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291B1 - 용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291B1
KR101189291B1 KR1020087005020A KR20087005020A KR101189291B1 KR 101189291 B1 KR101189291 B1 KR 101189291B1 KR 1020087005020 A KR1020087005020 A KR 1020087005020A KR 20087005020 A KR20087005020 A KR 20087005020A KR 101189291 B1 KR101189291 B1 KR 101189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undle
bundled
sheet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471A (ko
Inventor
기이찌 하라미이시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 B42F13/2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and locked when so engaged, e.g. snap-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2Replenishing
    • B65H2601/3222Replenishing of binding material, e.g. nee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auxiliary devices, e.g. add-on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용지 처리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 천공된 복수매의 용지를 정렬하여 일시 보류하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과, 이에 의해 정렬된 복수매의 용지 다발을 묶음 부품(43)으로 묶는 이동 기구(41)와, 여기에 전달하기 위한 묶음 부품(43)을 수납하는 바인더 카세트(42)를 구비하고,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의 하류측으로 이동 기구(41)를 배치하고, 또한 당해 이동 기구(41)를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를 배치한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이동 기구(41)의 주위에 필요 구성 부재를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수평 방향으로의 부품 부재의 배치를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당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바인드 장치, 묶음 부품, 바인더 카세트, 이동 기구, 바인더 정렬 유닛

Description

용지 처리 장치{PAPER-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나 인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록지를 정렬하여 묶는 오토 바인더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용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의 하류측에 묶음 수단을 배치하고, 또한 당해 묶음 수단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을 배치한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배치 구조를 구비하고, 묶음 부품의 분리 취득과 묶음 부품의 묶음 처리의 2공정을 축 중심으로 하여 실행하여, 묶음 수단의 주위에 필요 구성 부재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치 수평 방향으로의 부품 부재의 배치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흑백용 및 컬러용 복사기나 인쇄 장치 등에 펀치나 묶음 등의 후처리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져 왔다. 이러한 종류의 후처리 장치에 따르면, 인쇄 후의 용지를 받아들이고, 그 용지의 하류측에 설치된 펀치 기능을 이용하여 천공하고 있다. 구멍 형성 후의 용지는 다시 정렬되어, 그 구멍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링 밴드 등의 묶음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바인드 기능에 관련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8549호 공보(제3 페이지 도1)에는, 묶음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묶음 처리 장치에 따르면, 펀치 기구부의 하류측에서 용지 반송로가 하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 방향으로 용지 정렬 유닛, 묶음 처리 기구부 및 바인더 카트리지(이하에서 묶음 유닛이라 함)를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용지에 펀치 구멍을 형성하는 펀치 기구부와, 링형 바인더를 펀치 구멍에 장착하는 묶음 처리 기구부를 일체화하여, 펀치 처리 공정과 묶음 처리 공정을 연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장치를 구성하면, 묶음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8549호 공보(제3 페이지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묶음 처리 장치에 따르면, 용지 정렬 유닛(이하 용지 보류 수단이라고도 함)과, 묶음 처리 기구부(이하 묶음 수단이라고도 함), 바인더 카트리지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i. 묶음 유닛 전체가 길어져 버려, 묶음 처리 장치를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피니셔로서 본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에 비해 묶음 처리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ii. 덧붙여서, 바인더 카트리지의 설치 공간을 삭감하여 묶음 처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려고 하면, 바인더 카트리지(이하 소모품 수납 수단이라고도 함)에 수납할 수 있는 소모품의 장전수가 저하(다운)되어 버린다.
iii. 바인드 처리를 일직선 상에서 실시함으로써, 병렬 처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바인드 처리의 고속화가 방해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용지 처리 장치는, 소정 위치에 천공된 복수매의 용지를 정렬하여 일시 보류하는 용지 보류 수단과, 이 용지 보류 수단에 의해 정렬된 용지 다발을 묶음 부품으로 묶는 묶음 수단과, 이 묶음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묶음 부품을 수납하는 소모품 수납 수단을 구비한다. 당해 용지 처리 장치에서는,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의 하류측에 묶음 수단이 배치되고, 또한 당해 묶음 수단이 상기 용지 보류 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과 대응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용지 처리 장치에 따르면, 묶음 수단은, 예를 들어 용지 보류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을 배출하는 방향과, 소모품 수납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소모품을 배출하는 방향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이 묶음 수단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묶음 부품의 분리 취득과 묶음 부품의 묶음 처리의 2공정을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묶음 수단의 주위에 필요 구성 부재를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수평 방향으로의 부품 부재의 배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이들 구성 부재를 직선 상에 배치하는 구성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용지 처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의 용지 처리 장치를 응용한 바인드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의 개념도이다.
도2는 바인드 장치(100)의 기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이동 기구(41) 및 바인더 카세트(42)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 있어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A는 빗살형 압박 부재(84a, 84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6B는 그 정렬 핀의 삽입 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6C는 정렬 핀의 삽입 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7은 옆면 추림기(7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상면으로부터 본 옆면 추림기(7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옆면 추림기(70)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이다.
도10은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 정렬시의 동작예(첫 번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1은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 정렬시의 동작예(두 번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2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 정렬시의 동작예(세 번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A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기준 매수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3B는 기준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후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4A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얇은 매수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4B는 얇은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후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5A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두꺼운 매수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5B는 두꺼운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후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6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7A는 바인드 처리부(40)에 있어서의 이동 기구(4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B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단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18A는 이동 기구(41)의 묶음 부품 파지부(41b)에 있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B는 이동 기구(41)의 상하 이동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19A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취출예(첫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19B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취출예(두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19C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취출예(세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19D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취출예(네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0은 바인드 처리부(40)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1은 바인더 카세트(42)의 외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바인더 카세트(42)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3A는 묶음 부품(43)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3B는 도23A의 묶음 부품(43)을 화살표 Y9로부터 본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C는 도23A의 묶음 부품(4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X2-X2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24는 묶음 부품(43)의 적층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5A는 묶음 부품(43)의 묶음예(첫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5B는 묶음 부품(43)의 묶음예(두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5C는 묶음 부품(43)의 묶음예(세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6은 바인드 처리부(40)의 용지 묶음 처리시의 이동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7A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묶음 처리예(첫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7B는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묶음 처리예(두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8A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한 책자 작성예(첫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8B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한 책자 작성예(두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8C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한 책자 작성예(세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28D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한 책자 작성예(네 번째)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용지 보류 수단, 소모품 수납 수단 및 묶음 수단의 배치를 고안하여, 이들 구성 부재를 직선 상에 배치하지 않고, 당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용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지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에 도시하는 바인드 장치(100)의 기능인 바인드지 정렬 유닛(30), 이동 기구(41) 및 바인더 카세트(42)를 3유닛화하고, 이동 기구(41)를 가동식으로 하여, 이동 기구(41)를 중심으로 바인드지 정렬 유닛(30), 바인더 카세트(42)를 방사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묶음 부품(43)의 분리와 묶음 처리의 2공정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바인드 장치(100)는 용지 처리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고, 복사기나 인쇄기로부터 출력되는 기록지[이하 단순히 용지(3)라 함]에 펀치 처리를 하고, 그 후, 소정의 묶음 부품(소모품)(43)으로 묶음 처리를 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물론, 소정의 용지(3)에 구멍을 천공하여 그대로 배지(排紙)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바인드 장치(100)는 장치 본체부(하우징)(101)를 갖고 있다. 바인드 장치(100)는 복사기나 인쇄기(화상 형성 장치) 등과 나열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치 본체부(101)는 복사기나 인쇄기 등과 동일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부(101) 내에는 용지 반송 수단의 일례를 구성하는 용지 반송부(10)가 구비된다. 용지 반송부(10)는 제1 반송로(11) 및 제2 반송로(12)를 갖고 있다. 반송로(11)는 급지구(13) 및 배출구(14)를 갖고 있고, 급지구(13)로부터 인입한 용지(3)를 소정 위치가 되는 배출구(14)를 향해 반송하는 스루패스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 스루패스 기능이라 함은, 상류측 복사기나 인쇄기 등과 하류측의 다른 용지 처리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로(11)가, 복사기나 인쇄기 등으로부터 다른 용지 처리 장치로 용지(3)를 직접 교환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 스루패스 기능 이 선택된 경우는, 반송 롤러의 가속 처리나 바인드 처리 등을 생략하도록 이루어진다. 용지(3)는, 통상, 한쪽면 복사인 경우에, 페이스다운의 상태로 보내져 온다. 급지구(13)에는 급지 센서(111)가 설치되어, 용지(3)의 선단을 검지하여 급지 검지 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반송로(12)는 당해 반송로(11)로부터 반송 경로가 절환 가능한 스위치 백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스위치 백 기능이라 함은, 반송로(11)의 소정 위치에서 용지(3)의 반송을 감속 및 정지하고, 그 후, 반송로(11)로부터 반송로(12)로 용지(3)의 반송 경로를 절환하고, 또한 당해 용지(3)를 역방향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반송로(11)에는 플랩(15)이 설치되고, 반송 경로를 반송로(11)로부터 반송로(12)로 절환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반송로(11)와 반송로(12)의 절환점에는, 3련(連)의 반송 롤러(17c, 19a', 19a)가 설치된다. 반송 롤러(17c, 19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송 롤러(19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반송 롤러(19a')가 구동 롤러로, 반송 롤러(17c, 19a)가 종동 롤러로 되어 있다. 반송 롤러(17c, 19a')에 의해 취입된 용지(3)는 감속 및 정지하지만, 플랩(15)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규제되면, 반송 롤러(19a', 19a)에 의해 급지되어 반송로(12)로 반송된다. 3련의 반송 롤러(17c, 19a', 19a)의 전방에는 용지 검지 센서(114)가 배치되어, 용지의 전단 및 후단을 검지하여 용지 검지 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반송로(12)의 하류측에는, 천공 수단의 일례가 되는 펀치 처리부(20)가 배치되어 있다. 펀치 처리부(20)에서는, 반송로(11)로부터 스위치 백하여, 반송로(12) 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3)의 일단부에 2개 이상의 묶음용 구멍을 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펀치 처리부(20)는, 예를 들어 왕복 동작 가능한 펀치날(21)을 구동하는 모터(22)를 갖고 있다. 용지(3)는 모터(22)에 의해 구동되는 펀치날(21)에 의해 1매씩 천공된다.
펀치 처리부(20) 내에는, 구멍 형성 위치의 기준이 되는 개폐 가능한 펜스(24)가 설치되어, 용지(3)를 압박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펀치 처리부(20)에는 용지 자세 수정 수단의 일례가 되는 옆면 추림기(side jogger)(23)가 설치되어, 용지(3)의 자세를 수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용지(3)의 선단이 위치 기준 수단의 일례가 되는 개폐 가능한 펜스(24)에 균등하게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펜스(24)는 용지 단부의 정렬시의 위치 기준이 된다. 옆면 추림기(23)의 전방에는 용지 검지 센서(118)가 배치되고, 용지의 전단 및 후단을 검지하여 용지 검지 신호 S18을 제어부(50)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펀치 처리부(20)는 용지(3)를 펜스(24)에 접촉시켜 정지시키고, 그 후, 당해 용지(3)의 선단을 천공한다. 또, 펀치 처리 본체의 하방에는 펀치 찌꺼기 수납부(26)가 설치되어, 펀치날(21)에 의해 잘려진 펀치 찌꺼기를 수납하도록 이루어진다. 펀치 처리부(20)의 하류측에는 배지 롤러(25)가 설치되어, 용지 천공 후의 용지(3')를 다음 단의 유닛으로 반송하도록 이루어진다.
펀치 처리부(20)의 하류측에는 용지 보류 수단의 일례가 되는 바인더지(紙) 정렬 유닛(30)이 배치되어, 펀치 처리부(20)로부터 배지되는 복수매의 용지(3')의 구멍의 위치를 정렬하여 일시 보류(축적)하도록 이루어진다. 용지(3')의 각각에는, 소정 위치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반송로(11)의 반송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부각(θ2)을 갖는 위치에 용지 보류면을 설정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 용지 보류면이라 함은, 구멍이 천공된 용지(3')를 보류(적층)하는 면을 말한다. 이 예에서는, 부각 θ1과 부각 θ2의 관계가 θ1 < θ2로 설정된다. 부각 θ1에 관해서는, 0°< θ1 < 45°로 설정되고, 부각 θ2에 관해서는, 0°< θ2 < 90°로 각각 설정된다. 이 설정은 장치 본체부(101)의 폭을 축소화하기 위해서, 및 이 조건하에서 용지(3')를 직선적으로 반송하기 위해서이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 및 용지 보류부(32)를 갖고 있어, 종이 진입시, 용지 보류부(32)에서 용지(3')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고, 종이 진입 완료 후에는, 용지(3')의 후단측을 밀어 넣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용지 선단 코너부 맞춤 기능을 갖고 있어, 종이 진입시, 용지(3')의 선단과 측단을 기준 위치에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클램프 이동 기구(80)를 갖고 있다. 클램프 이동 기구(80)는 용지 천공 후의 용지(3')를 적층한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를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하류측에는 바인드 처리부(40)가 배치되고, 당해 유닛(30)에 의해 정렬된 복수매의 용지 다발(3")을 묶음 부품(43)으로 묶어 책자(90)를 작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책자(90)라 함은, 묶음 부품(43)이 끼워 맞추어져 묶여진 용지 다발(3")을 말한다.
이 예에서, 바인드 처리부(40)는 이동 기구(41)를 갖고 있다. 이동 기구(41)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용지 반송 방향과, 상술한 반송로(1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회전하도록 이동한다. 바인드 처리부(40)는 바인더(묶음 부품) 카세트(42)를 갖고 있다. 바인더 카세트(42)에는, 이동 기구(41)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개의 묶음 부품(43)이 수납(세트)된다. 묶음 부품(43)은, 예를 들어 사출 금형 성형되고, 용지 다발(3")의 두께에 따른 복수 종류가 준비된다.
상술한 이동 기구(41)는, 예를 들어 반송로(1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서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1개의 묶음 부품(43)을 인발하여 보유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용지 반송 방향을 전망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한다. 이 위치에서, 바인드 처리부(40)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펀치 구멍(3a)이 위치 결정된 용지 다발(3")을 받아들여, 그 펀치 구멍(3a)에 묶음 부품(43)을 끼워 맞추어 묶음 처리를 실행한다(자동 제본 기능).
이동 기구(41)의 하류측에는 배출 유닛(60)이 배치되고,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해 작성된 책자(90)를 배출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배출 유닛(60)은, 예를 들어 제1 벨트 유닛(61), 제2 벨트 유닛(62) 및 스태커(63)를 갖고 구성된다.
벨트 유닛(61)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책자(90)를 받아들여 송출 방향을 절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용지 반송 방향을 전망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배출 방향으로 벨트 유닛 본체를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벨트 유닛(62)은 벨트 유닛(61)에 의해 송출 방향이 절환된 책자(90)를 수취 하여 릴레이 반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태커(63)는 벨트 유닛(61, 62)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책자(90)를 모으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관한 용지 처리 방법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바인드 장치(100)의 기능예를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하는 용지(3)는, 도1에 도시한 바인드 장치(100)의 상류측으로부터 급지된 것이다. 펀치 구멍(3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용지(3)는, 도1에 도시한 반송로(11)의 소정 위치를 향해 반송되고, 반송로(11)의 소정 위치에서 감속 및 정지된다. 그 후, 반송로(11)로부터 반송로(12)로 용지(3)의 반송 경로가 절환되고, 또한 당해 용지(3)가 역방향으로 송출되어 펀치 처리부(20)로 반송된다.
펀치 처리부(20)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3)의 일단부에 소정 수의 묶음용 구멍이 천공된다. 묶음용 구멍이 천공된 용지(3')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 반송된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서는, 미리 설정된 용지 매수에 도달하면, 용지 다발(3")의 묶음용 구멍의 위치가 정렬되고, 바인드 처리부(40)와 협조하여 묶음 부품(43)을 그 구멍에 끼워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묶음 부품(43)에서, 끼워 맞추어진 책자(90)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3을 참조하면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이동 기구(41) 및 바인더 카세트(42)의 배치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3에 도시하는 바인드 처리부(40)가 이동 기구(41) 및 바인더 카세트(42)로 구성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물론, 바인드 처리부(40)로부터 바인더 카세트(42)를 분리하여 이동 기구(41)를 바인드 처리 유닛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바인드 장치(100)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의 하류측에 바인드 처리부(40)의 이동 기구(41)를 배치하고, 또한 당해 이동 기구(41)를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를 배치한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배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동 기구(41)는 회전축의 일례가 되는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갖고 있다. 이동 기구 회전축(41d)은, 예를 들어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3")을 배출하는 방향(I)과,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하류측으로 묶음 부품(43)을 배출하는 방향(II)이 교차하는 영역 부근에 배치된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는,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에서 원호 형상(방사 형상)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다. 이동 기구(41)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과 바인더 카세트(42)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 Y1은 이동 기구(41)의 회전 방향이다. 이 예에서,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기준으로 하여, 묶음 부품 취출 위치(방향 II)를 홈 포지션으로 하면, 이 홈 포지션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용지 묶음 위치(방향 I)까지 회전한다. 반대로, 용지 묶음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홈 포지션으로 회전한다. 이 이동 기구(41)에는 모터(45a)가 설치되고, 이 모터(45a)에는, 도20에 도시하는 제어부(50)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 S40이 출력되어, 모터 구동 제어된다.
예를 들어, 바인드 처리부(40)에서는, 이동 기구(41)가 바인더 카세트(42)의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소정 크기의 묶음 부품(43)을 수취하고, 바인더 카세트(42)로 부터 수취한 묶음 부품(43)을 보유 지지하고, 회전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회전하고,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당해 묶음 부품(43)으로 용지 다발(3")을 묶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면,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수취한 묶음 부품(43)을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묶음 처리함으로써 책자(90)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바인드 처리부(40)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이 용지(3')를 정렬하고 있을 때에,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묶음 부품(43)을 수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용지 정렬 처리와 묶음 부품(43)의 수취 처리를 병행 처리할 수 있으므로, 묶음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어, 당해 바인드 장치(100)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또한, 이동 기구(41)는, 본체 상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41c)를 갖고 있다. 개구부(41c)는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묶음 부품(43)을 수취하는 경우 및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서 용지 다발(3")을 묶음 처리하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로크 부재가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묶음 부품 취출 위치는, 이동 기구(41)의 개구부(41c)가 바인더 카세트(42)측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는 위치이다.
이 예에서 이동 기구(41)가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묶음 부품(43)을 수취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책자 스루패스 경로(Y2)가 형성된다. 책자 스루패스 경로(Y2)는 용지 묶음 위치에 있던 이동 기구(41)가 묶음 부품 취출 위치로 복귀된 후에, 지금까지 이동 기구(41)가 점유하고 있던 일부분의 공간 영역이다. 이와 같 이 하면, 바인드 처리부(40)가 묶음 부품(43)을 수취하고 있는 동안에,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책자(90)를 배출할 수 있어, 묶음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고, 당해 바인드 장치(100)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계속해서, 도4를 참조하면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하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용지 반송부(10)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3')를 정렬하여 일시 보류하는 것이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용지 가이드(안내) 압박 기구(31)를 갖고 있다.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는 종이 진입시에 용지(3')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고, 종이 진입 완료 후, 예를 들어 바인드 처리시에는, 용지(3')의 후단측을 밀어 넣도록 이루어진다.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는, 예를 들어 용지 보류부(32) 및 좌우의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를 갖고 구성된다. 용지 보류부(32)는 용지(3')를 축적하여 일시 보류하는 것이다.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는, 가이드 부재의 일례를 구성하고, 용지 진입시, 한쪽 측에서 용지 보류부(32)로 용지(3')를 가이드하거나, 종이 진입 완료 후, 용지(3')를 밀어 넣도록 동작한다.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301), 연접 막대(302), 가이드 프레임(303a), 압박 부재(304a) 및 링크 기구(305a)를 갖고 구성된다.
회전 가능 가이드부(34b)는 용지 진입시, 다른 쪽 측에서 용지 보류부(32)에 용지(3')를 가이드하거나, 종이 진입 완료 후, 용지(3')를 밀어 넣도록 동작한다. 회전 가능 가이드부(34b)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아도, 가이드 프레임(303b), 압박 부재(304b) 및 링크 기구(305b)를 갖고 구성된다.
용지 보류부(32)의 좌우에는, 1쌍의 링크 기구(305a, 305b)(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링크 기구(305a, 305b) 사이는, 연접 막대(302)에 의해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링크 기구(305a)에는 솔레노이드(301)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01)는 용지 보류부 본체에 설치된다.
이 예에서, 솔레노이드(301)의 왕복 운동을 좌우의 링크 기구(305a, 305b)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링크 기구(305a)에는 가이드 프레임(303a)이 설치되고, 링크 기구(305b)에는 가이드 프레임(303b)이 설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303a, 303b)은, 용지(3')의 지면(紙面)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R 곡면(R) 형상을 갖고 있고, 용지 보류부(32)에 용지(3')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솔레노이드(301)는 좌우의 링크 기구(305a, 305b)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303a, 303b)을 구동하여 압박 부재(304a, 304b)(도시 생략)를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이드 프레임(303a)의 선단에는 압박 부재(304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종이 진입 완료 후, 용지(3')를 밀어 넣도록 동작한다. 압박 부재(304a)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한 사출 금형 성형품으로, 바닥 부위가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다. 크기는 폭 20 ㎜ 내지 30 ㎜이고, 길이 60 ㎜ 내지 80 ㎜ 정도이다. 두께는 8 ㎜ 내지 10 ㎜ 정도이다.
압박 부재(304a)는, 예를 들어 용지 진입시,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로 형성된 주행 가이드 형상의 연장 가이드가 되도록 구성되고, 당해 압박 부재(304a)에 의한 압입 기능의 개방 상태에서는, 항상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에 의한 주행 가이드 형상으로 협조하는 형태의 주행 가이드 형상이 되도록 압박 부재로 압박되고 있다. 압박 부재(304a)는 종이 진입 완료 후, 용지(3')에 따라서 접촉되어, 당해 용지(3')를 평면에서 누르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시하지 않아도, 가이드 프레임(303b) 및 압박 부재(304b)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은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 이외에 용지 선단 코너부 맞춤 기능을 갖고 있고, 종이 진입시, 용지(3')의 선단과 측단을 기준 위치에 맞추기 위한 여러 개의 노를 갖는 형상(多櫂狀)의 회전 부재[이하 패들 롤러 유닛(37)이라 함]의 적정한 위치로 용지(3')의 선단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패들 롤러 유닛(37)은 소정의 두께, 또한 소정의 탄성을 갖은 복수의 핀(fin)(704)이 링 형상으로 구성된 다중 핀 구조를 갖고 있다.
패들 롤러 유닛(37)의 하류측에는, 옆면 추림기(70) 및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옆면 추림기(70)는, 용지 다발(3")의 구멍에 묶음 부품(43)을 묶는 전처리로서, 용지 다발(3")의 양측으로부터 진동을 부여하여 종이 정렬을 행하여 구멍의 위치를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정렬 핀이 용지 다발(3")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클램프 이동 기구(80)는 천공 후의 용지(3')를 적층한 용지 다발(3")을 용지 반송 방향(도3에서 방향 I)을 따라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로부터 상류측으로 조금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 있어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하는 클램프 이동 기 구(80)는 용지 다발(3")의 구멍측 단부를 고정하여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로부터 하류측으로 조금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클램프 이동 기구(80)는, 본체 기판(81), 클램프 부재(82a, 82b), 셔터(83), 빗살형의 압박 부재(84a, 84b)(도시 생략), 정렬 핀(pin)(85a, 85b), 모터(86), 캠(87a, 87b) 및 기어 유닛(88)을 갖고 구성된다.
본체 기판(81)은 전방면 부위와 측면 부위를 갖고 구성된다. 본체 기판(81)은, 철판을 절곡 가공하여 전방면 부위와 좌우 측면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면 부위는, 우측면 부위보다도 크게 영역이 취해진다. 이 예에서, 좌측면 부위의 내측에는 모터 설치 영역이 마련되고, 우측면 부위의 상방은 클램프 부재(82a)의 설치 영역이 마련되고, 좌측면 부위의 상방은 클램프 부재(82b)의 설치 영역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체 기판(81)에는, 클램프 부재(82a, 82b), 셔터(83), 빗살형의 압박 부재(84a, 84b), 정렬 핀(85), 모터(86), 캠(87a, 87b) 및 기어 유닛(88)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체 기판(81)의 양측단 상부에는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 고정하거나, 그것을 자유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우측단측 클램프 부재(82a)는, 예를 들어 끼움 형상 부재(801)와, 선단 끝이 칼날 형상을 갖는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를 갖고 구성된다.
끼움 형상 부재(801)는 1쌍의 가동 부재(801a, 801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한쪽 가동 부재(801a)의 일단부에는 제1 연접 막대(803)가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가동 부재(801b)의 일단부에는 제2 연접 막대(804)가 가동 가능하 게 설치되어 있다. (1쌍의) 가동 부재(801a, 801b)의 타단부는,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의 타단부와 함께 지지점 축 부재(805)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는, 제1 연접 막대(803) 및 제2 연접 막대(804)의 이동을 규제하는 클램프 개폐 규제용의 가늘고 긴 개구부(806)를 갖고 있다. 개구부(806)에는, 제1 연접 막대(803) 및 제2 연접 막대(804)의 단부를 노출시키도록 조립된다.
제2 연접 막대(804)에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빗살형의 상부 압박 부재(84a)가 설치되고, 제1 연접 막대(803)에는 빗살형의 하부 압박 부재(84b)가 설치된다. 빗살형의 상부 압박 부재(84a)는, U자 형상으로 잘라낸 빗살형 이(齒) 부위를 갖고 있다. 빗살형 이 부위의 배치 피치는,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의 배치 피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빗살 형상부는 긴 이 부위(807)와, 짧은 이 부위(808)가 혼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긴 이 부위(807)는 용지 다발(3")의 종이 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짧은 이 부위(808)는 용지 다발(3")의 종이 단부보다도 전방에 대기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셔터(83)에 선택적으로 개방된 부위에 긴 이 부위(807)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부 압박 부재(84a) 및 하부 압박 부재(84b)의 보유 지지 고정 정밀도 및 셔터의 폐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좌측단측 클램프 부재(82b)는 우측단측과 마찬가지로 형성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측단측 클램프 부재(82b)와, 우측단측 클램프 부재(82a)는, 도5에 도시한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후단에서 지지점 축 부재(805)에 의해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전단에서 끼움 형상 부재(801)에 설치된 연접 막대(803, 804)가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클램프 기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5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82a, 82b)는 본체 기판(81)에 대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클램프 이동 기구(80)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86)는 좌측면 부위의 내측에 설치된 모터 설치 영역에 설치된다. 모터(86)는 기어 유닛(88)에 결합되고, 모터 회전수를 소정의 기어비에 의해 변환하여, 모터 회전력을 캠(87a, 87b)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기어 유닛(88)에는 한쪽 캠(87b)이 설치되어 있다. 캠(87b)은 캠 연동 부재(809)를 통해 다른 쪽 캠(87a)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가동 부재(801a, 801b)에는 캠 작용 부위를 갖고 있다.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에 있어서, 가동 부재(801a, 801b)의 캠 작용 부위에 캠(87a, 87b)이 압박함으로써,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의 끼움 형상 부재(801)를 동기하여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본체 기판(81)의 전방면에는 셔터(83)가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지 보류부(32)에 축적된 용지 다발(3")의 배지를 제한하도록 동작한다. 셔터(83)는 용지 다발(3")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하 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셔터(83)의 양쪽에는 슬라이드 부재(811, 812)가 설치되고, 셔터(83)는 슬라이드 부재(811, 81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클램프 부재(82a, 82b)가 용지 다발(3")을 자유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 셔터(83)를 폐쇄 함으로써, 용지 다발(3")의 자연 낙하를 정지시킬 수 있다.
셔터(83)는 예를 들어 구동축(816)에 설치된다. 이 구동축(816)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왕복 운동에 의해 셔터(83)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셔터(83)를 개폐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체 기판(81)의 전방면 부위의 내측에는 정렬 핀(85a, 85b)이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묶음 처리 전에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에 정렬 핀(85a, 85b)을 끼워 맞춤하여 그 위치를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정렬 핀(85a, 85b) 각각의 선단은 원뿔 형상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압박 부재(84a)와 하부 압박 부재(84b) 사이에는,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핀(85a, 85b)을 삽입하기 전에, 용지 다발(3")이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된다.
그 후, 정렬 핀(85a, 85b)에 의해 용지 다발(3")의 구멍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셔터(83)를 폐쇄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개방된다. 그 후,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핀(85b) 등이 용지 다발(3")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옆면 추림기(70)는, 용지 다발(3")의 양측을 흔들어 정렬 핀(85a, 85b)을 삽입하기 쉽고, 또한 용지 다발(3")의 구멍 위치를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은 묶음 부품(43)을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들 부재가 설치된 본체 기판(81)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 본체부에 설치된다.
계속해서,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옆면 추림기(7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하는 옆면 추림기(70)는, 도4에 도시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내에 설치된다. 옆면 추림기(70)는 본체 하우징부(71), 종이 모음 부재(72a, 72b), 레일(73a, 73b), 모터(74a, 74b), 이동 스테이지(75a, 75b)를 갖고 구성된다.
본체 하우징부(71)는 상면 부위와 배면 부위를 갖고 구성된다. 본체 하우징부(71)는 철판을 절곡 가공하여 상자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체의 상면 부위는 개방되어 있다. 이 예에서, 본체 하우징부(71)의 배면 부위는 모터 설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상면 부위는, 이동 스테이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 스테이지 영역에는, 종이 모음 부재(72a, 72b), 레일(73a, 73b) 및 이동 스테이지(75a, 75b)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본체 하우징부(71)의 내부의 양 벽면 사이에는 레일(73a, 73b)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레일(73a, 73b)은 2개의 둥근 막대를 본체 하우징부(71)의 우측단 및 좌측단을 관통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이 레일(73a, 73b)에는 1세트의 이동 스테이지(75a, 75b)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스테이지(75a, 75b)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 부품으로 구성되고, 이 이동 스테이지(75a, 75b)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개구부(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이 개구부에 레일(73a, 73b)이 통과된다. 물론, 개구부에 레일(73a, 73b)을 통과시키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스테이지(75a, 75b)에 구동륜을 설치하여 레일(73a, 73b) 상을 주행하는 형태를 취해도 좋다.
이동 스테이지(75a, 75b)의 상부에는 좌측단용 및 우측단용 종이 모음 부재(72a, 72b)가 설치된다. 종이 모음 부재(72a, 72b)는 예를 들어 철판을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 가공한 것이 사용된다. 종이 모음 부재(72a, 72b)의 상류측에는, 종이 안내용으로 상단부가 튀어오른 형상(플랩)을 갖고, 또한 하단부는 반대로 매달린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 형상은, 펀치 처리부(20)로부터 보내져 오는 용지(3')를 패들 롤러 유닛(37)과 함께 클램프 이동 기구(80)로 안내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71)의 배면 부위에 설치된 모터 설치 영역에는 모터(74a, 74b)가 설치된다. 모터(74a, 74b)에는 각각 스테핑 모터가 사용된다. 모터(74a, 74b)에서는, 그들 모터 회전축이 본체 하우징부(71)의 배면 부위로부터 상면 부위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모터(74a)의 모터 회전축에는 벨트 구동용 풀리(76a)가 설치되고, 모터(74b)의 모터 회전축에는 벨트 구동용 풀리(76b)가 설치된다(도9 참조).
본체 하우징부(71)의 상면 부위측에는 종동용 풀리(77a, 77b)가 설치된다. 벨트 구동용 풀리(76a)와 종동용 풀리(77a) 사이에 무종단(無終端) 형상의 벨트(78a)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벨트 구동용 풀리(76b)와 종동용 풀리(77b) 사이에 무종단 형상의 벨트(78b)가 결합된다.
이 예에서 왕로측 벨트(78a, 78b)가 이동 스테이지(75a, 75b)에 각각 구속된다. 귀로측 벨트(78a, 78b)가 이동 스테이지(75a, 75b)에 대해 각각 자유로운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재에 의해, 옆면 추림기(70)를 구성한다.
상술한 예에서, 본체 하우징부(71)의 배면 부위에 있어서, 모터(74a, 74b)를 양측에 서로 분리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동용 풀리(77a, 77b)의 위치이며, 그 배면 부위에 모터(74a, 74b)를 서로 근접시켜 설치해도 좋고, 또한 한쪽 모터(74a 또는 74b)만을 종동용 풀리(77a 또는 77b)의 위치이며, 그 배면 부위에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터(74a, 74b)의 배치를 고안하면, 부품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바인드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9를 참조하면서, 옆면 추림기(7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하는 옆면 추림기(70)에 따르면, 예를 들어 모터(74a, 74b)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벨트(78a, 78b)를 왕복 동작시키면, 왕로측 벨트(78a, 78b)에 고정된, 도9에 나타내는 이동 스테이지(75a, 75b)를 각각 좌우로 가동할 수 있다.
이 이동 스테이지(75a, 75b)의 좌우의 이동에 의해, 종이 모음 부재(72a, 72b)를 좌우측에서 독립하여 각각 좌우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된다. 모터(74a, 74b)의 스텝수를 제어하면, 용지(3')의 폭에 맞추어, 스윙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A4의 용지(3')와, B5의 용지(3')에서 용지 폭이 달라도, A4 용지 폭의 모터 스텝 수를 B5 용지 폭의 모터 스텝 수로 변경함으로써, 스윙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묶음 부품(43)을 용지 다발(3")로 묶기 직전에, 도6A 내지 도6C에 나타낸 위치에서, 용지 다발(3")의 양측을 흔들어 정렬 핀(85a, 85b)을 삽입하거나, 용지 다발(3")의 구멍 위치가 맞추어진 상태에서 다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서,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 정렬시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셔터(83)가 폐쇄되어, 용지(3')가 용지 보류부(32)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정렬 핀(85a)은 용지 다발(3")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대기 상태이다.
도10에 도시하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 정렬시의 동작예에 따르면, 도5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82b)와, 클램프 부재(82a)가 그 후단에서는 지지점 축 부재(805)를 기준으로 하고, 전단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끼움 형상 부재(801)에 설치된 연접 막대(803, 804)가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에 의해 제한을 받으면서 클램프 동작을 실행한다.
이 예에서, 도5에 도시한 연접 막대(804)에 설치된 빗살형의 상부 압박 부재(84a)와, 연접 막대(803)에 설치된 빗살형의 하부 압박 부재(84b)가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다. 이 때, 도6A에 도시한 긴 이 부위(807)는, 그 종이 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용지 다발(3")을 끼워 넣고, 짧은 이 부위(808)는 그 종이 단부보다도 전방에 대기하는 위치에서, 용지 다발(3")을 끼우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긴 이 부위(807)가 셔터(83)의 개구 부위에 배치됨으로써, 상부 압박 부재(84a) 및 하부 압박 부재(84b)의 보유 지지 고정 정밀도 및 셔터(83)의 폐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캠(87a, 87b)은 제1 위치(홈 포지션)에서 소정의 자세를 취한다. 예를 들어, 캠(87a, 87b)의 돌기부가 바로 위를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 도면 중의 모터(89)는 정렬 핀 구동용 모터이다. 모터(89)와 정렬 핀(85a, 85b)은 도시하 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링크 기구는 모터(89)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기능한다.
이 예에서는, 도11에 도시하는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셔터(83)를 폐쇄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개방되고, 그 후, 정렬 핀(85a, 85b)이 삽입된다.
클램프 이동 기구(80)에서는, 캠(87a, 87b)이 제2 위치(클램프 개방)에서 소정 자세를 취한다. 예를 들어, 모터(86)는 기어 유닛(88)을 통해 모터 회전수를 소정의 기어비에 의해 변환하고, 모터 회전력을 캠(87a, 87b)에 전달한다. 이 결과, 캠(87a, 87b)은 제1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에 있어서, 가동 부재(801a 또는 801b)의 캠 작용 부위에 캠(87a, 87b)의 돌기부가 압박됨으로써,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의 끼움 형상 부재(801)를 동기하여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끼움 형상 부재(801)에서는, 지지점 축 부재(805)를 가동 기준으로 하여 가동 부재(801a)와 가동 부재(801b)가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가동 부재(801a, 801b)는 규제 구멍이 형성된 부재(802)의 가늘고 긴 개구부(80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끼움 형상 부재(801)의 클램프 개방 폭이 규제된다. 구동력은 가동 부재(801a)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접 막대(804)와, 가동 부재(801b)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접 막대(803)에 전달된다.
이 결과, 연접 막대(804)에 설치된 빗살형의 상부 압박 부재(84a)와, 연접 막대(803)에 설치된 빗살형의 하부 압박 부재(84b)가 용지 다발(3")을 자유 개방한다. 이들 클램프 부재(82a, 82b)가 용지 다발(3")을 자유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 셔터(83)가 폐쇄되어 있음으로써 용지 다발(3")의 자연 낙하를 멈출 수 있다.
그리고, 모터(89)가 구동되고,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모터(89)의 정회전 운동이 핀 상승 운동으로 변환되어, 정렬 핀(85a)을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에 끼워 맞추게 된다. 이 때, 도9에 도시한 옆면 추림기(70)는, 용지 다발(3")의 양측을 흔들어 정렬 핀(85a, 85b)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도12에 도시하는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이 일치하여, 정렬 핀 삽입 상태에서 다시 클램프ㆍ로크 상태로 한다. 그 후, 용지 다발(3")로부터 정렬 핀(85a, 85b)을 뽑는 경우를 예로 든다.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따르면, 캠(87a, 87b)이 제2 위치(클램프 개방)로부터 제1 위치(홈 포지션)로 복귀되어 소정의 자세를 취한다. 예를 들어, 모터(86)는 역회전 하고, 기어 유닛(88)을 통해 모터 회전수를 소정의 기어비에 의해 변환하여 모터 회전력을 캠(87a, 87b)에 전달한다. 이 결과, 캠(87a, 87b)은 제2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에 있어서, 가동 부재(801a 또는 801b)의 캠 작용 부위에 캠(87a, 87b)의 돌기부가 비압박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클램프 부재(82a, 82b)의 끼움 형상 부재(801)를 동기하여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끼움 형상 부재(801)에서는, 지지점 축 부재(805)를 가동 기준으로 하여 가동 부재(801a)와 가동 부재(801b)가 폐쇄되도록 동작한다. 구동력은, 가동 부 재(801a)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접 막대(803)와, 가동 부재(801b)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접 막대(804)에 전달된다. 이 결과, 연접 막대(803)에 설치된 빗살형의 상부 압박 부재(84a)와, 연접 막대(804)에 설치된 빗살형의 하부 압박 부재(84b)가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 고정한다.
그 후, 모터(89)가 구동되고,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모터(89)의 역회전 운동이 강하 운동으로 변환되어,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으로부터 정렬 핀(85a)을 인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묶음 처리 전에,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의 위치를 맞추어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셔터(83)는, 그 동안, 용지 보류부(32)에 축적된 용지 다발(3")의 배지를 제한하도록 동작하지만, 그 후, 용지 다발(3")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개방된다.
계속해서,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클램프 이동 기구(80)에는 클램프 위치 결정 기능 및 하강 이동 조정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클램프 위치 결정 기능이라 함은, 기준 매수의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하강 이동 조정 기능이라 함은, 용지 다발(3")이 기준 매수가 되는 경우, 그것보다도 적은 얇은 매수의 경우, 그것보다도 많은 두꺼운 매수의 경우에 있어서, 용지 반송 중심 위치를 묶음 부품(43)의 묶음 중심 위치에 맞추어 넣는 기능을 말한다. 이하에서, 이 3개의 경우를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13A 및 도13B를 참조하면서, 기준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 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3A에 도시하는 클램프 이동 기구(80)에는 클램프 위치 결정용 개구부(813)가 구비된다. 개구부(813)는 병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개구부(813)에서 병의 목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연접 막대(804)가 떨어져 들어가므로, 클램프 위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이동 기구(80)에는 개구부(813) 외에, 보정용 개구부(814)가 구비된다. 보정용 개구부(814)는 얇은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보정하거나, 두꺼운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보정하는 것이다. 보정용 개구부(814) 내의 포스트(815)는 클램프 부재(82a, 82b)의 링크 부재를 결합하는 가동축이다.
클램프 부재(82a, 82b)는 기준 매수의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하고, 도5에 도시한 본체 기판(81)에 대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용지 반송 중심 위치와, 묶음 부품(43)의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에 용지 반송 중심 위치라 함은, 용지 다발(3")의 두께 방향에서 그 두께를 1/2로 분할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묶음 중심 위치라 함은, 묶음 부품(43)의 가운데 위치를 말한다. 따라서, 용지 다발(3")이 기준 매수가 되는 경우에는, 하강 이동 조정이 생략된다.
이 예에서는, 바인드 처리부(40)가 제공하는,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을 향해,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용지 다발(3")을 클램프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한다. 클램프 부재(82a, 82b)는 지지점 축 부재(805)의 홈 포지션을 기준으로 하여, 도면 중에 나타내는 이격 거리 L1만큼 묶음 유닛측으로 강하(이동)한다.
이 클램프 부재(82a, 82b)의 강하 중, 용지 반송 중심 위치와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동작한다. 그 후,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에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이 도달하면,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해 묶음 부품(43)을 묶음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을 묶음 부품(43)으로 묶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14A 및 도14B을 참조하면서, 얇은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4A에 도시하는 클램프 부재(82a, 82b)는 기준 매수보다도 얇은 매수의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하고, 도5에 도시한 본체 기판(81)에 대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폭 중심 위치보다도, 좌측[용지 보류부(32)의 바닥부측]으로 얇은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상태 그대로라면, 묶음 부품(43)의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정용 개구부(814)가 얇은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보정하도록 기능한다. 보정용 개구부(814)는 그 병 단면 형상을 이용하여 용지 다발 선단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시프트하도록 기능한다. 이 보정용 개구부(814)의 기능에 의해,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을 향해, 얇은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자세를 바꾸면서,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한다. 이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 완료된 시점에서, 얇은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와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동작한다. 그 후, 도13B와 마찬가지로 하여, 묶음 부품(43)을 묶음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기준 매수보다도 얇은 매수의 용지 다발(3")인 경우에도, 용지 다발(3")을 묶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15A 및 도15B을 참조하면서, 두꺼운 매수시의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하강 이동 조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5A에 도시하는 클램프 부재(82a, 82b)는 기준 매수보다도 두꺼운 매수의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하고, 도5에 도시한 본체 기판(81)에 대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보다도, 우측[용지 보류부(32)의 상부측]으로 두꺼운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상태 그대로이면, 묶음 부품(43)의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정용 개구부(814)는 두꺼운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보정하도록 기능한다. 보정용 개구부는, 그 병 단면 형상을 이용하여, 용지 다발 선단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시프트하도록 기능한다. 이 보정용 개구부(814)의 기능에 의해, 도1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을 향해, 두꺼운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부터 기준 매수시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로 자세를 바꾸면서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한다. 이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 완료된 시점에서, 두꺼운 매수시의 용지 다발(3")의 용지 반송 중심 위치와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동작한다. 그 후, 도14B와 마찬가지로 하여, 묶음 부품(43)을 묶음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기준 매수보다도 두꺼운 매수의 용지 다발(3")인 경우에도, 용지 다발(3")을 묶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16을 참조하면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의 제어계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6에 도시하는 제어부(50)의 출력측에는 솔레노이드 구동부(35), 모터 구동부(36), 배지 롤러 구동부(122) 및 모터 구동부(180 내지 183)가 접속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구동부(35)는, 종이 진입시, 좌우 압박 부재(304a, 304b)에 의한 압입 기능을 개방하고, 당해 압박 부재(304a, 304b)가 용지(3')를 용지 보류부(32)로 가이드하기 위한 주행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는 용지 진입시, 양측 압박 부재(304a, 304b)를 개방하여, 용지 보류부(32)로 가이드하기 위한 주행 가이드가 된다.
솔레노이드 구동부(35)는 종이 진입 완료 후, 예를 들어 바인드 처리시에, 압박 부재(304a, 304b)에 의한 주행 가이드 기능을 폐쇄하고, 당해 압박 부재(304a, 304b)가 용지 보류부(32)에 보류된 용지(3')의 후단측을 압박하기 위한 평면 접촉 부품으로서 기능하도록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는 용지 진입 완료 후, 주행 가이드를 폐쇄하여, 용지 보류부(32)에 축적되어 있는 용지(3')의 후단측 양측부에서 밀어 넣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적어도 솔레노이드 구동부(35)의 출력을 제어하여 회전 가능 가이드부(34a, 34b)를 시분할로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펀치 처리 후의 용지(3')를 배지할 때에 배지 롤러 구동부(122)에 배지 제어 신호 S22를 출력한다. 배지 롤러 구동부(122)는 배지 제어 신호 S22를 기초로 하여 펀치 처리 후의 용지(3')를 하방으로 배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배지 롤러(25)를 구동하는 동안 또는 그 구동마다, 솔레노이드 구동부(35)에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 S35를 출력한다. 솔레노이드 구동부(35)는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 S35를 기초로 하여 솔레노이드(301)를 구동하고, 압박 부재(304a, 304b)에 의한 압입 기능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솔레노이드 구동부(35)는 종이 진입시,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 S35를 기초로 하여 솔레노이드(301)를 구동하여, 압박 부재(304a, 304b)에 의한 압입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지 가이드 압박 기구(31)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모터 구동부(36)는 제어부(50)에 접속되어, 패들 롤러 유닛(37)을 제어하도 록 이루어진다. 패들 롤러 유닛(37)에는 모터(708)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모터 구동부(36)는 제어부(50)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 S36을 입력하여 모터(708)를 구동하여, 패들 롤러 유닛(37)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 구동부(180 내지 183)는 제어부(50)에 접속되고, 클램프 이동 기구(8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클램프 이동 기구(80)에는 모터(74a, 74b), 모터(86), 모터(89), 모터(308)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모터 구동부(180)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0을 입력하여 셔터용 모터(308)를 구동하여, 도5에 도시한 셔터(83)를 개폐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 구동부(181)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1을 입력하여 클램프 구동용 모터(86)를 구동하고, 도5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82a, 82b)를 구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 구동부(182)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2를 입력하여 정렬 핀 구동용 모터(89)를 구동하고,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정렬 핀(85a, 85b)을 구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 구동부(183)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3을 입력하여 옆면 추림기용 모터(74a, 74b)를 구동하고,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옆면 추림기(70)를 구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50)의 입력측에는, 급지 센서(111), 용지 검지 센서(114, 118) 및 용지 검지 센서(119)가 각각 접속된다. 급지 센서(111)는, 급지시 용지(3)의 선단을 검지하여 급지 검지 신호 S11을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용지 검지 센서(114)는, 스위치 백 직전의 용지(3)의 전단 및 후단을 검지하여 용지 검지 신호 S14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용지 검지 센서(118)는 펀치 직전의 용지(3)의 전단 및 후단을 검지하여 용지 검지 신호 S18을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용지 검지 센서(119)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 축적되는 용지(3')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용지 검지 신호 Sc를 제어부(50)에 출력한다. 이 예에서는, 용지 검지 센서(119)에 의한 용지 검지를 기초로 하여 제어를 실행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용지 검지 신호 Sc를 기초로 하여 클램프 이동 기구(80) 및 바인드 처리부(4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17A 및 도17B를 참조하면서, 바인드 처리부(40)에 있어서의 이동 기구(41)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7A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41)는 본체부(41a)와, 본체부(41a)의 내부에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본체부(41a)의 상부의 개구부(41c)를 지나, 선단부가 본체부(41a)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17B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단부의 확대도에 있어서,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 파지 갈고리 홀더(41v) 및 홀더 고정 프레임(41w)이 구비된다. 이 예에서, 파지 갈고리 홀더(41v)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단부에 있어서, 홀더 고정 프레임(41w)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는, 상단부가 파지 갈고리 홀더(41v)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파지 갈고리 홀더(41v)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18A 및 도18B는 이동 기구(41)의 묶음 부품 파지부(41b)에 있어서의 구성 예 및 그 동작예(상하 이동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이동 기구(41)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관련 부재의 구성예 및 그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8A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41)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묶음 부품 파지부(41b), 파지부 링크(41f), 파지부용 캠(41g), 묶음 갈고리(41k) 및 파지부 상하 이동용의 모터(45b)(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예에서,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묶음 갈고리(41k)는 묶음 부품(43)을 링형으로 묶는 기능을 갖고 있다.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예를 들어 소정 높이를 갖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폭은 개구부(41c)보다 약간 작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단부에는, 묶음 부품(43)을 잡기 위한 복수의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측면에 돌기 형상의 파지부 링크 결합부(41e)를 갖고 있다. 묶음 부품 파지부(41b)와 파지부 링크(41f)는, 파지부 링크 결합부(41e)가 파지부 링크(41f)의 긴 구멍 형상의 파지부 결합 구멍(41i)에 끼워 맞추어져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파지부 링크(41f)는 파지부용 캠(41g)에 연결되고, 파지부용 캠(41g)이 회전함으로써, 파지부 링크 회전축(41j)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묶음 부품 파지부(41b)에는, 파지부 상하 이동용 모터(45b) 등에 의해 상방을 향해 항상 힘이 가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도18B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41)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가 도18A에 도시한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그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이동한 경우를 나 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모터(45b)가 파지부용 캠(41g)을 정회전시켜, 이 파지부용 캠(41g)이 회전함으로써, 파지부 링크(41f)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파지부 결합 구멍(41i)의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고, 그 결과, 파지부 링크 결합부(41e)를 통해 묶음 부품 파지부(41b)가 화살표 Y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모터(45b)가 파지부용 캠(41g)을 역회전시켜, 이 파지부용 캠(41g)이 역회전함으로써,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화살표 Y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도18A에서 도시하는 최하부로부터 도18B에서 도시하는 최상부까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상하 이동 제어는, 도20에 도시하는 제어부(50)에 의해 모터 제어 신호 S41을 기초로 하여 파지부 상하 이동용 모터(45b)를 구동하여, 파지부용 캠(41g)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18A에 도시한 묶음 부품 파지부(41b)가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는 본체부(41a)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부품 파지부(41b)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는 본체부(41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19A 내지 도19D를 참조하면서,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취출예(첫 번째 내지 네 번째)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이동 기구(41)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관련 부재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 이동 기구(41)가 바인더 카세트(42) 하의 묶음 부품 취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 인더 카세트(42) 내로부터 1개의 묶음 부품(43)을 분리하고, 그것을 취출하여 당해 묶음 부품(43)을 반묶음 상태로 할 때까지를 전제로 한다. 이 공정에서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의 회전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도19A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다. 바인더 카세트(42) 내에는 묶음 부품(43)이 세트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1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45b)가 파지부용 캠(41g)을 정회전시켜, 이 파지부용 캠(41g)이 회전함으로써, 파지부 링크(41f)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파지부 결합 구멍(41i)의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고, 그 결과, 파지부 링크 결합부(41e)를 통해 묶음 부품 파지부(41b)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묶음 부품 파지부(41b)의 이동에 의해, 도19B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는 묶음 부품(43)을 1개만 잡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45b)가 파지부용 캠(41g)을 역회전시켜, 이 파지부용 캠(41g)이 역회전함으로써,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바인더 카세트(42) 내로부터 묶음 부품(43)을 취출한 후,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부품(43)이 묶음 갈고리(41k)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묶음 갈고리(41k)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도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갈고리(41k)를 개방한 상태 그대로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최하부의 위치까지 또한 하방으로 인입하도록 이동시킨다. 이 때, 도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부품(43)의 각 링부(43b)의 링부(43d) 및 링부(43e)는 묶음 갈고리(41k)에 압박됨으로써, 소정량 절곡되어 반묶음 상태로 할 수 있다[이 작업을 묶음 부품(43)의 제1 포밍이라 함].
계속해서, 도20을 참조하면서, 바인드 처리부(40)의 제어계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0에 도시하는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어부(50)에는 모터 구동부(44a, 44b, 44c, 44d)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용지 검지 센서(119)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모터 구동부(44a, 44b, 44c, 44d)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용지 검지 센서(119)로부터 1매의 용지(3')를 검지한 취지의 용지 검지 신호 Sc가 입력되면, 묶음 부품의 취득 및 묶음 제어로 이행한다. 모터 구동부(44a)는 이동 기구 회전용 모터(45a)에 접속되고,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0을 기초로 하여 모터(45a)를 구동한다. 모터(45a)는 모터 제어 신호 S40을 기초로 하여 이동 기구(41)를 구동한다. 모터 구동부(44b)는 파지부 상하 이동용 모터(45b)에 접속되고,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1을 기초로 하여 모터(45b)를 구동한다. 모터(45b)는 모터 제어 신호 S41을 기초로 하여 묶음 부품 파지부(41b)를 상하로 구동한다.
또한, 모터 구동부(44c)는 파지 갈고리 개폐용 모터(45c)에 접속되고, 모터 제어 신호 S42을 기초로 하여 모터(45c)를 구동한다. 모터(45c)는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2를 기초로 하여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를 개폐 구동한다. 모터 구동부(44d)는 묶음 갈고리 개폐용 모터(45d)에 접속되고, 모터 제어 신호 S43을 기초로 하여 모터(45d)를 구동한다. 모터(45d)는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3을 기초로 하여 묶음 갈고리(41k)를 개폐 구동한다.
다음에, 도21 및 도22를 참조하면서, 바인더 카세트(42)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1에 도시하는 바인더 카세트(42)는, 소모품 수납 수단의 일례를 구성하고, 묶음 부품(43)을 수납하는 것이다. 바인더 카세트(42)는, 하우징 형상의 묶음 부품 수납부(42a)와, 그 손잡이(4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인더 카세트(42)는, 손잡이(42b)에 의해 바인드 장치(100)에 대해 장착(설치) 및 탈착(제거) 가능한 형태를 갖고 있다. 묶음 부품 수납부(42a)의 하면부에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취출구(42c)가 구비된다.
도22에 도시하는 바인더 카세트(42)의 하단부 근방에는,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취출구(42c)가 구비되어 있다. 취출구(42c)의 상부의 소정 위치에는, 묶음 부품 압박 갈고리(42d)가 구비된다. 묶음 부품 압박 갈고리(42d)는 마주 본 상태에서 2개 1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묶음 부품 압박 갈고리(42d)는 지지부의 일례를 구성하고, L자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묶음 부품 압박 갈고리(42d) 및 스프링(42i)은 지지 수단의 일례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면서, 바인더 카세트(42)의 내부에 수납(세트)되는 묶음 부품(43)에 대해 설명한다. 도23A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43)은, 정형지의 치수에 맞춘 길이의 배면 뼈대부(43a)에, 일정 간격으로 링부(43b)가 배열된 수지 사출 성형품이다. 도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43b)는 배면 뼈대부(43a)에 결합되는 링부(43c)와 그 좌우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부(43d) 및 링부(43e)로 3분할되어, 고리 형상을 전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뼈대부(43a)의 단면은, 밑변이 직선이고, 상부 중앙에 볼록부를 갖는 형상이 된다.
또한, 도23A 내지 도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링부(43b)의 링부(43c)에는 돌기 형상의 핀(pin)(43f)이 구비되어 있다. 핀(43f)이 구비되어 있는 링부(43c)의 반대측에는, 핀(43f)에 대응한 도시하지 않은 끼워 맞춤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묶음 부품(43)을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어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4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43)의 적층예에 따르면, 도23A의 화살표 Y9로부터 본 경우, 도23B에 도시한 링부(43d), 링부(43c) 및 링부(43e)의 각 양 단부가 대략 일직선 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핀(43f)을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어 적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바인더 카세트(42) 내에 묶음 부품(43)의 적층체(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다. 게다가, 묶음 부품(43)의 배면 뼈대부(43a) 모두가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동 기구(41)의 묶음 부품 파지부(41b)에 의해, 재현성 좋게, 그 적층체로부터 1개의 묶음 부품(43)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카트리지의 적층 방향과 중력 방향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분리 성능이 안정된다.
여기서, 도25A 내지 도25C를 참조하여, 묶음 부품(43)의 묶음예(첫 번째 내지 세 번째)에 대해 설명한다. 도25A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43)은, 도24에 도시한 적층 형상의 묶음 부품(43)으로부터 그 하나를 분리한 것이다.
도25A에 도시하는 링부(43b)는, 링부(43d)와 링부(43c)의 연결부 및 링부(43c)와 링부(43e)의 연결부에서 절곡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링부(43d)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43g) 및, 링부(43e)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43h)가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25A 내지 도2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43d), 링부(43c) 및 링부(43e)의 각 양단부가 대략 일직선 상에 전개된(정렬된) 상태로부터, 링부(43d) 및 링부(43e)를 절곡하여 결합부(43g)와 결합부(43h)를 결합시킴으로써, 완전한 링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43g)와 결합부(43h)는, 결합 및 제거(착탈)를 몇 번이나 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묶음 부품(43)은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23 내지 도25에 있어서 설명한 묶음 부품(43)은, 용지(3') 및 용지 다발(3")의 두께에 따라서 링부(43b)의 크기 등이 다른 것이 복수 종류 이용된다. 예를 들어, 기준 매수보다 많은 용지 다발(3")에 최적인 대구경 링용 묶음 부품이나, 기준 매수보다 적은 용지 다발(3")에 최적인 소구경 링용 묶음 부품 등이 준비된다.
계속해서, 도26을 참조하면서, 바인드 장치(100)에 있어서의 용지 묶음 처리예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26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41)는, 용지 묶음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 용지 묶음 위치는, 이동 기구(41)가 개구부(41c)를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용지 반송 방향을 향하도록 자세를 취하는 위치이다.
이 자세는, 도3에 도시한 묶음 부품 취출 위치에 있는 이동 기구(41)가 도26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기준으로 하여, 화살표 Y1과 같이 회전한 것이다. 이 이동 기구(41)의 회전 제어는, 도20에 도시한 제어부(50)에 의해 모터 제어 신호 S40을 기초로 하여 이동 기구 회전용의 모터(45a)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도26에 도시하는 바인드 처리부(40)에 따르면,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이동 기구(41)에서 협조하여 묶음 부품(43)으로 용지 다발(3")을 묶어 책자(90)를 작성하도록 이루어진다(용지 묶음 처리).
여기서, 도27A 및 도27B를 참조하여, 이동 기구(41)에 의한 묶음 부품(43)의 묶음 처리예(첫 번째, 두 번째)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이동 기구(41)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관련 부재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 이동 기구(41)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하의 용지 묶음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1개의 반묶음 상태에 있는 묶음 부품(43)을 사용하여, 용지 다발(3")을 묶음 처리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 공정에서는, 이미, 묶음 부품 취출 위치로부터 용지 묶음 위치로의 회전이 행해진 후의 상태이다.
도27A에 도시하는 묶음 부품 파지부(41b)는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에 의해 1개의 묶음 부품(43)을 잡은 상태이다. 이 예에서, 이동 기구(41)는 묶음 갈고리 개폐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을 구성하기 위해, 이동 기구(41)는 예를 들어 묶음 갈고리(41k), 묶음 갈고리 링크(41l), 묶음 갈고리 링크(41m), 묶음부 링크(41n), 스프링(41o), 묶음 갈고리용 캠(41p) 및 묶음 갈고리 개폐용의 모터(45d)(도20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묶음 갈고리(41k)는 묶음 부품(43)을 폐쇄할 때에, 묶음 부품(43)에 접촉하는 폐쇄부(41q)를 갖고 있고, 개구부(4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41c)의 양측부에서 묶음 갈고리 설치부(46i)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각 묶음 갈고리(41k)는 L자형의 형상을 갖는 묶음 갈고리 링크(41l)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묶음 갈고리 링크(41l)는 각 묶음 갈고리 링크(41l)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묶음 갈고리 링크 회전부(41r)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부(41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묶음 갈고리 링크(41l)는 묶음 갈고리(41k)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링크 결합부(46j)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2개의 묶음 갈고리 링크(41l)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묶음 갈고리 링크(41m)의 상단부가, 링크 결합부(46j)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묶음 갈고리 링크(41m)는 하단부에 긴 구멍 형상의 묶음 갈고리 링크 결합 구멍(41s)을 갖고 있다. 묶음부 링크(41n)의 돌기 형상의 링크 결합부(46k)가 묶음 갈고리 링크 결합 구멍(41s)에 끼워 맞춤되어, 묶음 갈고리 링크(41m)와 묶음 갈고리 링크(41n)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묶음 갈고리 링크(41m)는, 중앙부에서 스프링(41o)을 통해 본체부(41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41o)에 의해 묶음 갈고리 링크(41m)에는, 링크 결합부(46j)링크 결합부(46k)를 축으로 하여, 도27A 및 도27B의 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묶음 갈고리 링크(41n)는 묶음 갈고리 링크 회전축(41t)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본체부(41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묶음 갈고리용 캠(41p)이 화살표 Y6 및 화살표 Y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묶음 갈고리 링크(41n)가 묶음 갈고리 링크 회전축(41t)을 축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다음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27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27B에 도시한 상태로, 묶음 갈고리(41k)의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 묶음 갈고리용 캠(41p)이 화살표 Y6으로 나타내는 도면(27a)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묶음 갈고리 링크(41n)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묶음 갈고리 링크(41m)에 하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결과, 도27A의 우측에 나타내는 묶음 갈고리 링크(41l)에는 반시계 방향의 힘이, 도27A의 좌측에 나타내는 묶음 갈고리 링크(41l)에는 시계 방향의 힘이 각각 가해져, 각각의 묶음 갈고리(41k)가 화살표 Y5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묶음 갈고리(41k)가 폐쇄된다.
도27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27A에 도시하는 상태로의 묶음 갈고리(41k)의 개방 동작은, 다음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해진다. 묶음 갈고리용 캠(41p)이 화살표 Y8로 나타내는 도27B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묶음 갈고리 링크(41n)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묶음 갈고리 링크(41m)에 상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결과, 도27B의 우측에 도시하는 묶음 갈고리 링크(41l)에는 시계 방향의 힘이, 도27B의 좌측에 도시하는 묶음 갈고리 링크(41l)에는 반시계 방향의 힘이 각각 가해져, 각각의 묶음 갈고리(41k)가 화살표 Y7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묶음 갈고리(41k)가 개방된다.
이 묶음 갈고리(41k)의 개폐 동작의 제어는, 도20에 도시한 제어부(50)에 의 해 모터 제어 신호 S43을 기초로 하여 묶음 갈고리 개폐용 모터(45d)를 구동하여, 묶음 갈고리용 캠(41p)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묶음 갈고리 링크(41m)의 하방부에는, 묶음 부품 조절용 캠(41u)이 구비되어 있고, 이 묶음 부품 조절용 캠(41u)이 회전함으로써, 묶음 부품 조절부(46l)를 통해 묶음 갈고리 링크(41m)에 링크 결합부(46j)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힘이 가해져, 묶음 갈고리 링크 결합 구멍 내의 링크 결합부(46k)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 결과, 묶음 갈고리 링크(41m)의 상하 방향의 기본 위치가 변경되어, 도27A에 도시하는 묶음 갈고리(41k)가 개방된 상태 및 도27B에 도시한 묶음 갈고리(41k)가 폐쇄된 상태의 각각의 묶음 갈고리(41k)의 기본 위치도 변경된다. 이에 의해, 링부의 크기가 다른 묶음 부품(43)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28A 내지 도28D를 참조하면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한 책자 작성예(첫 번째 내지 네 번째)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이동 기구(41)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관련 부재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이 복수매의 용지(3')를 정렬하여, 그 용지 다발(3")을 바인드 처리부(40)에 의해 묶음 부품(43)에 의해 묶어, 책자(90)를 작성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물론, 용지 검지 센서(119)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 축적되는 용지(3')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용지 검지 신호 Sc를 제어부(50)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용지 검지 신호 Sc를 기초로 하여 용지 다발(3")이 규정 매수가 되면, 클램프 이동 기구(80) 및 바인드 처리부(40)를 제어하 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용지 검지 센서(119)로부터 1매의 용지(3')를 검지한 취지의 용지 검지 신호 Sc가 입력되면, 묶음 부품의 취득 제어로 이행하고, 용지 다발(3")이 규정 매수에 도달하면, 클램프 이동 기구(80)에 있어서의 용지 다발(3")의 클램프 이동 제어로 이행한다.
이들을 제어 조건으로 하여, 우선, 바인드 처리부(40)에서는, 묶음 부품(43)의 제1 포밍을 행한 후, 도28A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41)를 용지 묶음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이동 기구(41)는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을 위로 향하고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서는, 도13A 및 도13B에 도시한 클램프 이동 기구(80)의 클램프 위치 결정 기능 및 하강 이동 조정 기능을 이용하여, 용지 다발(3")이 클램프 부재(82a, 82b)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강하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모터 구동부(180 내지 183)를 통해 클램프 이동 기구(80)를 제어한다. 모터 구동부(181)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1을 입력하여 클램프 구동용 모터(86)를 구동하여, 도5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82a, 82b)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모터 구동부(180)는 제어부(50)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 S80을 입력하여 셔터용 모터(308)를 구동하여, 도5에 도시한 셔터(83)를 개폐 제어한다.
클램프 부재(82a, 82b)는 기준 매수의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하고, 도5에 도시한 본체 기판(81)에 대해, 용지 다발(3")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도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 의해 용지 다발(3")을 묶음 부품(43)에 대해 이동시킨다. 이 예에서는, 바인드 처리부(40)가 제공하는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을 향해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용지 다발(3")을 클램프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프 부재(82a, 82b)가 강하한다.
클램프 부재(82a, 82b)는 지지점 축 부재(805)의 홈 포지션을 기준으로 하여,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 거리 L1만큼 바인드 처리부측으로 강하(이동)한다. 이 클램프 부재(82a, 82b)의 강하 중, 용지 반송 중심 위치와 묶음 중심 위치가 일치하도록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동작한다.
그 후, 반묶음 상태의 묶음 부품(43)의 중앙에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이 도달하면, 이동 기구(41)에서는, 도2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갈고리(41k)를 폐쇄하여, 용지 다발(3")의 각 펀치 구멍(3a)을 통과시켜 링부(43b)를 완전하게 폐쇄하고, 묶음 부품(43)에 의해 용지 다발(3")을 묶음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모터 구동부(44d)는 모터 제어 신호 S43을 기초로 하여 모터(45d)를 구동한다. 모터(45d)는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3을 기초로 하여 묶음 갈고리(41k)를 개폐 구동한다.
이 때의 묶음 갈고리(41k)의 폐쇄 동작에 대해서는, 도27A → 도27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묶음 처리 공정을 묶음 부품(43)의 본 묶음 처리 공정이라 한다. 이에 의해, 용지 다발(3")의 펀치 구멍(3a)을 묶음 부품(43)으로 묶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묶음 부품(43)으로 묶음 처리된 용지 다발(3")은 책자(90)가 된다.
그 후, 도2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 갈고리(41k)를 개방하고,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를 개방한다. 이 때의 묶음 갈고리(41k)의 개방 동작에 대해서는, 도27B → 도27A에 도시한 바와 같다. 묶음 갈고리(41k)의 개방 동작 후, 모터 구동부(44c)는 모터 제어 신호 S42를 기초로 하여 모터(45c)를 구동한다. 모터(45c)는 제어부(50)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 S42를 기초로 하여 묶음 부품 파지 갈고리(41h)를 개방한다. 그 후,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서는, 책자(90)를 일단, 상류측으로 끌어올리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은 이동 기구(41)의 복귀 동작을 위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 예에서는, 클램프 이동 기구(80)가 책자(90)를 클램프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프 부재(82a, 82b)가 상승한다. 클램프부 부재(82a, 82b)는, 지지점 축 부재(805)의 홈 포지션으로 복귀한다. 도13B에 나타낸 이격 거리 L1만큼 펀치 처리부측으로 상승(대피)한다.
이 클램프 부재(82a, 82b)의 대피 후, 이동 기구(41)는 도26에 도시한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기준으로 하여 역회전하여, 묶음 부품 취출 위치로 복귀한다. 이 이동 기구(41)의 회전 제어는, 도20에 도시한 제어부(50)에 의해 모터 제어 신호 S40을 기초로 하여 이동 기구 회전용 모터(45a)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어, 모터(45a)는 모터 제어 신호 S40을 기초로 하여 이동 기구(41)를 구동한다.
이 이동 기구(41)의 회전 복귀 후,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에서는 클램프 부재(82a, 82b)가 자유 개방되고, 당해 클램프 부재(82a, 82b)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던 책자(90)는 책자 스루패스 경로(Y2)를 통해 자연 낙하하도록 이루어진다. 자 연 낙하 후의 책자(90)는 배출 유닛(60)에 받아들여지고, 배출 공정으로 이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로서의 바인드 장치(100)에 따르면,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의 하류측에 바인드 처리부(40)의 이동 기구(41)를 배치하고, 또한 당해 이동 기구(41)를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 및 바인더 카세트(42)를 배치한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배치 구조를 갖고 있다. 바인드 처리부(40)의 이동 기구 회전축(41d)은,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3")을 배출하는 방향과, 바인더 카세트(42)로부터 하류측으로 묶음 부품(43)을 배출하는 방향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묶음 부품(43)의 분리 취득 처리와 묶음 부품(43)의 묶음 처리의 2공정을 이동 기구 회전축(41d)을 중심으로 하여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인드 처리부(40)의 주위로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이나 바인더 카세트(42) 등의 필요 구성 부재를 집중할 수 있으므로, 장치 수평 방향으로의 부품 부재의 배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이들 구성 부재를 일직선 상에 배치하는 구성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바인드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i. 바인더지 정렬 유닛(30)과 이동 기구(41) 및, 이동 기구(41)와 바인더 카세트(42)의 2세트가 당해 이동 기구(41)에 의해 용이하게 공정 절환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i. 이동 기구(41)가 바인더 카세트(42)의 배치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iii. 바인더 카세트(4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소형화로 묶음 부품장전수의 증대가 도모된다.
iv.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배출 루트에 이동 기구(41)가 대피한 후의 공간 영역을 책자 스루패스 경로(Y2)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배출 기구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v. 바인드지 정렬 중에 묶음 부품(43)의 분리, 묶음 부품의 이동까지 할 수 있어, 병행 처리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높아짐).
vi. 장래, 묶음 부품(43)의 복수화, 바인더지 정렬 유닛(30)의 복수화에 의해 묶음 가동부인 이동 기구(41)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상품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기구(41)의 가동부가 힌지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행 이동형인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인드지 정렬 유닛(30), 이동 기구(41) 및 바인더 카세트(42)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되고, 이동 기구(41)가 고정이며, 바인드지 정렬 유닛(30)이나 바인더 카세트(42) 등이 가동 형태를 취하는 경우라도 좋다.
본 발명은, 흑백용 및 컬러용 복사기나 인쇄기로부터 출력되는 기록지를 자동 묶음 처리하는 바인드 장치에 적용하여 매우 적합하다.

Claims (7)

  1. 소정 위치에 천공된 복수매의 용지를 정렬하여 일시 보류하는 용지 보류 수단과,
    상기 용지 보류 수단에 의해 정렬된 용지 다발을 묶음 부품으로 묶는 묶음 수단과,
    상기 묶음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묶음 부품을 수납하는 소모품 수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의 하류측에 상기 묶음 수단을 배치하고, 또한 당해 묶음 수단은, 상기 용지 보류 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과 대응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보류 수단 및 소모품 수납 수단은,
    상기 묶음 수단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수단은, 회전축을 갖고 있고,
    상기 용지 보류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을 배출하는 방향과,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소모품을 배출하는 방향이 교차하는 영역 부근에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수단은,
    상기 용지 보류 수단과 소모품 수납 수단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수단은,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의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소정 크기의 묶음 부품을 수취하고, 수취한 상기 묶음 부품을 보유 지지하여 상기 용지 보류 수단의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당해 묶음 부품으로 용지 다발을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수단은,
    상기 용지 보류 수단이 용지를 정렬하고 있을 때에,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으로부터 묶음 부품을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수단이 상기 소모품 수납 수단으로부터 묶음 부품을 수취하는 자세에 있을 때에,
    상기 용지 보류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용지 다발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책자 스루패스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처리 장치.
KR1020087005020A 2005-09-02 2006-08-29 용지 처리 장치 KR101189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5332A JP4735139B2 (ja) 2005-09-02 2005-09-02 用紙処理装置
JPJP-P-2005-00255332 2005-09-02
PCT/JP2006/317003 WO2007026710A1 (ja) 2005-09-02 2006-08-29 用紙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471A KR20080048471A (ko) 2008-06-02
KR101189291B1 true KR101189291B1 (ko) 2012-10-09

Family

ID=3780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020A KR101189291B1 (ko) 2005-09-02 2006-08-29 용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75107B2 (ko)
EP (1) EP1930175B1 (ko)
JP (1) JP4735139B2 (ko)
KR (1) KR101189291B1 (ko)
CN (1) CN101253056B (ko)
WO (1) WO2007026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8652B2 (ja) * 2007-05-10 2011-10-05 マ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US8567156B2 (en) * 2009-06-15 2013-10-29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JP6149285B2 (ja) * 2012-04-13 2017-06-21 グラドコジャパン株式会社 製本装置
JP6106887B2 (ja) * 2012-04-13 2017-04-05 グラドコジャパン株式会社 製本装置
US9517652B2 (en) * 2013-09-26 2016-12-13 Nisca Corporation Sheet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heet post-processing device
US9764581B2 (en) 2014-03-27 2017-09-19 ACCO Brands Corporation Sheet stacking device
CN107415514B (zh) * 2017-05-18 2022-10-11 国家文教用品质量监督检验中心 一种用于订书或打孔机性能测试的走纸机构及其工作过程
CN113263851B (zh) * 2021-05-18 2023-02-24 青岛通产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文档装订装置
CN115402022A (zh) * 2021-05-28 2022-11-29 宁波威博超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装订机
CN114055978A (zh) * 2021-11-15 2022-02-18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卷子装订的纸张自动对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7153A1 (en) 2003-04-16 2004-10-21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sort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59396A (ja) 2003-08-12 2005-03-10 Max Co Ltd バインド処理方法ならびにバインド処理装置ならびにバインダカートリッジ
WO2005044580A1 (ja) 2003-11-10 2005-05-19 Max Co., Ltd. 綴じ処理装置
JP2005135549A (ja) 2003-10-31 2005-05-26 Hitachi Ltd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049A (en) 1956-09-25 1960-12-06 Hans Sickinger Spiral binder applying device
US3761983A (en) * 1972-03-17 1973-10-02 Gen Binding Corp Binding apparatus
US5249902A (en) * 1992-06-25 1993-10-05 The Holson Burnes Company Loose-leaf binder assembly process and apparatus
US6042320A (en) * 1997-08-29 2000-03-28 Unicoil, Inc.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helically formed binding elements
US6171044B1 (en) * 1999-08-26 2001-01-09 Hewlett-Packard Company Binding module for modular systems
SE517756C2 (sv) * 2000-11-15 2002-07-09 James Burn Internat Ltd Frammatningsanordning för wirebindningstrå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7153A1 (en) 2003-04-16 2004-10-21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sort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59396A (ja) 2003-08-12 2005-03-10 Max Co Ltd バインド処理方法ならびにバインド処理装置ならびにバインダカートリッジ
JP2005135549A (ja) 2003-10-31 2005-05-26 Hitachi Ltd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装置
WO2005044580A1 (ja) 2003-11-10 2005-05-19 Max Co., Ltd. 綴じ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2621A1 (en) 2009-09-17
US8475107B2 (en) 2013-07-02
EP1930175A1 (en) 2008-06-11
JP2007069348A (ja) 2007-03-22
WO2007026710A1 (ja) 2007-03-08
CN101253056A (zh) 2008-08-27
CN101253056B (zh) 2011-12-07
KR20080048471A (ko) 2008-06-02
EP1930175A4 (en) 2008-10-08
JP4735139B2 (ja) 2011-07-27
EP1930175B1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291B1 (ko) 용지 처리 장치
EP1690695B1 (en) Binding processing device
KR101252886B1 (ko) 용지 처리 장치
JP4760239B2 (ja) 用紙処理装置
JP4929969B2 (ja) 用紙処理装置
KR20080048470A (ko) 용지 처리 장치
JP4692176B2 (ja) 用紙処理装置
WO2007023910A1 (ja) 用紙処理装置
JP4760226B2 (ja) 用紙処理装置
JP4872661B2 (ja) 用紙処理装置
JP2008260602A (ja) 穿孔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後処理装置
JP5076624B2 (ja) 用紙処理装置
JP4687628B2 (ja) 用紙処理装置
JP4591432B2 (ja) 用紙処理装置
JP5122354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4872662B2 (ja) 用紙処理装置
JP5842685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