선 이송되면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의 고무링삽입부(31) 상단이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4a)에 밀착되는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원하는 압력으로 고무링(40a)을 압축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걸림턱(34a)의 형성 위치는 앞서 밝힌 본 발명에 적용된 너트가압부재(30a)의 고무링삽입부 끝단이나,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 내측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목적한대로 상기 걸림턱(34a)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도 있음을 이 또한 미리 밝혀둔다.
이하,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C)을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로서 밀폐시키는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대한 금형 냉각홀 마개의 냉각홀 체결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C)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냉각홀(C)의 개방단부에 도 2 및 도 4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를 삽입한 다음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조임볼트(13)를 조이게 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13)의 나사 조임력에 의해 너트가압부재(30a)가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와 제1링가압부재(25) 사이에 설치된 고무링(40a)을 가압하여 길이방향으로 압축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너트가압부재(30a)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압축된 고무링(40a)은 직경이 확대 팽창되면서 상기 냉각홀(C)을 1차로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임볼트(13)의 나사 조임과 대응되어 직선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a)를 통해 고무링(40a)이 가압되어 직경이 확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볼트(13)를 더욱 조이게 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링(40a)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링가압부재(25) 역시 너트가압부재(30a)의 이송작용에 따라 제2링가압부재(20) 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1,2링가압부재(20,25) 사이 즉,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와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 사이에 설치된 제1분할링(35)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가압된 제1분할링(35) 역시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와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등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C) 내에 2차적으로 결착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조임볼트(13)의 나사 조임과 대응되어 직선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a)와 제1링가압부재(25)의 순차적 가압작용을 통해 1차 고무링(40a)과 2차 제1분할링(35) 이 순차적으로 가압되면서 각각 직경이 확대되어 이를 통해 상기 고무링(40a)은 냉각홀(C)을 밀폐시키고, 상기 제1분할링(35)은 냉각홀(C)에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볼트(13)를 더욱 더 조이게 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분할링(37)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링가압부재(20) 역시 너트가압부재(30a) 및 제1링가압부재(25)의 이송작용에 따라 링확대부재(10) 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와 링확대부재(10) 사이 즉,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와 제2링가압부재(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제2분할링(37)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가압된 제2분할링(37) 역시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를 따라 이송됨과 함께 직경이 확대되면서 냉각홀(C) 내에 3차적으로 결착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냉각홀(C)에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가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금형의 냉각홀(C)에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가 완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무링(40a)이 파손되더라도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의 중간단부인 고무링삽입부(3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4)이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밀착 지지되는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의 결속력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등 상기 냉각홀(C)로부터 본 발명의 냉각홀 마개(1a)가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냉각홀(C)에 고정된 냉각홀 마개(1a)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너트가압부재(30a)와 나사 체결된 조임볼트(13)의 조임력을 풀 경우 앞서 기술한 과정과 역순 즉, 제2분할링(37), 제1분할링(35), 고무링(40a) 순으로 직경의 축소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냉각홀(C)로부터 냉각홀 마개(1a)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a. 냉각홀 마개 10. 링확대부재
11. 내측경사부 12. 외측경사부
13. 조임볼트 20. 제2링가압부재
21. 하단경사부 25. 제1링가압부재
26. 상단경사부 30a. 너트가압부재
31. 고무링삽입부 32. 연결가이드부
33. 지지턱 34, 34a. 걸림턱
35. 제1분할링 37. 제2분할링
40a. 고무링 C. 냉각홀
11. 내측경사부 12. 외측경사부
13. 조임볼트 20. 제2링가압부재
21. 하단경사부 25. 제1링가압부재
26. 상단경사부 30a. 너트가압부재
31. 고무링삽입부 32. 연결가이드부
33. 지지턱 34, 34a. 걸림턱
35. 제1분할링 37. 제2분할링
40a. 고무링 C. 냉각홀
Claims (7)
-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홀(C)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각홀(C)의 개방단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냉각홀 마개(1a)에 있어서,
조임볼트(13)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조임볼트(13)의 헤드부분과 제2분할링(37)이 각각 대응 접촉되도록 내측경사부(11)와 외측경사부(12)를 갖는 링확대부재(10)와; 상기 링확대부재(10)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2분할링(37)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링확대부재(10)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분할링(37)을 가압해 링확대부재(10)의 외측경사부(12)를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제2링가압부재(20)와; 상기 링확대부재(10)와 동일하게 중앙이 관통되면서 제1분할링(35)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에 따라 제2링가압부재(20) 측으로 이송되면서 제1분할링(35)을 가압해 제2링가압부재(20)의 하단을 통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제1링가압부재(25)와; 상기 링확대부재(10)를 통해 삽입 관통된 조임볼트(13)와 체결되면서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위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나사이송작용을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면서 1차 고무링의 가압과 함께 제1링가압부재(25), 제2링가압부재(20), 링확대부재(10)에 순차적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너트가압부재(30a)와;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와 너트가압부재(30a) 사이에 설치되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이를 통해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이송되는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되어 냉각홀(C)을 1차적으로 밀폐시키는 고무링(40a)과;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와 제2링가압부재(20) 사이 및 상기 제2링가압부재(20)와 링확대부재(1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나사 조임력에 의한 너트가압부재(30a)의 압축작용을 통해 고무링(40a)의 1차 확대 팽창과 함께 링(35,37)의 직경이 2, 3차 순차적으로 확대되면서 냉각홀(C)에 견착되는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가압부재(30a)는 고무링(40a)이 삽착되는 중간단부와 함께 상기 삽입된 고무링(40a)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하단에 지지턱(33)이 일체화됨과 아울러 내부에 조임볼트(13)와 체결되는 암나사홀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해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대 팽창되는 고무링(40a)이 제1링가압부재(25)와 조임볼트(13) 사이로 끼임 방지와 함께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너트가압부재(30a)에 의한 고무링(40a)의 압축량을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무링(40a)이 삽착되는 중간단부 끝단에 걸림턱(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상단과 제2링가압부재(20)의 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대응된 동일 각도로 경사진 상단경사부(26)와 하단경사부(2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확대부재(10)측 외측경사부(12)의 경사각도는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 또는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 보다는 크고,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측 상단경사부(26)와 제2링가압부재(20)측 하단경사부(21)의 혼합각도 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4)의 상단에는 중간단부와 직경차를 갖으며, 조임볼트(13)의 조임작용 시 제1링가압부재(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가압부재(30a)의 이송작용을 안내하는 연결가이드부(32)가 더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 내측에는 조임볼트(13)의 조임 시 너트가압부재(30a)가 제1링가압부재(25) 측으로 나선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제1링가압부재(25)의 하단 내측에 밀착되는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압축량으로 고무링(40a)을 압축시키기 위한 걸림턱(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링(35) 및 제2분할링(37)은 일측이 절개되면서 스프링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홀 마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996A KR101197405B1 (ko) | 2012-06-27 | 2012-06-27 | 금형 냉각홀 마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996A KR101197405B1 (ko) | 2012-06-27 | 2012-06-27 | 금형 냉각홀 마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7405B1 true KR101197405B1 (ko) | 2012-11-05 |
Family
ID=4756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8996A KR101197405B1 (ko) | 2012-06-27 | 2012-06-27 | 금형 냉각홀 마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740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441B1 (ko) | 2013-06-26 | 2015-01-29 | 주식회사 이랜텍 | 금형의 냉각수유출방지마개 고정용 장치 |
WO2016021752A1 (ko) * | 2014-08-07 | 2016-02-11 | 장영현 | 금형 냉각수 유로 차단장치 |
KR20240001957A (ko) | 2022-06-28 | 2024-01-04 | 김용태 | 금형의 냉각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57890A (en) * | 1995-10-27 | 1997-08-19 | Lin; Ying-Feng | Stopper assembly for a mold opening |
JP3108169B2 (ja) * | 1991-11-29 | 2000-11-13 | 三洋電機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KR200393425Y1 (ko) * | 2005-05-26 | 2005-08-22 | 김기용 | 냉각파이프 마개 |
KR200442098Y1 (ko) * | 2008-05-20 | 2008-10-10 | 권헌대 | 냉각홀 고정마개 |
KR101041047B1 (ko) * | 2009-03-03 | 2011-06-13 | 추창오 | 유체홀 밀폐마개 |
-
2012
- 2012-06-27 KR KR1020120068996A patent/KR1011974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08169B2 (ja) * | 1991-11-29 | 2000-11-13 | 三洋電機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US5657890A (en) * | 1995-10-27 | 1997-08-19 | Lin; Ying-Feng | Stopper assembly for a mold opening |
KR200393425Y1 (ko) * | 2005-05-26 | 2005-08-22 | 김기용 | 냉각파이프 마개 |
KR200442098Y1 (ko) * | 2008-05-20 | 2008-10-10 | 권헌대 | 냉각홀 고정마개 |
KR101041047B1 (ko) * | 2009-03-03 | 2011-06-13 | 추창오 | 유체홀 밀폐마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441B1 (ko) | 2013-06-26 | 2015-01-29 | 주식회사 이랜텍 | 금형의 냉각수유출방지마개 고정용 장치 |
WO2016021752A1 (ko) * | 2014-08-07 | 2016-02-11 | 장영현 | 금형 냉각수 유로 차단장치 |
KR20240001957A (ko) | 2022-06-28 | 2024-01-04 | 김용태 | 금형의 냉각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7405B1 (ko) | 금형 냉각홀 마개 | |
CN101421491B (zh) | 使固体材料破裂的装置以及制造该装置的软管元件的方法 | |
US3653688A (en) | Pipe coupling device | |
US20130180705A1 (en) | Expanding elastomer/plug device for sealing bore hole and pipelines | |
KR101071652B1 (ko) | 압출 헤드 장치 | |
US8978709B2 (en) | Device for sealing a leak in a fluid-transport pipe | |
KR101169664B1 (ko) |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 |
JPS59156730A (ja) | ゴム状弾性成形体の内部金型離型方法 | |
KR101158727B1 (ko) | 금형 냉각수 마개 | |
US3195645A (en) | Packer back-up ring structure | |
CN104608893B (zh) | 非规则孔洞堵漏装置 | |
KR100864283B1 (ko) | 수도관 연결장치의 스토퍼 링 | |
US10094193B2 (en) | Blowout preventer with ram packer assemblies with support member | |
US20080309074A1 (en) | Device for connection of a tube to a structure | |
JPH06501072A (ja) | ドリルパイプ | |
US865497A (en) | Pipe-coupling and method of applying same. | |
CN104405726B (zh) | 一种自锁油缸 | |
CN110970857A (zh) | 高承重抗拉易拆卸的自锁漏缆卡具及其生产工艺 | |
US20170130877A1 (en) | Pipe connector | |
KR101949021B1 (ko) | 부식시험장치 | |
US20150191992A1 (en) | Mandrel for Re-pressurization and Downhole Plugging Apparatus | |
JPS62501091A (ja) | 石、岩、コンクリ−ト等のような切り開き可能な物質を破砕する装置 | |
CN112377392A (zh) | 一种便携式充气泵及其制备工艺 | |
US4716962A (en) | Stripping gland | |
KR101061361B1 (ko) |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