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126B1 -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126B1
KR101193126B1 KR1020117007091A KR20117007091A KR101193126B1 KR 101193126 B1 KR101193126 B1 KR 101193126B1 KR 1020117007091 A KR1020117007091 A KR 1020117007091A KR 20117007091 A KR20117007091 A KR 20117007091A KR 101193126 B1 KR101193126 B1 KR 10119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ails
stored
rul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261A (ko
Inventor
도모타케 아오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메일의 저장 가능 건수에 상한이 있더라도, 필요한 전자메일들의 내용을 더욱 많이 저장할 수 있는 통신 장치(전자메일수신장치)가 제공된다. 전자메일수신장치(100)는,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12), 상기 수신되는 전자메일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122), 및 소정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들 가운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전자메일들을 결합하고, 상기 기억부(122)에 결합 전자메일을 저장하며, 원래 전자메일들을 삭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E-MAIL RECEPTION APPARATUS AND E-MAIL RECEPTION METHOD}
본 출원은 2008년 9월 2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8-25068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인용참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에 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전자메일들 가운데 관련된 전자메일을 하나의 전자메일로 결합하여, 메일의 저장 가능 건수에 상한이 있더라도, 필요한 전자메일의 내용을 더욱 많이 저장할 수 있는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메일(이하, 간단히 "메일(mail)"이라고 함)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에 탑재되는 메모리의 제한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신박스(inbox) 및 송신박스(outbox)(메일박스)라 불리우는 저장부에는 제한된 수의 전자메일만이 저장가능하다. 그러므로, 신규 메일의 수신 또는 송신으로 인하여, 메일박스 내의 메일의 수가 저장가능한 건수(저장가능한 메일의 최대 건수)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유저가 메일 보호 처리 등을 수행하지 않는 한, 종래의 통신 단말은 저장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메일을 삭제한다. 또한, 종래의 통신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OK", "Where are you?" 등의 내용량이 적은 메일(이하,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단문 메시지"라고 함)이라도 1건의 메일로서 계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문 메시지가 반복해서 교환된다면, 종래의 통신 단말의 메일 박스들에 저장가능한 메일의 최대 저장 건수에 쉽게 도달해버린다.
다른 한편으로, 교환된 메일들을 참조하여 이야기의 흐름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를 교대로 열어 하나씩 메일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확인 과정은, 특히 메일이 상술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들의 반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유저가 참조하는 메일을 빈번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작업이 된다.
이러한 사정에 대처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로서, 메일의 저장 건수가 최대 저장 건수에 도달한 경우, 수신일이 오래되거나, 내용의 중요도가 낮은 등의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메일을 삭제 또는 사이즈 축소하여, 메모리 용량을 확보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선행 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8-335951호
하지만, 어떤 하나의 테마에 관한 메일을 복수의 유저가 교환하는 경우에는, 해당 테마에 관한 일련의 메일 중 어느 하나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삭제된다면, 유저가 나중에 메일을 확인할 때에 메일의 내용으로부터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메일의 크기 축소가 메일 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의 수를 바꾸지는 않으므로, 송수신된 메일들의 수가 메일의 최대 저장 건수에 이르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많은 통신 장치들이 수신한 메일의 본문을 인용하여 새로운 메일을 작성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저가 이 기능을 이용하여 메일 작성을 계속하면, 일련의 메일 중 최신 메일은 이전의 메일 본문을 인용하는데, 이는 유저로 하여금 상기 메일 단독으로도 나중에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유저가 신규 메일 작성 시에 이전의 메일을 항상 인용하는 것은 아니어서, 이러한 경우에는, 유저가 이전 메일의 내용으로부터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일의 저장 가능 건수에 상한이 있더라도, 필요한 일련의 메일의 내용을 더욱 많이 저장할 수 있고, 유저가 상기 일련의 메일들을 용이하게 검토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usability)이 우수한 메일수신장치 및 메일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메일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
소정의 이벤트(메일의 수신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메일 저장 건수가 일정량에 도달 등)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들 가운데 결합 규칙(combination rule)을 만족하는 메일들을 결합하고, 상기 기억부에 결합 메일을 저장하며, 원래 메일들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상기 결합 규칙이 특정 상대방과 연관되어 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상기 결합 규칙이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subjects)에 포함하는 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상기 결합 규칙이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무제(Untitled)의 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의 수가 소정량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소정 시간마다 발생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는 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메일을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및 수신된 메일들 가운데 상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들을 결합하고, 상기 기억부에 결합 메일을 저장하며, 원래 메일들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으로 상기 장치가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방법,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로도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된다. 상기 방법들이나 프로그램들의 각각의 스텝은, 데이터 처리 시에, 필요에 따라 CPU, DSP 등의 연산처리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는 입력된 데이터 및 가공 또는 생성된 데이터를 HDD,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일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메일수신방법은,
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는 메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메일들 가운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들을 결합하고, 결합 메일을 저장하며, 원래 메일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의 저장 가능 건수에 상한이 있더라도, 필요한 일련의 메일들의 내용을 더욱 많이 저장할 수 있다. 더욱이,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일련의 메일들을 용이하게 검토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이 우수한 메일수신장치(통신 장치) 및 메일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을 예시한 기능블럭도;
도 2는 표시부 DIS의 표시 화면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6은 메일결합처리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메일결합처리의 또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메일결합처리의 또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수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메일수신장치로서 휴대 단말을 상정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휴대 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메일수신장치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전자게임기 등의 메일을 수신가능한 전자기기에 폭넓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메일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데이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휴대 단말(100)은, 안테나(ANT), 송수신부(110), 기억부(플래시메모리 등)(120) 및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시간측정부(140), 판정부(150), 표시부(DIS), 입력조작부(KEY) 및 스피커(SP)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0)는 메일수신부(112) 및 메일송신부(114)를 구비한다. 상기 기억부(120)는, 수신메일기억부(122), 송신메일기억부(124) 및 역치기억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메일처리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판정부(150)는 메일건수판정부(152) 및 시간판정부(154)를 구비한다.
이하, 각 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송수신부(110)는, 통신 상대방(예를 들면, 기지국 등)과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상기 메일수신부(112)는 메일을 수신하는 반면, 상기 메일송신부(114)는 메일을 송신한다. 상기 수신메일기억부(수신박스)(122)는 수신한 메일을 저장하는 반면, 상기 송신메일기억부(송신박스)(124)는 송신한 메일을 저장한다. 상기 역치기억부(126)는, 결합 규칙(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함)에 관한 소정의 역치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0)의 메일처리부(132)는, 상기 결합 규칙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메일기억부(122) 또는 상기 송신메일기억부(124)에 저장된 메일들을 결합하거나 삭제한다. 상기 시간측정부(140)는 시간을 잰다. 상기 메일건수판정부(152)는, 상기 기억부(120)에 저장된 메일의 수가 소정수를 초과한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시간판정부(154)는, 상기 결합 규칙을 적용할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부(DIS)는, 예를 들면 액정패널, 유기 EL, LED 디스플레이, 전계방출디스플레이 등의 공지된 표시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메일작성화면, 송수신된 메일의 내용 등을 표시한다. 상기 입력조작부(KEY)는, 예를 들면, 키패드, 키버튼, 터치패널 등일 수도 있고, 메일 작성 시에 유저에 의한 문자 입력을 접수한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 의해,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수신 메일 및/또는 송신 메일을 결합하기 위한 메일결합처리를, 흐름도 및 개략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기억부(120)에 저장(포함)되어 있는 메일들 중 일부 및 저장된 메일의 건수를 표시하는 표시부(DIS)의 표시 화면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화면(D11)은 수신메일기억부(수신박스)(122)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들을 최신의 것부터 순서대로 표시하고 한편, 표시 화면(D12)은 송신메일기억부(송신박스)(124)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들을 동일한 순서로 표시한다. 도면에서, 사선으로 둘러싼 메일들은, 수신박스에서는 "송신인"으로서, 그리고 송신박스에서는 "수신인"으로서 동일 인물(여기서는, "유저 B")을 가진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메일들에 대하여 메일결합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사선으로 둘러싼 메일들은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보여준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되어 있는 메일(수신 메일 및/또는 송신 메일)들 가운데,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동일 상대방을 갖는 메일들이 결합한다. 다시 말해, 제1실시예에 따르면, 메일들을 결합하는 조건으로서 결합 규칙은,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특정 상대방과 연관된 것"이다. 우선, 단계 S11에서, 상기 판정부(150)는,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소정의 이벤트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소정의 이벤트는, 앞선 메일결합처리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 또는 상기 기억부(120) 내의 메일(저장 메일)의 건수가 소정수를 초과한 것을 가리키고, 이는 상기 시간판정부(154) 및 상기 메일건수판정부(152)에 의해 각각 검출된다.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1주, 보름 등 유저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수의 저장된 메일은 메일의 최대 저장 건수보다 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저장 건수가 200건이고, 소정의 이벤트로서 검출되는 저장 메일의 소정수는 190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의 건수가 190건이라면, 단계 S11에서는, 상기 메일건수판정부(152)에 의해 저장 메일의 건수가 소정수를 초과한 이벤트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에 동일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하는 지의 여부, 즉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들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3에서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해당하는 메일들을 1건의 결합 메일로 결합한다. 도 2의 예시에서는, 사선으로 둘러싼 "유저 B"를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복수의 메일이 송신박스 및 수신박스에 저장되고, 이들 메일들이 결합되어, 1건의 결합 메일로서 기억부(120)에 저장된다. 그 후, 단계 S14에서,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원래 메일들을 상기 기억부(120)로부터 삭제한다.
결합된 메일들(결합 메일)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이 10건 존재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단 1건의 결합 메일로 10건 메일의 내용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래 10건의 메일이 기억부(120)로부터 삭제되므로, 저장된 메일의 수가 최대 저장 건수에 이르기 쉽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저장된 메일의 수가 최대 저장 건수에 달하기 때문에 필요한 메일을 삭제하게 될 위험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 양자 모두에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존재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수신박스에서만 동일한 상대방을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하더라도, 이들 메일들은 "결합 규칙"을 만족하므로, 단계 S13에서 메일결합처리가 실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송신박스에서만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하더라도, 이들 메일들은 "결합 규칙"을 만족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메일들 가운데 동일 제목(타이틀)을 갖는 메일이 결합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규칙"이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메일의 제목이 무제(넌타이틀)인 경우에는, 수신 시간 및/또는 송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에 포함되는 메일들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이 경우에는, "제목이 무제이고, 송신 또는 수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에 포함된 것"이라고 하는 "결합 규칙"도 적용된다. 우선, 단계 S21에서, 상기 판정부(150)는,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소정의 이벤트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제1실시예에 따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에 동일한 제목(타이틀)의 메일(동일의 문자열을 제목에 포함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하는 지의 여부, 다시 말해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 제목에 포함된 응답 메일을 가리키는 "Re;", "Re;Re;" 및 전송 메일인 것을 가리키는 "Fw;" 등의 문자는 계수되지 않는다.
단계 S22에서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23로 이동되어,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의 제목(타이틀)이 무제[넌타이틀(nontitle)]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여기서는, 제목에 "무제", "노 타이틀(No title)" 등의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문자 "Re;"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제목이 공란일 경우에, 상기 제목이 무제(넌타이틀)인 것으로 판정된다. 단계 S23에서, 제목이 무제(넌타이틀)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26로 이동되어, 제목이 무제(넌타이틀)인 복수의 메일이 소정의 시간 내에 교환(송신 또는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신 메일인 경우에는, 그 수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되고, 송신 메일인 경우에는, 그 송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1일, 2시간 등으로 유저가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단계 S26에서, 제목이 무제(넌타이틀)인 복수의 메일이 소정 시간 내에 교환된다라고 판정되는 경우나, 또는 단계 S23에서, 제목이 무제가 아니다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24로 이동되어, 대응하는 메일들을 결합하고, 그들을 1건의 결합 메일로서 저장하게 된다. 그 후, 단계 S25에서,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원래 메일들을 상기 기억부(120)로부터 삭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에 포함하는 것" 및 "제목이 무제이고, 수신/송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에 포함되는 것" 등의 2가지 "결합 규칙"이 조합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 규칙"은, "제목이 무제이며, 수신/송신 시간이 소정 시간 내에 포함되는 것" 및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에 포함하는 것" 중 어느 하나뿐일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 양자 모두에 같은 제목을 포함하는 메일이 존재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 중 어느 하나에만 같은 제목을 포함하는 메일이 저장되어 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규칙이 적용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 규칙"이 조합되어, 저장된 메일들 가운데 결합될 메일들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야기 내용들이 더욱 많이 고려되어, 관련된 일련의 메일들의 선택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일결합처리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31에서, 상기 판정부(150)는 메일들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지의 여부(소정의 이벤트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조건이 충족된다면, 상기 메일처리부(132)은, 단계 S32에서,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에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1 및 S32는 제1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단계들과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32에서,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에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복수 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33으로 이동되어,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들이 같은 제목(타이틀)을 갖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들이 같은 제목을 갖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34로 이동되어,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들의 제목(타이틀)이 무제(넌타이틀)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단계 S34에서 제목이 같은 메일들의 제목이 무제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또는 단계 S33에서 동일한 상대방을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 하는 메일이 상이한 제목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처리부(132)가 단계 S37로 이동한다. 단계 S33에서 상기 메일들이 상이한 제목(타이틀)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단계 S37에서, 이들 메일이 소정 시간 내에 교환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단계 S34에서 같은 제목(타이틀)이 무제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단계 S37에서, 제목이 무제인 이들 메일이 소정 시간 내에 교환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3, S34 및 S37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 S22, S23 및 S26과 각각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34에서 제목이 무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또는 단계 S37에서 소정 시간 내에 메일들이 교환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메일처리부(132)는,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메일들을 결합해서 저장한 다음, 원래 메일들을 삭제한다(단계 S35, S36).
여기서는, 구체예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메일결합처리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도 6은 도 2에서 사선으로 둘러싼, 메일결합처리를 행하기 전의,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유저 B"인 메일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표시 화면들은 교환되는 메일들의 순서로 D21 내지 D28로 표시되어 있다. 본 예시에서는, 단계 S37에서의 "소정 시간"을 유저에 의해 1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단계 S32에서, 도 2에서 사선으로 둘러싼,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유저 B"가 동일한 메일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의 표시 화면(D21 내지 D25) 상의 메일들이 단계 S33에서 같은 제목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되고, 단계 S34에서, 제목들이 무제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화면(D21 내지 D25) 상의 메일들의 제목은 무제가 아니므로, 그들은 단계 S35에서 결합될 후보가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6의 표시 화면(D26) 상의 메일은 단계 S33에서 상이한 제목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되므로, 단계 S37에서 메일이 소정 시간 내에 교환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도 6의 예시에서는, 상기 표시 화면(D26) 상의 메일이 "2008/2/14"의 1일 이내로 교환되기 때문에, 단계 S35에서 결합될 후보가 된다.
또한, 도 6에서의 표시 화면(D27 및 D28) 상의 메일들은 단계 S33에서 같은 제목인 것으로 판정되고, 단계 S34에서 그 제목들이 무제인 것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단계 S37에서, 표시 화면(D27 및 D28) 상의 메일들이 소정 시간 내에 교환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도 6의 표시 화면(D27 및 D28) 상의 메일들은 "2008/2/14"의 1일 이내로 교환되기 때문에, 단계 S35에서 결합될 후보가 된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도 6에서의 표시 화면(D21 내지 D28) 상의 메일들이 단계 S35에서 관련된 메일들로서 결합되어, 1건의 결합 메일로서 상기 기억부(120)에 저장된다. 또한, 단계 S36에서, 표시 화면(D21 내지 D28) 상의 메일들이 상기 기억부(120)로부터 삭제된다.
도 7은 하나의 메일로 결합된 메일(결합 메일)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의 표시 화면(D21 내지 D28) 상의 메일들의 결합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메일은, 수신인과 송신인, 송수신 날짜 뿐만 아니라 시작과 종료 시간, 및 제목을 보여주고, 대응하는 순서대로 메일들의 내용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결합된 메일들의 본문 모두를 도시한 표시 상태를 보여주는 반면, 도 7(b)는 수신인과 송신인, 송수신 일시 및 제목만을 도시한 표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b)에서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목이 포커싱되어 있는(표시색변경이나 강조표시, 또는 커서의 형상 변경 등에 의해 제목이 선택가능한 지를 나타냄) 메일을 선택함으로써, 유저가 메일의 본문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메일들이 결합된 후의 수신박스 및 송신박스의 표시 화면의 예시들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이 경우에, 상기 결합 메일은 결합 메일인 것을 가리키는 정보("결합 메일"의 취지, 결합된 메일들의 수, 송신인과 수신인, 제목, 날짜 및 수신 시간)와 함께 표시되어, 수신박스에 저장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들이 결합되기 전의 수신박스와 송신박스 및 도 8의 상기 박스 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유저 B"인 결합되기 전의 메일들이 표시 화면(D41 및 D42)으로 도시된 각각의 박스로부터 삭제된다. 따라서, 저장 메일 건수가 결합 전과 비교하여, 수신박스는 3건, 송신박스는 4건 감소하게 된다. 상기 결합 메일은, 송신박스나 수신박스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결합 메일 전용의 저장 박스를 준비하여 그곳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이점들을 다시 한번 말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일수신장치 및 메일수신방법에 따르면, 메일의 저장 가능 건수에 상한이 있더라도, 필요한 일련의 메일의 내용을 더욱 많이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저가 일련의 메일을 용이하게 검토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근거해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시에 근거해 다수의 방식으로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과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각 부,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가 가능하여, 복수의 구성요소나 단계 등이 결합되거나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3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규칙"이 "수신인 또는 송신인으로서 동일한 상대방과 연계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결합 규칙"을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는 것만으로도 관련된 일련의 메일들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속항들에 기술된 "결합 규칙"의 임의의 조합이, 관련된 일련의 메일들의 선택 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수신 메일과 송신 메일들이 결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저가 복수의 상대편에 동일 제목의 메일을 송신하고(예를 들면, 일제 전송 등), 해당 복수의 상대편으로부터 각각 회신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신 메일보다 수신 메일들이 더 많게 된다. 따라서, 수신 메일에만 상기 결합 규칙을 적용하여, 관련된 일련의 메일들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신 메일만이 포함되더라도 충분히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송신 메일을 포함하면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벤트는 결합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유저의 입력에 대한 검출을 포함할 수도 있다.
100 휴대 단말
110 송수신부
112 메일수신부
114 메일송신부
120 기억부
122 수신메일기억부
124 송신메일기억부
126 역치기억부
130 제어부
132 메일처리부
140 시간측정부
150 판정부
152 메일건수판정부
154 시간판정부
ANT 안테나
KEY 입력조작부
DIS 표시부
SP 스피커
D11~D42 표시 화면

Claims (9)

  1. 전자메일수신장치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전자메일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
    소정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들 가운데 결합 규칙(combination rule)을 만족하는 전자메일들을 선택하여 결합하고, 상기 기억부에 결합 전자메일을 저장하며, 원래의 전자메일들을 삭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메일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규칙은, 특정 상대방과 연관되어 전자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전자메일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규칙은, 동일한 문자열을 제목(subjects)에 포함하는 전자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전자메일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규칙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무제의 전자메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규칙인 전자메일수신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의 수가 소정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하는 이벤트인 전자메일수신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소정 시간마다 발생하는 이벤트인 전자메일수신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전자메일을 추가로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및 수신 전자메일들 가운데, 상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전자메일들을 결합하고, 상기 기억부에 결합 전자메일을 저장하며, 원래의 전자메일들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메일수신장치.
  8. 전자메일수신방법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는 전자메일을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전자메일들 가운데 결합 규칙을 만족하는 전자메일들을 선택하여 결합하고, 결합 전자메일을 저장하며, 원래의 메일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메일수신방법.
  9.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당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자메일을 격납하는 기억부와,
    당해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전자메일 중, 결합 규칙에 해당하는 전자메일을 선택하여 결합하고, 당해 결합 전자메일을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수신장치.
KR1020117007091A 2008-09-29 2009-09-28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 KR101193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0682 2008-09-29
JP2008250682 2008-09-29
PCT/JP2009/066816 WO2010035841A1 (ja) 2008-09-29 2009-09-28 電子メール受信装置および電子メール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61A KR20110051261A (ko) 2011-05-17
KR101193126B1 true KR101193126B1 (ko) 2012-10-19

Family

ID=4205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091A KR101193126B1 (ko) 2008-09-29 2009-09-28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9500B2 (ko)
JP (1) JP5394384B2 (ko)
KR (1) KR101193126B1 (ko)
CN (1) CN102272741A (ko)
WO (1) WO2010035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307A1 (ja) * 2010-08-25 2012-03-0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CN104240066B (zh) * 2013-06-18 2018-10-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邮件的会话展示方法和装置
CN107404387A (zh) * 2016-05-19 2017-11-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群信息的处理方法、装置
CN109428807A (zh) * 2017-09-01 2019-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标记已读邮件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0126401A (ja) * 2019-02-04 2020-08-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メール作成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998A (ja) * 2005-03-15 2006-10-26 Canon Inc 電子メール通信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350833A (ja) * 2005-06-17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955B2 (ja) 1995-04-05 2004-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メールボックス装置
US6324569B1 (en) * 1998-09-23 2001-11-27 John W. L. Ogilvie Self-removing email verified or designated as such by a message distributor for the convenience of a recipient
US6704772B1 (en) * 1999-09-20 2004-03-09 Microsoft Corporation Thread based email
JP2001243180A (ja) 2000-02-29 2001-09-07 Adc Technology Kk サイト案内システム
JP4343876B2 (ja) 2000-04-26 2009-10-14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携帯型無線電話装置
JP2002014903A (ja) 2000-06-28 2002-01-18 Hitachi Ltd 電子メール情報の検索方法および装置
US7929562B2 (en) * 2000-11-08 2011-04-19 Genesi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esponse time to events in queue
US6963904B2 (en) * 2000-12-27 2005-11-08 Gateway Inc. Method for correlating an electronic mail message with related messages
JP2002312375A (ja) 2001-04-18 2002-10-25 Lealcom Kk 知識転換・共有促進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30101065A1 (en) * 2001-11-27 2003-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versation threads in electronic mail
US7392280B2 (en) * 2001-11-27 2008-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ummarization of threads in electronic mail
US7849147B2 (en) * 2001-11-27 2010-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arization of threads in electronic mail
US7359936B2 (en) * 2001-11-27 2008-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ail interaction with grouped message types
US7062536B2 (en) * 2002-10-10 2006-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ouping electronic reply messages
US7222158B2 (en) * 2003-12-31 2007-05-22 Aol Llc Third party provided transactional white-listing for filter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20060200528A1 (en) * 2005-01-25 2006-09-07 Krishna Pathiyal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messages
US7624151B2 (en) * 2005-03-11 2009-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size reduction of a local electronic mailbox by removing unimportant messages based on an automatically generated user interest profile
JP4537235B2 (ja) 2005-03-15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メール通信装置及び電子メール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02734B2 (en) 2005-03-15 2010-04-20 Canon Kabushiki Kaisha E-mai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072689A (ja) * 2005-09-06 2007-03-22 Canon Inc 電子メール管理装置
WO2007033496A1 (en) * 2005-09-26 2007-03-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ndering subject identification on protected messages lacking such identification
WO2008001905A1 (fr) * 2006-06-30 2008-01-03 Nikon Corporation Appareil photo numérique
US20080071865A1 (en) * 2006-09-15 2008-03-20 Shivnath Dutta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Providing Compact Storage For Electronic Messages
US9092434B2 (en) * 2007-01-23 2015-07-28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agging emails by discussions
WO2008126296A1 (ja) * 2007-03-30 2008-10-23 Fujitsu Limited 携帯端末装置、電子メール表示制御方法及び電子メール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752279B2 (en) * 2007-05-29 2010-07-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for facilitating thread-based message prioritization
US8510664B2 (en) * 2008-09-06 2013-08-13 Steven L. Rueb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mail thread information
US20110231499A1 (en) * 2010-03-22 2011-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nagement and display of grouped messages on a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998A (ja) * 2005-03-15 2006-10-26 Canon Inc 電子メール通信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350833A (ja) * 2005-06-17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46589A1 (en) 2011-10-06
WO2010035841A1 (ja) 2010-04-01
JP5394384B2 (ja) 2014-01-22
US8589500B2 (en) 2013-11-19
CN102272741A (zh) 2011-12-07
JPWO2010035841A1 (ja) 2012-02-23
KR20110051261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2173B2 (ja) 情報通信端末、メール既読化方法、及びメール既読化プログラム
US8023975B2 (en) Secondary status display for mobile device
KR101193126B1 (ko) 전자메일수신장치 및 전자메일수신방법
JP5239494B2 (ja) 携帯端末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34343B2 (en) Electronic device, a method of displaying mail information
US863529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verriding a message filter
JP2015201881A (ja) 携帯電話機、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081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100844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5052043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937377B2 (ja) 情報通信端末、メール既読化方法、及びメール既読化プログラム
JP2006101292A5 (ko)
KR100712907B1 (ko) 메시지 미리보기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35767B1 (ko) 기하 형상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A2764850C (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verriding a message filter
KR102210717B1 (ko) 전자 장치의 이메일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2169758A (ja) 携帯型情報機器
JP5511857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011832B1 (ko) 휴대폰의 메시지 관리 방법
JP4647005B2 (ja) 情報通信端末、メール既読化方法、及びメール既読化プログラム
JP4651707B2 (ja) 情報通信端末、メール既読化方法、及びメール既読化プログラム
KR100662102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08006983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56517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KR200600345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