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497B1 -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497B1
KR101194497B1 KR1020060027990A KR20060027990A KR101194497B1 KR 101194497 B1 KR101194497 B1 KR 101194497B1 KR 1020060027990 A KR1020060027990 A KR 1020060027990A KR 20060027990 A KR20060027990 A KR 20060027990A KR 101194497 B1 KR101194497 B1 KR 10119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data
sewing
target point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496A (ko
Inventor
유우이치 스케가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6Physical exchange of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의 편집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표시수단(2)과,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대상이 되는 봉제 데이터(M1)와 또 하나의 봉제 데이터(M2)의 각 목표점을 동시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과, 편집 대상이 되는 목표점의 선택입력을 수행하는 선택입력수단(3)과, 또 하나의 봉제 데이터(M2)에 대해, 선택된 목표점(P3)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P4)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각 봉제 데이터(M1, M2)의 목표점 중에서, 대응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목표점(P4)을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과 구별할 수 있는 표시로 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인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및 재봉기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전체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봉제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2의 (A)는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B)는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일련의 운침(運針)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만을 취급하여 신규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의 데이터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묘화표시(描畵表示)와 함께, 각 봉제 데이터의 설정내용을 리스트로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다른 종류의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모니터(표시수단) 3 : 선택입력수단(마우스)
4 : 컴퓨터 10 :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41 : CPU 44 : HD 장치
100 :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 F : 플래시 메모리
M1, M2 : 봉제 데이터 P1 ~ P6 : 목표점
F1 ~ F5 : 요소(블록)
본 발명은, 재봉기에 이용되는 봉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는, 바늘낙하점과 각 바늘낙하점간의 천이동량으로 이루어진 봉제 데이터에 의해 재봉기와 천이송수단을 제어하도록 하였었다. 이러한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중에 무수히 설정된 바느질이나 예비이송 등의 목표점을 묘화로 표시하고, 마우스 등의 외부입력장치에 의해 그 중 임의의 목표점을 지정하는 동시 에, 편집(이동, 추가, 삭제)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에서는, 하나의 표시화면에 하나의 봉제 데이터만을 표시하였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6014호
그러나, 예컨대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 등은, 버튼과 천을 별개로 유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재봉바늘을 각 버튼구멍에 차례대로 삽입통과시키면서 천의 소정 부분에 바늘을 낙하시켜 버튼을 부착하는 바느질을 실시하기 위해, 버튼구멍과 천을 각각 별개로 이동시켜 바느질하기 때문에, 버튼용 봉제 데이터와 천용 봉제 데이터가 별개로 제공되어 있다.
이들 봉제 데이터중에는, 동일한 바늘낙하 타이밍에서, 버튼의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점과 천의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점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서로 관련되는 목표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2개의 봉제 데이터에 서로 관련이 깊은 목표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에 대해 편집을 실시하면, 다른쪽의 봉제 데이터에 관련이 있는 목표점에 대해서도 편집을 실시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의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는, 하나의 화면내에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표시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별개로 편집해야만 했었다.
이로 인해,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에 대해 이동?삭제 등의 편집을 실시하면, 다른 쪽의 봉제 테이터에서의 관련이 있는 목표점을, 운침(運針)의 순번 등으로부터 찾아낸 다음에 이동?삭제 등의 편집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간단히 상호 바늘낙하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정확한 위치 맞춤이 곤란해지는 동시에, 편집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관련된 다른 종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작업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봉제물과 재봉바늘을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에서 이용되며, 운침을 행하는 복수의 목표점의 각 위치 및 운침의 순번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편집 또는 신규입력을 행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입력장치로서,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함께 적어도 또 하나의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선택입력수단과,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 는 동시에, 대응특정수단은,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첫회의 운침으로부터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는, 복수의 목표점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며, 대응특정수단은,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순번 및 상기 블록내에서의 운침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식별표시수단은,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로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하는 관련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의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실시형태)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 및 재봉기(10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전체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는, 재봉기(100)의 봉제시의 동작제어에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를 신규로 작성하거나, 혹은 기존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수정 등의 편집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재봉기)
재봉기(100)는,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로서,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여 재봉바늘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천위치결정수단과, 피봉제물인 버튼을 유지하여 재봉바늘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버튼위치 결정수단과, 재봉기 모터에 의해 재봉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은,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천위치결정수단을 구동시켜 재봉바늘에 대해 임의로 천을 위치 결정하여 바늘낙하를 실시하는 바느질의 동작제어와, 재봉바늘의 상방대기상태에서 천위치결정수단을 구동시켜 바늘낙하를 동반하지 않고 천의 이동만을 수행하는 예비이송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은,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버튼위치 결정수단을 구동시켜 재봉바늘에 대해 버튼을 위치결정하여 임의의 바늘통과구멍에 바늘을 낙하시키는 바느질의 동작제어와, 재봉바늘의 상방대기상태에서 버튼위치 결정수단을 구동시켜 바늘낙하를 동반하지 않고 버튼의 이동만을 수행하는 예비이송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봉기(100)에서는 피봉제물로서의 천 및 버튼의 각각에 대해 재봉바늘의 이동을 위치결정하는 동작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제시에는 천에 대한 재봉바늘의 위치결정용 봉제 데이터와, 버튼에 대한 재봉바늘의 위치결정용 봉제 데이터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
(봉제 데이터)
도 2는 봉제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하나의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일련의 운침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하나의 봉제 데이터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봉제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운침의 목표점을 복수의 요소(블록)로 구분하고 있다. 즉, 봉제 데이터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각 목표점에 운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그 봉제에 필요한 전체 운침이 복수의 블록으로서의 요소(F1 ~ F5)로 구분되며, 각 요소(F1 ~ F5)에 속하는 운침의 목표점은 요소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봉제 데이터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요소마다 상기 요소의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와, 상기 요소의 총 바늘수(총 목표점수)와,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과, 봉제 데이터가 데이터의 기록을 어드레스로 관리하는 기억장치(메모리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는 경우에서 다음과 같은 요소의 기억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의 설정은, 요소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목표점마다 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가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은, 요소내에서의 기록의 순번에 따라 봉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이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요소내에서 운침을 실행하는 순번으로 이동량의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각 목표점의 순번을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속하는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나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화면이나 편집화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예컨대, 목표점의 위치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의 컬러 CRT인 모니터(2)와, 모니터(2)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조작하여 각종 입력을 수행하는 마우스(3)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속하는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에서의 연산이나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4)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컴퓨터(4)의 주요한 하드웨어 구성에 언급하여 더욱 설명한다.
컴퓨터(4)는,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이나 편집에 관한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 또는 처리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ROM(42)과,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각 처리를 실행하는 CPU(41)와, CPU(41)의 각종 처리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43)과, 각종 처리 데이터, 봉제 데이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주전원의 절단시에도 계속해서 기억하는 HD(하드디스크) 장치(44)와, 다른 편집장치나 재봉기(100)와의 사이에서 봉제 데이터의 교환을 실시하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F)의 R/W(판독기입) 장치(45)와, HD 장치(44)와 R/W 장치(45)와 키보드(1)와 마우스(3)와 모니터(2)의 각각에 대해 CPU(41)를 접속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RAM(43)에는, 여러가지의 작업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시의 작업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HD 장치(44) 및 플래시 메모리(F)는, 복수의 봉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입력작업)
도 5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신규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의 데이터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에 의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입력작업을 설명한다.
데이터 입력화면은, 주로 화면의 상단 및 좌측단을 따라 집중적으로 배치된 각종 명령 및 스위치그룹(CS)과, 화면의 상단 및 좌측단 이외의 거의 전체 영역을 차지하는 운침의 위치가 되는 목표점 및 운침의 궤적을 묘화표시하는 묘화화면(DP)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화화면(DP)에는, 재봉기의 봉제가능범위를 표시하는 봉제가능범위 표시선(D1), 1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교점이 사용되는 재봉기의 절대좌표원점이 되는 좌표위치 표시선(D2, D3)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화면의 구성은, 화면 데이터로서 하드디스크(HD) 장치(44)에 기억되어 있으며, ROM(42)내의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CPU(41)가 실행함으로써 모니터(2)로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봉제가능범위 표시선(D1)내에 표시되는 봉제형상의 위치는 실제 재봉기의 봉제범위에 대한 좌표위치에 상당한다.
또한, CPU(41)는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마우스(3)의 이동입력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화면상에서 포인터(도시생략)의 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동시에, 포인터가 각종 스위치 중 어느 것에 위치결정되어, 마우스(3)의 좌측 버튼에 의해 선택이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스위치에 할당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시에는, 묘화화면(DP)내에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를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마우스(3)의 좌측 버튼에 의한 결정입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형상점(形狀點)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점이란, 예컨대 2개의 형상점을 입력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선분을 따라 운침을 실시하게 하거나, 혹은 형상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운침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운침의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점을 말한다.
형상점에 대해 어떠한 궤적을 그릴지는, 화면 좌측단의 스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꺽은선이나 원호, 원, 스플라인(spline)의 형상이 선택되어, 각 형상점의 위치가 지정되면, CPU(4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선분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로 분할된 점을 연산하여 바늘낙하점으로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의 데이터 입력화면으로 설명하면, 화면 좌측단의 스위치그룹 중에서 꺽은선 입력스위치(W1)를 선택하여, 화면상에서 원하는 선분(L1)의 점(P1, P2)의 위치로 마우스(3)의 포인터를 이동시켜 마우스(3)의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각 위치(P1, P2)의 스케일상의 좌표가 판독되고, 선분(L1)의 형상점으로서 취해져 화면상에 표시된다.
또한, 입력된 선분(L1)은 지정 피치로 분할 연산된 점이 흑점으로 표시되어, 운침위치(바늘낙하위치)로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운침위치의 위치정보가, 좌표내에서의 점배치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묘화표시에서는, 각 목표점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점형상의 표시를 실시하는 동시에, 봉제의 순번에 따라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 선분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인 봉제의 순번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형상점을 차례대로 입력하여, 어느 하나의 형상점에서 마우스(3)의 우측 버튼이 입력되면, 그 형상점까지가 상술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요소의 구획으로서 기억된다.
즉, 상기 각 조작에 의해, 형상점을 차례대로 입력함으로써 분할 연산하여 구해진 각 목표점의 상호간의 이동량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으로서 차례대로 RAM(43)에 기록되어, 마우스(3)의 우측 버튼의 입력에 의해 다음의 요소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각 형상점을 입력하기 전에, 미리 스위치그룹 중에서 바느질의 입력인지 예비이송의 입력인지를 선택해 둠으로써, 각 요소마다 그 종류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중에 기록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확정 스위치를 입력함으로써, 일련의 입력이 봉제 데이터로서 확정되어,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각 요소마다 분할 연산되어 구해진 각 운침위치의 총수가 구해지며, 편집대 상 봉제 데이터중에 각 요소마다의 총 바늘수로서 기록된다. 또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가,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입될 때에는, 각 요소의 선두가 되는 데이터의 기입 어드레스가 이전 요소의 데이터중에 기록된다.
또한, 이미 확정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각 운침의 목표점에 이동, 삭제, 추가 등의 편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편집 대상을 목표점 단위로 할지 요소 단위로 할지의 선택도 가능해진다. 즉, 이동, 삭제, 추가 등의 편집작업을 목표점 단위와 요소 단위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편집작업에 있어서, 이동을 행하는 경우, 착안하는 목표점을 마우스(3)로 지정(드래그)하여, 이동할 위치를 마우스(3)의 이동조작으로 입력(드롭)함으로써 착안하는 목표점을 새로운 지정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이동된 새로운 지정점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봉제 데이터중의 운침에서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갱신한다.
편집작업에 있어서, 삭제를 행하는 경우, 착안하는 목표점을 마우스(3)의 좌측을 클릭함으로써 지정하고, 다음으로 마우스(3)를 조작하여 스위치그룹중에서 삭제를 입력함으로써 착안하는 목표점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삭제된 목표점에 대해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삭제하고 갱신한다. 또한, 요소내의 바늘수의 값을 감산하여 갱신한다.
편집작업에 있어서, 추가를 행하는 경우, 추가하는 목표점의 하나 이전의 목표점을 마우스(3)로 지정하고, 추가하는 목표점의 설정위치를 마우스(3)를 이동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새로운 목표점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추가된 목표점에 대해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삽입하여 갱신한다. 또한, 요소내의 바늘수의 값을 가산하여 갱신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에서의 각종 처리)
도 6 및 도 7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및 참조용 봉제 데이터로 이루어진 복수 봉제 데이터 조작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버튼 봉착(縫着) 봉제에서의 재봉바늘을 버튼에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와 버튼 봉착 봉제에서의 재봉바늘을 천에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를 모두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버튼의 버튼 구멍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 표시 데이터(M1)의 표시예이며, 도 7은 버튼의 버튼 구멍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표시(M1)와 천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표시(M2)를 동시에 표시하는 예이다. 또, 운침표시(M1, M2)는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편의상 봉제 데이터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집을 수행하는 한쪽을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 하고, 편집을 수행하지 않는 다른쪽을 참조용 봉제 데이터로 한다. 또한, 표시화면상에는, 버튼의 외주형상을 인지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 버튼 표시선(BD)과, 그 버튼상에서 바늘낙하가 이루어지는 버튼구멍 형상을 인지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 버튼구멍 표시선(BH)이 표시된다.
2개의 봉제 데이터에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로부터 판독된 2개의 봉제 데이터를 각각 1계층째와 2계층째에 할당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화면의 화면구성에 더하여 2개의 봉제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명령이 할당된 복수의 스위치가 표시된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가 표시된다. 이러한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는, 각 계층 중 어느 봉제 데이터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편집대상 윈도우(W2)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선택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를 또 한쪽의 계층의 봉제 데이터로 전환하는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와, 묘화표시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의 위치를 소정위치에 맞추는 위치 맞춤 스위치(W4)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2개의 봉제 데이터의 동시표시상태에서 착안 목표점과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의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전환하는 관계점 표시 스위치(W6)가 표시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의 처리)
복수의 봉제 데이터 조작화면의 표시상태에서는, 마우스(3)의 클릭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봉제 데이터의 판독 명령이 선택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임의의 하나째의 봉제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한다. 이러한 봉제 데이터는 1계층째에 할당된다.
더욱이, 1계층째에 임의의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가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입력(클릭)되면, CPU(41)는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로부터 임의의 봉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봉제 데이터의 판독에 한하지 않고, 신규의 봉제 데이터의 입력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CPU(41)는 판독된 봉제 데이터 혹은 신규입력이 이루어진 봉제 데이터를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에 할당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선택 데이터의 전환처리)
각 계층에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가 입력되면, CPU(41)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로부터 또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로 전환하는 동시에, 편집대상 윈도우(W2)의 계층번호를 1에서 2 또는 2에서 1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CPU(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계층에 봉제 데이터를 할당하는 처리를 거쳐, 2개 중 어느 한쪽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러한 경우, 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참조용 봉제 데이터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을 다른 표시색으로 표시하는 등 하여,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선택 데이터의 표시제어수단으로서의 처리)
각 계층에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계층의 봉제 데이터(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을 표시하는 묘화표시에 덧붙여, 편집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계층의 봉제 데이터(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의 묘화표시를 함께동시에 수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이러한 2개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는, 원점위치를 맞추는 동시에 표시배율을 일치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CPU(41)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 모두에 대해 동시에 각각의 목표점을 묘화 표시시킴으로써, 각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위치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쌍방표시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편집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던 계층의 봉제 데이터만의 묘화표시상태로 돌아가, 또 한쪽 계층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를 중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에 의해,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의 동시 표시의 실행 유무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
또한,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쌍방표시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관계점 표시 스위치(W6)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관계점 표시 모드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관계점 표시 모드란, 편집대상으로 되어 있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이동, 삭제, 추가, 신규입력 중 어느 하나의 대상으로서 「선택입력수단」으로서의 마우스(3)에 의해 지정된 목표점과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드이다.
즉, 관계점 표시 모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대상으로 되어 있는 버튼위치결정용의 봉제 데이터(M1;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임의의 목표점(P3)에 대해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K)를 위치결정하여 좌측 클릭이 이루어지면, CPU(41)는 그 목표점(P3)을 편집작업대상으로서 인식한다.
더욱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봉제 데이터(M1)를 참조하여 목표점(P3)이 전체중에서 몇번째로 봉제가 이루어지는 목표점인지를 구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M2)를 참조하여 같은 순번의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CPU(41)는 목표점(P3)의 순번을 카운트할 경우에, 예비이송을 카운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예비이송은, 통상적으로 봉제의 개시로부터 복수의 목표점까지에 대해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목표점(P3)의 순번의 카운트는, 최초로 바느질이 이루어지는 목표점을 선두로 하여 이루 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에 대해,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봉제 데이터(M1, M2)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다.
우선,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1)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인 경우에, CPU(41)는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1)를 참조한다(단계 S1).
다음으로, CPU(41)는 봉제 데이터(M1)의 제 1 요소의 제 1 이동량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그 요소의 종류를 참조한다. 그리고, 바느질이 아닌 예비이송의 경우에는(단계 S2: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으로 진행시키고(단계 S3), 또 단계 S2로 되돌아가, 그 요소의 종류를 확인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요소 단위에서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는 똑같이 동일하므로, 제 1 요소가 예비이송인 경우에는, 제 1 요소의 전체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단계 S2와 S3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제 1 요소로부터 차례대로 각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요소의 종류가 판정되어,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요소의 종류가 바느질로 된 경우에는(단계 S2 : YES), 현재 편집 대상으로 되어 있는 목표점(P3)까지의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지정 바늘수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한다(단계 S4).
다음으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현재 편집 대상이 되는 목표점(P3)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목표점(P3)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5 :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 데이터로 진행시키고, 지정바늘수 카운터에 1 을 가산하여(단계 S6), 단계 S5로 되돌아간다.
또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목표점(P3)일 때에는(단계 S5 : YES), 현재의 바늘수 카운터의 값을 봉제 데이터(M1)에서의 목표점(P3)의 운침의 순번으로 특정하여, 상기 카운트값을 RAM(43)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CPU(41)는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2; 참조용 봉제 데이터)를 참조한다(단계 S7).
CPU(41)는 봉제 데이터(M2)의 제 2 요소의 제 1 이동량 데이터로부터 차례대로 그 요소의 종류를 참조한다. 그리고, 바느질이 아닌 예비이송의 경우에는(단계 S8: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으로 진행시키고(단계 S9), 또 단계 S8로 되돌아가, 그 요소의 종류를 확인한다.
또, 봉제 데이터(M2)에 대해서도, 통상적으로 요소 단위에서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는 똑같이 동일하므로, 제 1 요소가 예비이송인 경우에는, 제 1 요소의 전체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단계 S8과 S9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제 1 요소로부터 차례대로 각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요소의 종류가 판정되어,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요소의 종류가 바느질로 된 경우에는(단계 S8 : YES), 목표점(P4)까지의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대응 바늘수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한다(단계 S10).
다음으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바늘수 카운트값이 목표점(P3)의 바늘수 카운트값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단계 S11: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 데이터로 진행시키고, 대응 바늘수 카운터에 1을 가산하여(단계 S12),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또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바늘수 카운트값이 목표점(P3)의 바늘수 카운트값과 일치할 때에는(단계 S11: YES),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나타낸 목표점이 편집대상의 목표점(P3)과 대응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P4)인 것으로 특정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편집작업대상이 되는 목표점(P3)의 표시를 다른 목표점과 구분할 수 있는 표시, 예컨대, 다른 목표점의 색채를 흑점으로 표시하고, 목표점(P3)을 적색의 점(도 7에서는 흰색을 뺀 점)으로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목표점(P3)과 봉제의 순번이 일치하는 봉제 데이터(M2)의 대응 목표점(P4)에 대해서도, 다른 목표점과 구별할 수 있는 표시, 즉 다른 목표점의 색채를 흑점으로 표시하고, 대응 목표점(P4)을 적색의 점(도 7에서는 흰색을 뺀 점)으로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 대응 목표점(P4)의 순번을 카운트하는 경우에도, 예비이송을 카운트에 포함하지 않도록 하여, 최초로 바느질이 이루어지는 목표점을 선두로 해서 실시된다.
또,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M1, M2)의 쌍방표시상태에서 한쪽의 봉제 데이터(M1)에 대해 이루어지는 편집작업은, 도 5의 데이터 입력화면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작업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상술한 대응특정수단과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편집작업만이 아니라,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작업시에도 실행할 수 있다.
즉, 관련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를 수행하고, 이것을 배경으로 하면서, 신규의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해, 목표점을 하나씩 입력하거나, 혹은 도 5에서 설명한 형상점을 하나씩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작업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이룬다. 그리고, 이 때, CPU(41)는 가장 신규로 입력된 목표점에 대해, 그 봉제의 순번을 산출하고, 동시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같은 순번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여, 상기 대응 목표점에 대해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관련기록수단으로서의 처리)
또한, CPU(41)는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 설치된 「데이터의 관련을 보존한다」의 체크란이 마우스(3)의 좌측 클릭 조작에 의해 ON의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동시에 표시된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편집작업 종료후에, 각각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상호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덧붙여 기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호 관련정보는, 예컨대 각 데이터의 봉제의 실질적인 기억내용에 영향이 없는 영역에 부기된다.
즉, CPU(41)는, 「관련기록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봉제 데이터(M1, M2)를 포함하는 복수의 봉제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에서, 재봉기(100)에서 봉제 데이터(M1, M2)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쪽을 판독시키면, 상호 관련정보에 의해 다른쪽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제 데이터의 봉제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리스트 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
도 6 및 도 7에서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인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의 쌍방을 묘화에 의해 표시하였으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묘화표시로 바꾸거나, 혹은 묘화표시와 함께 각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데이터의 설정내용을 문자에 의해 열기하여 리스트(도표)로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봉제 데이터만을 리스트로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리스트 표시는,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각 요소의 순번과 각 요소내의 목표점의 이동량의 순번에 따라, 전체 목표점의 위치정보가 일렬로 표시된다. 즉, 이러한 리스트 표시에 의해,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인 위치정보와 봉제의 순번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편집시에는, CPU(41)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M1)의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편집 대상으로 되어 있는 목표점(P3)의 이동량 표시의 근방에 식별 마킹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현재 편집중인 목표점이 다른 것과 구별된다.
또한, CPU(41)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M2)의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대응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대응 목표점(P4)의 이동량 표시의 근방에 식별 마킹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즉, CPU(41)는 묘화표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스트 표시에 대해서도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봉제 데이터의 편집장치(10)는 각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 목표점과 봉제의 순번을 수치정보의 나열로 이루어진 리스트 표시에서의 표시도 하기 때문에,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순번으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목표점의 순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CPU(41)는 봉제 데이터(M1)에서 편집이 이루어지고 있는 목표점(P3)의 운침의 순번과 동등한 목표점(P4)을 봉제 데이터(M2)중에서 특정한다. 그리고, CPU(41)가 상기 목표점(P4)을 목표점(P3)과 함께, 다른 목표점과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편집작업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목표점에 관련있는 다른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쌍방의 목표점에 대해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라도, 번잡한 확인작업을 필요없게 하여 원활하고 신속하게 편집 또는 신규입력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는,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편집대상인 목표점(P3) 에 관련있는 것으로서 구별색채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목표점(P4)에 대해서도 편집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신속하게 목표점(P4)으로의 편집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2개의 봉제 데이터의 사이에서의 관련있는 목표점에 대해, 병행하여 편집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편집작업의 더 나은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각 목표점을 묘화로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HD 장치(44)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봉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하게 되는 봉제 데이터를 준비하는 작업이 장치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해지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F)를 봉제 데이터의 기억수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장치 외부에 대한 봉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에 의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봉제 데이터 이외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을 동시에 표시하지 않는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 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독의 봉제 데이터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관계점 표시 스위치(W6)에 의해,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의 구별표시를 하지 않는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에, 구별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작업대상의 목표점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 밖에 선택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편집대상이 아닌 봉제 데이터를 보다 많이 선택하여, 더욱 많은 것을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목표점(P3, P4)을 다른 목표점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색채의 변경이나 마킹 첨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어떠한 방법이라도 된다.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의 편집작업 설명에 있어서,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에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M1, M2)를 예시하였는데, 봉제의 종류는 버튼을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복수로 동시에 표시하여, 대응 표시를 실행해도 된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2개 모양의 바느질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봉제 대상의 목표점(P5)에 대해, CPU(41)는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목표점(P6)에 대해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한다.
또한, 편집작업의 목표점의 지시입력에는 마우스(3)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 었는데, 편집대상으로 하는 목표점을 인접하는 다른 목표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입력스위치(W7; 도 10 참조)에 의해 지시입력을 수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CPU(41)가 대응특정수단과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편집대상의 목표점에 대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여, 상기 대응 목표점을 식별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처리를 대신하여 혹은 이러한 처리에 병행하여,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요소(블록) 전체의 목표점을 식별표시하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해 그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가 다른 목표점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이에 따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편집 또는 입력되는 목표점에 대응하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쌍방의 목표점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라도, 번잡한 인식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활하고 신속하게 편집 또는 신규입력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선택 또는 입력되는 목표점에 오름차순에서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 또는 내림차순에서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을 대응 목표점으로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봉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에 대한 관련있는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의 봉제 데이터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 하여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각 목표점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는 봉제 데이터라도, 대응 관계에 있는 목표점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로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목표점의 특정정보란 그 위치정보이며, 묘화표시(描畵表示)란 좌표평면상에서 목표점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기 때문에,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순번으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목표점의 순번을 파악하기 쉽고,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목표점의 특정정보란 그 위치정보이며, 리스트 표시란 봉제 데이터에서의 좌표평면상에서 목표점의 위치를,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를 열 기(列記)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하게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준비하는 작업이 장치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해지며,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되기 때문에, 각 봉제 데이터를 봉제에 이용할 때에는, 다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서로 관련되는 봉제 데이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식별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작업대상의 목표점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서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피봉제물과 재봉바늘을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에 이용되며, 운침을 행하는 복수의 목표점의 각 위치 및 운침의 순번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편집 또는 신규입력을 행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로서,
    상기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함께 적어도 또 하나의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선택입력수단과,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
    상기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특정수단은,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첫회의 운 침으로부터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상기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목표점이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상기 대응특정수단은,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순번 및 상기 블록내에서의 운침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상기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수단은, 상기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描畵)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하는 관련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KR1020060027990A 2005-03-29 2006-03-28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KR101194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4477A JP4514633B2 (ja) 2005-03-29 2005-03-29 縫製データ編集装置
JPJP-P-2005-00094477 2005-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96A KR20060105496A (ko) 2006-10-11
KR101194497B1 true KR101194497B1 (ko) 2012-10-24

Family

ID=3705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90A KR101194497B1 (ko) 2005-03-29 2006-03-28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14633B2 (ko)
KR (1) KR101194497B1 (ko)
DE (1) DE102006014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8482B2 (ja) * 2009-12-03 2014-03-12 Juki株式会社 ミシ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装置及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633A (ja) 2004-08-09 2005-02-24 Janome Sewing Mach Co Ltd 縫製可能な模様を表示可能な刺繍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970B2 (ja) * 1987-05-19 1997-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を有するミシン
JPH07116366A (ja) * 1993-10-28 1995-05-09 Brother Ind Ltd 刺繍データ表示装置
JP4425999B2 (ja) * 1997-09-03 2010-03-0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選択指定確認表示機能を備えた刺繍データ作成装置
JP2000107479A (ja) * 1998-09-30 2000-04-18 Juki Corp 刺しゅうデータ作成システム
JP2000262784A (ja) * 1999-03-12 2000-09-26 Brother Ind Ltd 刺繍データ編集装置及び刺繍データ編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46074B2 (ja) * 2000-11-28 2008-09-0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フェイル解析装置
JP2003126575A (ja) * 2001-10-22 2003-05-07 Juki Corp ミシンの表示装置
JP2003326014A (ja) * 2002-05-13 2003-11-18 Juki Corp 縫製データ作成装置及び縫製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633A (ja) 2004-08-09 2005-02-24 Janome Sewing Mach Co Ltd 縫製可能な模様を表示可能な刺繍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4202A1 (de) 2006-10-19
KR20060105496A (ko) 2006-10-11
JP2006271646A (ja) 2006-10-12
JP4514633B2 (ja)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523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 apparatus
US10295987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 apparatus
JPH1157261A (ja) 縫い目様式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2023041852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machine tool,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5009176A (en) Sewing data forming method and device for sewing machine
KR101194497B1 (ko)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JP6474447B2 (ja) 情報処理装置
JPH10113483A (ja) 刺繍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刺繍データ編集装置
JP3615777B2 (ja) 刺繍用一針データ処理装置
US9194068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JP4644524B2 (ja) 縫製データ編集表示装置
JPH10108987A (ja) 縫製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縫製データ編集装置
JP2000027055A (ja) デザイン装置
JP3239292B2 (ja) 図形編集処理システムの図形特定制御方法
JPS60204077A (ja) 図形選択制御方式
JPH09120308A (ja) 工具経路描画方法
JP3653109B2 (ja) 図形処理装置
JP2008108206A (ja) マーキング装置およびマーキング方法
JP2003303002A (ja) シーケンス回路表示装置およびシーケンス回路表示プログラム
JPH0457106A (ja) 加工領域指定装置
JPH03277395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2000057362A (ja) 画像加工位置入力装置、画像加工装置、画像加工状態表示装置、画像加工位置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4126186A (ja) 刺繍データ表示装置
JPS62253098A (ja) ミシン用縫い模様デ−タ作成装置
JPH07303776A (ja) 自動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