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847B1 -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847B1
KR101194847B1 KR1020110007506A KR20110007506A KR101194847B1 KR 101194847 B1 KR101194847 B1 KR 101194847B1 KR 1020110007506 A KR1020110007506 A KR 1020110007506A KR 20110007506 A KR20110007506 A KR 20110007506A KR 101194847 B1 KR101194847 B1 KR 10119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ackhoe
vibrating
screen bas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198A (ko
Inventor
조성주
박성순
최규문
최철순
전효용
조규춘
진강호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1000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8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호우에 장착되는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진동 체거름망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오염토양의 굴착과 선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염토양을 효율적으로 경작할 수 있고, 오염토양을 초목 등의 식생에 적합한 상태로 경작할 수 있게 되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측면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측면 체거름망을 구비한 것으로, 측면 스크린 베이스와 측면 체거름망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선별이 가능하게 되므로 오염토양의 선별 효과가 상승되고,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의하여 초벌 선별을 수행한 다음 진동 체거름망에 의하여 최종 선별을 수행함으로써 진동 체거름망의 망목 막힘 현상이 배제되고 선별대상 괴상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해낼 수 있게 되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스크린 베이스와 체거름망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써 오염토양의 굴착과 선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경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장비 비용을 줄여 시공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Apparatus for excavating and selecting soil and lump shaped material and method for selecting lump shaped material and cultivation polluted so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전에 오염토양의 굴착과 동시에 입경별로 선별 분리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백호우에 장착하여 야적된 토양을 단시간 내에 선별 가능하게 하며, 입경별 선별 성능이 탁월하고, 선별하고자 하는 입경별로 스크린을 구비함과 아울러 스크린의 교체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여 원활한 오염토양 정화를 하기 위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중에 토사와 혼재하는 암석이나 폐 콘크리트 등의 괴상물질은 토사와 분리하여 타 용도로 활용한다. 또한 주유소나 군부대 또는 공장지역 주변의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경우 오염토양을 굴착, 파쇄, 혼합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오염토양 중에 혼재하는 괴상물질의 선별 공정이 수반된다.
강기 괴상물질의 선별 공정은 토목공사의 토사 또는 오염토양의 종류와 공사의 종류와 목적 등에 따라 소정 입경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괴상물질을 선별해내는 것이다.
즉, 토사나 오염토양 중에 혼재하는 암석 등의 괴상물질을 제거 및 수거하기 위한 탈위치(Ex-Situ) 처리기술은 일반적인 토목공사 현장이나 오염토양 정화 현장에서 반드시 수반되는 공정이다.
종래 괴상물질의 선별 작업은 인력에 의해 수행하거나 백호우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선별 능률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많거나 점토질이 많은 토사의 경우, 그리고 수분과 유분이 많이 함유된 오염토양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흙덩어리가 혼재하기 때문이 이를 잘게 부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은 인력에 의하거나 로터리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괴상물질 선별 작업과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은 작업 형태와 사용하는 장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두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크게 떨어지고 공기 지연과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토사와 괴상물질의 선별을 위하여 대형 회전식 선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회전식 선별장치는 고가의 장비로서 소규모 현장에서는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사나 오염토양을 별도의 백호우로 굴착한 다음 덤프트럭 등의 운반장비에 실어 대형 회전식 선별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운반하여야 하며, 선별이 완료된 토사와 괴상물질은 다시 운반장비에 의해 운반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공사에서 토사의 굴착과 선별을 일괄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오염토양 정화공사에서 오염토양의 굴착, 파쇄, 혼합 및 선별을 일괄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호우에 장착하여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별도의 운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토사의 굴착과 선별, 오염토양의 굴착, 파쇄, 혼합 및 선별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기동성 있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소형 장비로서 작업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부위가 개방되어 있는 백호우용 굴착버킷; 상기 개방된 일정부위에 설치된 망목을 가지는 체거름수단; 및 상기 체거름수단을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백호우에 장착되며, 상판과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고,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과;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후면 상단측에 설치되며 굵은 망목을 가지는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후면 하단측에 설치되며 굵은 망목을 가지는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는 망목을 가지는 후면 체거름망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는 망목을 가지는 진동 체거름망; 및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 사이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캠축과, 상기 한 쌍의 캠축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용 캠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용 캠에 구름 접촉하는 캠 폴로워와, 상기 한 쌍의 캠축을 회전 구동하는 캠 회전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는 그 하단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지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 사이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용 캠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용 캠에 구름 접촉하는 캠 폴로워와, 상기 캠축을 회전 구동하는 캠 회전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굵은 망목의 측면 스크린 베이스 및,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 체거름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양파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토양파쇄수단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양단이 상기 양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쇄축과, 상기 파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파쇄침 및, 상기 파쇄축을 회전 구동하는 파쇄축 회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판과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 및 진동수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의하여 토양을 초벌 굴착하는 단계; 상기 초벌 굴착된 토양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으로 퍼올리는 단계; 상기 진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퍼올려진 토양을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벌 선별하는 단계;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진동 체거름망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의하여 토양을 최종 굴착하는 단계; 상기 최종 굴착된 토양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으로 퍼올리는 단계; 상기 진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진동 체거름망을 진동시키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퍼올려진 토양을 상기 진동 체거름망에 의하여 최종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을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판과 개구부를 가지는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측면 스크린 베이스 및 진동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 및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의하여 토양을 초벌 선별하며, 상기 체거름망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측면 체거름망을 부착하여,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 체거름망과 진동 체거름망 및 측면 체거름망에 의하여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을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토양파쇄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 뭉쳐진 토양을 상기 토양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백호우에 장착되는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진동 체거름망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오염토양의 굴착과 선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염토양을 효율적으로 경작할 수 있고, 오염토양을 초목 등의 식생에 적합한 상태로 경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측면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측면 체거름망을 구비한 것으로, 측면 스크린 베이스와 측면 체거름망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선별이 가능하게 되므로 오염토양의 선별 효과가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굵은 망목의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의하여 초벌 선별을 수행한 다음 가는 망목의 진동 체거름망에 의하여 최종 선별을 수행함으로써 진동 체거름망의 망목 막힘 현상이 배제되고 선별대상 괴상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체거름망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써 오염토양의 굴착과 선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경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장비 비용을 줄여 시공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정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후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진동수단과 스크린 베이스 및 체거름망의 작동을 보인 종단 우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진동수단과 스크린 베이스의 작동을 보인 종단 우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종단 우측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종단 우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공정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는, 일정부위가 개방되어 있는 백호우용 굴착버킷(10); 상기 개방된 일정부위에 설치된 망목을 가지는 체거름수단; 및 상기 체거름수단을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는, 상기 체거름수단은 후면 스크린 베이스(20); 진동 스크린 베이스(30), 후면 체거름망(40), 진동 체거름망(50), 진동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은 통상적인 백호우용 버킷과 대등한 형태로서, 상판(11)과 양측판(12) 및 하부 굴착판(13)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상판(11)의 상면에는 백호우에 결합하기 위한 백호우 장착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백호우 장착부(14)는 통상적인 백호우에 결합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굴착판(13)은 통상적인 백호우용 버킷과 같은 굴착날부(13a)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후면 상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는 격자(21)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후면에 고정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는 초벌 선별용으로서 상기 격자(21)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선별해 낼 수 있는 최대 입경보다 큰 망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21)는 도시 예와 같이 환봉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후면 하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는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의 하단과 상기 하부 굴착판(13)의 후단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는 외곽틀(31)과, 상기 외곽틀(31)의 안쪽에 결합되는 격자(32)를 포함한다. 상기 외곽틀(31)은 띠형 평철이나 띠형 강판 등의 판상 막대부재나 환봉 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격자(32)는 환봉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는 초벌 선별용으로서 상기 격자(32)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선별해 낼 수 있는 최대 입경보다 굵은 망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는 복수개의 탄성부재(33)에 의하여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외곽틀(31)과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양측판(12) 사이를 탄성부재(33)에 의하여 연결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10)가 진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양측판(12) 내면에 탄성부재 지지 브래킷(34)을 고정 부착하고, 상기 탄성부재 지지 브래킷(34)에 상기 탄성부재(33)의 일단을 지지하였다. 상기 탄성부재 지지 브래킷(34)은 상기 양측판(12)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 부착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는 그 일단을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탄성부재 지지 브래킷(34)에 고정한다.
도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3)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네 귀퉁이에 설치한 한 예를 들고 있으나, 그 위치와 개수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과 진동 스크린 베이스(30) 등의 규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면 체거름망(40)이 구비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진동 체거름망(50)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 체거름망(40)은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에 철사로 결속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은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철사로 결속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체거름망(40)은 통상적인 체거름망이 사용되며, 최종 선별대상물의 입경에 상당하는 망목 크기를 가진다.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은 통상적인 체거름망이 사용되며, 최종 선별대상물의 입경에 상당하는 망목 크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염토양의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에 의해 걸러낼 수 있는 선별대상물의 입경 범위가 예컨대 20㎜ 내지 100㎜이고, 최종 선별대상물의 입경이 20㎜라고 할 때,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의 격자(21)와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격자(32)의 망목은 100㎜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은 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벌 굴착 및 초벌 선별시에는 오염토양 중 수분과 유분의 함유량이 많아 오염토양의 응집력이 높기 때문에 돌이나 폐 콘크리트 등과 같은 괴상(塊狀)의 선별대상물의 표면에 많은 양의 오염토양이 부착되어 본래의 크기보다 큰 상태로 되어 있어 초벌 선별시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여 선별할 경우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이 막혀 실질적으로 선별해 낼 수 있는 망목의 크기가 협소해지기 때문에 원하는 선별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초벌 선별시에는 망목이 큰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만으로 선별하여 실질적인 선별이라고 하기 보다는 오염토양을 뒤집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이 과정을 거친 후 오염토양 중의 수분과 유분이 증발하여 돌이나 폐 콘크리트 등과 같은 괴상 선별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토양이 떨어져 나가 괴상 선별대상물의 입경이 본래의 크기로 드러나게 된 다음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안쪽에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여 최종적인 선별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진동수단(60)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양측판(12) 사이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캠축(61a)(61b)과, 상기 한 쌍의 캠축(61a)(61b)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용 캠(cam)(62a)(62b)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용 캠(62a)(62b)에 구름 접촉하는 캠 폴로워(cam follower)(63a)(63b) 및 상기 캠축(61a)(61b)을 회전 구동하는 캠 회전구동기구(64)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용 캠(62a)(62b)과 캠 폴로워(63a)(63b)는 도시 예와 같이 4개씩 설치할 수 있으나, 각각 하나씩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캠 폴로워(63a)(63b)는 별도의 구비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격자(32)를 구성하는 소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캠 회전구동기구(64)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상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백호우(1)에 구비된 회전동력원(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 회전요소(64a)와, 상기 캠축(61a)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종동 회전요소(64b) 및,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와 종동 회전요소(64b)를 연결하는 전동요소(64c), 상기 캠축(61a)(61b)의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연동 회전요소(64d)(64e) 및, 상기 연동 회전요소(64d)(64e)를 연결하는 전동요소(64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 예와 같이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 종동 회전요소(64b), 연동 회전요소(64d)(64e)는 스프로킷(sprocket)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동요소(64c)(64f)는 체인(chain)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 종동 회전요소(64b), 연동 회전요소(64d)(64e)를 각각 기어(gear) 또는 풀리(pulley)로 구성하고 상기 전동요소(64c)(64f)를 전동기어 또는 벨트(belt)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는 감속기(65)를 통하여 회전동력원(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66은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와 감속기(65)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도시 에에서는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를 분리 형성하고,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진동 체거름망(50)을 분리형으로 형성한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진동수단(60)에 의하여 일체로 진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진동 체거름망(50)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는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하단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양측판(12)에 지지축(35)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진동수단(60)을 구성하는 캠축(61a)과 진동발생용 캠(62) 및 캠 폴로워(63)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상단측에 대응하여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 후면 스크린 베이스(20), 진동 스크린 베이스(30), 후면 체거름망(40), 진동 체거름망(50) 및, 상기 캠 회전구동기구(64)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 종동 회전요소(64b), 전동요소(64c)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염토양의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양측판(12)에 형성된 개구부(12a)와, 상기 개구부(12a)에 설치되는 측면 스크린 베이스(70) 및,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70)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 체거름망(80)을 더 포함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70)는 굵은 망목의 격자(71)를 포함한다.
상기 격자(71)는 환봉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70)는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와 같은 망목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체거름망(60)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과 같은 망목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에 의한 선별 단계에서 상기 진동수단(60)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에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통하여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70)와 상기 측면 체거름망(60)에도 전달되어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70)와 상기 측면 체거름망(60)도 진동에 의한 선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는 토양파쇄수단(9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토양파쇄수단(90)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양단이 상기 양측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쇄축(91a)과, 상기 파쇄축(91a)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파쇄침(92a) 및, 상기 파쇄축(91a)을 회전 구동하는 파쇄축 회전구동기구(93)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축 회전구동기구(93)는 상기 캠축(61a)의 타단에 고정된 구동 회전요소(93a)와, 상기 파쇄축(91a)의 일단에 고정된 종동 회전요소(93b) 및 상기 구동 회전요소(93a)와 종동 회전요소(93b)를 연결하는 전동요소(9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쇄축은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 하에 각각 파쇄축(91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파쇄축(91a)에는 각각 파쇄침(92a)이 구비된다.
도시 예와 같이 상기 구동 회전요소(93a)와 종동 회전요소(93b)는 스프로킷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동요소(93c)는 체인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구동 회전요소(93a)와 종동 회전요소(93b)를 각각 기어 또는 풀리(pulley)로 구성하고, 상기 전동요소(93c)를 전동기어 또는 벨트(belt)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토양파쇄수단을 더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2 실시 예 및 제 3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파쇄축 회전구동기구(93)가 상기 캠 회전구동기구(64)의 캠축(61a)에 구동 회전요소(93a)와 종동 회전요소(93b) 및 전동요소(93c)로 연결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캠 회전구동기구(64)와 별개의 회전동력원과 구동 회전요소, 종동 회전요소 및 전동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은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서 진동 체거름망(50)을 탈거한 상태로 백호우(1)에 장착하는 단계와;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의하여 오염토양(S)을 초벌 굴착하는 단계;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초벌 굴착된 오염토양(S)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으로 퍼올리는 단계;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의해 퍼올려진 오염토양(S)을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의하여 초벌 선별하는 단계;
도 1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는 단계;
도 15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의하여 오염토양(S)을 최종 굴착하는 단계;
도 15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최종 굴착된 오염토양(S)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으로 퍼올리는 단계;
도 15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부착된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에 의하여 퍼올려진 오염토양(S)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백호우(1)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의 상판(11)에 구비된 백호우 장착부(17)를 이용하여 백호우(1)의 암(3) 선단에 장착한다(도 15의 (a) 참조).
상기 초벌 굴착 단계에서는, 통상적인 백호우의 버킷의 굴착작업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이용하여 오염토양(S)을 굴착한다(도 15의 (b) 참조).
상기 초벌 굴착된 오염토양(S)을 퍼올리는 단계에서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백호우(1)의 붐(2)과 암(3)을 굴절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오염토양(S)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지도록 한다(도 15의 (c) 참조).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진 오염토양(S)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는, 백호우(1)의 붐(2)과 암(3)의 굴절 작용에 의하여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진 오염토양(S)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망목을 통하여 입경별로 선별되도록 한다(도 15의 (d) 참조).
이때,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를 상기 진동수단(60)에 의하여 진동시킴으로써 오염토양(S)의 초벌 선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회전동력원(미도시)의 회전력이 감속기(65)를 통하여 구동 회전요소(64a)에 전달되면 상기 구동 회전요소(64a)의 회전력이 상기 전동요소(64c)를 통하여 상기 종동 회전요소(64b)에 전달되고, 상기 종동 회전요소(64b)에 고정된 상기 캠축(61a)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캠축(61)에 고정된 상기 진동발생용 캠(6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상단부가 회전하는 상기 진동발생용 캠(62)과 접촉하면서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가 진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축(61a)의 회전력은 상기 캠축(61a)의 타단에 고정된 연동 회전요소(64d)와 전동요소(64f) 및 상기 캠축(61b)의 타단에 고정된 연동 회전요소(64e)를 통해 상기 캠축(61b)에 전달되어 상기 캠축(61b)이 상기 캠축(61a)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캠축(61a)에 고정된 상기 진동발생용 캠(62b)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가 진동하게 되면 오염토양 덩어리가 부서지게 되고 돌이나 폐 콘크리트 등과 같은 괴상물질의 표면에 묻어 있던 오염토양이 탈락하게 되면서 선별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캠 폴로워(6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 상기 진동발생용 캠(62)이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 폴로워(63)가 상기 진동발생용 캠(62)에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진동발생용 캠(62)에 의한 진동발생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초벌 굴착 단계와 초벌 선별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오염토양(S)은 종래 오염토양 경작 기술에서 오염토양을 뒤집는 것에 상당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
또한 오염토양(S)에 대한 초벌 굴착 단계와 초벌 선별 단계를 거치고 나면, 오염토양(S) 중의 수분과 유분은 상당량 증발하게 되어 오염토양 덩어리가 없어지게 되고, 돌이나 폐 콘크리트 등과 같은 괴상물질의 표면에 묻어 있던 오염토양이 탈락한 상태로 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철사로 결속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부착한다(도 15의 (e) 참조).
상기 최종 굴착 단계에서는,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의하여 초벌 선별된 오염토양(S)을 굴착한다(도 15의 (f) 참조).
상기 최종 굴착된 오염토양을 퍼올리는 단계에서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백호우(1)의 붐(2)과 암(3)을 굴절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초벌 선별된 오염토양(S)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지도록 한다(도 15의 (g) 참조).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진 오염토양(S)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는, 백호우(1)의 붐(2)과 암(3)의 굴절 작용에 의하여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진 오염토양(S)이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을 통하여 입경별로 선별되도록 한다(도 15의 (h) 참조).
최종 선별 단계에서도 상기 진동수단(60)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발생한 진동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에 전달되므로 최종 선별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동수단(60)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최종 굴착 단계 및 최종 선별 단계는 1회로 완료될 수도 있으며, 오염토양의 오염도 등 현장 상황에 따라서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최종 굴착 단계 및 최종 선별 단계에서도 종래 오염토양 경작 기술에서 오염토양을 뒤집는 것에 상당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에서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만 부착한 상태에서 초벌 굴착 단계와 초벌 선별 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한 상태에서 최종 굴착 단계와 최종 선별 단계를 순차 수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오염토양을 경작하는 초기에는 오염토양이 수분과 유분에 의하여 젖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뭉쳐진 오염토양 덩어리가 다량 혼재할 뿐만 아니라 돌이나 폐 콘크리트 등과 같은 괴상물질의 표면에는 오염토양이 묻어서 본래의 입경보다 굵은 상태로 존재하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 곧바로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여 최종 굴착 단계와 최종 선별 단계를 거치게 되면, 수분과 유분에 의하여 젖어 있는 오염토양에 의하여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이 막히게 되어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 선별 단계에서는 최소 선별대상 입경보다 큰 입경을 가지는 괴상물질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며, 최소 선별대상 입경보다 작은 입경을 가지는 괴상물질은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을 통과하여 경작된 토양 중에 혼재하는 상태로 되어야 하는 바, 오염토양의 경작 초기에는 오염토양이 수분과 유분에 의하여 젖어 있고 선별대상인 괴상물질이 그 표면에 오염토양이 묻어 본래의 입경보다 큰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을 통과해야 할 최소 선별대상 입경보다 작은 괴상물질이 상기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사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상술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사용하여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백호우(1)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술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즉, 상판(11)과 개구부를 가지는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와 측면 스크린 베이스(70) 및 진동수단(60)을 결합한다.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 및 측면 스크린 베이스(70)에 의하여 토양을 초벌 선별한다.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진동 체거름망(50)을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측면 스크린 베이스(70)에 각각 후면 체거름망(40)과 측면 체거름망(80)을 부착한다.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면 체거름망()과 진동 체거름망(50) 및 측면 체거름망(80)에 의하여 토양을 최종 선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을 백호우(1)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술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토양파쇄수단(90)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와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과정에서 토양을 파쇄하여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토양파쇄수단(90)은 상술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는 백호우(1)에 구비된 회전동력원(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토양파쇄수단(90)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 회전요소(93a)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 회전요소(93a)의 회전력이 상기 전동요소(93c)를 통하여 상기 종동 회전요소(93b)에 전달되고, 상기 종동 회전요소(93b)에 고정된 파쇄축(91)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파쇄축(9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파쇄침(92)이 회전하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 내에 퍼올려진 토양을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양파쇄수단(90)의 작동으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10)에 퍼올려진 토양 중 수분이나 유분 등에 의하여 뭉쳐진 토양이 잘게 파쇄되어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의 망목이 뭉쳐진 토양에 의하여 막히는 일이 없게 되어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20)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30)에 의한 토양의 초벌 선별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는 상술한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토양파쇄수단(90)에 의하여 뭉쳐진 토양이 잘게 파쇄되어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진동 체거름망(50)의 망목이 막히는 일이 없게 되어 상기 후면 체거름망(40)과 진동 체거름망(50)에 의한 토양의 최종 선별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백호우용 굴착버킷 20 : 후면 스크린 베이스
30 : 진동 스크린 베이스 40 : 후면 체거름망
50 : 진동 체거름망 61a, 61b : 캠축
62a, 62b : 진동발생용 캠 63a, 63b : 캠 폴로워
64 : 회전구동기구 70 : 측면 스크린 베이스
80 : 측면 체거름망 90 : 토양파쇄수단
91a, 91b : 파쇄축 92a, 92b : 파쇄침
93 : 파쇄축 회전구동기구

Claims (10)

  1. 삭제
  2. 백호우에 장착되며, 상판과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고,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과;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후면 상단측에 설치되며 굵은 망목을 가지는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후면 하단측에 설치되며 굵은 망목을 가지는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는 망목을 가지는 후면 체거름망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는 망목을 가지는 진동 체거름망; 및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 사이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용 캠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용 캠에 구름 접촉하는 캠 폴로워와, 상기 캠축을 회전 구동하는 캠 회전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는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는 그 하단이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지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굵은 망목의 측면 스크린 베이스 및,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의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 체거름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양파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파쇄수단은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양단이 상기 양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쇄축과,
    상기 파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파쇄침 및, 상기 파쇄축을 회전 구동하는 파쇄축 회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8. 상판과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 및 진동수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의하여 토양을 초벌 굴착하는 단계;
    상기 초벌 굴착된 토양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으로 퍼올리는 단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의 양측판 사이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용 캠과,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용 캠에 구름 접촉하는 캠 폴로워와, 상기 캠축을 회전 구동하는 캠 회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진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진동시키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퍼올려진 토양을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를 이용하여 초벌 선별하는 단계;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에 진동 체거름망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의하여 토양을 최종 굴착하는 단계;
    상기 최종 굴착된 토양을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으로 퍼올리는 단계;
    상기 진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상기 진동 체거름망을 진동시키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퍼올려진 토양을 상기 진동 체거름망에 의하여 최종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을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판과 개구부를 가지는 양측판 및 하부 굴착판을 가지며 전, 후면이 개방된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와 측면 스크린 베이스 및 진동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 스크린 베이스와 진동 스크린 베이스 및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의하여 토양을 초벌 선별하며,
    상기 체거름망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면 스크린 베이스에 측면 체거름망을 부착하여,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 체거름망과 진동 체거름망 및 측면 체거름망에 의하여 토양을 최종 선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을 백호우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백호우용 굴착버킷에 토양파쇄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토양을 초벌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을 최종 선별하는 단계에서 뭉쳐진 토양을 상기 토양파쇄수단에 의하여 파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KR1020110007506A 2011-01-25 2011-01-25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KR10119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506A KR101194847B1 (ko) 2011-01-25 2011-01-25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506A KR101194847B1 (ko) 2011-01-25 2011-01-25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98A KR20120086198A (ko) 2012-08-02
KR101194847B1 true KR101194847B1 (ko) 2012-10-25

Family

ID=4687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506A KR101194847B1 (ko) 2011-01-25 2011-01-25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561B1 (ko) * 2017-01-05 2018-11-23 조정래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CN109577409A (zh) * 2018-12-03 2019-04-05 郑州创客科技有限公司 一种矿用挖掘机器人
CN110439055B (zh) * 2019-07-19 2024-03-08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
CN115250652B (zh) * 2022-06-10 2023-06-27 浙江中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污染治理用翻耕晒垄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01A (ja) 1999-09-07 2001-03-21 Daisho Juken:Kk 土砂ふるい落し装置
JP2003221837A (ja) 2002-01-31 2003-08-08 Masami Kawan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JP2005074395A (ja) 2003-09-03 2005-03-24 Nakayama Iron Works Ltd 破砕バ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01A (ja) 1999-09-07 2001-03-21 Daisho Juken:Kk 土砂ふるい落し装置
JP2003221837A (ja) 2002-01-31 2003-08-08 Masami Kawan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JP2005074395A (ja) 2003-09-03 2005-03-24 Nakayama Iron Works Ltd 破砕バ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98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2058C2 (ru) Ковш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194847B1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CN108940800B (zh) 一种砂石筛选装置
JP2002505188A (ja) スクリーニング装置
JP3964831B2 (j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KR20140041375A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용 진폭 확장형 진동 선별장치
CN220292527U (zh) 一种土壤压实平铺装置
CN203253523U (zh) 一种土壤湿法振动筛分设备
KR20070071192A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CN205926274U (zh) 斗式筛分机
JP2017042148A (ja) 粉体混合散布装置
JP2000008403A (ja) 混在物などの分別方法および分別粉砕用バケット
CN212306049U (zh) 一种土壤挖掘装置
CN201147756Y (zh) 建筑垃圾制砖用料精选装置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JP3616598B2 (ja) 破砕選別装置
KR20140041321A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용 진폭 확장형 진동 선별장치
JP2001087710A (ja) ふるい機
JP2002346429A (ja) 破砕プラント及びその構築方法
CN219647565U (zh) 一种建筑垃圾再利用设备
KR101324441B1 (ko) 선별 버킷
JP3676087B2 (ja) 砕土機及び砕土機付き土質改良装置
CN217644175U (zh) 矿山区域土地生态改良装置
CN213856288U (zh) 一种市政园林绿化土壤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