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991B1 -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991B1
KR101195991B1 KR1020100061622A KR20100061622A KR101195991B1 KR 101195991 B1 KR101195991 B1 KR 101195991B1 KR 1020100061622 A KR1020100061622 A KR 1020100061622A KR 20100061622 A KR20100061622 A KR 20100061622A KR 101195991 B1 KR101195991 B1 KR 10119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pe
expansion
connector
expan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048A (ko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0006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9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관용 커넥터는, 양측에 배관이 끼워지는 개구홀이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 및 둘레면이 수축되는 수축파트 및 상기 수축파트와 연결되어 상기 수축파트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홀과 연통된 연결홀을 형성하고, 둘레면이 인장되는 인장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부 사이에 위치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파트의 내측 및 외측에는 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Pipe Connector Having Elastic Groove}
본 발명은 배관을 다양한 각도로 상호 연결시키는 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곡에 의해 인장되는 인장파트의 내측 및 외측에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관의 시공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배관은 콘크리트, 금속 등의 강관, PVC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은 설계에 따라 서로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 작업 시에는 각 배관을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는 배관용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배관용 커넥터로서 강관엘보, PVC엘보, PE엘보 및 연결밴드 등이 사용되었다.
여기서, 강관엘보는 단조품으로 제공되고, PVC엘보의 경우에는 사출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금형을 다양화할 수 없어 각 배관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45°, 90° 등 가장 시공에 용이한 각도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배관 설계에 제한이 있었으며, 제품의 종류 별로 고가의 금형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PE엘보의 경우, 배관을 재단 후 용접 작업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가격이 비싸고, PVC엘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각도의 제품 제작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연결밴드는 폭이 넓은 밴드를 활용하여 각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직선 연결만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각 배관을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배관 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작업 난이도가 종래에 비해 높지 않은 배관용 커넥터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면이 수축되는 수축파트 및 둘레면이 인장되는 인장파트를 포함하며,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각 지점의 깊이가 깊어지는 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는, 양측에 배관이 끼워지는 개구홀이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 및 둘레면이 수축되는 수축파트 및 상기 수축파트와 연결되어 상기 수축파트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홀과 연통된 연결홀을 형성하고, 둘레면이 인장되는 인장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부 사이에 위치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파트의 내측 및 외측에는 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축파트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신축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각 지점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축파트의 외측에 형성된 신축홈의 폭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홈은 복수 개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수축파트의 외측에 형성된 신축홈의 폭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홈은 복수 개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인접한 신축홈 간의 거리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의 두께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파트의 내측에 형성된 신축홈 및 상기 인장파트의 외측에 형성된 신축홈은 복수 개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며, 서로 엇갈리도록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둘레에는 배관을 고정시키는 조임밴드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배관의 끝단이 걸리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 내측에는 배관의 둘레를 감싸는 밀폐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둘레면이 수축되는 수축파트 및 둘레면이 인장되는 인장파트를 포함함으로써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배관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며, 배관을 삽입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각 배관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증가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신축홈은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 정도가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각 지점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 시 용이하게 신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배관용 커넥터의 내부 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내부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배관의 재질에 관계 없이 적용이 가능하고, 배관의 시공, 수리 및 교체 작업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양측에 각 배관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신축홈 모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신축홈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가 큰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가 큰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신축홈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의 양측에 각 배관(10, 20)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용 커넥터(100)는 삽입부(102) 및 각도조절부(104)를 포함하며, 각도조절부(104)는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를 포함한다.
삽입부(102)의 내측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배관용 커넥터(100)의 양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은 배관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을 통해 배관(10, 20)이 삽입된다. 즉, 양측의 삽입부(102)에 한 쌍의 배관(10, 20)을 각각 삽입함으로써 각 배관(10, 2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10, 20)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삽입부(102)의 형상 역시 배관(10, 20)을 감쌀 수 있도록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102)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배관(10, 20)이 삽입부(102)에 꼭 맞도록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수밀성을 갖도록 외부로부터 내부 유로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부(102)의 내측의 둘레 방향을 따라 삽입된 배관(10, 20)의 둘레를 감싸는 밀폐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부(102)의 외측 둘레에는 배관(10, 20)을 고정시키는 조임밴드(150)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밴드(150)는 배관(10, 20) 및 삽입부(102)를 동시에 조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조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각 삽입부(102)마다 한 쌍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각 배관(10, 20)에 조임밴드(150) 2개를 할당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임밴드(150)는 조임용 나사를 조여 조임밴드(150)의 둘레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방식이 사용된다.
각도조절부(104)는 상기 한 쌍의 삽입부(102) 사이에 위치되고, 내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부(104)를 중심으로 삽입부(102)가 양측에 위치되고,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는 각각 합쳐져 각도조절부(104)의 둘레면을 이루어 폐단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은 삽입부(102)의 개구홀과 연통됨으로써 일측의 배관(10)에서 타측의 배관(20)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수축파트(110)는 둘레면이 수축될 수 있게 형성되며, 인장파트(120)는 둘레면이 인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각도조절부(104)는 수축파트(110)에 의해 둘레의 일부가 수축되고, 인장파트(120)에 의해 둘레의 나머지 일부가 인장되므로 절곡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부(104)의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삽입부(102)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삽입부(102)에 삽입된 각 배관(10, 20)은 서로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104)는 삽입부(102)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는 각각 각도조절부(104)의 둘레의 절반을 형성한다. 즉,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단면은 각각 반원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104)는 삽입부(102)와 마찬가지로 고무와 같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는 용이하게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한편,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에는 각도조절부(10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신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홈은 수축파트(110)의 수축 및 인장파트(120)의 인장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하여 각도조절부(104)가 쉽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홈은 인장파트(120)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신축홈은 선택적으로 수축파트(110)에도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수축파트(110)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홈은 복수 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축파트(110)의 외측에 형성된 신축홈을 제1신축홈, 수축파트(110)의 내측에 형성된 신축홈을 제2신축홈, 인장파트(120)의 외측에 형성된 신축홈을 제3신축홈, 인장파트(120)의 내측에 형성된 신축홈을 제4신축홈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배관용 커넥터(100)는 제1신축홈, 제3신축홈 및 제4신축홈을 포함하나, 도 1에서는 배관용 커넥터(100)의 외측만이 도시되므로 제1신축홈(112) 및 제3신축홈(122)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신축홈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져 각 배관(10, 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축파트(110)가 수축되고, 인장파트(120)가 인장됨으로 인해 각도조절부(104)는 절곡된다.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면, 수축파트(110)의 길이는 짧아지고, 인장파트(120)의 길이는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용 커넥터(100)는 수축파트(110)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104)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나, 원하는 배관 각도가 클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절곡 상태를 형성하기가 어려울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에는 신축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그림에서, 수축파트(110)는 제1신축홈(112)의 폭이 줄어듬으로 인해 수축되고, 인장파트(120)는 제3신축홈(122)의 폭이 늘어남으로 인해 인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부에는 고정홈(140)이 각각 두 개 형성되고, 삽입부 내측 및 각도조절부의 내측 경계 부근에는 단차(130)가 형성된다.
단차(130)는 배관이 삽입될 경우, 상기 배관의 끝단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배관이 내측으로 더 깊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단차(130)의 높이가 배관 둘레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경우, 상기 배관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단차(130)의 높이와 배관 둘레가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의 내측 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액체 등의 유체 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의 수축파트(110)에는 제1신축홈(112)이 형성되고, 인장파트(120)에는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신축홈은 각도조절부(104)가 구부러짐에 따라 폭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으로써 보다 용이한 각도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외측 및 내측 중 수축되는 부분에서는 신축홈의 폭이 줄어들고, 인장되는 부분에서는 신축홈의 폭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관은 어느 일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므로, 배관용 커넥터(100)를 절곡 시 각도조절부(104)의 둘레면은 각 지점마다 변형률이 다르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단면은 각각 반원으로 형성되므로, 수축파트(110) 둘레의 중앙 지점에서는 수축 변형율이 최대가 되며, 인장파트(120) 둘레의 중앙에서는 인장 변형율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가 서로 만나는 양측에서는 수축 변형율 및 인장 변형율 모두 최소가 되는 것이다.
즉, 수축파트(110)의 둘레 및 인장파트(120)의 둘레 중앙 지점으로부터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가 서로 만나는 지점으로 진행될수록 변형율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신축홈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모든 지점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할 경우, 배관용 커넥터(100)가 수축 또는 인장 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신축홈은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변형이 작은 부분으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진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의 신축홈 모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의 신축홈의 깊이 변화가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진하게 도시된 원의 위쪽 부분은 수축파트(110)를 나타내며, 진하게 도시된 원의 아래쪽 부분은 인장파트(120)를 나타낸다. 그리고, 수축파트(110)의 둘레에는 제1신축홈(112)이, 인장파트(120)의 둘레에는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신축홈의 깊이는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둘레 중앙 부분에서 최대가 되고,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최소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신축홈의 깊이가 수축파트(110) 및 인장파트(120)의 둘레의 변형율에 따라 연속적으로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배관용 커넥터(100)를 용이하게 구부려 배관의 각도 및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각 신축홈의 모양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1신축홈(112)의 경우,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신축홈(112)의 내벽 양측은 비탈지도록 형성되어, 위쪽의 폭보다 아래쪽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의 경우, 제1수축홈(112)과 달리 폭은 변화되지 않지만, 서로 엇갈리도록 하나씩 교대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신축홈의 형상은 배관용 커넥터(100)의 보다 용이한 절곡을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절곡 과정에 따라 각 신축홈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신축홈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신축홈은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았을 경우의 신축홈과 달리 변형된 모양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태로 변형될 경우, 신축홈이 변형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질 경우, 수축파트(110)의 외측은 수축되고, 내측은 인장된다. 그리고, 인장파트(120)의 외측은 인장되고, 내측은 수축된다. 결과적으로, 제1신축홈(112) 및 제4신축홈(124)은 오므라들어 폭이 줄어들게 되며, 제3신축홈(122)은 벌어져 폭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은 경우의 제1신축홈(112)의 폭(c1)보다 구부러진 상태의 제1신축홈(112)의 폭(c2)이 더 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은 경우의 제4신축홈(124)의 폭(e1)보다 구부러진 상태의 제4신축홈(124)의 폭(e2)이 더 좁아진다.
반면,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은 경우의 제3신축홈(122)의 폭(e3)보다 구부러진 상태의 제3신축홈(122)의 폭(e4)은 더 넓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용 커넥터(100)에 형성된 각 신축홈은 수축 또는 인장에 따라 오므라들거나 줄어들기 때문에, 신축홈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과적으로 구부러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신축홈(112)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므로, 제1신축홈(110)의 내벽 양측이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벌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제1신축홈(112)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축파트(110)는 제1신축홈(112)의 폭이 줄어들어 제1신축홈(112)의 내벽 양측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줄어든 만큼 수축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신축홈(112)의 내벽 양측이 서로 이루는 최초의 각도는 배관용 커넥터(100)가 이후 구부러지는 각도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신축홈(112)은 복수 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는 각도는 제1신축홈(112)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신축홈(112)의 특징과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은 서로 엇갈리도록 교대로 형성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배관용 커넥터(100)가 큰 각도로 구부러질 경우 큰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가 큰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100)가 큰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의 신축홈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장파트(120)의 각 신축홈은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우와 비교하여 변형된 모양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인장파트(120)의 각 신축홈이 변형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배관용 커넥터(100)가 일정 이상의 각도로 크게 구부러지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질 경우와 비교하여 인장파트(120)의 변형에 있어 차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신축홈(112)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수축파트(110)는 배관용 커넥터(100)가 큰 각도로 구부러질 경우 제1신축홈(112)의 폭이 더 줄어드는 것 외에는 상기 배관용 커넥터(100)가 작은 각도만큼 구부러질 경우와 동일하다.
반면, 인장파트(12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관용 커넥터(100)가 일정 이상의 각도로 구부러질 경우,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은 형태를 유지하며 변형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은 모두 펼쳐져 충분한 인장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의 첫 번째 그림을 살펴보면, 배관용 커넥터(100)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의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의 모습이 도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관용 커넥터(100)에 일정 각도 이상의 구부러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이 펼쳐져 인장파트(120)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늘어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배관용 커넥터(1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구부러지게 되면 인장파트(120)를 양쪽으로 인장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은 두 번째 그림과 같이 서서히 벌어지게 되며, 결국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은 완전히 펼쳐져 인장파트(120)는 충분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이 펼쳐질 수 있는 것은 제3신축홈(122) 및 제4신축홈(124)이 서로 엇갈리도록 교대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늘어난 인장파트(120)의 길이만큼 배관용 커넥터(100)의 구부러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림에 도시된 인장파트(120)의 중심선(a)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인장 과정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인장된 경우 배관용 커넥터(100)의 내부 둘레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유로에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각 신축홈에 의해 본 발명의 배관용 커넥터(100)는 작은 각도에서부터 큰 각도까지 다양한 구부러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에는 제2신축홈(214)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축파트(210)의 내측에는 제2신축홈(214)이 더 형성되어, 수축파트(210)의 내측이 더욱 용이하게 인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수축파트(210)의 내측은 배관용 커넥터가 비교적 큰 각도로 구부러질 경우에도 제2신축홈(214)이 벌어짐으로써 충분한 인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2신축홈(214)을 제외한 수축파트(210), 제1신축홈(212), 인장파트(220), 제3신축홈(222), 제4신축홈(224), 단차(230) 및 고정홈(240)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각 신축홈 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적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경우 제1신축홈(312) 및 제4신축홈(324)이 각각 한 개씩 형성되며, 제3신축홈(322)은 두 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수축파트(310)가 구부러지는 각도가 더 작아지며, 인장파트(320)가 인장되는 길이 역시 더 줄어들게 되므로, 배관의 각도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는 시공 작업 등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신축홈 형성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로 내측에 노출되는 신축홈이 더 적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축파트(310), 인장파트(320), 단차(330) 및 고정홈(340)은 상기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에 형성된 각 제1신축홈(412)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신축홈(412), 제3신축홈(422) 및 제4신축홈(424)이 상기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많은 개수로 형성된다. 특히, 제1신축홈(412)의 경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가운데에 위치된 제1신축홈(412)의 폭(w1)이 인접한 제1신축홈(412)의 폭(w2) 및 바깥쪽에 위치된 제1신축홈(412)의 폭(w3)보다 넓다. 이와 더불어, 제3신축홈(422) 및 제4신축홈(424)의 개수도 증가함에 따라, 인장파트(420)의 최대 인장 길이도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배관용 커넥터를 보다 큰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어 급격한 구부러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변형이 커지는 부분이 보다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수축파트(410), 인장파트(420), 단차(430) 및 고정홈(440)은 상기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에 형성된 인접한 제1신축홈(512) 간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신축홈(512), 제3신축홈(522) 및 제4신축홈(524)이 제4실시예와 같은 개수로 형성되나, 인접한 제1신축홈(512) 간의 거리가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짧아지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가운데에 위치된 제1신축홈(512) 및 이에 인접한 제1신축홈(512) 간의 거리(d1)가 상기 인접한 제1신축홈(512) 및 바깥쪽에 위치된 제1신축홈(512) 간의 거리(d2)보다 짧다.
결과적으로, 제4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형이 커지는 부분이 보다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변형이 커지는 부분에 제1신축홈(512)을 더 밀집시킴으로써 제4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축파트(510), 인장파트(520), 단차(530) 및 고정홈(540)은 상기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터의 수축파트(610) 및 인장파트(620)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신축홈(612), 단차(630) 및 고정홈(640)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각도조절부의 두께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두꺼워진다는 점이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인장파트(620)의 두께(t2)는 수축파트(610)의 두께(t1)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인접한 제3신축홈(622) 및 제4신축홈(624) 간의 거리는 제1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인장파트(620)가 인장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인장파트(620)가 인장될 경우 늘어난 길이로 인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며, 이에 따라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파트(620)의 두께(t2)가 수축파트(610)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인접한 제3신축홈(622) 및 제4신축홈(624) 간의 거리가 멀게 형성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3신축홈(622) 및 제4신축홈(624)이 펼쳐지고 최대로 인장되어 두께가 최초의 두께보다 얇아질 경우에도 배관용 커넥터 둘레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20: 배관
100: 배관용 커넥터
102: 삽입부
104: 각도조절부
110: 수축파트
112: 제1신축홈
120: 인장파트
122: 제3신축홈
124: 제4신축홈
130: 단차
140: 고정홈
150: 조임밴드

Claims (11)

  1. 양측에 배관이 끼워지는 개구홀이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 및
    둘레면이 수축되는 수축파트 및 상기 수축파트와 연결되어 상기 수축파트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홀과 연통된 연결홀을 형성하고, 둘레면이 인장되는 인장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부 사이에 위치되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파트의 외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를 절곡시킴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제1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인장파트의 외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를 절곡시킴에 따라 벌어져 폭이 넓어지는 제3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인장파트의 내측에는 상기 제3신축홈과 서로 엇갈리도록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를 절곡시킴에 따라 벌어져 상기 제3신축홈과 함께 상기 인장파트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제4신축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홈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각 지점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홈의 폭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홈은 복수 개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제1신축홈의 폭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홈은 복수 개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인접한 제1신축홈 간의 거리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짧아지게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의 두께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절곡에 의한 둘레의 변형이 커지는 부분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둘레에는 배관을 고정시키는 조임밴드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배관의 끝단이 걸리는 단차가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내측에는 배관의 둘레를 감싸는 밀폐돌기가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파트의 내측은 평탄하게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KR1020100061622A 2010-06-29 2010-06-29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KR10119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622A KR101195991B1 (ko) 2010-06-29 2010-06-29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622A KR101195991B1 (ko) 2010-06-29 2010-06-29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8A KR20120001048A (ko) 2012-01-04
KR101195991B1 true KR101195991B1 (ko) 2012-10-30

Family

ID=4560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622A KR101195991B1 (ko) 2010-06-29 2010-06-29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76B1 (ko) * 2020-03-13 2020-08-31 김동섭 소방전기기구용 플렉시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77B1 (ko) * 2017-07-19 2019-07-30 권두영 관 연결부 밀폐장치
KR102206675B1 (ko) * 2020-09-17 2021-01-22 노경민 방초매트 시공 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378A (ja) * 1998-04-24 1999-11-09 Nkk Corp 耐震可撓曲管
JPH11336624A (ja) * 1998-05-26 1999-12-07 Fuji Heavy Ind Ltd ダクト及びダク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378A (ja) * 1998-04-24 1999-11-09 Nkk Corp 耐震可撓曲管
JPH11336624A (ja) * 1998-05-26 1999-12-07 Fuji Heavy Ind Ltd ダクト及びダク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76B1 (ko) * 2020-03-13 2020-08-31 김동섭 소방전기기구용 플렉시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8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991B1 (ko) 신축홈이 형성된 배관용 커넥터
ITTO20080126U1 (it) Condotto per fluidi.
JP6596182B2 (ja) 螺旋管用帯状部材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4895008B2 (ja) ガスケットの成形型および製造方法
CN105229357B (zh) 挠性管、挠性软管和挠性管的制造方法
JP5875141B2 (ja) 部分成形コルゲートチューブ
US11034073B2 (en) Method for forming inline triple wall coupling connector
JP7315174B2 (ja) 締め付け部を有する締め付けリング
JP2019515204A (ja) ガイド装置
ITMI20121137A1 (it) Anima di curvatura
JP2013066284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策構造
CA2884988A1 (en) Pipe coupling tolerant of pipe movement
KR20090100794A (ko)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KR101727387B1 (ko) 타원형 덕트가 형성되는 방향변환블록 및 그 제작 방법
JP2003214563A (ja) 可撓部を有する合成樹脂製剛性管
KR101605692B1 (ko) Frp 보강근의 절곡성형장치 및 절곡성형방법
JP7071862B2 (ja) 螺旋管用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2637B2 (ja) コルゲート管、そのコルゲート素管、およびコルゲート管の製造方法
JP6463538B1 (ja) ライニング体の連結方法、ライニング体の連結構造
JP7463226B2 (ja)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
JP5567917B2 (ja) ケーブル用導管
JP6174918B2 (ja)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CN105518269A (zh) 卷式消声器的制造方法以及卷式消声器
ITTO980151A1 (it) Tubo metallico flessibile a flusso avviato e suo procedimento di fabbr icazione.
JP2016147278A (ja) 中空形材成形用押出ダ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