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97B1 -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97B1
KR101187697B1 KR1020090017479A KR20090017479A KR101187697B1 KR 101187697 B1 KR101187697 B1 KR 101187697B1 KR 1020090017479 A KR1020090017479 A KR 1020090017479A KR 20090017479 A KR20090017479 A KR 20090017479A KR 101187697 B1 KR101187697 B1 KR 10118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weight
milk
fatty acid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807A (ko
Inventor
신봉석
안남순
Original Assignee
안남순
신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남순, 신봉석 filed Critical 안남순
Priority to KR102009001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97B1/ko
Priority to PCT/KR2009/007821 priority patent/WO2010101349A2/ko
Publication of KR2010009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2 내지 1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을 생산하여 오메가 지방산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게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메가-3 지방산, 아마씨유, 우유

Description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annimal food comprising omega-3 fatic acid}
본 발명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2 내지 1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을 생산하여 오메가 지방산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게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대로 육류와 계란, 우유 등의 축산물 소비량이 급증함에 따라 지방섭취량 또한 증가하게 되고, 식이중의 과도한 지방산 혈중 콜레스테로 함량을 증가시켜서 고혈압과 심장병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특히 동물성 지방은 대부분이 포화지방산으로서 불포화도가 높은 식물성 지방에 비하여 체내 콜레스테롤 침착정도가 더 높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등푸른 생선류의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오메가 지방산은 체내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완화하여 심장병이나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졌으며, 특히 에이코사헥사에노익산(일명 EPA)과 도코사헥사에노익산(일명 DHA)은 탄소수가 각각 20개, 22개이면서 불포화도가 높아 두뇌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방산으로서, 최근 각종 식품에 첨가제로 사용되는 등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은 상온에서 그 물성에 따라 액체 및 고체 상태이므로 취급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수된 비누상태의 파우더 (dehydrated soap powder) 및 자동산화를 줄이기 위한 지방 파우더(fat powder)를 만드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보면 우선 콜드 스프레이드 드라이(Cold spray dry)방법에서는 지방을 유화제 및 단백질 캐리어(protein carrier)를 첨가하여 5 내지 -30℃의 공기 챔버(air blast chamber)에서 고체화 한 다음 엉킴(clump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루상태의 희석제인 스타치(starch)류와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지방을 유화제, 물 탈지분유 등과의 유화 용액을 만들어서 120 내지 170℃의 공기중에서 스프레이 건조(spray dry)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방을 강산이나 강알칼리로 가수분해한 다음 금속염을 가하여 지방산의 염(salt)으로 침지시킨후, 알칼리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지방산 분말을 얻고 있다. 이러한 상기 기술한 방법들에 의하여 만들어진 제품은 취급이 용이한 점은 있으나 지방산 염으로된 제품의 경우를 보면, 지방의 화학적인 성태가 트리글리세라이드 (Triglyceride), 에스터 폼(ester form),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지방산의 금속염의 상태로 진행될수록 산화 속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유리 지방산염으로 된 제품의 지방산은 주로 90 내지 80%가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지방사료첨가제는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이 낮은 돼지고기를 생산할 수가 없다. 그리고, 지방산염으로 된 제품의 경우 가축사료로 사용시 제품의 용점이 높고 또한 이들 제품이 소화 흡수되기 위하여는 위(stomach)의 산도에 의하여 결합된 금속성분(Ca, Na)이 재빨리 지방산과 유리 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유리가 잘 되지 않으므로 실제 가축의 소장(intestine)에서의 흡수가 잘 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첨가제로 사용하여 생산되는 오메가 지방산 함량이 높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고리를 생산할 수 있으며, 동물성 식품의 지방산 조성에서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고기의 생산을 하기 위한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첨가제는 식물성 지방산의 유화 용액을 가축에게 급여시 영양소 흡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써 생산되는 고기내 오메가-3 지방산 즉,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 (Docosahexaenoic acid)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마씨유 및 녹차추출물을 혼합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 및 엑기스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 및 엑기스는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 (Docosahexaenoic acid)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줄일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 및 엑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마씨유 및 녹차추출물을 혼합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 및 엑기스를 첨가하여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 (Docosahexaenoic acid) 함량을 높이고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줄일 수 있어 가축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함유하는 아마씨유 50~70 중량%; 및 녹차에 에탄올 수용액으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켜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와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추출물 30~50 중량%를 혼합한 후 가열하면서 포도당, 갈락토스, 리보오스, 맥아당, 설탕, 젖당, 녹말, 글리코겐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코팅제를 아마씨유, 녹차추출물 및 코팅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0~90 중량% 사용하면서 코팅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분말 함유 사료첨가제;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와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함유하는 아마씨유 50~70 중량% 및 녹차에 에탄올 수용액으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켜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와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추출물 30~50 중량%를 혼합하여 유화제를 아마씨유, 녹차추출물 및 유화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 사용하면서 균일 혼합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은 급여하는 사료의 총량에 대비하여 0.1 내지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메가-3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은 급여하는 청정수의 총량에 대비하여 0.05 내지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메가-3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녹차추출물은 녹차추출분말 및 녹차추출엑기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은 포도당, 갈락토스, 리보오스, 맥아당, 설탕, 젖당, 녹말, 글리코겐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코팅제를 사용하여 아마씨유, 녹차추출물 및 코팅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0~90 중량% 함유된 것으로 코팅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는 수용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아마씨유, 녹차카테킨추출물 및 유화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 함유된 것으로 균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추출물은 30~50 중량%가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하 경우 아마씨유가 산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 이상 경우 오메가-3 지방산의 함유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팅제는 10~90 중량% 함유된 것이고, 10 중량% 이하 경우 균일 코팅이 잘 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90 중량% 이상 경우 오메가-3 지방산의 함유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화제는 1~10 중량% 함유된 것이고, 1 중량% 이하 경우 균일 혼합이 잘 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 이상 경우 오메가-3 지방산의 함유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유화제 중에서 트웬 60(Tween 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 추출물은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中yabugida, 제주도산)에 에탄올수용액으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켜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녹차추출엑기스를 수득한다.
<실시예 1>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에 사용하는 녹차카테킨 추출물의 수득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中yabugida, 제주도산) 1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ℓ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5ℓ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약 100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전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켰다. 전기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녹차카테킨 추출엑기스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에 사용하는 녹차카테킨 추출물의 수득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yabugida, 제주도산) 1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ℓ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5ℓ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약 100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전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켰다. 전기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키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형의 녹차카테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분말형의 녹차카테킨 추출물에 함유된 카테킨의 함량을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참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1-84165호), 전기 수득한 녹차카테킨 분말의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37.5%(w/w), 에피갈로카테킨 12.5%(w/w),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5.7%(w/w) 및 잔량의 기타 카테킨을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녹차는 차나무[Thae sinensis L.(Theaceae)]의 어린 잎을 이른 봄에 채취하여 가공한 것으로, 녹차의 성분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항돌연변이효과, 피부보호효과, 신경보 호효과, 항염효과, 세포사유도 등이 녹차 추출물과 녹차로부터 분리된 성분을 이용하여 보고되었으며, 녹차의 카테킨(Catechins) 성분은 항암효과, 항산화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녹차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pigallocatechin-3-gallate; EGCG)와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는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피부보호효과, 세포사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녹차의 폴리페놀(polyphenol) 역시 항염증효과, 암예방효과, 항산화효과, 뇌세포보호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실시예 3>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의 제조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55.12 중량% 함유하는 아마씨유 10 중량% 와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카테킨추출엑기스(물 30% 함유된 70중량% 짜리) 20 중량%를 혼합한 후 가열하면서 포도당 70 중량%를 사용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의 제조
아마씨유 10g 및 녹차카테킨추출엑기스 20g에 유화제(트웬 60 : Tween 60) 5g을 가하여 50℃로 가온하면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포도당 70g을 혼합한 후, 호모게나이져로 유화액을 얻은 다음 유동층 건조기(fluid bed dryer)에 씨앗 물질(seed material)을 혼합한 후 50℃로 조정한 유입공기로 씨앗 물질을 유동한 시키면서 상기 유화용액을 유동층 건조기의 상부에서 분무건조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을 분석한 결과 아마씨유 수용성 분말에 오메가-3 지방산이 55.12%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5>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의 제조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55.12 중량% 함유하는 아마씨유 50 중량% 와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카테킨추출엑기스(물 30% 함유된 70중량% 짜리) 20 중량%를 물 25 중량%에 혼합한 후 유화제(트웬 60 : Tween 60) 5g을 가하여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아마씨유 50g 및 녹차카테킨추출엑기스(물 30% 함유된 70중량% 짜리)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유화제(트웬 60 : Tween 60) 5g을 가하여 50℃로 가온하면서 호모게나이져로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 생산용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엑기스를 분석한 결과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에 오메가-3 지방산이 54.77%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7>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을 생산하는 방법
아마씨유 50g 및 녹차카테킨추출엑기스(물 30% 함유된 70중량% 짜리) 20g을 물 25g에 혼합한 후 유화제(트웬 60 : Tween 60) 5g을 가하여 50℃로 가온하면서 호모게나이져로 3000rpm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코팅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마씨유 수용성 엑기스에 청정수를 1000배 희석하여 상기 조성물을 젖소에 급여할 경우 젖소의 체내에서 생리적 후유증이 없이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우유중의 n-6 지방산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다량의 n-3 지방산이 축적되었다.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에 의해 생산된 우유에 존재하는 지방산 조성 비교실험하기 위하여 젖소 40수를 2군으로 나누어 제1군(대조군)에는 시중에서 시판되는 우유 생산용 사료를 급여하고, 제2군(실험군)에는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을 각각 30일간 급여하였다. 각 군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비율을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시판사료(대조군)와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실험군)로 사육한 젖소에 의해 생산된 우유 중의 n-6/n-3 지방산의 조성비율은 조사하였다. 시판사료를 급여한 젖소(대조군)에서 생산된 우유에 있어서 n-6/n-3 지방산 비율이 11.8로서 n-6 지방산이 현저히 높았으나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을 급여한 젖소(실험군)에서 생산한 우유에 있어서의 n-6/n-3 지방산 비율은 급여후 3일째부터 n-3 지방산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6일째부터는급격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10일째부터는 n-6/n-3 지방산 비율이 1.3으로서 n-3 지방산이 크게 증가하여 시간이 경과하면서 계속해서 같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젖소용 조성물을 젖소에 급여한 후 불과 10여일 만에 n-3 지방산의 비율이 매우 높은 우유을 얻을 수 있었다. n-6/n-3 지방산의 비율 1.3이 될 정도의 많은 양의 n-3 지방산의 축적된 우유는 아직 어떠한 연구에서도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현재까지 생산된 우유 중 가장 고단위의 n-3 지방산을 함유한 우유이다.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생산된 우유는 n-6 지방산 함량이 적고 많은 양의 n-3 지방산이 축적되어 있어 이를 섭취할 경우 n-6 지방산에 의한 각종 생리적 질환이나 후유증이 발생되지 않으며, 지나친 n-6 지방산 섭 취로 인한 각종 생리적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n-6/n-3 지방산 비율이 감소되어 체내 생리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우유에 과다한 포화지방산이나 n-6 지방산이 존재한다는 인식 때문에 우유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우유 생산용 조성물을 젖소에 급여하여 생산된 우유는 n-6 지방산 함량이 감소된 반면 n-3 지방산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으므로 아무런 부작용의 우려없이 지금까지 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우유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우유에서 불포화지방산이 우유로 전이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젖소를 이용한 생체실험을 하였다. 즉, 사료첨가제를 젖소 사료내에 혼합하여 젖소에 1일 250g씩 28일간 급여하면서 1주, 2주, 4주째에 우유를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볼 때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젖소의 우유내에는 EPA 및 DHA가 함유되어 있고 우유내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에 있어서도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는 우유에 DHA나 EPA와 같은 고도다중 불포화지방산을 고효율로 전이시켜 고혈압이나 심장병 등의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소의 제1위에서 사료첨가제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고도다중 불포화지방산이 고효율로 최종생산물인 우유에 전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고도다중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포화지방산의 함유비율이 현저하게 감소된 우유를 생산하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국민건강의 향상과 성인병 예방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급여한 오메가-3 지방산 우유에 대한 식품시험성적서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급여한 오메가-3 지방산 우유에 대한 식품시험성적서

Claims (6)

  1.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함유하는 아마씨유 50~70 중량%; 및 녹차에 에탄올 수용액으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켜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와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추출물 30~50 중량%를 혼합한 후 가열하면서 포도당, 갈락토스, 리보오스, 맥아당, 설탕, 젖당, 녹말, 글리코겐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코팅제를 아마씨유, 녹차추출물 및 코팅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0~90 중량% 사용하면서 코팅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분말 함유 사료첨가제;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 aenoic acid)와 도코사헥사에노익산(Docosahexaenoic acid)을 함유하는 아마씨유 50~70 중량% 및 녹차에 에탄올 수용액으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켜 건조물을 물로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와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함유하는 녹차추출물 30~50 중량%를 혼합하여 유화제를 아마씨유, 녹차추출물 및 유화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1~10 중량% 사용하면서 균일 혼합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급여하는 사료의 총량에 대비하여 0.1 내지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급여하는 청정수의 총량에 대비하여 0.05 내지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젖소에게 급여하여 일반 우유에 대비하여 오메가-3 지방산을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100배 함유하는 오메가-3 지방산 우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17479A 2009-03-02 2009-03-02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18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79A KR101187697B1 (ko) 2009-03-02 2009-03-02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PCT/KR2009/007821 WO2010101349A2 (ko) 2009-03-02 2009-12-28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79A KR101187697B1 (ko) 2009-03-02 2009-03-02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807A KR20100098807A (ko) 2010-09-10
KR101187697B1 true KR101187697B1 (ko) 2012-10-05

Family

ID=4300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479A KR101187697B1 (ko) 2009-03-02 2009-03-02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637A (ko) 2015-07-20 2017-02-01 서울우유협동조합 지방산 함량 및 오메가-3, 6의 비율이 개선된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610B2 (en) 2012-05-21 2013-12-31 Dsm Nutritional Product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food product additives
JP6376499B2 (ja) * 2012-05-21 2018-08-22 ディーエスエム ニュートリショナル プロダクツ アーゲーDSM Nutritional Products AG 食品添加物の安定性を高め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9637706B2 (en) 2012-07-31 2017-05-02 Dsm Ip Assets B.V. Refinement of oils using green tea extract antioxidants
CN105076723B (zh) * 2015-08-27 2018-08-31 广州市优百特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微胶囊化脂肪粉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0347B1 (en) 1995-09-21 2000-12-27 Andras Kékes-Szabo Feed additives having physiologically favourable effect
JP2001061345A (ja) 1999-08-27 2001-03-13 Nihon Shokken Co Ltd Dha(ドコサヘキサエンサン酸),epa(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を多く含むカイワレダイコン、モヤシの栽培方法
JP2001218558A (ja) 2000-02-10 2001-08-14 Fuji Oil Co Ltd 油脂組成物
KR100953858B1 (ko) 2008-12-23 2010-04-20 신봉석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0347B1 (en) 1995-09-21 2000-12-27 Andras Kékes-Szabo Feed additives having physiologically favourable effect
JP2001061345A (ja) 1999-08-27 2001-03-13 Nihon Shokken Co Ltd Dha(ドコサヘキサエンサン酸),epa(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を多く含むカイワレダイコン、モヤシの栽培方法
JP2001218558A (ja) 2000-02-10 2001-08-14 Fuji Oil Co Ltd 油脂組成物
KR100953858B1 (ko) 2008-12-23 2010-04-20 신봉석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637A (ko) 2015-07-20 2017-02-01 서울우유협동조합 지방산 함량 및 오메가-3, 6의 비율이 개선된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807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06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분말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CN104799278B (zh) 一种增强降血脂作用的磷虾油微胶囊及其制备方法
RU2592572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стабильности добавок к пищевым продуктам
Ibrahim et al. Chemical composition, medicinal impacts and cultivation of camelina (Camelina sativa)
JP4540672B2 (ja) 活性成分としてサルビア・スクラレア種子由来の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187697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EA017539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белок и диспергированный жир
CN105476011B (zh) 一种番茄红素软胶囊的制备方法
Ergönül et al. Cold pressed camelina (Camelina sativa L.) seed oil
KR100953858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US9763897B2 (en) Therapeutic astaxanthin and phospholipid com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
CN103340398A (zh) 一种以食用菌超微细粉为主要壁材的鱼油微胶囊产品的生产方法
KR100932480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유 계란의 생산방법 및 생산된 오메가―3 지방산 함유 계란
CN104450170A (zh) 一种营养保健抗癌菜籽油
KR100930266B1 (ko)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 콩나물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KR100932478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WO2010137783A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KR101858320B1 (ko)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488026B (zh) 一种复合油冲调粉剂的制作方法
KR20110131375A (ko)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KR100920693B1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KR20110086969A (ko)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RU2422031C1 (ru) Сливочно-растительный спред
KR20110015808A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WO2010101349A2 (ko)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시안아이드(-cn) 독성이 제거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사료첨가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