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20B1 -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20B1
KR101858320B1 KR1020150146354A KR20150146354A KR101858320B1 KR 101858320 B1 KR101858320 B1 KR 101858320B1 KR 1020150146354 A KR1020150146354 A KR 1020150146354A KR 20150146354 A KR20150146354 A KR 20150146354A KR 101858320 B1 KR101858320 B1 KR 10185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ethyl ester
acid methyl
brown
c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261A (ko
Inventor
김용욱
장세진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15014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3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기능성 지방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갈색거저리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전체 지방산 내에서 불포화 지방산을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있으며, ω-3 및 ω-6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영양학적 및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Edible Oil from Yellow Mealwor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기능성 지방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갈색거저리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지는 전통적으로 식물, 동물, 어류 등에서 얻어지고 있으며, 식품 중 쇼트닝, 마가린, 샐러드유와 요리용 기름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천연유지는 지방산의 탄소수, 지방산의 포화정도, 이성질체의 함량, 지방의 다형성(polymorphic state)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진다.
단백질과 함께 인간에게 필수적인 3대 영양소 중 하나인 지방을 이용한 유지산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용 식용유의 생산 시장 규모는 지난 20여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여 2014/15년 팜유(6,073만 톤), 대두유(4,679만 톤), 카놀라유(2,700만 톤), 해바라기씨유(1,518만 톤) 및 기타(2,357만 톤) 유지 순으로 총 17,327만 톤이 생산되었다.
식용유지 시장의 변화는 소비자의 건강식 소비패턴과 식생활 변화로 인한 발생하며, 특히 카놀라유의 경우 대두유에 비해 건강 기능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올리브유, 포도씨유에 비해 가격부담이 적어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영양학적으로 지방은 1 g당 9 kcal의 열량을 내는데, 이 값은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에 비하여 두배에 가까운 수치이다. 현대인은 섭취 에너지의 30% 정도를 유지를 통해서 얻고 있는데, 이러한 지방의 과다섭취는 심장질환, 비만과 암의 유발 등 건강상의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어, 유지류의 상품에 지방에 의한 열량 함량을 낮추면서도 불포화지방산 등 몸에 좋은 지방 성분의 함량을 높이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즉, 유지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는 한편, 유지의 기호성 즉 유지의 풍미성과 입에서 느끼는 감촉 등을 개선하면서도, 나아가 생리활성 물질의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능성을 지닌 새로운 개념의 유지의 생산과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유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성분의 생리활성이 밝혀짐에 따라 몸에 좋은 지방 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유지 성분을 갖는 미생물 또는 식물 소재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유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영양학적 기능적 관점에서 식용곤충의 절대적 상대적 성분함량과 효능이 다른 식품군에 비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있다. 통상적으로 식용곤충은 평균 50% ∼ 70%의 높은 단백질 함유량을 보유하고 있고, 필수 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풍부한 영양성분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식용곤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특정 질병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 갈색거저리의 경우 신경독성 자극물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Kim et al., 2015), 흰점박이 꽃무지의 경우 항종양(Lee et al., 2014)에 효과가 있으며, 장수풍뎅이는 항비만(Yoon et al., 2015)에 효과가 있는 등 곤충에서 분리된 다양한 성분이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식용곤충의 환경적, 사회경제적, 영양학적, 기능적 가치에 주목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이를 식용 소재로 하여 일반식품, 기능성식품, 의약용, 가축사료 그리고 저개발 국가 구호식 개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Korean Edible Insect Laboratory. 2015). 일반적으로 식용곤충은 생물 100 g당 약 10 ∼ 30 g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De Foliart, 1991), 동물성 지방에 비해 필수 지방산 함량이 높은데(Chen et al., 2009), 식용곤충의 지방 함유량은 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식용곤충의 지방은 1일 권장량에 근접한 에너지원을 제공 가능하므로(FAO, 2010; Smit et al., 2004), 세계 식용유 시장 소비패턴에 맞춰 새로운 기능성 식용유지 개발 및 이에 따른 식품 안정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식용곤충의 지방에 관한 연구는 영양학적 관점에서 대상 실험곤충의 지방 함량 및 조성에 관한 초기단계의 학술적 연구에 머무르고 있어 상용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기능성 지방산을 다량 포함하는 유지를 발굴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갈색거저리를 압착 추출하여 유지를 제조하는 경우, 비교적 간단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고도 불포화 기능성 지방산들을 다수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 제10-1100120호, 제10-0832397 및 제10-1406064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고도 불포화 기능성 지방산들을 다수 포함하며, 우수한 맛을 갖는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식용 유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갈색거저리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갈색거저리를 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압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갈색거저리(Yellow Mealworm, 학명 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을 의미한다. 상기 갈색거저리의 몸은 어두운 갈색이며 길이는 약 15mm의 곤충이다. 성충은 보통 곡류 속에 알을 낳는데 이 알은 1 내지 2주 후 부화하고, 부화한 유충을 밀웜(Mealworm)이라고 부른다. 유충은 9~20번의 탈피를 통해 번데기가 된 후 성충으로 우화하며, 야행성이고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지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갈색거저리는 성충, 유충, 번데기 등의 다양한 상태에서 유지 추출이 가능하나, 유지 추출의 편의 및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15 내지 20번의 탈피를 마친 유충 상태의 원료를 대상으로 유지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14년 7월 16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갈색거저리를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조’는 갈색거절리 원료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는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건조방법, 예를 들면, 송풍건조, 자연건조, 열풍건조, 고온건조, 저온건조, 동결건조, 마이크로웨이브건조, 적외선건조, 중적외선건조 및 냉풍건조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열풍건조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건조시간이 빠르고 시설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력에너지를 전자기파(파장영역 2㎛ ∼ 6 ㎛)로 변환시켜 식품 표면에 충돌·흡수되는 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중적외선 건조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사용한 에너지 대비 건조 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중적외선 건조는 8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40Å의 중적외선(MIR)을 조사하여 5 내지 10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풍 건조는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 및 시간 조건 범위 내에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향, 맛 및 색과 관련된 관능적 변화가 적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단계 (b)의 압착은 상온 압착 또는 120 내지 240℃의 고온에서 압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온압착은 100 내지 140℃의 제1온도조건, 140 내지 180℃의 제2온도조건 및 180 내지 240℃의 제3온도조건에서 순차적으로 3단계로 나뉘어서 1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다단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 다단압착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s)의 수율이 전체 유지조성 대비 10 중량% 이상으로 높아지고, 기능성을 갖는 ω-3 지방산의 추출량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가열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유지의 초기산화에 관여하는 과산화물가 및 연소시 인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향족의 벤조피렌 함량 또한 통상의 추출 방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유지의 유통기한 설정이 길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온의 가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아미노산 조성 중에 프롤린(Pro)과 글루타민(Glu) 함량이 증가하여 단맛과 감칠맛이 증가한 유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갈색거저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갈색거저리 유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며, C4 내지 C24의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는 전체 지방산 내에서 불포화 지방산을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잔부로는 포화지방산 및 트랜스 지방으로 이루어진다. 즉, 갈색 거저리 유지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데, 이러한 불포화 지방산은 세포막이나 혈관벽을 딱딱하게 만드는 포화 지방산과는 달리 세포막을 부드럽게 해 세포 내 노폐물이 잘 배출되도록 도와주고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높은 함량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인해 식용 유지로 사용하는 경우 맛을 좋게 하고, 열량을 많이 낼 뿐만 아니라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품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산은 탄소쇄의 길이 및 포화 특징을 기초로 하여 분류된다. 단쇄 지방산은 2 내지 약 6개의 탄소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포화된다. 중쇄 지방산은 약 6 내지 약 14개의 탄소를 가지고, 또한 일반적으로 포화된다. 장쇄 지방산은 16 내지 24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를 가지며,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다. 더 장쇄의 지방산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점이 존재하여 각각 용어 "단일불포화" 및 "다중불포화"의 근원이 될 수 있다.
18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를 갖는 장쇄 다중불포화 지방산(PUFA, Poly Unsaturated Fatty Acids)은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하다.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지방산의 명명법에 따라 지방산 내의 이중결합의 수 및 위치에 따라서 분류된다. 다중불포화 지방산에는 지방산의 메틸 말단에 가장 근접한 이중결합의 위치에 따라서 두 가지 주된 계열 또는 집단이 존재하는데, ω-3 계열은 세 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반면에, ω-6 계열은 여섯 번째 탄소까지 이중결합을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메틸 말단으로부터 세 번째 탄소에서 시작하는 6 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22 개의 탄소의 쇄 길이를 가지며, "22:6 n-3"으로 명명된다. 또한, 중요한 ω-6 다중불포화 지방산에는 "20:4 n-6"이라 칭하는 아라키돈산("ARA")이 포함된다.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산의 종류로는 미리스톨레익산 메틸 에스터(Myristoleic acid methyl ester), 시스-10-펩타테카노익산(cis-10-peptadecanoic acid), 팔미톨레익산 메틸 에스터(Palmitoleic acid methyl ester), 시스-10-헵타데카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0-heptadecanoic acid methyl ester), 엘라이딕산 메틸 에스터(Elaidic acid methyl ester), 올레익산 메틸 에스터(Ole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라이딕산 메틸 에스터(Linolelaid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익산 메틸 에스터(Linoleic acid methyl ester), 감마-리놀레익산 메틸 에스터(γ-linolenic acid methyl ester), 시스-11-에이코제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1-eicoseno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닉산 메틸 에스터(Linolenic acid methyl ester), 시스-11,14-에이코자다이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1,14-eicosadienoic acid methyl ester), 시스- 8,11,17-에이코자트리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8,11,17-eicosatrienoic acid methyl ester), 에루식산 메틸 에스터(Erucic acid methyl ester), 시스-11,14,17-에이코자트리에노익 메틸 에스터(cis-11,14,17-eicosatrienoic methyl ester), 아라키도닉산 메틸 에스터(Arachidonic acid methyl ester), 시스-13,16-도코자다이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3,16-docosadienoic acid methyl ester), 리오노세릭산 메틸 에스터(Lionoceric acid methyl ester), 네르보닉산 메틸 에스터(Nervonic acid methyl ester), 시스-4,7,10,13,16,19-도코자헥사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methyl ester) 등이 있고,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여러 종류의 중요한 ω-3 및 ω-6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인(P)과 칼륨(K) 등 무기성분의 함량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식물성 유지인 포도씨유나 카놀라유와 비교하여 Zn, Fe, Cu, Mg, Mn 등의 미네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영양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식물성 유지인 포도씨유나 카놀라유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특히 프롤린(Pro)과 글루타민(Glu) 함량이 높아 단맛과 감칠맛이 증가된 특징이 있고, 이외에도 식물성 유지에 부족한 Iso, Leu, Lys, Ala, Met, Cys 등의 아미노산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는 식용 유지를 더 포함하는 식용유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에 사용하는 식용 유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식용 유지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식용 유지로는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고, 미네랄과 아미노산 성분이 높아 영양성과 관능성이 뛰어난 고급 유지의 장점을 두루 갖는데, 이러한 장점은 다른 식용유지와 혼합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유지되며, 특히,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가 식물성 유지들과 혼합되게 되면 상호 부족한 성분이 보완되어 영양적인 측면에서 개선효과가 더욱 증가되게 된다. 상기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는 갈색거저리 유지와 상기 식용 유지의 비율은 0.01:99.9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99.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99.9 내지 30:9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는 튀김용 기름, 볶음용 기름, 샐러드용 기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하거나, 유지 가공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유지 가공 식품에는 마요네즈, 드레싱, 커피크리머 등의 수중유형 에멀젼과, 마가린, 버터크림, 스프레드 등의 유중수형 에멀젼과, 과자, 캔디류, 베이커리 식품 등이 포함된다. 식품에 함유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용유지 조성물의 함량은 각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식용유지는 도코사핵사엔산이나 아라키돈산 등의 여러 종류의 ω-3 또는 ω-6 지방산을 포함하여 인체 안에서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구조를 유지시키며, 원활한 신진대사를 돕고, 혈액의 피막형성을 억제하며, 뼈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식용유지는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맛이 좋고 고열량을 내어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용 유지로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식용유지는 단순하게 어류나 파충류의 사료로 사용되는 갈색거저리에 대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제시하여 유용곤충의 활용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특유의 고소한 향기 성분으로 건강 및 맛을 중시하는 소비 형태의 시장에서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높은 경쟁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 제조방법은 향, 맛 및 색과 관련된 관능적 성질이 우수한 유지를 생산할 수 있고,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s)과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증가되고, 기능성 성분인 ω-3 및 ω-6 지방산을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지의 제조에 적합하다.
(ii)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전체 지방산 내에서 불포화 지방산을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있으며, ω-3 및 ω-6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영양학적 및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iii) 본 발명 갈색거저리 유지는 식물성 유지에 부족한 다양한 아미노산을 섭취 보강할 수 있으며, 프롤린(Pro)과 글루타민(Glu)의 주성분에 의해 단맛과 감칠맛이 우수하여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우수한 식용유지의 개발에 적합하다.
(iv)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갈색거저리 식용유지는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맛이 좋고 고열량을 내어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용 유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상온에서 압력방식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지 및 고온에서 가열하여 압력 추출한 갈색거저리(Yellow mealworm)유지의 총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압력 및 가열-압력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Yellow mealworm lipids)의 무기성분 함량을 표시한 그래프이다[Ca(calcium), Mg(magnesium), K(potassium), P(phosphorus), Mn(manganeses), Fe(iron), Na(sodium)].
도 3은 갈색거저리 유지와 식물성 식용유(올리브유, 카놀라유, 대두유, 참깨유, 포도씨유)의 불포화지방산(C18:1, C18:2, C18:3) 조성 및 그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카놀라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대두유, 참깨유, 포도씨유, 갈색거저리 유지 1(상온 압력추출방법), 갈색거저리 유지 2(고온 가열-압력추출방법)].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1> 갈색거저리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갈색거저리는 2015년 전라북도 고창군의 밀웜농장 꼬물이들과 경기도 화성시의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크리켓팜에서 사육된 갈색거저리의 유충을 사용하였으며, 원료로부터의 배설물 오염방지를 위해 48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유지추출제조에 사용하였다.
<1-2> 갈색거저리 유지 추출
(ⅰ) 상온 압력 추출방식에 따른 유지 추출
상기 준비된 갈색거저리 3kg를 중적외선건조기(NO.13092 LZ-MIRC-MR3518-AP, LICHTZEN Co., Ltd, Gunpo-si,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110℃에서 18.7Å(MIR A-METER) 조건으로 7 분동안 1차로 건조시켰다. 이후 내부 잔열을 이용하여 2차 건조(85℃, 8.5Å, 7 min)하였다. 건조된 갈색거저리는 반자동 유압착유기(YJ-319, YOUNGJINMACHINE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압력방식으로 추출하였으며, 압착 조건은 600 MPa, 200 volts, 15 분이었다. 압착 후 여과 추출된 갈색거저리 유지는 상온상태에서 분석에 사용하였다(도 1 참조).
(ⅱ) 가열 압력 방식에 따른 유지 추출
상기 준비된 갈색거저리 3kg를 열풍건조기(COOK COSTEM. COSTEM Co., Gangju-si,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120℃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갈색거저리는 약 200℃에서 배전시킨 후, 연속식 자동 유압착유기(D-1683-1, DONGKWANG OIL MACHINE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유지를 추출하였다. 유압기는 고온·압착법에 의한 것으로 압착 조건은 600 MPa, 200 volts, 15 분으로 상기 상온 압력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이때 통과되는 관의 온도는 1관에서 120℃, 2관 157℃, 3관 213℃로 3단계의 다단 고온 온도상태를 적용하였다. 가열·압착 후 여과 추출된 갈색거저리 유지는 상온상태에서 분석에 사용하였다(도 1 참조).
<1-3> 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분석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공정분석방법에 따라 수분함량(%)은 105℃ 상압건조법, 조회분함량(%)은 550℃ ∼ 600℃ 회화법, 조단백함량(%)은 Kildahl 분해 후 질소계수(6.25)로 환산, 조지방함량(%)은 Soxhelt법, 조섬유함량(%)은 묽은 산, 묽은 알칼리, 알코올 및 에테르 처리 후 남은 불용성 잔사량에서 불용성 잔사의 회분량을 가감하여 산출하였다.
<1-4> 미네랄 성분 분석
무기질은 시료 3g을 취하여 회화시킨 뒤 방냉 후 염산 10 mL을 가해 수욕상에서 완전 증발 건고시킨 후 건고물에 염산 10 mL을 가하여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여과하였다. 불용물은 여지와 같이 사용했던 회화용기에 회화시킨 후 염산 2 mL을 가해 물 5 mL로 희석하여 수욕상 가온하고 여과한 액을 상기의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채운 후 1 N 염산을 가하여 100 mL로 정용한 것으로 시험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표준용액을 얻은 검량선을 이용하여 ICP-OES(Optima 7000DV, Perkin-Elmer, Shelton, CT, USA)로 정량하였다.
<1-5> 지방산 성분 분석
시료 중 지방산의 분석은 Gas Chromatography(Verian GC 450, Verian,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시료 조제는 식품공전의 방법과 동일하게 조제하였으며, 이때 지방산 표준용액은 지방산메틸에스터 혼합(37종) 표준폼 FAME Mix C4-C24(Supelco Inc, Bellefonte, PA, USA) 100 mg을 이소옥탄(isooctane) 1 mL에 녹여 조제하였다. 지방산의 정량은 분석조건을 다음과 같이 세팅(검출기는 FID이고, Column: SP-2560, 100m ×0.25mm ×0.20㎛, Inj Tem: 240℃, Det Tem: 250℃, Flow: 1.2 mL/min(split 20:1), Oven: 130℃ → 3 min hold, 10℃ 170℃ → 3 min hold, 1℃ 230℃ → 15 min hold)하여 분석하였다.
<1-6> 아미노산 성분 분석
17종의 아미노산 정량은 시료 0.1g을 취해 진한 염산 10 mL을 가한 후 110℃에서 24시간 분해하였다. 이를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0.02 N HCl로 10 mL 정용하여 HPLC(Alliance 2695, Waters, USA)로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조건은 특정 세팅 조건(Detector; Fluorescene detector: λem(250nm), λem(395nm), Column: Waters AccQ Tag column, Flow: 1.0 mL/min, 이동상; A: Aqueous buffer, Waters AccQ Tag Eluent A, B: acetonitrile, C: 3차 증류수를 조정)에서 분석하였다(표 1).
[표 1]. 이동상의 조건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1
<1-7> 지용성 비타민 성분 분석
비타민 A함량은 시료 1 g을 취해 에탄올 30 mL, 10% pyrogallol ethanol 용액 1 mL를 혼합하고 수산화칼륨용액 3 mL를 환류냉각기를 부착하여 비등수욕 중에서 30분간 비누화한 다음 석유에테르로 추출한 다음 감압건조하여 isopropanol에 녹여 여과하여 HPLC(Alliance 2695, Waters, USA)로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조건은 Detector: FL (ex: 340, em:460), Column: Hypersil Gold (C18, 150 mm ×4.6 mm, 5㎛), Flow: 0.6 mL/min, 이동상 A : B = MeOH : D.W. (95:5)이었다. 비타민 D함량은 시료 약 5 g을 취해 pyrogallol ethanol용액 40 mL를 넣어 혼합하고 KOH 10 mL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부착하여 비등수욕중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hexane용액으로 2회 반복 추출한 다음 상층액을 취해 1 N KOH 100 mL 넣어 진탕혼합하고 물층을 버린 후 0.5N KOH 40 mL를 넣어 다시 진탕혼합한 후 벤젠층 phenolphthalein용액으로 알칼리반응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세척한 다음 hexane층만을 분취하여 감압건고하여 MeOH 녹여 여과하여 HPLC(Alliance 2695, Waters, USA)로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조건은 [Detector: UV (254nm), Column: 전처리칼럼 Capcellpak MF C8 SG 80(4.6 mm ×150 mm, 5㎛), 농축칼럼 Capcellpak C18 UG 120V (2.0 mm ×35 mm, 5㎛), 분석칼럼 Capcellpak C18 UG 120V (4.6 mm ×250 mm, 5㎛), Flow: 전처리 300 ㎕/min, 분석 500 ㎕/min, 이때 전처리칼럼 이동상은 MeOH : EtOH : H2O = 74.7 : 8.3 : 17, 분석칼럼 이동상은 MeOH : EtOH = 9:1] 이었다. 비타민 E함량은 시료 약 0.8 g을 취해 에탄올 30 mL, pyrogallol ethanol용액 1 mL, 90% KOH용액 3 mL을 넣고 수욕 중에서 30분간 비누화한 다음 석유에테르로 추출한 다음 감압건조하여 hexane용액에 녹여 여과하여 HPLC(Alliance 2695, Waters, USA)로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조건은 [Column: 순상형 칼럼, 이동상: Hexane·Flow: 0.5 mL/min, Detector: Fluorescene detector λem(298nm), λem(325nm)]이었다.
<1-8> 산가, 과산화물과, 및 요오드가 분석
산가는 시료 5 g을 정확히 측정한 후 200 mL 삼각플라스크에 칭취한 다음 ether·혼합액(1:1, v/v) 20 mL을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1% phenolphthalein 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 후, 0.1 N K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측정하였다. 과산화물가는 ICU(International Chemical Union)법에 따라 시료 1 g을 200 mL 삼각플라스크에 정확히 칭취하고 chloroform 용액 10 mL에 용해한 다음 glacial acetic acid 15 mL를 혼합한 후 KI 포화용액 1 mL를 가하고 마개를 막은 후 1분간 격렬하게 진탕한 다음 5분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하였다. 그 다음 마개를 연 후 H2O 75 mL를 가하여 마개를 다시 하고 심하게 진탕한 후 1% 전분용액을 3~4방울 떨어뜨린 후, 0.01 N Na2S2O3 용액으로 청색이 무색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측정하였다. 요오드가는 Wijis법에 따라 시료 0.1 g을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정확하게 취하고 chloroform 용액 15 mL에 용해한 다음 ICI 용액 25 mL를 pipette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적가한 다음 암실에서 30분간 방치한다. 그 다음 마개를 연 후 1 N KI 용액 20 mL과 H2O 100 mL를 가하여 흔들어 섞은 다음 1% 전분용액을 3~4방울 떨어뜨린 후, 0.1 N Na2S2O3 용액으로 청색이 무색이 될 때가지 적정하여 측정하였다.
<1-9> 통계분석
모든 실험은 한국기능식품연구원과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연구센터에 의뢰하였으며, 실험에 대한 결과는 각 분석 당 3회 반복하여 도출된 측정값을 비교 조사하였다.
2. 실험결과
<2-1> 갈색거저리 유지의 추출수율 및 일반성분 함량
압력 및 가열-압력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로부터 추출된 유지의 추출수율 및 일반성분 함량은 표 2와 같다.
[표 2] 상온 및 고온 압력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수율 및 일반성분 함량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2
추출 전 갈색거저리의 총 무게는 3,000 g이었으며, 추출 후 상온에서 압력 추출방법에 의한 갈색거저리 유지의 총 함량은 180 g, 가열-압력 추출하는 방법의 경우 850 g 으로 나타났다. 유지의 추출수율은 추출 전 갈색거저리 총 무게(g)에 대한 추출된 유지 무게(g)의 백분율로 나타내며 압력 추출은 6.00%, 가열-압력 추출의 경우 28.33%로 고온 추출 방식이 압력 추출에 비해 약 4.72배 높았다. 이는 추출 중 통과하는 관의 120℃ ∼ 210℃ 범위의 3단계 추출방식을 적용하여 추출수율이 높아진 결과이다. 갈색거저리 유지의 수분함량은 상온 압력 추출이 가열-압력 추출에 비해 5배 많은 0.30%의 비율로 나타났다. 식품의 형태, 맛 및 품질에 있어서 중요한 수분함량은 미생물의 생존 및 성장환경과 밀접하며, 이는 식품의 저장성에 관여하기도 하므로 건조를 통해 수분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E. Siemianowska et al., (2013)의 연구에서 수분함량이 약 56.27%인 갈색거저리는 열풍건조 후 약 2.43%로 감소하였다. 중적외선 건조는 동일한 조건에서 열풍 건조에 비해 수분 증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나(Lee JH, 2008), 열풍 건조를 거친 가열-압력 추출에서의 갈색거저리 유지의 수분함량은 0.06%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 전 건조시간 차이와 추출 중 연속적 가열로 인한 수분손실 결과 차이로 사료된다.
갈색거저리 유지의 조단백 함량은 압력 추출에서 0.45%, 가열-압력 추출은 0.15%로 3배 차이가 났으며, 조지방의 경우 각각 99.17% 및 99.81%로 추출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조회분 함량은 압력 및 가열-압력 추출방법 모두 0.08%로 같았으며, 조섬유는 압력 추출 0.20% 및 가열-압력 추출 0.06% 함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열에 의한 단백질 변성과 그에 따른 단백질 함량 차이 및 압력에 의한 갈색거저리 껍질로부터 추출된 키틴 등의 다당류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2-2> 갈색거저리 유지의 무기성분 함량
압력 및 가열-압력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의 무기성분 함량 분석결과 도 2와 같으며,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인(P), 망간(Mn), 철(Fe) 및 나트륨(Na)을 분석하였다. 압력 추출방법에 의한 갈색거저리 유지에서는 인(P)을 26.194 mg/g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 나트륨(Na) 23.985 mg/g, 칼륨(K) 9.936 mg/g 순으로 나타났다. 가열-압력 추출방법의 경우 인(P) 67.134 mg/g, 칼륨(K) 34.450 mg/g 및 마그네슘(Mg) 11.074 mg/g이 분석되었다. 상기 분석결과, 갈색거저리 유지는 동·식물성 급원 미네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골격 및 치아형성, 지방산 이동에 좋은 인(P)과, pH 조절, 신경전달에 좋은 칼륨(K)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3> 갈색거저리 유지의 아미노산 조성 및 그 함량
상온에서 압력방식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지와 고온에서 가열-압력방식으로 추출한 갈색거저리 유지의 총 17종 아미노산 조성 함량 분석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추출방법에 따른 유지의 아미노산 조성 및 그 함량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3
상온 압력 추출방법에 의한 갈색거저리 유지는 프롤린(Pro) 함량이 147.02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글루타민(Glu)13.13 mg/100g, 알긴(Arg)8.21 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가열-압력 추출방법의 경우 프롤린(Pro)500.17 mg/100g, 글루타민(Glu)28.04 mg/100g, 알긴(Arg)15.54 mg/100g으로 약 2배 이상 높았다. 이외 세린(Ser), 알라닌(Ala), 티로신(Tyr), 발린(Val), 페닐알라닌(Phe)함량이 11.18 mg/100g ∼ 13.02 mg/100g 범위였다. 갈색거저리에 비해 갈색거저리 유지의 각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열에 의한 단백질 함량 및 조성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갈색거저리 유지의 경우 포도유에 부족한 이소루신(Iso), 루신(Leu), 리신(Lys), 알라닌(Ala)을, 올리브유에 부족한 메티오닌(Met), 시스틴(Cys)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식물성 유지에 부족한 다양한 아미노산을 섭취 보강할 수 있으며, 프롤린(Pro)과 글루타민(Glu)의 주성분에 의해 단맛과 감칠맛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2-4> 갈색거저리 유지의 지방산 조성 및 그 함량
총 37종 지방산 조성 분석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갈색거저리 유지 중 포화지방산은 압력 추출에서 73.15%, 가열-압력 추출에서는 60.07%였으며,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각각 26.70% 및 39.13%로 일반적인 동물성 지방에 비해 불포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포화지방산은 팔미트산(C16:0)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은 올레산(C18:1), 리놀레산(C18:2) 및 리놀렌산(C18:3)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표 4]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의 지방산 조성 및 그 함량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4
유지 내 지방산 함량은 추출 대상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으며, 콜레스테롤 농도와 관련하여 영양학적으로 아주 중요하다. 불포화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식물성 지방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으며, 섭취 시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농도는 높일 수 있으나 유지 산화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동물성 지방에 많은 포화지방산은 저밀도 콜레스테롤(LDL)과 관계있으며 불포화지방산에 비해 상온에서 안정적이고 융점이 높다. 그러나 갈색거저리 유지에 다량 함유된 팔미트산은 불포화지방산에 비해 세포증식 저해효과가 우수하고 간암 등 항암에 효과가 있다.
갈색거저리 유지의 영양학적 가치 정도를 알아보고자 시장 점유율이 높은 식물성 식용유와 비교해 보았다. 비교 조사된 식용유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카놀라유, 대두유, 참깨유 및 포도씨유였으며, 현 소비경향의 주 관점인 건강기능에 초점을 맞춰 각 식용유의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C18:1), 리놀레산(C18:2) 및 리놀렌산(C18:3) 함량을 조사하였다(도 3).
총 6종의 유지 중 올레산은 올리브유가 76.34%로 현저하게 높았으며, 그 다음 카놀라유 62.41%, 상온 압착방식의 갈색거저리 유지 42.22%, 고온 가압-압착 방식의 갈색거저리 유지 37.01% 순이었다. 리놀레산의 경우 포도씨유 68.60%, 대두유 56.02%, 참깨유 44.19%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온 압착방식의 갈색거저리 유지 15.79%, 고온 가압-압착 방식의 갈색거저리 유지 12.66%로 다른 유지에 비해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다. 총 6종의 유지는 올레산과 리놀레산이 85.78% ∼ 99.75%이상 차지하였으며, 리놀렌산은 0.25% ∼ 14.22%로 비율이 낮았다.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으로 섭취 시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감소시키고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은 증가시키는 반면 올레산은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감소시키지만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중결합의 수는 산화속도와 비례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3개의 이중결합을 가진 리놀렌산 함량이 높을수록 유지의 저장수명을 늘일 수 있다. 갈색거저리 유지의 경우 식물성 유지들과 비교한 결과 리놀레산과 리놀렌산 함량이 높아 산화 안정성이 높고, 저밀도 콜레스테롤 저하 및 고밀도 콜레스테롤 증가와 관련된 건강기능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 세계 식용유 소비 시장에서 각과을 받고 있는 카놀라유와 비교하여도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조성비가 우수하여 식용 가능한 유지로서 매우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2-5> 갈색거저리 유지의 지용성 비타민 함량
갈색거저리 유지의 비타민 E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타민 E 또는 토코페롤(tocopherol)은 식용유지 내에 존재하는 천연항산화제로 유지의 저장기간과 관계가 있다. 추출된 갈색거저리 유지의 비타민 A, D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 E의 경우 상온에서 압력 추출한 경우 0.11 mg/100g, 고온에서 가열-압력 추출한 경우 0.06 mg/100g으로 측정되었다(표 5).
또한 페놀화합물은 유지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항산화제로 갈색거저리 유지의 페놀화합물은 상온 압력추출 방식은 2.48 mg/g, 고온 가열-압력추출 방식은 1.43 mg/g 으로 조사되었다. 유지에 존재하는 다양한 항산화제는 서로간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지를 보다 더 안정적인 상태로 변화시키는데, 갈색거저리 유지 내 비타민 E(tocopherol)와 총 페놀 함량은 극히 소량이었으나, 상호 항산화반응을 통하여 유지의 저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표 5]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의 비타민 및 총 페놀 함량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5
<2-6> 갈색거저리 유지의 산화 안정성
유지의 산화안정성은 유지 제조과정 또는 저장기간 중 발생되는 영양가 저하, 이취발생 등 유지의 품질과 유통기한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척도가 된다. 유지의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중항 산소(3O2) 또는 1중항 산소(1O2)와 같은 산소의 종류 및 농도, 유지의 지방산 조성, 유리지방산 함량, 과산화물, 제조과정, 온도, 빛, 미량 금속성분 및 항산화제 등으로의 산가, 과산화물가, 요오드가 측정을 통해 유지의 변패정도를 알 수 있다.
산가는 지방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것으로 유리지방산 함량이 증가하면 산가는 높아진다. 과산화물가는 지방의 자동산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생성되는 히드로페록시드(hydroperoxide)양으로 나타내며, 히드로페록시드는 생성과 함께 중합, 분해되므로 실제 측정되는 양은 (생성 및 중합·분해)의 양을 의미한다. 히드로페록시드는 산화 초기에 생성속도가 증가하지만 산화가 진행될수록 그 양이 축적되어 생성속도가 감소하므로, 과산화물가는 유지의 초기 단계의 자동산화 정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요오드가는 유지의 지방산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 이중결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지의 산화속도는 빨라진다.
아래 표 6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지의 산가는 상온의 압력추출 방식에서는 1.2였으며, 고온에서의 가열-압력 추출 방식에서는 2.7로 나타나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규격인 3.0 이하에 부합된다.
[표 6] 갈색거저리 유지의 산화안정성
Figure 112015101906344-pat00006
또한, 과산화물가는 상온 압력 추출 11.5 meq O2/kg, 고온 가열-압력 추출 1.9 meq O2/kg로 약 10배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준규격 30 meq O2/kg 이하로 부합되었다. 요오드가는 상온 압력 추출 88.9 g I2/100g 및 고온 가열-압력 추출 98.5 g I2/100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올리브유(80 g I2/100g)와 유사한 수준으로 불건성유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지는 산화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1)

  1. (a) 갈색거저리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갈색거저리를 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압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a)의 건조는 8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0 내지 40Å의 중적외선(MIR)을 조사하여 5 내지 10분 동안 건조하는 중적외선 건조, 또는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열풍 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의 압착은 100 내지 140℃의 제1온도조건, 140 내지 180℃의 제2온도조건 및 180 내지 240℃의 제3온도조건에서 순차적으로 3단계로 나뉘어서 1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다단 방식의 고온 압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거저리 유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색거저리 유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유지는 전체 조성 내에서 불포화지방산을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유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미리스톨레익산 메틸 에스터(Myristoleic acid methyl ester), 시스-10-펩타테카노익산(cis-10-peptadecanoic acid), 팔미톨레익산 메틸 에스터(Palmitoleic acid methyl ester), 시스-10-헵타데카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0-heptadecanoic acid methyl ester), 엘라이딕산 메틸 에스터(Elaidic acid methyl ester), 올레익산 메틸 에스터(Ole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라이딕산 메틸 에스터(Linolelaid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익산 메틸 에스터(Linoleic acid methyl ester), 감마-리놀레익산 메틸 에스터(γ-linolenic acid methyl ester), 시스-11-에이코제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1-eicosenoic acid methyl ester), 리놀레닉산 메틸 에스터(Linolenic acid methyl ester), 시스-11,14-에이코자다이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1,14-eicosadienoic acid methyl ester), 시스- 8,11,17-에이코자트리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8,11,17-eicosatrienoic acid methyl ester), 에루식산 메틸 에스터(Erucic acid methyl ester), 시스-11,14,17-에이코자트리에노익 메틸 에스터(cis-11,14,17-eicosatrienoic methyl ester), 아라키도닉산 메틸 에스터(Arachidonic acid methyl ester), 시스-13,16-도코자다이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13,16-docosadienoic acid methyl ester), 리오노세릭산 메틸 에스터(Lionoceric acid methyl ester), 네르보닉산 메틸 에스터(Nervonic acid methyl ester), 시스-4,7,10,13,16,19-도코자헥사에노익산 메틸 에스터(cis-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methyl est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갈색거저리 유지.
  9. 제6항의 갈색거저리 유지와 식용 유지를 포함하는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유지는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는 갈색거저리 유지:식용 유지를 0.1:99.9∼30: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갈색거저리 식용 유지.
KR1020150146354A 2015-10-21 2015-10-21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54A KR101858320B1 (ko) 2015-10-21 2015-10-21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54A KR101858320B1 (ko) 2015-10-21 2015-10-21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61A KR20170046261A (ko) 2017-05-02
KR101858320B1 true KR101858320B1 (ko) 2018-05-15

Family

ID=5874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354A KR101858320B1 (ko) 2015-10-21 2015-10-21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06B1 (ko) 2017-08-08 2019-03-27 이성문 고소애 단백질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백질 스낵
CN113563411A (zh) * 2021-08-25 2021-10-29 青岛新农康源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黄粉虫蛋白质提取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0592A (zh) * 2010-06-13 2010-11-10 中山大学 棕尾别麻蝇蛆作为油料昆虫的应用
JP2012532964A (ja) * 2009-07-14 2012-12-20 レンタス・エ・インベルシオネス・エコテクノス・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昆虫の幼虫から脂肪酸を得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2964A (ja) * 2009-07-14 2012-12-20 レンタス・エ・インベルシオネス・エコテクノス・ソシエダッド・アノニマ 昆虫の幼虫から脂肪酸を得る方法
CN101880592A (zh) * 2010-06-13 2010-11-10 中山大学 棕尾别麻蝇蛆作为油料昆虫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61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07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s the active ingredient components from Salvia sclarea seed
Haq et al. Quality properties and bio-potentiality of edible oils from Atlantic salmon by-products extracted by supercritial carbon dioxide and conventional methods
US8895767B2 (en) Obtaining fatty acids from insect larvae
Nyanz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fatty acid profiles of Passiflora seed oils from Uganda
Ergönül et al. Cold pressed camelina (Camelina sativa L.) seed oil
CA2694054A1 (en) Omega-3 fatty acid fortified composition
Arain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il and seed residues of Bauhinia variegata and Bauhinia linnaei
TWI720184B (zh) 分離型液體調味料、及分離型液體調味料之製造方法
TWI392499B (zh) A fat composition, and a food containing the fat and oil composition
McKeon Emerging industrial oil crops
KR101858320B1 (ko) 갈색거저리 유지 및 그 제조방법
Abitogun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seed and characterization of crude jack bean (Canavalia ensiformis) oil
Jinadasa et al. Current trends and next generation of future edible oils
Adeyeye et al. Enhanchement of lipid quality of raw guinea corn (Sorghum bicolor) grains through germination and steeping
AU654803B2 (en) Process for enrichment of fat with regard to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phospholipids, and application of such enriched fat
Rasor et al. Fats and oils–plant based
Suzuki et al. Changes in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Chum Salmon Muscle During Spawning Migration and Extrusion Cooking
Olajuyigbe et al. Extraction and GC-MS analysis of the fatty acids in commonly consumed melon seed varieties in Nigeria
Rahman et al.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id from Pangus fish (P. Pangasius) available in Bangladesh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Özyürek et al. Fatty acid profile and health lipid indices in the milk of ewes feeding with soybean oil
JP6799834B2 (ja) 食用鯨油組成物の製造方法
JP6613504B2 (ja) 養魚用飼料
Astuti et al. Chemical and Fatty Acid Characterization of the Penja Fish (Sicyopterus parvei) Oil in Budong-Budong River Estuary, West Sulawesi, Indonesia.
Adeyeye et al. Lipi d composition of three types of vegetables: Corchoru s olitorius, Telferia occidentalis and Amaranthus hybridus, consumed in Nigeria
JP2020099206A (ja) 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