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361B1 -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 Google Patents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361B1
KR101061361B1 KR1020100095054A KR20100095054A KR101061361B1 KR 101061361 B1 KR101061361 B1 KR 101061361B1 KR 1020100095054 A KR1020100095054 A KR 1020100095054A KR 20100095054 A KR20100095054 A KR 20100095054A KR 101061361 B1 KR101061361 B1 KR 10106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tal
lip processing
fasten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349A (ko
Inventor
유일한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PCT/KR2011/0001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93601A2/ko
Priority to US13/509,543 priority patent/US8726712B2/en
Priority to CN201180004496.4A priority patent/CN102686327B/zh
Priority to JP2012538777A priority patent/JP5577410B2/ja
Publication of KR2011008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6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되어지되,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의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베이스의 단차 구조에 단계적으로 걸려 구속되는 결합 관계의 연동수단; 및 상기 연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연동하면서 내,외측에서 금속제 캔의 병목에 밀봉립을 프레스 가공하는 립가공체를 포함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의해 비딩부에 노치홈이 가공된 금속제 캔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Equipment for manufacturing sealing lip of metallic can and metallic can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성형을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의 저장용기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제 캔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철을 소재로 제조된다.
도 13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제 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금속제 캔은 병목을 갖는 병(bottle)의 기본적인 몸체(2)를 형성하는 것이라 하여 일명 넥킹 캔(necking can)이라고도 한다.
상기 금속제 캔은 병목부분의 상단부 외측면에 마개(cap)와의 결합을 통해 밀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밀봉립(sealing lip)(3)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립(3)의 밑부분에 밀봉을 위해 결합된 마개의 개봉여부 확인 및 절취 방지(pilfer-proof)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딩부(beading part)(4)가 형성되며, 병목부분의 단부에 마감을 위한 커링부(5)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부연 설명하자면, 도 13에서와 같은 유형의 금속제 캔은 판상의 소재를 드로잉(drawing) 가공 및 넥킹(necking) 가공함에 의해 병목을 갖는 병의 몸체(2)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병목부분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형태의 체결부를 가공함에 의해 밀봉립(3)이 형성됨과 아울러 밀봉립의 밑부분을 비딩(beading) 가공함에 의해 비딩부(4)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병목부분의 단부를 다시 2회 넥킹 처리하고 외측 방향으로의 절곡과 함께 감는 플랜지 및 커링(curling) 가공에 의해 커링부(5)를 형성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금속제 캔(1)의 상단부 외측면으로 마개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형태의 체결부를 가공하여 밀봉립(3)을 형성하는 과정은, 캔의 병목부분 입구 내측으로 나사형태를 갖는 내측다이를 삽입하고 캔의 병목부분 외측으로 외측다이를 밀착 배치한 상태에서 캔의 둘레를 따라 내측다이 및 외측다이를 동시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밀봉립(3)을 형성하게 되며, 이후 밀봉립(3)의 밑부분에 비딩부(4)를 형성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기술에 의하면, 내측다이와 외측다이의 회전운동을 통해 밀봉립 성형을 수행하게 되므로 밀봉립의 형태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사형태로만 성형 가능하게 되고 이에 맞는 스크류 캡(마개)으로만 밀봉이 가능하게 되어 마개의 선택에 상당한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제 캡 및 마개의 기능과 디자인에도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장치의 회전운동에 의한 밀봉립 성형을 수행하므로 하나의 형상구조로만 밀봉립을 형성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밀봉립에 대한 형상구조의 다양화를 추구하지 못함에 따라 마개의 사용 또한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금속제 캔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공정의 장비들이 승하강 운동을 수행하는 장비들인데 반하여, 상기한 종래의 밀봉립 성형장치는 회전운동을 수행하여야 하는 장비로서 별도의 설비로 구비됨은 물론 동력 또한 별도로 추가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금속제 캔의 제조시 하나의 설비시스템 내에서 연속공정으로의 처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제조효율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별도 공정으로 행해지는 밀봉립의 성형과정은 물론 그 이후에 비딩부의 형성과정을 더 수행하여야 하므로 금속제 캔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밀봉립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된 금속제 캔은 미생물 번식 또는 열 등에 의해 캔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어 압력이 상승하게 될 경우 밀봉을 위해 결합된 마개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중앙부가 부풀어 오르게 되며, 캔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금속제 캔의 밀봉립을 프레스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하며 밀봉립을 다양한 형상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립에 대한 다양한 형상구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마개에 대한 선택 및 적용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금속제 캔의 제조를 위한 다른 제조장비들과 동일한 운동방식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제조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비의 추가를 막고 금속제 캔의 제조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레스 방식에 의한 밀봉립 가공을 수행함과 동시에 비딩부를 함께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나 제조공정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금속제 캔의 밀봉립 성형과 비딩부 형성 및 금속제 캔의 제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금형의 벌어진 면의 각도에 따라 비딩부에 노치홈을 형성함으로써 밀봉된 마개를 회전하여 개방 시에 비딩부의 외측면에 실링된 링형부재가 쉽게 회전하지 않고 비딩부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부 마개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금형의 벌어진 면을 통해 밀봉립에 노치홈을 형성함으로써 캔 내부에 가스에 의한 압력 발생 시에 상기 노치홈을 통해 소량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캔 내부의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캔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되어지되, 하방으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의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연동수단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금속제 캔의 반경방향으로 연동하면서 내,외측에서 금속제 캔의 병목에 밀봉립을 프레스 가공하는 립가공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블록은 중심부에 체결홀을 가지며, 그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관통홀을 갖는 내측 체결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관통홀을 갖는 외측 체결부; 및 상기 내측 체결부 및 외측 체결부 사이의 하면에 위치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하는 제1이동체, 제2이동체 및 제3이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체는 가압블록의 돌기 외측에 끼움 방식이면서 상기 가압블록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갖는 상부 수용체; 및 상기 상부 수용체에 결합되며 하단부의 내측면이 하방을 향해 중심방향으로 경사져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부 수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수용체는 각각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동체는 가압블록의 돌기 내측에 수용되는 제1금형; 상기 제1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하면에 단턱요홈을 갖는 제2금형; 상기 제2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단턱요홈에 수용되는 제3금형; 및 상기 제2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금형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며 하단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걸림턱을 갖는 제4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를 통해 제2금형에 체결되는 관통체결홀과, 상기 가압블록의 제2관통홀에 일치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를 통해 제3금형에 체결되는 제1관통체결홀 및 제4금형에 체결되는 제2관통체결홀과, 상기 제1금형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상기 제2금형의 제1관통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면의 원주 방향에 연결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편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가압블록의 내,외측 체결부에 대응되는 상기 연동수단과의 체결부위의 경계 위치에는 일정 영역을 서로 공유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은 상기 체결부재가 자유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안내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금형은 상기 제2금형의 제2관통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홈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핀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이동체는 가압블록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압블록 및 연동수단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봉 형상의 크리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가공체는 상단부에 제4금형의 제1걸림턱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숫형의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가 형성되며, 크리퍼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분할 몸체를 포함하는 내측 립가공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은 크리퍼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이동 경사면을 갖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가공체는 상단부에 제4금형의 제1걸림턱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내측 립가공금형의 숫형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에 대응하는 암형의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가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의 하단부에 하부 수용체의 경사면에 안착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제4금형의 핀고정홀과 일치하면서 상기 핀고정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핀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의 분할 몸체는 그 비딩가공부의 경계부 내측 방향으로 금속제 캔의 비딩부 외측면에 노치홈이 형성되도록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의 분할 몸체는 그 비딩가공부의 경계부 외측 방향으로 상기 노치부에 대응하는 대응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의 외측 둘레면 상부에는 환 형상의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은, 상기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의해 비딩부 및 밀봉립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는 노치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딩부의 노치홈의 간격은 0.8 ~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립의 노치홈의 간격은 0.02 ~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에 의하면, 금속제 캔의 밀봉립을 프레스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함에 따라 밀봉립 가공에 따른 장치 내 성형구조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어 금속제 캔의 외측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밀봉립을 다양한 형상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제 캔의 밀봉립에 대응되는 마개에 대한 선택 및 적용의 폭을 크게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스방식의 적용에 의해 밀봉립 가공과 동시에 비딩부를 함께 형성시킬 수 있어 설비나 제조 공정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금속제 캔의 밀봉립과 비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금속제 캔의 제조를 위하여 승하강 운동으로 동작하는 다른 공정 장비들과 동일한 운동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별도의 제조 공정가 아닌 연속적인 제조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설비의 추가를 막을 수 있고 금속제 캔의 제조에 따른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분할금형의 벌어진 면의 각도에 따라 비딩부에 노치홈을 형성함으로써 밀봉된 마개를 회전하여 개방 시에 비딩부의 외측면에 실링된 링형부재가 쉽게 회전하지 않고 비딩부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부 마개가 용이하게 개방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할금형의 벌어진 면을 통해 밀봉립에 노치홈을 형성함으로써 캔 내부에 가스에 의한 압력 발생 시에 상기 노치홈을 통해 소량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캔 내부의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캔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구비된 노치부 및 대응 노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개방 상태인 밀봉립을 갖는 금속제 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내부 압력 발생 시에 가스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된 밀봉립을 갖는 금속제 캔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는 승강실린더 등과 같은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금속제 캔(1, 도 13참조)의 병목에 밀봉립을 프레스 방식을 통하여 가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는 크게 하방으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블록(10)과, 상기 가압블록(10)의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통상의 가공 설비에 구비되며 밀봉립 가공장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베이스(미도시)에 설치된 단차 구조(미도시)에 의해 단계적으로 걸려 구속되는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연동수단인 제1 내지 제3이동체(20~40)와, 상기 제1 내지 제3이동체(20~40)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금속제 캔(1)의 반경방향으로 연동하면서 내,외측에서 금속제 캔(1)의 병목에 밀봉립(sealing lip)을 프레스 가공하는 립가공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블록(10)은 중심부에 체결홀(101)을 가지며, 그 하면에 후술하는 제2이동체(30)의 제1금형(31)을 둘러싸는 환 형상의 돌기(11)가 구비되고, 그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C)를 통해 후술하는 상부 수용체(2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102)을 갖는 외측 체결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홀(103) 및 돌기(11) 사이에 체결부재(C)를 통해 후술하는 제1금형(3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관통홀(103)을 갖는 내측 체결부(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은 상기 체결부재(C)가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안내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체(20)는 상기 가압블록(10)에 형성된 돌기(11) 외측에 끼움 방식이면서 체결부재(C)를 통해 상기 가압블록(10)의 제1관통홀(102)과 일치되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211)을 갖는 상부 수용체(2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상부 수용체(21)는 그 내측 둘레면이 상기 가압블록(10)에 형성된 돌기(11)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며 하단의 외측에는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턱(21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하부 수용체(22)와 체결 고정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C)가 삽입되는 가압블록(10)의 제1관통홀(102)과 상부 수용체(21)의 체결홈(211)의 경계 위치에는 각각 일정 영역을 서로 공유하는 챔버(A)가 구비되며, 그 챔버(A) 내에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C)는 상기 상부 수용체(21)의 체결홈(211)에만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가압블록(10)의 제1관통홀(102)에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삽입된 상태로, 가압블록(10)이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 수용체(22)는 그 상단부의 내측면 일정 영역에 상기 상부 수용체(21)의 나사산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수용체(21)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수용체(22)는 그 하단부의 내측면 일정 영역이 하방을 향해 중심 방향으로 경사져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부 수용체(21,22)로 이루어진 제1이동체(20)는 승강수단이 하한점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제1이동체(20)의 하단부, 즉 하부 수용체(22)의 하단부가 베이스(미도시)에 위치하는 단차 구조(미도시)에 의하여 1차로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이동체(30)는 상기 가압블록(10)에 형성된 돌기(11) 내측에 수용되는 제1금형(31)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금형(31)은 중심부에 중공홀(311)을 가지며, 그 중공홀(311)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C)를 통해 후술하는 제2금형(3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관통체결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블록(10)의 내측 체결부(13)에 형성된 제2관통홀(10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313)이 형성된 원형의 블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C)가 삽입되는 가압블록(10)의 제2관통홀(103)과 제1금형(31)의 체결홈(313)의 경계 위치에는 각각 일정 영역을 서로 공유하는 챔버(A)가 구비되며, 그 챔버(A) 내에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C)는 상기 제1금형(31)의 체결홈(313)에만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가압블록(10)의 제2관통홀(103)에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삽입 상태로, 가압블록(10)이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이동체(30)는 상기 제1금형(31)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1금형(31)과 함께 체결부재(C)에 의해 고정되며, 상하면에 단턱요홈(321)을 갖는 원판형의 제2금형(32)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2금형(32)은 중심부에 중공홀(322)을 가지며, 그 중공홀(322)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C)를 통해 후술하는 제3금형(34)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1관통체결홀(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31)의 관통체결홀(3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3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금형(32)은 테두리부에 체결부재(C)를 통해 후술하는 제4금형(36)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관통체결홀(325)이 형성된 원형의 블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이동체(30)는 상기 제2금형(32)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단턱요홈(321)에 수용되어 제2금형(32)과 함께 체결부재(C)에 의해 고정되는 제3금형(34)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3금형(34)은 중심부에 중공홀(341)을 가지며, 그 중공홀(341)의 원주 방향에 상기 제2금형(32)의 제1관통체결홀(32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3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금형(34)은 그 하면의 원주 방향에 연결편(3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편 고정홈(343)이 형성된 원형의 블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이동체(30)는 상기 제2금형(32)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금형(34)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3금형(34)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며 하단부에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걸림턱(361,362)을 갖는 제4금형(36)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4금형(36)은 상기 제2금형(32)의 제2관통체결홀(325)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36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363)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홈(363)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고정홀(3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4금형(36)은 상기 제2금형(32)과 함께 체결부재(C)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립가공체(50)의 제1외측 립가공금형(54)과 함께 고정핀(37)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블록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부재(C)를 통해 고정되는 제2이동체(30)는 승강수단이 하한점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제2이동체(30)의 하단부, 즉 후술하는 제2외측 립가공금형(57) 하단부가 베이스(미도시)에 위치하는 단차 구조에 의하여 2차로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이동체(40)는 상기 가압블록(10)의 체결홀(101)의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부(42)와, 상기 제2이동체(30) 및 후술하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중공홀(511)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3)가 형성된 봉 형상의 크리퍼(cripper,41)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43)가 2개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부(4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상기 크리퍼(41)는 상기 가압블록(10)이 하한점에 도달될 때까지 최종적으로 작동하는 작동수단으로서, 후술하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을 외측 원주 방향으로 벌리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크리퍼(41)의 돌출부(43)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후술하는 요홈(513)의 이동 경사면(514)을 타고 이동하면서 그 돌출된 간격만큼 내측 립가공금형(51)을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립가공체(50)는 상기 크리퍼(41)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분할 몸체(52)로 이루어지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은 중심부에 벌어졌다 좁혀졌다 가변되는 중공홀(511)을 가지며, 상단부에 상기 제4금형(36)의 제1걸림턱(361)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53)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제3금형(34)의 연결편 고정홈(343)에 삽입된 연결편(35)이 삽입되어 분할 몸체(52)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연결편 삽입홈(512)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은 상기 중공홀(511)의 내측에 상기 크리퍼(41)의 돌출부(43)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이동 경사면(514)을 갖는 요홈(513)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 몸체(52)의 외측 둘레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밀봉립 구조를 위한 숫형의 립가공부(5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외측 둘레면에는 숫형 립가공부(515)의 하방에 금속제 캔(1)의 비딩부(4)의 형성을 위한 숫형의 비딩가공부(5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립가공체(50)는 상기 제4금형(36) 및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을 둘러싸는 복수개의 분할 몸체(52)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54,57)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은 상단부에 상기 제4금형(36)의 제2걸림턱(362)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6)에는 상기 제4금형(36)의 핀고정홀(364)과 일치하면서 상기 핀고정홀(36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핀안내홀(54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분할 몸체(55)가 좌우로 제한된 이동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 및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은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과 체결부재(C)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외측 둘레면 하단부와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외측 둘레면 전체는 상기 하부 수용체(22)의 경사면(221)에 안착되도록 경사부(59)가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내측 둘레면 하단부와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내측 둘레면 전체에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숫형 립가공부(515)에 대응하는 암형의 립가공부(54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숫형의 비딩가공부(516)에 대응하는 암형의 비딩가공부(57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숫형 립가공부(515)와 이에 대응하는 암형 립가공부(542)는 나사식을 비롯하여 밀봉립 가공에 따른 장치 내 성형구조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므로 금속제 캔(1)의 외측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밀봉립을 다양한 형상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공하고자 하는 밀봉립의 형상을 갖는 내측 립가공금형(51) 및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구비된 노치부 및 대응 노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개방 상태인 밀봉립을 갖는 금속제 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내부 압력 발생 시에 가스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분할 몸체(52)에 형성된 비딩가공부(516)는 벌어졌다 좁혀졌다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분할 몸체(52)의 서로 이웃하는 경계부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서로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노치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분할 몸체(58)는 서로 이웃하는 경계부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노치부(521)에 대응하는 대응 노치부(581)가 형성된다.
상기 대응위치에 있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숫형 비딩가공부(516)와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암형 비딩가공부(571)가 금속제 캔(1)의 내,외측 방향에서 금속제 캔(1)을 프레스하여 비딩부(4)를 성형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암형의 노치부(521)와 숫형의 대응 노치부(581)도 캔(1)의 비딩부(4)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노치홈(4a)을 성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제 캔(1)에 밀봉되는 마개를 결합하는 후속 공정에서, 마개(6)의 링형부재(7)에도 상기 노치홈(4a)에 대응하는 대응 노치홈(7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제 캔(1)의 비딩부(4)에 고정되는 링형부재(7)에 상기 노치홈(4a)에 대응하는 대응 노치홈(7a)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링형부재(7)의 대응 노치홈(7a)은 상기 비딩부(4)의 노치홈(4a)에 구속되어 쉽게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링형부재(7)에 대하여 상부 마개(6)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응위치에 있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숫형 립가공부(515)와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암형 립가공부(542)가 금속제 캔(1)의 내,외측 방향에서 금속제 캔(1)을 프레스하여 밀봉립(3)을 성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분할 몸체(52)에 형성된 숫형의 립가공부(515)의 서로 이웃하는 경계부에 의해 캔(1)의 밀봉립(3)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노치홈(3a)을 성형하게 된다. 즉,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과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이 서로 압착될 경우,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이 약간 벌어지면서 캔(1) 부분에 노치홈(3a)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제 캔(1)의 밀봉립(3)에 노치홈(3a)이 형성될 경우에 캔 내부에 가스에 의한 압력 발생 시, 마개(6)의 중앙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캔(1)의 커링부(5)와, 상기 마개(6) 내부에 접착된 통상의 컴파운드(6a)가 이격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바, 마개(6)의 이탈하려는 힘에 의해 마개(6)와 캔(1)의 밀봉립(3) 부분이 압착되나, 상기 노치홈(3a)과 절개선(6b)을 통해 소량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캔(1)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가스에 의한 캔(1)의 폭발이 방지된다(도 7참조).
이때, 상기 비딩부(4)에 형성되는 노치홈(4a)은 그 간격이 0.8 ~ 1.2mm이고, 상기 밀봉립(3)에 형성되는 노치홈(3a)의 간격은 0.02 ~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딩부(4)에 형성된 노치홈(4a)의 간격이 0.8mm 미만이거나 1.2mm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비딩부(4)에 대한 링형부재(7)의 구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밀봉립(3)에 형성된 노치홈(3a)의 간격이 0.02mm 미만일 경우에 캔(1)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0.1mm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캔(1) 내부의 액상의 내용물이 통과 가능하게 되어 마개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외측 둘레면 상하부 및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외측 둘레면 상부에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60,61)가 구비되어 상기 분할 몸체(52,55)가 내,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0,61)는 인장 스프링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drawing) 가공 공정 및 넥킹 인(necking in) 가공 공정에 의해 병목을 갖는 병으로 성형된 금속제 캔(1)이 밀봉립 가공 공정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수단(미도시)의 하강동작에 의해 밀봉립 가공장치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밀봉립 가공장치가 하강하면서 일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밀봉립 가공을 하기 위한 금속제 캔(1)의 병목이 립가공체(50)의 내측 립가공금형(5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57) 사이의 벌어진 틈에 삽입된다.
상기 금속제 캔(1)의 병목이 립가공체(50)의 벌어진 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이 하한점에 도달하는 경우에 가압블록(10)은 외측 체결부(12)와 상부 수용체(2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서서히 하강하면서 제 1 내지 제3이동체(40)와, 립가공체(50)에 추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압블록(10)이 하강하면서 제 1 내지 제3이동체(20~40)와, 립가공체(50)에 추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가압블록(10)의 외측 체결부(12) 및 상부 수용체(21) 사이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와, 상기 가압블록(10)의 내측 체결부(13) 및 제1금형(31) 사이에 삽입되는 체결부재(C)는 상대적으로 가압블록(10) 위로 돌출하게 되며, 그 사이에 삽입된 탄성부재(2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3이동체(20~40)와, 립가공체(5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이동체(20)의 하단부, 즉 하부 수용체(22)의 하단부가 베이스에 위치하는 단차 구조에 의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될 경우, 이어서 상기 가압블록(10)의 내측 체결부(13)와 제1금형(3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33)는 제2 및 제3이동체(30,40)와, 립가공체(50)에 추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이동체(20)가 단차 구조에 구속되어 하강하지 않게 될 경우에 각각 결합관계를 형성하는 제2이동체(30)인 제1 내지 제4금형(31~36)과, 제3이동체(40)인 크리퍼(41)와, 립가공체(50)인 내측 립가공금형(51) 및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54,57)이 계속적인 하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금속제 캔(1)의 병목부분 내측으로 삽입되는 분할 몸체(52)를 갖는 립가공체(50)는 내측 립가공금형(51)에 형성된 숫형의 립가공부(515)가 금속제 캔(1)의 외측면에 밀착 가능한 상태의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에 형성된 암형 립가공부(542)에 대응하게 위치되며, 이와 더불어 숫형의 비딩가공부(516)가 제2외측 립가공금형(57) 암형의 비딩가공부(571)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동체(30)의 하강에 의해 이와 결합관계에 있는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54,57)은 제1이동체(20)의 하부 수용체(22)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221)을 따라 내측의 중심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54,57)은 상기 금속제 캔(1)의 병목 부분의 외측에서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때 상기 단차 구조에 의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23,33)들에 남아있는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블록(10)이 하강하게 되면 제3이동체(40)인 크리퍼(41)가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중공홀(511) 내측에 형성된 요홈(513)의 이동 경사면(514)을 타고 이동하면서 분할 몸체(5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 확개시키게 된다. 이때, 대응위치에 있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숫형 립가공부(515)와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암형 립가공부(542)가 금속제 캔(1)의 내,외측 방향에서 금속제 캔(1)을 프레스하여 마개(6)와의 결합을 위한 밀봉립(3)을 성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내측 립가공금형(51)의 숫형 비딩가공부(516)와 제2외측 립가공금형(57)의 암형 비딩가공부(571)가 금속제 캔(1)에 형성된 밀봉립(3)의 아래 부분에 비딩부(4)를 동시에 성형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하강 동작의 역동작에 의해 승강수단이 상승되고, 밀봉립 가공장치의 상승동작 시에 금속제 캔(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의 내측 립가공금형(51)이 빠져나오는 시점에 상기 립가공체(50), 즉 내측 립가공금형(51)과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에 내재된 탄성부재(60,61)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내측 립가공금형(51)은 그 분할 몸체(52)가 내측의 중심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54)의 상단부는 탄성부재(60)에 의해 내측의 중심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그 대응하는 제2외측 립가공금형의 경사부(59)는 하부 수용체(22)의 경사면(221)을 타고 상승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금속제 캔(1)의 병목부분을 지지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가압블록 11 : 돌기
12 : 내측 체결부 13 : 외측 체결부
20 : 제1이동체 21 : 상부 수용체
22 : 하부 수용체 23 : 탄성부재
30 : 제2이동체 31 : 제1금형
32 : 제2금형 33 : 탄성부재
34 : 제3금형 35 : 연결편
36 : 제4금형 37 : 고정핀
40 : 제3이동체 41 : 크리퍼
42 : 결합부 43 : 돌출부
50 : 립가공체 51 : 내측 립가공금형
52 : 분할 몸체 53 : 걸림부
54 : 제1외측 립가공금형 55 : 분할 몸체
56 : 걸림부 57 : 제2외측 립가공금형
58 : 분할 몸체 59 : 경사부
60,61 : 탄성부재

Claims (24)

  1.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되어지되,
    하방으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의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연동수단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금속제 캔의 반경방향으로 연동하면서 내,외측에서 금속제 캔의 병목에 밀봉립을 프레스 가공하는 립가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압블록은 중심부에 체결홀을 가지며, 그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관통홀을 갖는 내측 체결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관통홀을 갖는 외측 체결부; 및
    상기 내측 체결부 및 외측 체결부 사이의 하면에 위치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서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하는 제1이동체, 제2이동체 및 제3이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체는 가압블록의 돌기 외측에 끼움 방식이면서 상기 가압블록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갖는 상부 수용체; 및
    상기 상부 수용체에 결합되며 하단부의 내측면이 하방을 향해 중심방향으로 경사져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부 수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수용체는 각각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체는 가압블록의 돌기 내측에 수용되는 제1금형;
    상기 제1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하면에 단턱요홈을 갖는 제2금형;
    상기 제2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단턱요홈에 수용되는 제3금형; 및
    상기 제2금형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금형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며 하단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걸림턱을 갖는 제4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를 통해 제2금형에 체결되는 관통체결홀과, 상기 가압블록의 제2관통홀에 일치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체결부재를 통해 제3금형에 체결되는 제1관통체결홀 및 제4금형에 체결되는 제2관통체결홀과, 상기 제1금형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금형은 중심부에 중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홀의 원주 방향에 상기 제2금형의 제1관통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면의 원주 방향에 연결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편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가압블록의 내,외측 체결부에 대응되는 상기 연동수단과의 체결부위의 경계 위치에는 일정 영역을 서로 공유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은 상기 체결부재가 자유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안내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금형은 상기 제2금형의 제2관통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홈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핀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동체는 가압블록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압블록 및 연동수단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봉 형상의 크리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가공체는 상단부에 제4금형의 제1걸림턱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숫형의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가 형성되며, 크리퍼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분할 몸체를 포함하는 내측 립가공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은 크리퍼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이동 경사면을 갖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가공체는 상단부에 제4금형의 제1걸림턱에 의해 걸림 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내측 립가공금형의 숫형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에 대응하는 암형의 립가공부와 비딩가공부가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의 하단부에 하부 수용체의 경사면에 안착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4금형의 핀고정홀과 일치하면서 상기 핀고정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핀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측 립가공금형은 서로 분리되어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의 분할 몸체는 그 비딩가공부의 경계부 내측 방향으로 금속제 캔의 비딩부 외측면에 노치홈이 형성되도록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외측 립가공금형의 분할 몸체는 그 비딩가공부의 경계부 외측 방향으로 상기 노치부에 대응하는 대응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립가공금형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제1외측 립가공금형의 외측 둘레면 상부에는 환 형상의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22. 제19항에 기재된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에 의해 비딩부 및 밀봉립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는 노치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부의 노치홈의 간격은 0.8 ~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립의 노치홈의 간격은 0.02 ~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KR1020100095054A 2010-01-28 2010-09-30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KR10106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149 WO2011093601A2 (ko) 2010-01-28 2011-01-11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US13/509,543 US8726712B2 (en) 2010-01-28 2011-01-11 Apparatus for processing sealing lip of metallic can, and metallic can processed by said apparatus
CN201180004496.4A CN102686327B (zh) 2010-01-28 2011-01-11 用于对金属罐的密封唇口进行加工的装置和由所述装置加工的金属罐
JP2012538777A JP5577410B2 (ja) 2010-01-28 2011-01-11 金属製缶の密封リップ加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7881 2010-01-28
KR1020100007881 2010-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49A KR20110088349A (ko) 2011-08-03
KR101061361B1 true KR101061361B1 (ko) 2011-09-01

Family

ID=4492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054A KR101061361B1 (ko) 2010-01-28 2010-09-30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26712B2 (ko)
JP (1) JP5577410B2 (ko)
KR (1) KR101061361B1 (ko)
CN (1) CN102686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8077B1 (fr) * 2012-03-15 2015-09-04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Emballage metallique avec partie tubulaire
EP4395946A1 (en) * 2021-09-02 2024-07-10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Rolle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881A (ja) 2003-03-28 2004-10-28 Daiwa Can Co Ltd 異形缶製造方法、エキスパンド型及び異形缶
JP2007229807A (ja) 2007-06-04 2007-09-13 Universal Seikan Kk 金属製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5843A (en) * 1926-02-19 1929-03-19 American C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teriorly beaded or looped tearing-strip can
US1912258A (en) * 1932-03-31 1933-05-30 Continental Can Co Machine for flanging can bodies
US3648884A (en) * 1970-04-09 1972-03-14 American Can Co Container body having reinforcing bead with rib
US4070888A (en) * 1977-02-28 1978-01-31 Coors Contain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necking and flanging a can body member
DE2732263A1 (de) * 1977-07-16 1979-02-01 Schuler Gmbh L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icke am umfang eines hohlzylinders
DE2847736A1 (de) * 1978-11-03 1980-05-22 Schuler Gmbh L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icke am umfang eines hohlzylinders
US4207761A (en) * 1978-12-06 1980-06-17 Weyerhaeuser Company Apparatus for flanging can bodies
US4747287A (en) * 1981-02-05 1988-05-3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Inclined axes spin flanging head and method for using same
JPH0244610B2 (ja) * 1986-11-12 1990-10-04 Matsue Enjiniaringu Kk Kannonejikirisochi
JP3408121B2 (ja) * 1997-08-26 2003-05-19 林 俊臣 金属管への螺旋条形成用の成形型
JP3973277B2 (ja) * 1997-12-01 2007-09-12 三菱製鋼株式会社 変速機用センターリング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8037728B2 (en) * 2003-08-28 2011-10-18 Universal Can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bottle can
CN1310804C (zh) * 2004-04-13 2007-04-18 珠海中富实业股份有限公司 宽口容器瓶的制造方法
JP2006137452A (ja) * 2004-11-11 2006-06-01 Alcoa Closure Systems Japan Ltd 金属製容器、閉止装置、および容器詰め飲料
JP4667854B2 (ja) * 2004-12-24 2011-04-13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ボトル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45702A1 (en) * 2007-12-06 2009-06-11 Kelsey-Hayes Company Brake pad for a vehicle disc brake assembly
KR100970433B1 (ko) * 2008-01-08 2010-08-26 (주)씨엠케이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881A (ja) 2003-03-28 2004-10-28 Daiwa Can Co Ltd 異形缶製造方法、エキスパンド型及び異形缶
JP2007229807A (ja) 2007-06-04 2007-09-13 Universal Seikan Kk 金属製ボトル缶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0005A (ja) 2013-03-21
US20120255962A1 (en) 2012-10-11
US8726712B2 (en) 2014-05-20
CN102686327A (zh) 2012-09-19
KR20110088349A (ko) 2011-08-03
CN102686327B (zh) 2015-01-21
JP5577410B2 (ja)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433B1 (ko)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EP2825334B1 (en) Method for forming a profile in a metal ring
CN104624848B (zh) 电池壳体用盖及电池壳体用盖的制造方法
RU200710736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дания формы торцевой крышке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тары
RU2557845C2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жестяной банки
JPH0380570B2 (ko)
KR101865992B1 (ko) 캡의 제조방법
US7306108B2 (en) Closure with vents for venting during molding of a liner, method of forming a liner in a closure, and device for forming a liner in a closure
KR101061361B1 (ko)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US8806998B2 (en) Gas-operated integrated punching device with plate presser
US6457341B1 (en) Forging die
JP2006320914A (ja) 角缶のネッキ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56158Y1 (ko) 금형냉각수유로마개
JP7046163B2 (ja) ネジ付き容器用の金属栓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1093601A2 (ko)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및 상기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금속제 캔
CN206106410U (zh) 缠绕垫的装环装置
US20160069330A1 (en) Wax-motor with high cycle life
KR101747681B1 (ko) 압력용기용 헤드의 성형장치
JP6817293B2 (ja) 浮動クラン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5219131B2 (ja) 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のクリンチ部の構造
KR102530144B1 (ko) 원통형 이차전지의 외주면 균일 가압장치
US2014013056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reclosable containers
US388288A (en) Die for the manufacture of cans
CN204545090U (zh) 在金属筒身底部内壁上加工缺口的装置
KR100851220B1 (ko) 3-피스 스틸캔 제조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넥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