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87B1 - 흡음 구조체 - Google Patents

흡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87B1
KR101190387B1 KR1020107026696A KR20107026696A KR101190387B1 KR 101190387 B1 KR101190387 B1 KR 101190387B1 KR 1020107026696 A KR1020107026696 A KR 1020107026696A KR 20107026696 A KR20107026696 A KR 20107026696A KR 101190387 B1 KR101190387 B1 KR 10119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ous plate
housing
porou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193A (ko
Inventor
이찌로오 야마기와
다까히로 야마다
마사지 호리오
다께시 다지마
도시야스 나까하라
Original Assignee
신꼬 겐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 겐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신꼬 겐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 대역을 광대역화할 수 있는 동시에, 흡음 효율이 높은 흡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흡음 구조체(1)는 그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2a)을 구비한 하우징(2)과, 각각이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다공판 유닛(3)은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3)은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평면부(3a, 4a)와, 평면부(3a, 4a)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표면판(2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b, 4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은 평면부(3a, 4a)에 의해, 표면판(2a)과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측면부(3b, 4b)에 의해,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음 구조체 {SOUND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다공판을 사용한 흡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강벽(剛壁)을, 공기층을 통해 배치함으로써,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흡음을 행하는 흡음 구조체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흡음 구조체에서는, 관통 구멍의 직경이나 공기층의 체적 등에 따른 특정한 주파수(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가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층으로 진입하면, 공명이 발생하여, 관통 구멍부의 공기의 진동에 의해 관통 구멍의 내벽과 공기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진동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음 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공명 주파수는 공기층의 체적이 클수록 낮은 주파수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헬름홀츠 공명 원리를 이용한 흡음 구조체로서, 다공판과 강벽 사이에 다공판에 직교하는 방향의 격벽을 배치하여, 이 격벽에 의해, 다공판과 강벽 사이의 공간을 다공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층으로 구획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공기층의 폭(다공판의 면방향의 길이)이 길면, 공기층 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진행되는 소리의 공명 현상이 일어나, 흡음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특허 문헌 1의 흡음 구조체에서는, 이와 같은 공기층 내에서의 공명 현상에 기인하는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격벽을 설치하여 공기층의 폭을 짧게 하고 있다.
또한, 종래부터,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를 이용한 흡음 구조체로서,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흡음 구조체(901)가 있다. 흡음 구조체(901)는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902a)을 구비한 하우징(902)을 갖고 있고, 하우징(902)의 내부에는 표면판(902a)과 평행한 복수의 다공판(90, 91)과, 표면판(902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지제의 구획벽(92 내지 94)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벽(92)은 표면판(902a)과 다공판(9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이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95)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구획벽(93, 94)은 구획벽(92)과 마찬가지로, 다공판(90)과 다공판(91) 사이 및 다공판(91)과 배면판(902b)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96, 97)으로 각각 구획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1332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흡음 구조체에서는, 확실하게 공기층 내의 공명 현상에 기인하는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지만, 다공판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고 있는 공기층이 1개밖에 없으므로, 이 공기층에 대응한 1개의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밖에 흡음할 수 없어, 흡음 대역이 매우 좁다.
또한, 도 18a 및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흡음 구조체(901)의 경우, 표면판(902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공기층(95 내지 97)은 다공판(90, 91)을 통해 연통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이 흡음 구조체(901)는 각 공기층(95 내지 97)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2개의 공기층(95, 96)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3개의 공기층(95 내지 97)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흡음 구조체(901)의 흡음 대역의 가장 낮은 주파수는 3개의 공기층(95 내지 97)을 모두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이다.
그러나, 3개의 공기층(95 내지 97)을 모두 합한 공간은 표면판(902a)의 면방향에 관하여 구획벽(92 내지 94)으로 구획된 공간이며, 그 체적은 비교적 작다. 그로 인해, 이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된다. 따라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흡음 구조체(901)는 고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비교적 좁은 주파수 대역 내에서밖에 높은 흡음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음 대역을 광대역화할 수 있는 동시에, 흡음 효율이 높은 흡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다공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다공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이며, 각각이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공판 유닛이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표면판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다공판 유닛의 상기 측면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2 또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공판 유닛 중,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의 상기 측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3 또는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평면부와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2 내지 제5 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1매의 다공판을 절곡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2 내지 제5 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부가 상기 측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부를 양면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2 내지 제8 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상기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평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가,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있어서, 흡음 구조체는 상기 제9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 유닛이, 상기 평면부로 되는 저벽과 상기 측면부로 되는 4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상자 형상체를 복수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상자 형상체는 상기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4개의 측벽으로 둘러싸이는 개구의 크기가 대략 동일하며, 그 개구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는 상태로 포갬식 상자(nesting boxes) 형상으로 포개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다공판 및 제2 다공판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공간은 제1 다공판 및 제2 다공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흡음 구조체는 제1 다공판 및 제2 다공판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는 제2 다공판 대신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흡음 구조체는 표면판 및 제1 다공판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제2 다공판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제2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의 평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공간은 평면부 및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흡음 구조체는 평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는 측면부로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흡음 구조체는 표면판 및 평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다공판으로 형성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한다고 하는 방법은 하우징의 내면에, 표면판에 대향하는 방향의 다공판과, 표면판에 교차하는 방향의 다공판을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므로, 흡음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의 수를 바꾸거나, 복수의 다공판 유닛 중 일부의 다공판 유닛을, 구멍 직경 등이 다른 다공판으로 형성된 다공판 유닛으로 바꿈으로써, 흡음 구조체의 흡음 특성을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형태에 따르면,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끼리가 밀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측면부의 구멍이 다른 쪽의 측면부에 의해 막히기 쉽고, 또한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 측면부의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야만 하므로, 제조가 곤란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끼리가,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 측면부의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키지 않아도,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을 측면부의 구멍을 통해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형태에 따르면, 흡음 구조체는 측면부와 평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는 동시에, 측면부와 평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과, 상기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흡음 구조체는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와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광대역화할 수 있다.
상기 제5 형태에 따르면,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 또는 하우징의 내면과 측면부가 밀착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이들 사이에 반드시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6 형태에 따르면, 평면부는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진동에 기인하는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7 형태에 따르면, 평면부는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진동에 기인하는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8 형태에 따르면, 다공판 이외의 부재를 특별히 사용하지 않아도, 평면부의 테두리부를 측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공판 유닛의 제조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9 형태에 따르면, 다공판 유닛의 강도가 높아진다.
상기 제10 형태에 따르면, 다공판 유닛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체의 수나, 상자 형상체의 상기 안길이 방향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흡음 구조체의 흡음 특성을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b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5c는 도 5a의 C-C선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흡음 구조체의 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실시예의 흡음 구조체를 도시하는 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8a는 종래예 및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를 도시하는 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의 흡음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1)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2)과,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1개의 면에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표면판(2a)을 구비하고 있다. 흡음 구조체(1)는 표면판(2a)측이 음원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흡음 구조체(1)의 설명에 있어서, 표면판(2a)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을 단순히 긴 방향 및 짧은 방향, 표면판(2a)에 직교하는 방향을 안길이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2a)과, 표면판(2a)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배면판(2b)과, 배면판(2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2c)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크기는, 예를 들어 긴 방향의 길이가 2000㎜, 짧은 방향의 길이가 500㎜,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95㎜이다. 단, 하우징(2)은 상기한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면판(2b) 및 프레임부(2c)는 철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료나, 섬유 강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판(2a)은 프레임부(2c)의 단부에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리벳이나 끼워 맞춤에 의해 프레임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판(2a)으로서는, 예를 들어 판 두께가 1.0㎜ 정도의 알루미늄판이며, 다수의 원 형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이 사용된다.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의 직경은, 예를 들어 0.3 내지 3.0㎜ 정도이고, 표면판(2a)의 개구율은, 예를 들어 10% 이하이다. 또한, 관통 구멍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형상이나 삼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관통 구멍은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원 형상 이외의 형상의 관통 구멍의 경우, 관통 구멍의 직경이라 함은, 구멍 면적이 등가인 원 형상의 구멍의 직경의 것으로 한다. 또한, 표면판(2a)의 판 두께, 개구율 및 관통 구멍의 직경은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점성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에 점성 작용이 발생하면, 공기 진동의 열 에너지로의 변환이 촉진되어, 흡음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표면판(2a)의 후술하는 공간(9)에 접하는 영역에는, 시트 등이 부착되어, 관통 구멍이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하우징(2)의 내부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의 다공판 유닛(3)이,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3)은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통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다공판 유닛(3)은 긴 방향에 관하여 6개씩, 짧은 방향에 관하여 2개씩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판 유닛(3)은 배면판(2b)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체로 형성된 제1 부재(4)와,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의 단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4)는 배면판(2b)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재(4)는 배면판(2b)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지만,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1 부재(4)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면부(4a)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b)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4b)는 안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평면부(4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면부(4a)는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측면부(4b)의 표면판(2a) 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부재(5)는 제1 부재(4)의 표면판(2a) 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부재(5)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면부(5a)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5b)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5b)는 안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평면부(5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면부(5a)는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측면부(5b)의 안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부재(5)는 그 배면판(2b)측의 개구 단부가, 제1 부재(4)의 표면판(2a) 측단부의 외측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고정에 추가하여, 스테이플러나, 접착제,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더욱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평면부(4a, 5a)는 각각 표면판(2a)에 평행하다. 또한, 측면부(4b, 5b)는 긴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면과, 짧은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면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4)의 측면부(4b)와 제2 부재(5)의 측면부(5b)에 의해, 본 발명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가 구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3)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1 부재(4) 및 제2 부재(5)의 긴 방향의 길이는 서로 대략 동일하며, 짧은 방향의 길이도 서로 대략 동일하다. 제1 부재(4) 및 제2 부재(5)의 긴 방향의 길이를 W1, 짧은 방향의 길이를 W2로 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는 서로 간극(d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긴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D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는 서로 간극(d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짧은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D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간극(D1, D2, d1, d2)에 의해 각각 형성된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고, 공간(9)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측면부(4b, 5b)와 표면판(2a)과 배면판(2b)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1개의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측면부(4b, 5b)와 표면판(2a)과 배면판(2b)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2개의 평면부(4a, 5a)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공기실(6 내지 8)로 구획된다.
공기실(6)은 표면판(2a)과 평면부(5a)와 측면부(5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공기실(7)은 평면부(5a)와 평면부(4a)와 측면부(5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공기실(8)은 평면부(4a)와 배면판(2b)과 측면부(4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또한, 공기실(6 내지 8)의 긴 방향의 폭[제1 부재(4) 및 제2 부재(5)의 긴 방향의 길이](W1)은 흡음 대상이 되는 소리의 파장의 1/2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실(6 내지 8)의 짧은 방향의 폭[제1 부재(4) 및 제2 부재(5)의 긴 방향의 길이](W2)도 긴 방향의 길이와 마찬가지로, 흡음 대상이 되는 소리의 파장의 1/2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공기실(6 내지 8)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달라도 좋지만, 동일해도 좋다.
제1 부재(4) 및 제2 부재(5)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평면부(4a)와 측면부(4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5a)와 측면부(5b)도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부재(5)의 측면부(5b) 중, 평면부(5a)보다도 표면판(2a)측의 부분은 폴딩에 의해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부재(4) 및 제2 부재(5)를 구성하는 다공판은, 예를 들어 판 두께가 0.1㎜ 정도의 알루미늄 박판(박)이며, 다수의 원 형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판의 관통 구멍의 직경은, 예를 들어 0.05㎜ 내지 0.15㎜이고, 개구율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이다. 관통 구멍은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된 구멍이라도 좋지만, 이하의 방법으로 형성된 구멍이라도 좋다. 다공판의 재료가 되는 박판에, 마루 형상 및 골 형상을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하고, 이 마루 형상 및 골 형상의 선단부를 연성 파괴시킴으로써, 미소한 구멍을 형성한다. 이 구멍의 형상은 원형이 아니라, 십자형에 가까운 형태로 된다. 또한, 관통 구멍이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관통 구멍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형상이나 삼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혹은, 슬릿 형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원 형상 이외의 형상의 관통 구멍의 경우, 관통 구멍의 직경이라 함은, 구멍 면적이 등가인 원 형상의 구멍의 직경의 것으로 한다. 상기 다공판의 개구율, 판 두께, 관통 구멍의 직경은 표면판(2a)을 구성하는 다공판과 동일한 이유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점성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부재(4)와 제2 부재(5)를 각각 구성하는 다공판으로서는, 개구율, 구멍 직경, 판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흡음 구조체(1)의 흡음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는, 우선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실(6) 내로 진입한다. 이때, 표면판(2a)의 개구율이나 구멍 직경 등에 따른 특정한 주파수(공명 주파수) 주변의 소리가,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실(6)로 진입하면, 공명이 발생하여, 관통 구멍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진동에 의해, 관통 구멍의 내벽과 공기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진동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음 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공기실(6) 내로 진입한 소리의 일부는 평면부(5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실(7) 내로 진입하고, 또한 평면부(4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실(8) 내로 진입한다.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면부(4a, 5a)의 개구율 등에 따른 특정한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가, 평면부(4a, 5a)의 관통 구멍을 통과할 때, 그 소리의 일부는 흡음된다.
또한, 공기실(6 내지 8) 내로 진입한 소리의 일부는, 측면부(4b) 또는 측면부(5b)의 관통 구멍을 통해 공간(9) 내로 진입하고, 또한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3)의 공기실(6 내지 8) 내로 진입한다. 이때,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측면부(4a, 5a)의 개구율 등에 따른 특정한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가, 측면부(4b, 5b)의 관통 구멍을 통과할 때, 그 소리의 일부는 흡음된다. 이와 같이, 흡음 구조체(1)는 표면판(2a) 및 평면부(4a, 5a)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4b, 5b)의 관통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에, 흡음 구조체(1)의 흡음할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 구조체(1)는 표면판(2a)과 복수의 평면부(4a, 5a)와 복수의 측면부(4b, 5b)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하고 있지만, 특히 표면판(2a)의 관통 구멍에 있어서 흡음할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공기실(6 내지 8)이 평면부(4a, 5a)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흡음 구조체(1)는 공기실(6)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실(6)과 공기실(7)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공기실(6 내지 8)을 모두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또한,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6) 및 공간(9)이 측면부(5b)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공기실(6)과 공간(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관하여 배열된 2개의 공기실(6)과 공간(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공기실(6)과 공간(9)을 합한 공간에, 또한 상기 2개의 공기실(6)의 안길이 방향의 도 1a 중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공기실(7)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4a, 5a) 및 측면부(4b, 5b)에 대해서도, 표면판(2a)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공간에 대응한 복수의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흡음 구조체(1)는 각 공기실(6 내지 8)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6 내지 8)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6)[또는 공기실(7, 8)] 및 공간(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에 따르면, 공명 구멍에 연통되어 있는 공기층의 체적이 클수록, 이 공기층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는 낮아진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1)는 측면부(4b, 5b)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끼리가 밀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측면부[4b(5b)]의 관통 구멍이 다른 쪽의 측면부[4b(5b)]에 의해 막히기 쉽고, 또한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측면부[4b(5b)]의 관통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야만 하므로, 흡음 구조체(1)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5b)]끼리가, 간극(d1) 또는 간극(d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양측면부[4b(5b)]의 관통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키지 않아도,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복수의 공기실(6 내지 8)을, 측면부(4b, 5b)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통시킬 수 있다.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4b(5b)]가,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D1) 또는 간극(D2)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흡음 구조체(1)는 각 공기실(6 내지 8)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공기실(6 내지 8)과 간극(D1) 또는 간극(D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흡음 구조체(1)는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4b)와 프레임부(2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광대역화할 수 있다.
또한, 공간(9)은 복수의 간극(D1, D2, d1, d2)에 의해 각각 형성된 공간이 연결된 것이므로, 그 체적은 비교적 크다. 또한, 이 공간(9)은 복수의 다공판 유닛(3)의 공기실(6 내지 8) 전체에 연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흡음 구조체(1)는 저주파 영역에서 높은 흡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고속 도로 등의 통상의 흡음 구조체(1)의 사용 상황 하에서는, 다양한 크기(음압)의 소리가 표면판(2a)을 통해 공기실(6) 내로 진입해 온다. 그로 인해,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의 공기실(6) 내의 소리의 크기(음압)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음압이 큰 쪽의 공기실(6 내지 8)의 소리가, 공간(9)으로 진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판(2a)의 공간(9)에 접하는 영역의 관통 구멍이 막혀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소리는 직접 공간(9)으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공기실(6 내지 8)로부터 공간(9)으로 소리가 보다 진입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공기실(6 내지 8)로부터 공간(9)으로 소리가 진입하기 쉬워지면, 공기실(6 내지 8)과 공간(9)을 합한 공간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 및 그 주변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흡음률이 향상된다.
또한, 표면판(2a) 또는 평면부(4a, 5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진입한 소리의 일부는, 공기실(6 내지 8) 내에서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을 따라서 진행된다. 이때, 공기실(6 내지 8)의 폭(W1)이, 흡음 대상이 되는 소리의 파장의 1/2보다도 크면, 공기실(6 내지 8) 내에 있어서 긴 방향으로 진행되는 소리의 공명 현상이 발생하여, 공기실(6 내지 8) 내에 관통 구멍으로부터 소리가 진입하기 어려워져, 흡음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공기실(6 내지 8)의 폭(W2)이, 흡음 대상이 되는 소리의 파장의 1/2보다도 큰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흡음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실(6 내지 8)의 폭(W1, W2)이, 흡음 대상이 되는 소리의 파장의 1/2보다도 작으므로, 공기실(6 내지 8) 내에 있어서의 공명이 방지되어, 그 결과, 표면판(2a) 또는 평면부(4a, 5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공기실(6 내지 8) 내로 소리가 진입하기 쉬워져, 흡음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다공판으로 형성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3)을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한다고 하는 방법은, 하우징(2)의 내면에, 표면판(2a)에 대향하는 방향의 복수의 다공판과,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의 복수의 다공판을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므로, 흡음 구조체(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3)의 수를 바꾸거나, 복수의 다공판 유닛(3) 중 일부의 다공판 유닛(3)을, 구멍 직경 등이 다른 다공판으로 형성된 다공판 유닛으로 바꿈으로써, 흡음 구조체(1)의 흡음 특성을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3)은 다공판만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종래의 흡음 구조체(901)와 같이 수지제의 구획벽(92 내지 94)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재료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4) 및 제2 부재(5)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평면부(4a, 5a)와 측면부(4b, 5b)는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평면부(4a, 5a)는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안길이 방향)에 관하여 진동하기 어렵다. 평면부(4a, 5a)가 진동한 경우, 관통 구멍의 내벽과 공기의 마찰이 작아져, 흡음 성능이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부(4a, 5a)의 진동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진동에 기인하는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4b, 5b)가, 안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평면부(4a, 5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면부(4a, 5a)가,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측면부(4b, 5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공판 유닛(3)은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는다.
또한, 흡음 구조체(1)는 다공판 유닛(3)이, 표면판(2a)에 직교하는 방향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180°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2 부재(5)가 배면판(2b)에 설치되고, 이 제2 부재(5)의 표면판(2a)측에, 표면판(2a)측이 개방된 제2 부재(4)가 설치된 구조라도 좋다.
또한, 흡음 구조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부재(5)가 안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다공판 유닛(3')을 복수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21)는 다공판 유닛의 형상이 다르지만,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23)은 배면판(2b)측이 개방된 큰 상자(24)와, 큰 상자(24)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면판(2b)측이 개방된 작은 상자(25)로 구성되어 있다.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는 각각 배면판(2b)에 고정되어 있다.
큰 상자(24)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벽(평면부)(24a)과,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측면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 상자(25)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벽(평면부)(25a)과,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측면부)(25b)로 구성되어 있다.
저벽(24a, 25a)은 각각 표면판(2a)에 평행하다. 측벽부(24b, 25b)는 긴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측벽과, 짧은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측벽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24b, 25b)는 안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저벽(24a, 25a)을 각각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저벽(24a, 25a)은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각각 측벽부(24b, 25b)의 표면판(2a) 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큰 상자(24)의 측벽부(24b)와 작은 상자의 측벽부(25b)에 의해, 본 발명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가 구성되어 있다.
큰 상자(24)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작은 상자(25)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큰 상자(24)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즉, 큰 상자(24)와 작은 상자(25)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작은 상자(25)의 긴 방향의 길이 및 짧은 방향의 길이는 각각 대략 동일하지만, 큰 상자(24)의 쪽이 약간 크다.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는 각각 개구측이 배면판(2b)에 고정된 상태로,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져 있다.
긴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긴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짧은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한 짧은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이들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연통되어 있고, 공간(29)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23)의 저벽(24a)과 표면판(2a)과 프레임부(2c)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기실(26)이 형성된다. 즉, 저벽(24a)은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 공기실(26)은 상술한 공간(29)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및 측벽부(25b)]와 저벽(24a)과 배면판(2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즉, 1개의 다공판 유닛(23)의 측벽부(24b)[및 측벽부(25b)]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측벽부(24b)와 저벽(24a)과 배면판(2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저벽(25a)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공기실(27, 28)로 구획되어 있다.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저벽(24a)과 측벽부(24b) 및 저벽(25a)과 측벽부(25b)는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벽(24a, 25a)은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안길이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진동에 의한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를 구성하는 다공판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다공판을 사용할 수 있다.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를 각각 구성하는 다공판으로서는, 개구율, 구멍 직경, 판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21)는 각 공기실(26 내지 28)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26 내지 28)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27)[또는 공기실(28)]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21)는 측벽부(24b, 25b)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표면판(2a) 및 저벽(24a, 25a)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측벽부(24b, 25b)의 관통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고 있으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공기실(26)의 긴 방향의 길이 및 짧은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긴 방향의 길이 및 짧은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다. 그로 인해, 공기실(26)과 공기실(27)의 긴 방향의 폭은 서로 다르고, 또한 공기실(26, 27)의 각각의 긴 방향의 양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 그로 인해, 공기실(26, 27) 사이에서 소리의 간섭(음압의 간섭)이 일어나, 공기실(26, 27) 내에 있어서 긴 방향으로 진행되는 소리의 공명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공기실(26, 27) 내로 소리가 진입하기 쉬워져, 흡음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짧은 방향에 관해서도, 긴 방향과 마찬가지로 공기실(26, 27)의 폭 및 양단부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큰 상자(24) 및 작은 상자(25)는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다공판 유닛(23)은 큰 상자(24)와 작은 상자(25)가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진 간이한 구조이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큰 상자(24) 또는 작은 상자(25)를,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개구율 등이 다른 것으로 바꿈으로써, 흡음 구조체(21)의 흡음 특성을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23)은 2개의 상자 형상체(24, 25)가 포갬식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진 구성이지만,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다른 3개 이상의 상자 형상체가 포갬식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진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큰 상자(24)의 내측에 2개 이상의 상자 형상체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31)는 다공판 유닛의 형상이 다를 뿐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33)은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평면부(33a)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3b)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평면부(33a)는 각각 표면판(2a)에 평행하며, 안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33b)는 안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평면부(33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면부(33a)는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측면부(33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측면부(33b)는 긴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면과, 짧은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33b)의 연장 방향(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2개의 평면부(33a)는 각각 1매의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33b)는 1매 또는 복수매의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33a) 및 측면부(33b)를 구성하는 다공판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다공판을 사용할 수 있다. 평면부(33a) 및 측면부(33b)를 구성하는 다공판으로서는, 개구율, 구멍 직경, 판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측면부(33b)에는 2개의 평면부(33a)를 각각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끼움 지지부(33c)가 설치되어 있다. 끼움 지지부(33c)는 측면부(33b)를 구성하는 다공판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끼움 지지부(33c)는 평면부(33a)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움 지지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 지지부(33c)는 외측[평면부(33a)와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평면부(33a)의 테두리부를 양면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끼움 지지하고 있다. 끼움 지지부(33c)는, 예를 들어 측면부(33b)를 형성할 때에, 측면부(33b)를 구성하는 다공판의 일부를, 평면부(33a)의 테두리부의 양면에 밀착하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 지지부(33c)의 선단부는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33)의 측면부(33b)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3)의 끼움 지지부(33c)는 그 높이(안길이 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 지지부(33c)의 상면(또는 하면)이, 인접하는 끼움 지지부(33c)의 하면(또는 상면)과 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 지지부(33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끼움 지지부(33c)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끼움 지지부(33c)를 설치함으로써, 다공판 이외의 부재를 특별히 사용하지 않아도, 평면부(33a)의 테두리부를 측면부(33b)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공판 유닛(33)의 제조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부(33b)는 0.1㎜ 정도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끼움 지지부(33c)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끼움 지지부(33c)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33)의 측면부(33b)는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33)의 측면부(33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이들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면방향에 관하여 연통하고 있는 한편, 2개의 끼움 지지부(33c)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공간(37 내지 39)으로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표면판(2a)과 측면부(33b)와 배면판(2b)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이 공간은 2개의 평면부(33a)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공기실(34 내지 36)로 구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31)는 각 공기실(34 내지 36)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34 내지 36)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34)[또는 공기실(35, 36)]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31)는 측면부(33b)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표면판(2a) 및 평면부(33a)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33b)의 관통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고 있으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부(33a)의 테두리부는 끼움 지지부(33c)에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평면부(33a)는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안길이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진동에 의한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33)에서는, 끼움 지지부(33c)는 평면부(33a)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끼움 지지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133a)의 긴 방향(또는 짧은 방향)의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도록, 끼움 지지부(133c)가 측면부(133b)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측면부(133b)를 구성하는 4개의 측면 중, 끼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2개의 측면과, 평면부(133a)는 절곡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방향 단면의 형상이, 2개의 H형 부재(133A, 133B)를 안길이 방향에 관하여 연결시킨 형상의 다공판 유닛(133)이라도 좋다. H형 부재(133A, 133B)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을 짧은 방향 단면이 H자 형상으로 되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방향 단면의 형상이, 2개의 Z형 부재(133C, 133D)를 안길이 방향에 관하여 연결시킨 형상의 다공판 유닛(133')이라도 좋다. Z형 부재(133C, 133D)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의 양단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경우, 짧은 방향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 사이에는, 거의 간극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33)은 평면부(33a)를 측면부(33b)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다공판으로 형성된 끼움 지지부(33c)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33a)의 테두리부를 절곡하여, 그 절곡된 부분을 측면부(33b)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된 다공판 유닛(33')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4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하우징(2)과, 하우징(2)의 내부에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43)으로 구성된다.
다공판 유닛(43)은 짧은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배면판(2b)측이 개방된 U자 형상의 U형 부재(44)와, U형 부재(44)의 내측에 배치되어, U형 부재(44)와 대략 상사형이며,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U형 부재(44)보다도 짧은 U형 부재(45)로 구성된다. 2개의 U형 부재(44, 45)는 각각 배면판(2b)에 고정되어 있다.
U형 부재(44, 45)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평면부(44a, 45a)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4b, 45b)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44b, 45b)는 긴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면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44a, 45a)의 대향하는 2개의 테두리부는 측면부(44b, 45b)의 표면판(2a) 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2개의 U형 부재(44, 45)의 측면부(44b, 45b)가, 본 발명의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를 구성하고 있다.
U형 부재(44)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U형 부재(45)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는 U형 부재(44)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U형 부재(44, 45)의 긴 방향의 길이 및 짧은 방향의 길이는 각각 대략 동일하지만, U형 부재(44)의 쪽이 약간 크다. U형 부재(44)와 U형 부재(45)는 각각 개구측이 배면판(2b)에 고정된 상태로,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져 있다.
긴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43)의 측면부(44b)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공간(49)으로 한다. 또한, 긴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부(2c)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43)의 측면부(44b)는 프레임부(2c)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공간(49a)으로 한다.
복수의 U형 부재(44)의 평면부(44a)와 표면판(2a)과 프레임부(2c)(도 1a 내지 도 1c 참조)에 의해 공기실(46)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실(46)은 상술한 공간(49, 49a)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다공판 유닛(43)의 측면부(44b)와 평면부(44a)와 배면판(2b)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공간은 평면부(45a)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공기실(47, 48)로 구획되어 있다.
2개의 U형 부재(44, 45)는 각각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평면부(44a)와 측면부(44b) 및 평면부(45a)와 측면부(45b)는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평면부(44a, 45a)는 그 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안길이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진동에 의한 흡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측면부(44b, 45b) 및 평면부(44a, 45a)를 구성하는 다공판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다공판을 사용할 수 있다. 측면부(44b, 45b) 및 평면부(44a, 45a)를 각각 구성하는 다공판으로서는, 개구율, 구멍 직경, 판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41)는 각 공기실(46 내지 48)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46 내지 48)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47)[또는 공기실(48)] 및 공간(49) 또는 공간(49a)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41)는 측면부(44b, 45b)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표면판(2a) 및 평면부(44a, 45a)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44b, 45b)의 관통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고 있으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5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하우징(2)과, 하우징(2)의 내부에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53)으로 구성된다.
다공판 유닛(53)은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53)은 평면부(54)와, 1쌍의 설치부(56)와, 측면부(55)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54)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평면부(54)는 직사각 형상이며, 그 테두리부는 긴 방향과 짧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평면부(54)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1쌍의 설치부(56)는 평면부(54)의 짧은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1쌍의 설치부(56)는 평면부(54)로부터 표면판(2a)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걸림부(56a)로 한다. 걸림부(56a)는 프레임부(2c)의 테두리에 걸려 있고, 그 위에는 표면판(2a)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56a)는 프레임부(2c)의 테두리부와 표면판(2a)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표면판(2a)은 리벳 등에 의해 프레임부(2c)의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공판 유닛(53)은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
측면부(55)는 평면부(54)의 긴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된 2개의 측벽(55a)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55a)은 평면부(54)로부터 표면판(2a)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55a)의 선단은 표면판(2a)에 접하여 있어도 좋지만, 표면판(2a)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측벽(55a)은 표면판(2a)과 평면부(54)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측벽(55a)과 설치부(56)는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53)의 대향하는 측벽(55a) 사이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표면판(2a)과 다공판 유닛(53)의 평면부(54)와 측면부(55)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공기실(57)과, 배면판(2b)과 복수의 다공판 유닛(53)의 평면부(54)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기실(58)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의 다공판의 4코너에 절결 또는 절입을 형성한 후, 이 다공판의 한쪽의 대향하는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선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한다. 즉, 해트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1쌍의 설치부(56)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공판의 다른 쪽의 대향하는 단부를, 설치부(56)와 반대측에 수직으로 절곡하여 2개의 측벽(55a)과 평면부(54)를 형성한다. 또한, 측벽(55a)을 형성한 후, 설치부(56)를 형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51)는 다공판으로 형성된 측벽(55a)을 가지므로, 각 공기실(57, 58)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57)과 공기실(58)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 방향에 인접하는 공기실(57)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51)는 측벽(55a)이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56a)가, 표면판(2a)과 함께 프레임부(2c)의 테두리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 내에서 다공판 유닛(53)이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흡음 구조체(51)는 1매의 다공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다공판 유닛(53)의 걸림부(56a)를, 프레임부(2c)의 테두리부에 걸리게 하여 그 상부로부터 표면판(2a)을 씌워 고정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53)은 측면부(55)의 2개의 측벽(55a)이, 평면부(54)로부터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155)의 2개의 측벽(155a)이 평면부(54)로부터 배면판(2b)측으로 연장되는 다공판 유닛(153)이라도 좋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255)의 2개의 측벽(255a) 중 한쪽이, 평면부(54)로부터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고, 다른 쪽의 측벽(255a)이 평면부(54)로부터 배면판(2b)측으로 연장되는 다공판 유닛(253)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53)은 2개의 측벽(55a)을 갖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측벽(55a)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측벽(55a)에 의해 하우징(2) 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53)은 2개의 측벽(55a)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단, 이 경우, 하우징(2) 내의 공간은 긴 방향에 관하여 구획되어 있지 않다.
또한,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다른 복수의 다공판 유닛(53)을 포갬식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 새로운 다공판 유닛을 형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안길이 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61)는 외형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하우징(62)과, 하우징(62)의 내부에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6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62)은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2a)과, 표면판(2a)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배면판(62b)과, 배면판(62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2c)를 구비하고 있다. 배면판(62b)에는 표면판(2a)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2d)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2d)는 배면판(62b) 상에 형성된 볼록부(62e)와, 이 볼록부(62e) 상에 설치된 스페이서 블록(62f)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63)은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63)은 평면부(64)와, 1쌍의 접촉부(66)와, 측면부(65)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64)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평면부(64)는 직사각 형상이며, 그 테두리부는 긴 방향과 짧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평면부(64)는 하우징(62)의 내부 공간을,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평면부(64)는 돌출부(62d)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돌출부(62d)는 평면부(64)와 배면판(62b) 사이의 공간을, 짧은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평면부(64)는 돌출부(62d)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것만이라도 좋지만, 리벳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1쌍의 접촉부(66)는 평면부(64)의 짧은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1쌍의 접촉부(66)는 평면부(64)로부터 표면판(2a)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66)의 안길이 방향 길이는, 돌출부(62d)의 선단으로부터 표면판(2a)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접촉부(66)의 선단은 표면판(2a)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부(64)가 돌출부(62d)에 적재된 상태로, 이 평면부(64)의 대향하는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1쌍의 접촉부(66)의 선단이 표면판(2a)에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다공판 유닛(63)은 하우징(62) 내에 고정되어 있다.
측면부(65)는 평면부(64)의 긴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된 2개의 측벽(65a)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65a)은 평면부(64)로부터 표면판(2a)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65a)의 선단은 표면판(2a)에 접하고 있어도 좋지만, 표면판(2a)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측벽(65a)은 표면판(2a)과 평면부(64)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측벽(65a)과 접촉부(66)는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63)의 대향하는 측벽(65a) 사이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하우징(62)의 내부 공간에는 표면판(2a)과 다공판 유닛(63)의 평면부(64)와 측면부(65)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공기실(67)과, 배면판(62b)과 돌출부(62d)와 복수의 다공판 유닛(63)의 평면부(64)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 2개의 공기실(68, 69)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63)은, 상술한 바와 같이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의 다공판의 4코너에 절결 또는 절입을 형성한 후, 이 다공판의 주연부를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61)는 다공판으로 형성된 측벽(65a)을 가지므로, 각 공기실(67 내지 69)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67)과 공기실[68(6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 방향에 인접하는 공기실(67)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61)는 측벽(65a)이,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부(64)가 돌출부(62d)에 적재된 상태로, 1쌍의 접촉부(66)의 선단이 표면판(2a)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다공판 유닛(63)은 하우징(62) 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62) 내에서 다공판 유닛(63)이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흡음 구조체(61)는 1매의 다공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다공판 유닛(63)을 돌출부(62d) 상에 설치하여, 표면판(2a)을 프레임부(2c)에 고정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63)은 2개의 측벽(65a)이, 평면부(64)로부터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165)의 2개의 측벽(165a)이, 평면부(64)로부터 배면판(62b)측으로 연장되는 다공판 유닛(163)이라도 좋다. 또한, 2개의 측벽 중 한쪽이, 평면부(64)로부터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고, 다른 쪽이 평면부(64)로부터 배면판(62b)측으로 연장되는 다공판 유닛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63)은 2개의 측벽(65a)을 갖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측벽(65a)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측벽(65a)에 의해, 하우징(2) 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 유닛(63)은 측면부(65)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단, 이 경우, 하우징(2) 내의 공간은 긴 방향에 관하여 구획되어 있지 않다.
또한, 2개의 측벽(65a)의 선단이 표면판(2a)에 접하고 있는 경우, 1쌍의 접촉부(66)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평면부(64)가 돌출부(62d)에 적재된 상태로, 2개의 측벽(65a)의 선단이 표면판(2a)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다공판 유닛(63)은 하우징(62) 내에 고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7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하우징(2)과, 하우징(2)의 내부에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다공판 유닛(73)으로 구성된다.
다공판 유닛(73)은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73)은 평면부(74)와, 측면부(75)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74)는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평면부(74)는 직사각 형상이며, 그 테두리부는 긴 방향과 짧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평면부(74)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측면부(75)는 평면부(74)의 긴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된 2개의 측벽(75a)과, 평면부(74)의 짧은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연결된 2개의 측벽(75b)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측벽(75a)은 평면부(74)로부터 표면판(2a)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2개의 측벽(75b)은 평면부(74)로부터 배면판(2b)측을 향해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75a)의 안길이 방향 길이와 측벽(75b)의 안길이 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다공판 유닛(73)의 안길이 방향 길이]는 하우징(2) 내의 안길이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75a, 75b)의 선단은 표면판(2a)과 배면판(2b)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해 다공판 유닛(73)은 하우징(2) 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벽(75a)은 표면판(2a)과 평면부(74)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다공판 유닛(73)의 대향하는 측벽(75a) 사이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는 표면판(2a)과 다공판 유닛(73)의 평면부(74)와 측벽(75a)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공기실(76)과, 배면판(2b)과 복수의 다공판 유닛(73)의 평면부(74) 및 측벽(75b)에 의해 둘러싸인 1개의 공기실(77)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73)은, 상술한 바와 같이 1매의 다공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의 다공판의 4코너에 절결을 형성한 후, 이 다공판의 주연부를, 인접하는 테두리부끼리가 역방향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71)는 다공판으로 형성된 측벽(75a)을 가지므로, 각 공기실(76, 77)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76)과 공기실(77)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 방향에 인접하는 공기실(76)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71)는 측벽(75a)이,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측벽(75a)의 선단이 표면판(2a)에 접하고, 2개의 측벽(75b)의 선단이 배면판(2b)에 접함으로써, 다공판 유닛(73)은 하우징(2) 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 내에서 다공판 유닛(73)이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흡음 구조체(71)는 1매의 다공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다공판 유닛(73)을 하우징(2) 내에 설치한 후, 표면판(2a)을 프레임부(2c)에 고정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73)에서는 측벽(75a)이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고, 측벽(75b)이 배면판(2b)측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2개의 측벽(175a)이 배면판(2b)측으로 연장되고, 짧은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2개의 측벽(175b)이 표면판(2a)측으로 연장되는 다공판 유닛(173)이라도 좋다. 이 경우, 측벽(175a)이, 배면판(2b)과 평면부(74)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73)과, 상술한 다공판 유닛(173)을, 하우징(2) 내에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해도 좋다. 이에 의해, 표면판(2a)과 평면부(74) 사이의 공간은 다공판 유닛(73)의 측벽(75a)에 의해 구획되고, 배면판(2b)과 평면부(74) 사이의 공간은 다공판 유닛(173)의 측벽(175a)에 의해 구획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8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하우징(2)과, 하우징(2)의 내부에 표면판(2a)에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제1 다공판(82, 83)과, 하우징(2)의 내부에 표면판(2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제2 다공판(84 내지 86)을 갖는다.
제1 다공판(82, 83)은 각각 표면판(2a)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다공판(82, 83)은 각각 표면판(2a)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다공판(84 내지 86)은 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은 제1 다공판(82, 83)에 의해,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다공판(84)은 제1 다공판(82)과 표면판(2a)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다공판(82)과 표면판(2a)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실(87)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다공판(85)은 제1 다공판(82)과 제1 다공판(8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다공판(82)과 제1 다공판(83)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실(88)로 구획하고 있다. 복수의 제2 다공판(86)은 배면판(2b)과 제1 다공판(83) 사이에 배치되어, 배면판(2b)과 제1 다공판(83)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실(89)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제1 다공판(82, 83) 및 제2 다공판(84 내지 86)의 하우징(2) 내로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다공판(82, 83) 및 제2 다공판(84 내지 86)의 테두리부를, 프레임(2c)에 직접 고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특별히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공판(82, 83) 및 제2 다공판(84 내지 86)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3)을 구성하는 다공판과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제1 다공판(82, 83) 및 제2 다공판(84 내지 86)을 각각 구성하는 다공판으로서는, 개구율, 구멍 직경, 판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 구조체(81)는 각 공기실(87 내지 89)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이나, 안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공기실(87 내지 8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를 흡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판(2a)의 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기실(87)[또는 공기실(88, 89)]을 합한 공간의 체적에 대응한 공명 주파수의 주변의 소리도 흡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구조체(81)는 제2 다공판(84 내지 86) 대신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흡음 대역을 저주파 영역측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표면판(2a) 및 제1 다공판(82, 81)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할 뿐만 아니라, 제2 다공판(84 내지 86)의 관통 구멍도 사용하여 흡음을 행하고 있으므로, 흡음 효율이 향상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흡음 구조체의 하우징(2)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면판(2a) 및 배면판(2b)의 형상이, 원 형상이나 삼각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평행 사변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02)이라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102)의 프레임부(102c)와 다공판 유닛(3)의 측면부 사이에, 삼각 형상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 삼각 형상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2d)의 체적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부(2c)와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보다도 크다. 그로 인해, 측면부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재로 구성된 경우와 비교한 흡음 대역의 증가 폭은,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체에 비해 커진다. 즉, 이와 같은 형상의 하우징(102)의 경우, 공간(102d)과 공기실을 연통시키는 것은 흡음 대역을 광역화하므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다공판 유닛의 평면부 또는 제1 다공판은 표면판(2a)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표면판(2a)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다공판 유닛의 측면부 또는 제2 다공판은 표면판(2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지만, 표면판(2a)에 교차하는 방향이면 직교 방향 이외의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다공판 유닛은 긴 방향의 길이 또는 짧은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은 짧은 방향에 2개씩, 긴 방향에 6개씩 배열되어 있지만, 이 배열 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짧은 방향에 1개씩, 긴 방향에 복수개씩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로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흡음 구조체(80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의 흡음 구조체(801)는 6개의 다공판 유닛(803)을 구비하고, 이들 6개의 다공판 유닛(803)은 하우징(802)의 내부에, 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다공판 유닛(803)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다공판 유닛(3)과 동일한 구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의 흡음 구조체(801)의 표면판(802a), 평면부(804a, 805a) 및 측면부(804b, 805b)의 각각의 판 두께, 개구율 및 관통 구멍의 직경 및 공기실(806 내지 808) 및 간극(D1, d1)의 크기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77993022-pct00001
비교예로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종래의 흡음 구조체(901)를 제작하였다. 흡음 구조체(901)는 하우징(902)의 내부에, 하우징(902)의 표면판(902a)과 평행한 다공판(90, 91)과, 표면판(902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획벽(92 내지 94)을 구비한다. 구획벽(92)은 표면판(902a)과 다공판(90) 사이에 배치되어, 표면판(902a)과 다공판(90)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95)으로 구획하고 있다. 구획벽(93, 94)은 각각 다공판(90)과 다공판(91) 사이 및 다공판(91)과 배면판(902b)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을 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95 내지 97)으로 각각 구획하고 있다.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901)의 표면판(902a), 다공판(90, 91)의 각각의 판 두께, 개구율 및 관통 구멍의 직경 및 공기실(95 내지 97)의 크기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801, 901)에 대해, 실측에 의한 잔향실법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의 종축은 음원으로부터의 소리에 대한 흡음률을 나타내고, 횡축은 1/3 옥타브 밴드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흡음 구조체(801)의 흡음률은, 400㎐ 내지 630㎐의 범위에서는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901)와 대략 동일하지만, 그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향상되어 있다. 특히, 250㎐ 내지 315㎐의 저주파 영역에서의 흡음률이 향상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흡음 구조체(801)는 비교예의 흡음 구조체(901)에 비해, 흡음 대역이 광대역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21, 31, 41, 51, 61, 71, 81, 801 : 흡음 구조체
2, 62, 102, 802 : 하우징
2a, 802a : 표면판
2b, 62b : 배면판
2c, 102c : 프레임부
3, 3', 23, 33, 33', 43, 53, 63, 73, 133, 133', 153, 163, 173, 253, 803 : 다공판 유닛
4a, 5a, 24a, 25a, 33a, 44a, 45a, 54, 64, 74, 133a, 804a, 805a : 평면부
4b, 5b, 24b, 25b, 33b, 44b, 45b, 55, 65, 75, 133b, 155, 165, 175, 255, 804b, 805b : 측면부
4 : 제1 부재
5 : 제2 부재
6 내지 8, 26 내지 28, 34 내지 36, 46 내지 48, 57, 58, 67 내지 69, 76, 77, 87 내지 89, 806 내지 807 : 공기실
9, 29, 37 내지 39, 49, 49a, 102d : 공간
24 : 큰 상자
25 : 작은 상자
33c, 133c : 끼움 지지부
44 : U형 부재
45 : U형 부재
56 : 1쌍의 설치부
56a : 걸림부
62d : 돌출부
66 : 1쌍의 접촉부
82, 83 : 제1 다공판
84 내지 86 : 제2 다공판

Claims (10)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다공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다공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1개의 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이며, 각각이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다공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공판 유닛이,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표면판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표면판의 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다공판 유닛의 상기 측면부가,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공판 유닛 중,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는 다공판 유닛의 상기 측면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평면부와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1매의 다공판을 절곡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부가 상기 측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다공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부를 양면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상기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평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가, 그 전체 둘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 유닛이, 상기 평면부가 되는 저벽과 상기 측면부가 되는 4개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상자 형상체를 복수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상자 형상체는 상기 표면판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4개의 측벽으로 둘러싸이는 개구의 크기가 대략 동일하며, 그 개구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표면판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는 상태로 포갬식 상자 형상으로 포개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구조체.
KR1020107026696A 2008-05-30 2009-05-29 흡음 구조체 KR101190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3796 2008-05-30
JPJP-P-2008-143796 2008-05-30
JPJP-P-2008-286061 2008-11-07
JP2008286061A JP5171559B2 (ja) 2008-05-30 2008-11-07 吸音構造体
PCT/JP2009/059907 WO2009145322A1 (ja) 2008-05-30 2009-05-29 吸音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93A KR20110009193A (ko) 2011-01-27
KR101190387B1 true KR101190387B1 (ko) 2012-10-11

Family

ID=4137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696A KR101190387B1 (ko) 2008-05-30 2009-05-29 흡음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71559B2 (ko)
KR (1) KR101190387B1 (ko)
CN (1) CN102047320A (ko)
MY (1) MY155558A (ko)
WO (1) WO2009145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150B2 (ja) 2014-04-28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吸音装置、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006116B2 (ja) * 2017-10-16 2022-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吸音器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CN107869459A (zh) * 2017-11-14 2018-04-0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水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789A (ja) 2003-09-05 2005-04-14 Kobe Steel Ltd 吸音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516U (ja) * 1984-04-09 1985-11-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音パネル
JPH08301024A (ja) * 1995-05-10 1996-11-19 Toyoda Gosei Co Ltd 防音材
JPH09177626A (ja) * 1995-12-22 1997-07-11 Tenetsukusu:Kk 消音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789A (ja) 2003-09-05 2005-04-14 Kobe Steel Ltd 吸音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5558A (en) 2015-10-30
WO2009145322A1 (ja) 2009-12-03
CN102047320A (zh) 2011-05-04
JP5171559B2 (ja) 2013-03-27
JP2010008997A (ja) 2010-01-14
KR20110009193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5234A (en) Sound absorbing mechanism using a porous material
US20050263346A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and sound-absorbing unit
KR20060034310A (ko) 흡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205901A1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vehicle component having sound absorbing property
JP2008009014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US11081095B2 (en) Absorbent acoustic metamaterial
KR101190387B1 (ko) 흡음 구조체
US9818393B2 (en) Acoustically absorbent cell for acoustic panel
JP5515300B2 (ja) 吸音体
EP1598809A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body
JP5511938B2 (ja) 吸音構造体
EP2568718B1 (en) Audio apparatus
KR101973022B1 (ko) 흡음 셀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 구조체
JP3640648B2 (ja) 防音装置
JP7459325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9214148B2 (en) Acoustic structure
JP2013200426A (ja) 吸音構造体および吸音構造体を備えた電気機器
JP4245542B2 (ja) 多孔板吸音構造体
JP2012022064A (ja) 吸音部材
JP2010008997A5 (ko)
JP2005018042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JP2015060026A (ja) 音響構造体
JP2023095611A (ja) 吸音構造体
JP2021165811A (ja) 吸音構造
US20230257992A1 (en) Sound absorb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