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41B1 - 선별 버킷 - Google Patents

선별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41B1
KR101324441B1 KR1020120081989A KR20120081989A KR101324441B1 KR 101324441 B1 KR101324441 B1 KR 101324441B1 KR 1020120081989 A KR1020120081989 A KR 1020120081989A KR 20120081989 A KR20120081989 A KR 20120081989A KR 101324441 B1 KR101324441 B1 KR 10132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mesh
frame
sorting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751A (ko
Inventor
마사오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조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정 filed Critical 조현정
Publication of KR2013002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 과제 >
유압 셔블 등에 간단하게 장착 가능하고, 적어도 한번의 선별로 대중소의 입경을 가지는 3 종류로 선별을 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메쉬의 변경이 가능하며, 여러 종류의 선별 요구에 합치한 선별이 가능하고, 선별 효율이 높은 선별 버킷을 제공한다.
< 해결 수단 >
유압 셔블의 암 및 로드에 장착하여 사용되며, 받아들여지는 채석물의 입경을 선별할 수 있는 선별 버킷으로, 채석물을 퍼올리는 퍼올림판에 연속하여 이어지지며, 버킷을 구성하는 측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1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퍼올림판으로부터 배면판까지의 사이 및 상기 측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2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그물망의 후부가 배면판까지 개구하고 있다.

Description

선별 버킷{Sorting Bucke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유압 셔블(shovel, 삽)의 암 선단에 장착하여 채석물을 선별하는 선별 버킷에 관한 것이다.
수력 발전소의 댐 호수의 준설이나 토목 건설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잔토(殘土)·잔사(殘渣) 등은 다양한 입경을 가진 것이 섞여 있으므로, 재이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많아 지금까지는 불필요한 폐기물로서 처리해야 했다. 그렇지만, 이들 중에 포함되는 돌, 자갈, 모래 등을 적절히 분별할 수 있으면, 건설 자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토사 등의 채석물의 선별과 관련하여서는, 지금까지는 선별기라고 하는 전문기기나 건설기계(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암 등에 장착하여 선별하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7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켈레톤(skeleton) 버킷이 알려져 있다.
도 10은, 위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735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켈레톤 버킷을 건설기계의 암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에서, 101은 선별 버킷, 103은 암, 111은 버킷 본체, 112는 저판, 113은 개공(開孔), 114는 보, 115는 측판, 116은 연결 브라켓, 117은 굴착용 클로우(claw), 118, 119는 개공, 131은 연결 링크, 132는 로드(rod), 121은 저판(112)의 좌우측 가장자리부, 122는 저판(112)의 전방 가장자리부, 123은 저판(112)의 후방 가장자리부, 151은 저판(112)의 만곡형상을 따른 만곡가장자리, 161은 브라켓 장착판, 162는 장착보조판, 181은 구획둘레, 191은 좌우측 가장자리부(121)에 평행한 구획둘레이다.
도 10에 도시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73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은, 발명의 명칭인 "스켈레톤 버킷"에 관한 것이며, "가는 보에 응력이 집중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전압(轉壓, 겉다짐)이나 고르기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스켈레톤 버킷을 개발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위 공개특허공보의 명세서 단락 번호 [0004] 참조), "버킷 본체는, 저판에 복수의 육각형의 개공을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개공 사이의 보가 같은 폭이 되도록 늘어놓은" 구성을 가지며(위 공개특허공보의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기재 등 참조), "응력이 집중하는 보를 형성하지 않고, 또 저판 전체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간이한 전압이나 고르기 작업에 이용해도 버킷 본체의 저판을 변형시키지 않으며, 종래 동종의 스켈레톤 버킷에 비해 이용 범위를 확충할 수 있으며…, 또한, … 좌우측 가장자리부, 전방 가장자리부 또는 후방 가장자리부에서의 강성의 저하가 없어져, 전체에 걸쳐서 버킷 본체의 저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위 공개특허공보 명세서 단락 번호 [0010] 참조).
도 10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735호 공보에 개시된 스켈레톤 버킷은, 1종류의 메쉬(mesh, 그물코) 밖에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소 2종류의 분별밖에 할 수 없으며, 또한, 1개의 버킷에 대해서 고정된 메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선별의 요구에 맞는 개수의 버킷을 준비하지 않으면 다종다양한 선별의 요구에 응할 수 없었다.
또한, 선별은 메쉬와 비선별물인 자갈 등의 접촉 면적이 넓은 만큼 효율이 좋은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35호 공보에 개시된 스켈레톤 버킷은, 선별하는 면적이 좁아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니며, 선별에 시간과 노력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35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에 간단하게 장착가능하며, 채석물을 적어도 한번의 선별로 대중소의 입경을 가지는 3종류로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메쉬의 변경이 가능하며, 여러종류의 선별 요구에 합치한 선별이 가능하고, 선별 효율이 높은 선별 버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암 및 로드에 연결 브라켓을 통해서 장착되어 사용되며, 받아들여지는 채석물의 입경을 선별할 수 있는 선별 버킷으로, 채석물을 퍼올리는 퍼올림판에 연속하여 이어지며, 버킷을 구성하는 측판의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고, 대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1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퍼올림판으로부터 배면판까지의 사이 및 상기 측판의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며, 소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2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및 상기 제2 그물망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격자모양의 제1 프레임틀 및 제2 프레임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물망의 후부가 배면판까지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그물망은 상기 제2 그물망에 평행한 상부그물망과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경사그물망 걸림홈에 끼워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상부그물망 걸림홈에 선단방향에서 끼워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 배치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하부그물망 걸림홈에 배면방향에서 끼워넣어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 배치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선별 버킷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망과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은, 상기 제2 그물망의 교환에 용이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킷을 구성하는 측판의 사이에, 채석물을 퍼올리는 퍼올림판에 연속하여 이어지는 대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1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퍼냄판으로부터 배면판까지의 사이 및 상기 측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2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그물망의 후부가 배면판까지 개구하도록 한 것으로, (1) 유압 셔블 등의 암 및 로드에 간단하게 장착가능하며, (2) 채석물 등의 피선별물을 적어도 한 번의 선별로 대중소의 입경을 가지는 3종류로 선별할 수 있고, (3) 또한 용이하게 메쉬의 변경이 가능하며, (4) 다종다양한 선별요구에 합치한 선별이 가능하고, (5) 넓은 적재 면적을 가지므로 선별 효율이 높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자갈 등의 채석물을 퍼올리는 측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배면 사시도.
도 3의 (A)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평면도, 도 3의 (B)는 측면도, 도 3의 (C)는 단면도.
도 4의 (A),(B),(C)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이중그물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의 (A)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개략 단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B방향의 상부 그물망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A)의 C-C방향의 하부그물망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떼어낼 수 있는 상기 상부그물망(9), 경사그물망(8) 및 하부그물망(10, 10, 10)의 교환 시에 사용하는 걸림홈(11, 12, 1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에 토사 등의 채석물을 퍼올려 싣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조금씩 흔들면서, 상기 하부그물망(10)으로부터 20mm 이하의 작은 황사(荒砂, 거친 모래) 등(이하, 제품 "소(小)"라고 함)을 선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선단 방향으로 기울여 다른 장소에 40mm 이상의 돌맹이 등(이하, 제품 "대(大)"라고 함)을 골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배면 방향으로 기울여, 또 다른 장소에 20~40mm의 자갈 등 (이하, 제품 "중(中)"이라고 함)을 선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위 공개특허공보 제2009-215735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켈레톤 버킷을 건설기계의 암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선별 버킷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 형태로서 일 실시예를 도면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선별 버킷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 실시예인 선별 버킷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 중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자갈 등의 채석물을 퍼올리는 측에서 본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배면 사시도, 도 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측면도, 도 3의 (C)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부호 1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 2는 유압 셔블기(미도시) 등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브라켓이며, 각각 유압 셔블기의 암(미도시) 및 로드(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3은 퍼올림판, 4, 4는 측판, 5는 배면판, 6, 6은 칸막이판, 8은 경사그물망, 9는 상부그물망, 10, 10, 10은 하부그물망, 11은 경사그물망 걸림홈, 12는 상부그물망 걸림홈, 13은 하부그물망 걸림홈, 14는 걸림 플레이트, 15, 15, 15…는 걸림 볼트 및 너트이다. 또한, 원숫자는 대중소의 선별 순서(최초로 "소" 입경을 선별하고, 그 후, "대" 입경을 선별하며, 최종적으로 "중" 입경을 선별하는 것)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2500mm 내외, 폭 2000mm 내외의 면적을 가지는 선별 버킷(1)이며,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올려진 자갈 등의 채석물을 대중소의 크기를 가지는 3종류의 입경으로 선별하는 이중의 그물망 구조를 가진다. 즉,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에서, 상기 상부그물망(9) 및 상기 경사그물망(8)으로 이루어지는 1단째의 메쉬는, 40mm×404m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으로 이루어지는 2단째의 메쉬는, 20mm×20mm의 크기를 가진다.
도 4의 (A),(B),(C)는, 이러한 이중의 그물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B방향의 상부그물망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A)의 C-C방향의 하부그물망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B),(C)에서, 흑색 부분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프레임틀(16, 제1 프레임틀(16a) 및 제2 프레임틀(16b))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그물망 단면은 상기 퍼올림판(3)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결 브라켓(2)의 위치까지의 약 2.3 평방 미터의 넓이를 가지며, 하부그물망 단면은, 상기 퍼올림판(3)의 하부로부터 상기 배면판(5)의 하부까지의 약 4 평방 미터의 넓이를 가진다. 또한, 이들 각 상부그물망(9) 및 경사그물망(8) 그리고 하부그물망(10, 10, 10)은, 각 그물망(8, 9, 10)의 위치에 배치되는 격자모양의 프레임틀(16, 제1 프레임틀(16a) 및 제2 프레임틀(16b)) 상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하부그물망(10)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상부그물망(9)과의 사이에 150mm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도 5는 떼어낼 수 있는 상기 상부그물망(9) 및 경사그물망(8) 그리고 하부그물망(10, 10, 10)의 교환 시에 사용하는 걸림홈(11, 12, 1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그물망(10)을 상기 퍼올림판(3)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하부그물망 걸림홈(13)에 배면 방향에서 끼워넣어 걸리게 하고, 또한 소정 개소에 마련된 걸림 볼트 및 너트( 15, 15. …)로 상기 제2 프레임틀(16b)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경사그물망(8)은, 상기 상부그물망 단면의 상기 연결 브라켓(2)의 하부 위치의 제1 프레임틀(16a)에 배치된 상기 경사그물망 걸림홈(11)에 끼워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그물망(9)은 선단 방향에서 상기 상부그물망 걸림홈(12)에 끼워넣어 걸려지며, 그런 다음에, 소정 개소에 배치된 상기 걸림 플레이트(14)를 통하여 상기 걸림 볼트 및 너트(15, 15, …)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틀(16a)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유압 셔블의 암(미도시) 및 로드(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되며, 받아들여지는 채석물의 입경을 선별할 수 있는 버킷(1)으로, 채석물을 퍼올리는 상기 퍼올림판(3)에 연속하여 이어지며, 버킷(1)을 구성하는 상기 측판(4, 4)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1 그물망인 경사그물망(8) 및 상부그물망(9)와, 상기 제1 그물망인 경사그물망(8) 및 상부그물망(9)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퍼올림판(3)으로부터 상기 배면판(5)까지의 사이 및 상기 측판(4, 4)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2 그물망인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그물망인 경사그물망(8) 및 상부그물망(9)의 후단부 윗쪽이 상기 배면판(5)까지의 사이가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물망인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을 교환할 때에는,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은 상기 배면판(5) 방향에서 끼워넣어져, 상기 퍼올림판(3) 하부의 상기 제2 프레임틀(16b) 상에 배치된 걸림홈(13)에 끼워넣어져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그물망인 상부그물망(9)과 상기 제2 그물망인 하부그물망(10, 10, 10)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그물망인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의 교환 시에, 용이하게 하부그물망(10, 10, 10)을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고, 또한, 상기 걸림 볼트·너트(15, 15, 15…)로 용이하게 걸림고정할 수 있는 간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에서는, 상기 제1 그물망, 즉 상기 제2 그물망인 상기 하부그물망(10, 10, 10)에 평행한 상부그물망(9)과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그물망(8)은,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틀(16a)에 상기 걸림 플레이트(14) 및 상기 걸림 볼트·너트(15, 15, 15…)로 고정하도록 했지만, 이것은, 상기 경사그물망(8)의 하단 위치의 제1 프레임틀(16a) 상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걸림홈(11)에 끼워넣어져 걸려지며, 또한, 상기 상부그물망(9)도 동일 위치의 제1 프레임틀(16a) 상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걸림홈(12)에 끼워넣어져 걸려지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 선별에 대한 개략적 설명 >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이용하여, 대중소의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자갈 등의 채석물으로부터 입경이 다른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에 토사 등의 채석물을 퍼올려 싣는 모습을, 도 7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조금씩 흔들면서, 상기 하부그물망(10)으로부터 20mm 이하의 작은 황사 등 (이하, 제품 "소"라고 함)을 선별하는 모습을, 도 8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선단 방향으로 기울여 다른 장소에 40mm 이상의 돌맹이 등(이하, 제품 "대"라고 함)을 골라내는 모습을, 도 9는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배면 방향으로 기울여 또 다른 장소에 20~40mm의 자갈 등 (이하, 제품 "중"이라고 함)을 선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켈레톤 버킷 등에 비해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채석물을 싣기 위한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한 번에 다량의 채석물 등을 퍼올릴 수 있고, 또한 퍼올린 채석물 등을 유압 셔블기의 회전반경내 혹은 캐터필러(caterpillar)구동에 의해 적당한 장소로 이동시키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금씩 흔드는 것에 의해, 입경 20mm 이하의 황사 등(제품 "소")을 흔들어 떨어뜨릴 수 있으며, 제품 "소"를 선별한 후에는, 유압 셔블기의 암을 더 회전시키거나, 또는 캐터필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또 다른 장소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을 선단 방향으로 기울여 입경 40mm 이상의 제품 "대"를 선별하고, 또한 암이나 캐터필러를 이동시켜, 또 다른 장소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의 배면으로부터 입경 20~40mm의 제품 "중"을 선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그물망 교환 >
또한,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미리 소정 치수로 가공한 2 종류의 선별홀을 가지는 선별그물망을 준비함으로써, 준비한 그물망으로 적절히 교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적절한 입경의 토사 등을 선별할 수 있다.
즉, 소정 치수의 소구경의 그물망과 대구경의 그물망 2종류를 미리 준비하는 것에 의해, 소구경 그물망을 하부그물망(10)으로서 배치하고, 대구경의 그물망을 상부그물망(9)과 경사그물망(8)으로서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대중소의 입경을 선별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준비된 그물망 구경을 가지는 그물망을 준비해 두고, 이것들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임의의 입경의 자갈 등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홀구경의 그물망으로의 교환은, 상기 걸림 볼트 및 너트(15, 15,…)를 풀고, 상기 걸림 플레이트(14)를 떼어내어, 지금까지의 그물망을 떼어내고, 새로운 홀구경의 그물망을 상기 걸림홈(13) 등에 끼워넣은 후, 상기 걸림 플레이트(14)와 상기 프레임틀(16, 제1 프레임틀(16a) 및 제2 프레임틀(16b))의 소정 위치를 상기 걸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극히 용이하게 그물망의 교환이 가능하고, 그물망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토사 등의 입경의 선별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홀구경의 그물망을 준비해 두면, 종래의 스켈레톤 버킷과 같이 다양한 구경을 가지는 스켈레톤 버킷을 준비해 둘 필요가 없어 스켈레톤 버킷의 보관장소가 필요하지도 않으며, 단지 다른 홀구경의 그물망을 중첩하여 저장해 두면 충분하므로, 보관 스페이스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에서는, 상기 배면판(5)은 판 모양의 것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상기 하부그물망(10)과 동일한 홀구경을 가지는 그물망 모양이어도 된다. 그물망 모양으로 함으로써 "중" 입경의 선별물을 배출할 때에, 해당 버킷의 기울기가 작아도 피선별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관한 선별 버킷(1)은, 한 번에 0.7~0.8 입방미터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대형 유압 셔블기용의 선별 버킷으로 했지만, 이것은 유압 셔블기의 출력과 조작성을 고려하면, 한 번의 처리가 0.4 입방미터의 중형기나, 0.2입방미터 이하의 소형기용의 선별 버킷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선별 버킷으로 했으므로, 지금까지 분별되지 않고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었던 준설토나 건설잔토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선별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건설자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선별에 있어서는, 고객 요구에 합치한 선별을 단시간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번의 분별에 의해 3종류의 자재로의 분별이 가능해서, 비용을 경감한 선별·분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별에 대해서, 특수한 선별기나 배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압 셔블기 등의 기종에도 용이하게 장착가능하므로, 범용성이 매우 높은 선별 버킷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선별 버킷에 관한 것이다. 특히, (1) 유압 셔블 등의 암 및 로드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2) 채석물 등의 피선별물을 적어도 한 번의 선별로 대중소의 입경을 가지는 3 종류로 선별할 수 있고, (3) 또한 용이하게 메쉬의 변경이 가능하며, (4) 다종다양한 선별요구에 합치한 선별이 가능하고, (5) 넓은 적재 면적을 가지므로 선별 효율이 높기 때문에, 준설토에 머물지 않고, 지진재해에 따른 잔해 분별처리나, 해체 현장에서의 잔사의 선별, 수해 등에 의해서 전답에 유입된 토사의 철거 복구 등 다양한 곳에서 이용될 수 있다.
1 선별 버킷 2 연결 브라켓
3 퍼올림판 4, 4 측판
5 배면판 6, 6 칸막이판
8 경사그물망 9 상부그물망
10, 10, 10 하부그물망 11 경사그물망 걸림홈
12 상부그물망 걸림홈 13 하부그물망 걸림홈
14 걸림 플레이트 15, 15, 15… 걸림 볼트 및 너트
16 프레임틀 101 선별 버킷
103 암 111 버킷 본체
112 저판 113 개공
114 보 115 측판
116 연결 브라켓 117 굴착용 클로우(claw)
118, 119 개공 131 연결 링크
132 로드 121 좌우 측 가장자리부
122 전방 가장자리부 123 후방 가장자리부
151 만곡가장자리 161 브라켓 장착판
162 장착 보조판 181, 191 구획둘레

Claims (4)

  1. 유압 셔블의 암 및 로드에 연결 브라켓을 통해서 장착되어 사용되며, 받아들여지는 채석물의 입경을 선별할 수 있는 선별 버킷으로,
    채석물을 퍼올리는 퍼올림판에 연속하여 이어지며, 버킷을 구성하는 측판의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고, 대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1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퍼올림판으로부터 배면판까지의 사이 및 상기 측판의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며, 소구경의 홀구경을 가지는 제2 그물망과,
    상기 제1 그물망 및 상기 제2 그물망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격자모양의 제1 프레임틀 및 제2 프레임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물망의 후부가 배면판까지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그물망은 상기 제2 그물망에 평행한 상부그물망과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경사그물망 걸림홈에 끼워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상부그물망 걸림홈에 선단방향에서 끼워넣어져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 배치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그물망은 교환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프레임틀에 배치된 'コ'자 모양의 하부그물망 걸림홈에 배면방향에서 끼워넣어 걸려지고, 또한 소정 개소에 배치된 걸림 플레이트를 통하여 걸림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버킷.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망과 상기 제2 그물망의 간격은, 상기 제2 그물망의 교환에 용이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버킷.
  4. 삭제
KR1020120081989A 2011-08-31 2012-07-26 선별 버킷 KR101324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8272A JP5466678B2 (ja) 2011-08-31 2011-08-31 選別バケット
JPJP-P-2011-188272 2011-08-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41A Division KR20130065674A (ko) 2011-08-31 2013-05-06 선별 버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751A KR20130024751A (ko) 2013-03-08
KR101324441B1 true KR101324441B1 (ko) 2013-10-31

Family

ID=480122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89A KR101324441B1 (ko) 2011-08-31 2012-07-26 선별 버킷
KR1020130050541A KR20130065674A (ko) 2011-08-31 2013-05-06 선별 버킷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41A KR20130065674A (ko) 2011-08-31 2013-05-06 선별 버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66678B2 (ko)
KR (2) KR101324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2438A1 (de) * 2014-05-07 2015-11-11 Helene Leicht Baggerschaufel mit einer Sieb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372B1 (ja) * 2001-10-04 2002-10-07 壽光 西野 スケルトンバケ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ふるい分け方法
KR20050097973A (ko) * 2003-02-06 2005-10-10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피혁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34Y2 (ja) * 1988-12-19 1995-06-05 有野産業株式会社 移動式選別装置
JP3075136U (ja) * 2000-07-25 2001-02-09 大興産業株式会社 ふるい機能付きバケ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372B1 (ja) * 2001-10-04 2002-10-07 壽光 西野 スケルトンバケ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ふるい分け方法
KR20050097973A (ko) * 2003-02-06 2005-10-10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피혁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674A (ko) 2013-06-19
KR20130024751A (ko) 2013-03-08
JP5466678B2 (ja) 2014-04-09
JP2013049978A (ja)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046B2 (en) Excavator sizing bucket
US9644342B1 (en) Screening bucket system
US20100059416A1 (en) Material separator
AU761626B2 (en) Clam bucket for use in pipeline padding
US6712218B2 (en) Soil screener
JP3332372B1 (ja) スケルトンバケ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ふるい分け方法
KR101324441B1 (ko) 선별 버킷
KR101194847B1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KR20140041375A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용 진폭 확장형 진동 선별장치
CN102587431A (zh) 一种铲刀装置及推土机
JP2007224539A (ja) バ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パワーショベル
JP3916341B2 (ja) スケルトンバケット
CN218475573U (zh) 一种简易筛分斗
CN219483400U (zh) 用于土方车的土石筛分结构
US11359348B1 (en) Excavation bucket with a chain adherent release device
CN211774082U (zh) 一种可筛选石块粒度的挖机
CN217105298U (zh) 一种可筛分的双层铲斗
US11230214B1 (en) Dump truck bed with a chain adherent release device
FI125679B (fi) Kauha ja sen käyttö
KR20140041321A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용 진폭 확장형 진동 선별장치
JP3419846B2 (ja) 再生クレイ工法
JP2010248752A (ja) スケルトンバケット
JP2019085753A (ja) 削り掘りバケット及び土砂の細粒化方法
JPH0564237U (ja) バケット
JP2016084674A (ja) バ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