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062B1 -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062B1
KR101193062B1 KR1020100075455A KR20100075455A KR101193062B1 KR 101193062 B1 KR101193062 B1 KR 101193062B1 KR 1020100075455 A KR1020100075455 A KR 1020100075455A KR 20100075455 A KR20100075455 A KR 20100075455A KR 101193062 B1 KR101193062 B1 KR 10119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unit
alignment
gear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481A (ko
Inventor
곽성곤
Original Assignee
곽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곤 filed Critical 곽성곤
Priority to KR102010007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0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37Multiple lifting units; More than one suctio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을 따라 운행되는 캐리어장치에 정렬유닛을 설치하고, 모노레일에 정위치가이드를 설치하며, 정렬유닛의 정위치구동모터는 캐리어장치 내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은, 운반대상물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 및 지상에 설치된 모노레일 하부측에 배열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운행되도록 상기 모노레일에 장착되는 주행유닛, 반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각 지점에 맞게 상기 모노레일 상부에 설치되되 단부(端部)가 모노레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되는 정위치가이드, 상호 중심에 상기 정위치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도록 물게 되는 제1 및 제2 바이트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는 정렬유닛, 그리고 상기 클램핑장치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ELECTRIC MONO-RAIL TRANSPORT SYSTEM OF IMPROVED CENTERING ALIGN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대상물을 집어 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한 클램핑장치의 이송을 담당하는 캐리어장치가 모노레일을 따라 운행되다가 정지되었을 때 정해진 정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정위치가이드 및 정렬유닛을 이용해 정위치로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반대상물을 집어 들어 올린 후 옮기고자 하는 지점까지 이동한 다음 내려놓게 되는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에서 정해진 정위치에 캐리어장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바로 잡아주는 통상의 정위치 정렬 구조는,
정지코자 하는 기 설정 지점에 해당하는 모노레일 상부 영역에 다수의 정렬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각 정렬유닛에 의해 정위치로 유도하게 되는 정위치가이드가 캐리어장치에 설치된다.
종래의 정위치 정렬 구조는 고가의 정렬유닛을 정지코자 하는 각 지점에 맞게 모노레일 상부에 설치하고, 아울러 모노레일 상부에 설치되는 각 정렬유닛에 구비된 구동수단의 전원 공급을 위해 모노레일에 별도의 전원 중계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등, 상당한 설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은,
운반대상물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 및
지상에 설치된 모노레일 하부측에 배열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운행되도록 상기 모노레일에 장착되는 주행유닛,
운반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각 지점에 맞게 상기 모노레일 상부에 설치되되 단부(端部)가 모노레일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되는 정위치가이드,
상호 중심에 상기 정위치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도록 물게 되는 제1 및 제2 바이트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는 정렬유닛, 그리고
상기 클램핑장치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현예의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제1바이트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
상기 제2바이트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구현예의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제1바이트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
상기 제2바이트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가 헛돌게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
상기 제2바이트 중단부에 형성된 지지판,
상기 정위치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일단부에 대응지지판을 갖는 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전달부재의 대응지지판을 연결하는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캐리어장치가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정위치 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클램핑장치에는
운반대상물이 놓인 각 지점에 설치된 두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도록 두 대응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은,
모노레일을 따라 운행되는 캐리어장치에 정렬유닛을 설치하고, 모노레일에 정위치가이드를 설치하며, 특히 정렬유닛의 정위치구동모터는 캐리어장치 내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설치비용을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클램핑장치 입체 구성도,
도 3은 클램핑장치 평면 구성도,
도 4는 클램핑장치에서 제1홀딩유닛을 보여주긴 위한 일측면 구성도,
도 5는 클램핑장치에서 제2홀딩유닛을 보여주긴 위한 타측면 구성도,
도 6은 클램핑장치에서 센싱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캐리어장치 입체 구성도,
도 8은 캐리어장치에서 정위치가이드 및 정렬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9는 정렬유닛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개략적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캐리어장치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운반대상물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을 기준으로 클램핑장치에서 두 제1회동공간부 측을 각각 좌측과 우측, 두 제2회동공간부 측을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의 "A"는 제1홀딩유닛을, 도 1의 "B"는 제2홀딩유닛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또 도 4의 "C"와 "D", 도 5의 "E"와 "F"는 하부 및 상부 수평캠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또 도 8의 "G"는 제1 구현예의 정렬유닛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은,
크게 캐리어장치(10) 및 클램핑장치(2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캐리어장치(10)는
도 1,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된 모노레일(1)에 장착되어 운행되는 것으로,
상기 모노레일(1) 하부측에 배열되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노레일(1)을 따라 운행되도록 상기 모노레일(1)에 장착되는 주행유닛(12),
운반대상물(2)이 놓이게 되는 각 지점에 맞게 상기 모노레일(1) 상부에 설치되되 단부(端部)가 모노레일(1)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되는 정위치가이드(13),
상호 중심에 상기 정위치가이드(1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물게 되는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는 정렬유닛(14), 그리고
상기 클램핑장치(20)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1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주행유닛(12)은
상기 모노레일(1)에 접하게 배열되는 주행롤러(121), 그리고
상기 주행롤러(1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모터(122)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렬유닛(14)은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8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현예의 정렬유닛(14)은
상기 제1바이트(141)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143),
상기 제2바이트(142)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143)와 맞물리는 제2기어(144),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144)와 연결되는 구동축(145a)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14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정위치구동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기어(144)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린 제1기어(143) 또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가 상기 정위치가이드(13)를 물게 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장치(10)가 정해진 정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고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가 상기 정위치가이드(13)를 물게 됨으로서, 정해진 정위치로 캐리어장치(1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현예의 정렬유닛(14)은
상기 제1바이트(141)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143),
상기 제2바이트(142)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143)와 맞물리는 제2기어(144),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144)와 헛돌게 연결되는 구동축(145a)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145)
상기 제2바이트(142) 중단부에 형성된 지지판(146),
상기 정위치구동모터(145)의 구동축(145a)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일단부에 대응지지판(147a)을 갖는 전달부재(147), 그리고
상기 지지판(146)과 상기 전달부재(147)의 대응지지판(147a)을 연결하는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148)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정위치구동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147)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달부재(147)의 구동력은 상기 [대응지지판(147a) -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148) - 지지판(146)]을 거쳐 상기 제2기어(144)에 전달되며,
상기 제2기어(144) 및 이와 맞물린 상기 제1기어(143)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가 상기 정위치가이드(13)를 물게 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148)은 상기 대응지지판(147a)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상기 정위치구동모터(145)의 구동축(145a)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제2바이트(142)가 상기 정위치가이드(13)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캐리어장치(10)가 정해진 정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고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가 상기 정위치가이드(13)를 물게 됨으로서, 정해진 정위치로 캐리어장치(1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15)은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구동축(151a)을 갖는 승강모터(151),
상기 승강구동축(151a)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52),
상기 구동풀리(1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는 두 종동풀리(153), 그리고
각각 상기 클램핑장치(20), 즉 후술할 클램핑장치(20)의 베이스프레임(21)에 연결되고 상기 두 종동풀리(153)를 지나 상기 구동풀리(152)에 고정 연결되는 두 벨트(154)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축(151a)이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상기 구동풀리(152)가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서,
정회전 시 상기 구동풀리(152)에 상기 각 벨트(154)가 감기고, 역회전 시 풀리게 된다.
따라서 각 벨트(154)가 감기는 동작에서는 상기 클램핑장치(20)가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각 벨트(154)가 풀리는 동작에서는 상기 클램핑장치(20)가 하강하게 된다.
클램핑장치(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장치(A)의 승강유닛(15)에 의해 하강하여 최초지점(P1)에 위치한 운반대상물(2)을 집어 고정한 후, 다시 상승하여 상기 캐리어장치(A)에 의해 모노레일(1)을 따라 도착한 운반지점(P2)에 운반대상물(2)을 놓아 적재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유닛(15)에 의해 상하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되고, 좌우 양단부(兩端部) 각각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두 제1회동공간부(211)를 갖는 베이스프레임(21),
상기 각 제1회동공간부(211)에 중단부(中端部)가 위치하게 배치되는 두 가압홀더(22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가압홀더(221)에 결합되는 두 샤프트(222)를 갖는 제1홀딩유닛(22),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 중심 영역에 설치되고, 하부수평캠(231)을 갖는 구동유닛(23),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3)의 하부수평캠(231) 회전 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샤프트(22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에 의해 회동된 상기 각 가압홀더(221)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1) 하부에 위치한 운반대상물을 집어(잡아) 고정토록 동작케 하는 제1중계유닛(24A)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은 전체적으로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3)은 상기 하부수평캠(231)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 중심 영역'이라 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좌측 제1회동공간부(211)와 우측 제1회동공간부(211) 사이 영역으로서, 이들까지의 각 거리가 동일한 지점을 의미하고,
아울러 후술할 전방측 제2회동공간부(212)와 후방측 제2회동공간부(212) 사이 영역이면서 이들까지의 각 거리가 동일한 지점을 더 포함하여 의미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클램핑장치(20)는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가압홀더(221)가 운반대상물(2)의 측벽을 집게 되는 구조로서, 운반대상물(2)의 중량 및 이송 시 진동이나 충격 등의 요인으로 인해 운반대상물(2)이 낙하될 수 있기에,
더욱 더 안정적으로 운반대상물(2)을 운반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핑장치(20)에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가압홀더(221)가 운반대상물(2)을 집은 상태에서 운반대상물(2)을 받칠 수 있는 구성을 더 마련하였다.
즉 상기 클램핑장치(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에서 전후 양단부 각각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두 제2회동공간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23)에서 상기 하부수평캠(231) 상부에 이와 교차되게 결합되는 상부수평캠(232)이 구비되며,
상기 각 제2회동공간부(212)에 중단부가 위치하게 배치되는 두 받침홀더(25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받침홀더(251)에 결합되는 두 샤프트(252)를 갖는 제2홀딩유닛(25)을 더 포함하고,
또 상기 구동유닛(23)의 상부수평캠(232) 회전 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제2홀딩유닛(25)의 각 샤프트(25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에 의해 회동된 상기 각 받침홀더(251)가 운반대상물(2)을 받치도록 동작케 하는 제2중계유닛(24B)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계유닛(24A, 24B) 각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23)의 하부수평캠(231)과 상부수평캠(232) 각각의 양측에 접하게 배열되는 두 롤링부재(241),
상기 두 롤링부재(241) 하부측에 배열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에 설치되는 두 지지브래킷(242),
상기 두 롤링부재(241)와 상기 두 지지브래킷(242) 각각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제1링크(243),
각각 일단부가 상기 각 샤프트(222, 252)에 고정 결합되는 두 제2링크(244),
상기 두 롤링부재(241)와 두 제2링크(244) 각각에 양단부가 결합되되, 상기 두 제2링크(244)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 지지부(245a)를 갖는 두 제3링크(245),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제3링크(245)를 지지하는 두 서포트(246),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3) 측으로 탄성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3링크(245)의 지지부(245a)와 상기 각 서포트(246)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두 복귀탄성스프링(247)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유닛(23)의 하부수평캠(231)과 상부수평캠(232)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교차되게 배열되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수평캠(231)과 상기 상부수평캠(232)은 통상의 캠 형상으로서, 각각은 장경(長徑)부(231a, 232a)와 단경(短涇)부(231b, 232b)를 갖는다.
이때 상기 하부수평캠(231)의 장경부(231a)와 상기 상부수평캠(232)의 장경부(232a)가 상호 교차되게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수평캠(231)과 상기 상부수평캠(232)이 상호 결합된다.
결국 상기 구동유닛(23)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수평캠(231)과 상기 상부수평캠(232)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가압홀더(221)는
도 2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1회동공간부(211)에 위치하고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샤프트(2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딩브래킷(221a),
상기 홀딩브래킷(221a)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샤프트(222)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21b), 그리고
상기 홀딩브래킷(221a)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21b)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탄성스프링(221c)
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홀딩유닛(25)의 각 받침홀더(251)는
도 2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각 제2회동공간부(212)에 위치하고 대략 'ㄴ'자 형상을 갖는 받침브래킷(251a), 그리고
상기 받침브래킷(251a)에 연결되어 상기 제2홀딩유닛(25)의 각 샤프트(252)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부(251b)
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클램핑장치(2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수평캠(231)의 단경부(231b)와 상기 상부수평캠(232)의 단경부(232b) 각각에 상기 각 롤링부재(241)가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23)의 하부수평캠(231)과 상부수평캠(232) 90도 회전 시,
상기 각 단경부(231b, 232b)와 각 장경부(231a, 232a)가 위치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각 롤링부재(241)와 상기 각 장경부(231a, 232a)가 상호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각 롤링부재(241)는 상기 각 제1링크(243)를 기준으로 밀리게 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밀린 상기 각 롤링부재(241)에 의해 상기 각 제3링크(245) 또한 밀리게 되고,
밀린 상기 각 제3링크(245)에 의해 상기 각 제2링크(244) 또한 밀리게 되며,
상기 각 제2링크(244)와 연결된 상기 각 샤프트(222, 25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각 가압홀더(221)의 홀딩브래킷(221a)이 최초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된 제1홀딩유닛(22)의 각 샤프트(222)에 의해 회동되어 운반대상물(2)의 측벽과 접하게 됨으로서, 결국 운반대상물(2)을 집게 된다.
아울러 동시에 상기 각 받침홀더(251)의 받침브래킷(251a)이 최초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된 제2홀딩유닛(25)의 각 샤프트(252)에 의해 회동되어 운반대상물(2)의 하부 가장자리를 받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제3링크(245)가 밀린 상태에서 각 제3링크(245)와 서포트(246) 사이에 개재된 복귀탄성스프링(247)이 가압되고,
또 회전하는 제1홀딩유닛(22)의 샤프트(222)에 고정 결합된 지지플레이트(221b)에 의해 상기 가압탄성스프링(221c)이 가압된다. 결국 가압된 상기 가압탄성스프링(221c)은 상기 가압홀더(221)의 홀딩브래킷(221a)이 운반대상물(2) 측벽을 향해 가압 밀착되게 한다.
반대로, 상기 구동유닛(23)의 하부수평캠(231)과 상부수평캠(232)이 다시 90도 회전 시,
상기 각 단경부(231b, 232b)와 각 장경부(231a, 232a)가 다시 위치 변경되면서,
밀렸던 상기 각 롤링부재(241)는 가압 해제되는 상기 복귀탄성스프링(247)에 의해 상기 각 단경부(231b, 232b)와 상호 접한 상태가 된다.
결국 최초 경사진 상태로 상기 각 홀딩브래킷(221a)과 상기 각 받침브래킷(25a)이 복귀 동작함에 따라 잡고 받치고 있던 운반대상물(2)을 놓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딩유닛(22)의 각 샤프트(222) 중 하나의 샤프트(222)와 상기 제2홀딩유닛(25)의 각 샤프트(252) 중 하나의 샤프트(252) 각각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회동부(261), 그리고
상기 회동부(261) 단부의 궤도 반경 양 끝점에 위치하게 되는 두 센싱부(262)
로 이루어진 센싱유닛(26)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센싱유닛(26)을 통해 상기 각 샤프트(222, 252)에 연결된 각 가압홀더(221)와 각 받침홀더(251)의 회동 상태(운반대상물(2)을 잡고 있는 상태와 반대로 해제 되어 있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장치(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1)을 따라 이동하면서 모노레일(1)에 설치된 전원공급부로부터 항시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 중계유닛(16)이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장치(10) 및 클램핑장치(20)에서 전원이 요구되는 각 구성요소는 상기 전원 중계유닛(16)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게 된다.
특히 상기 클램핑장치(20)는 상기 승강유닛(15)의 벨트(154)에 내장된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전원 중계유닛(3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지점(P1)과 운반지점(P2) 각각에 설치되되, 각 지점에 놓인 운반대상물(2)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가이드(271),
상기 클램핑장치(20) 하강 시 상기 운반대상물(2)이 상기 각 가압홀더(221)와 각 받침홀더(251)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21) 일단부 측벽에 결합된 두 대응가이드(272)
로 이루어진 가이드유닛(27)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가이드(271)는 상단이 첨단(尖端)인 봉 형상을 갖고,
상기 두 대응가이드(272)에서 하나의 대응가이드(272)는 상기 가이드(271)를 감싸는 형태로 방사상(放射狀) 배열된 세 롤러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의 대응가이드(272)는 상기 가이드(271)를 감싸는 형태로 방사상 배열된 두 롤러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대응가이드(272)는 가이드(271)로부터의 이탈 방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클램핑장치(20)는 상기 두 대응가이드(272)가 상기 두 가이드(271)를 따라 하강함으로서,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운반대상물(2)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캐리어장치
11 : 베이스부 12 : 주행유닛
121 : 주행롤러 122 : 주행모터
13 : 정위치가이드 14 : 정렬유닛
141, 142 : 제1 및 제2 바이트
143, 144 : 제1 및 제2 기어
145 : 정위치구동모터 145a : 구동축
146 : 지지판 147 : 전달부재
147a : 대응지지판 148 :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
15 : 승강유닛 151 : 승강모터
151a : 승강구동축 152 : 구동풀리
153 : 종동풀리 154 : 벨트
16 : 전원 중계유닛
20 : 클램핑장치
21 : 베이스프레임 211 : 제1회동공간부
212 : 제2회동공간부
22 : 제1홀딩유닛 221 : 가압홀더
221a : 홀딩브래킷 221b : 지지플레이트
221c : 가압탄성스프링 222 : 샤프트
23 : 구동유닛 231 : 하부수평캠
231a : 장경부 231b : 단경부
232 : 상부수평캠 232a : 장경부
232b : 단경부
24A, 24B : 제1 및 제2 중계유닛
241 : 롤링부재 242 : 지지브래킷
243 : 제1링크 244 : 제2링크
245 : 제3링크 245a : 지지부
246 : 서포트 247 : 복귀탄성스프링
25 : 제2홀딩유닛 251 : 받침홀더
251a : 받침브래킷 251b : 장착부
252 : 샤프트
26 : 센싱유닛 261 : 회동부
262 : 센싱부
27 : 가이드유닛 271 : 가이드
272 : 대응가이드

Claims (4)

  1. 삭제
  2. 운반대상물(2)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20); 및

    지상에 설치된 모노레일(1) 하부측에 배열되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노레일(1)을 따라 운행되도록 상기 모노레일(1)에 장착되는 주행유닛(12),
    운반대상물(2)이 놓이게 되는 각 지점에 맞게 상기 모노레일(1) 상부에 설치되되 단부(端部)가 모노레일(1)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되는 정위치가이드(13),
    상호 중심에 상기 정위치가이드(1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물게 되는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는 정렬유닛(14), 그리고
    상기 클램핑장치(20)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15)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유닛(14)은
    상기 제1바이트(141)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143),
    상기 제2바이트(142)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143)와 맞물리는 제2기어(144),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144)와 연결되는 구동축(145a)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14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3. 운반대상물(2)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20); 및

    지상에 설치된 모노레일(1) 하부측에 배열되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노레일(1)을 따라 운행되도록 상기 모노레일(1)에 장착되는 주행유닛(12),
    운반대상물(2)이 놓이게 되는 각 지점에 맞게 상기 모노레일(1) 상부에 설치되되 단부(端部)가 모노레일(1)로부터 벗어나게 설치되는 정위치가이드(13),
    상호 중심에 상기 정위치가이드(1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물게 되는 제1 및 제2 바이트(141, 142)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는 정렬유닛(14), 그리고
    상기 클램핑장치(20)의 상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15)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유닛(14)은
    상기 제1바이트(141) 하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143),
    상기 제2바이트(142)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143)와 맞물리는 제2기어(144),
    상기 베이스부(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144)가 헛돌게 연결되는 구동축(145a)을 갖는 정위치구동모터(145),
    상기 제2바이트(142) 중단부에 형성된 지지판(146),
    상기 정위치구동모터(145)의 구동축(145a)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일단부에 대응지지판(147a)을 갖는 전달부재(147), 그리고
    상기 지지판(146)과 상기 전달부재(147)의 대응지지판(147a)을 연결하는 과부하방지탄성스프링(14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치(10)가 상기 정렬유닛(14)을 통해 정위치 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15)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클램핑장치(20)에는
    운반대상물(2)이 놓인 각 지점에 설치된 두 가이드(271)를 따라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도록 두 대응가이드(27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KR1020100075455A 2010-08-05 2010-08-05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KR10119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55A KR101193062B1 (ko) 2010-08-05 2010-08-05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55A KR101193062B1 (ko) 2010-08-05 2010-08-05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481A KR20120013481A (ko) 2012-02-15
KR101193062B1 true KR101193062B1 (ko) 2012-10-22

Family

ID=4583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55A KR101193062B1 (ko) 2010-08-05 2010-08-05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161A (ja) * 1998-09-21 2000-04-0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車体移載装置
KR100500728B1 (ko) * 2005-03-02 2005-07-12 (주)금강오토텍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161A (ja) * 1998-09-21 2000-04-0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車体移載装置
KR100500728B1 (ko) * 2005-03-02 2005-07-12 (주)금강오토텍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481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8319344U (zh) 抬升机构及检测装置
KR20120025959A (ko) 박스패킹장치
KR101193062B1 (ko) 정위치 정렬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CN210655196U (zh) 一种铝箔卷绕盘上料系统
CN203665969U (zh) 胎面翻转装置
CN216183892U (zh) 一种用于智慧物流自动化分拣的喷码设备
CN111332764A (zh) 一种倍速链流水线托盘输送装置
CN107758217B (zh) 循环垂直输送机
KR101193058B1 (ko) 클램핑 구조를 개선한 전기 모노레일식 운반시스템
CN208963854U (zh) 一种码垛机器人用托辊输送机构
CN202864411U (zh) 宽度固定的玻璃传输装置
CN102785935A (zh) 宽度固定的玻璃传输装置
CN210392556U (zh) 一种皮带输送机机架
CN108974777B (zh) 一种废旧轮胎抽丝传输机器人
CN207738034U (zh) 一种用于锂离子电池卷绕机的自动落料装置
JP2016128305A (ja) 搬送装置
CN220115630U (zh) 物料输送设备及其限位装置
CN220307712U (zh) 一种柔性pcb板的自动贴片装置
CN204917127U (zh) 翻盒机
CN219635594U (zh) 一种旋转顶升移载机
CN216334513U (zh) 一种升降正交输送移动台
CN209008971U (zh) 一种应用于硅片包装生产线上的自动装夹装置
CN211520700U (zh) 一种传输皮带机构
CN218859478U (zh) 插销式定位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