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375A -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375A
KR20110131375A KR1020100050778A KR20100050778A KR20110131375A KR 20110131375 A KR20110131375 A KR 20110131375A KR 1020100050778 A KR1020100050778 A KR 1020100050778A KR 20100050778 A KR20100050778 A KR 20100050778A KR 20110131375 A KR20110131375 A KR 20110131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reast milk
secretion
extract
milk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김영선
박광현
노금철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노 금 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노 금 철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375A/ko
Publication of KR20110131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족(足)과 적두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돼지족과 적두 혼합물의 추출물은 유즙의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호르몬인 프로락틴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활성, 유즙 분비 관련 유전자인 β-case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 등을 가진다.

Description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r Secretion of Breast Milk}
본 발명은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돼지족(足)과 적두 혼합물 추출물을 이용한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이상적인 영양성분들 즉 단백질, 지방, 당질(젖당), 무기질 및 각종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균형 있게 존재할 뿐만 아니라 면역글로블린, 인터페론, 인터루킨, 락토페린 등과 같은 면역성분들도 포함되어 신생아들에게 쉽게 감염될 수 있는 수막염, 중이염, 호흡기 또는 비뇨기 감염 등의 질환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모유 수유를 충분히 받았던 아이들이 장염, 위염, 피부염, 심장질환 등의 발병률이 낮고, 유아의 지능 발달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모유 수유의 중요성이 많이 알려짐에 따라 모유 수유를 희망하는 산모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출산 후 6개월 모유 수유 실천율은 29.9%로 낮은 편이다. 그 이유로는 모유량 부족, 엄마의 직장 복귀, 아기가 우유를 더 좋아함 등이며, 모유량이 부족해서라는 요인이 최고 67%을 차지하여 가장 큰 이유라고 조사되었다.
모체의 유즙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인 프로락틴(prolactin)을 중심으로 여성난포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GH, TSH 등 다양한 호르몬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 유즙 분비 촉진은 일차적으로 유즙 분비 관련 유전자인 β-casein 유전자와 아미노산, 칼슘 및 인의 대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프로락틴 등의 호르몬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β-casein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이나 조성물은 모유 생성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돼지족과 적두 혼합물을 물,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유즙의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호르몬인 프로락틴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고 유즙 분비 관련 유전자인 β-casei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유선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하였을 때 유선 조직의 alveoli의 치밀도가 증가하고 단위 면적당 alveoli의 개수와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선 조직에서 유즙을 형성하는 부위인 alveoli와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alveoli epithelium 및 치밀도를 관찰하는 것은 유즙 형성의 증감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Kim et al., J orient. obst. gynol. 2004).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은 아래의 (Ⅰ) 및 (Ⅱ)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Ⅰ) 돼지족 또는 그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및
(Ⅱ) 적두 또는 적두의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으로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세절물"은 돼지족 또는 적두가 2 등분 이상으로 세절되어진 것으로서, 그 세절된 것의 입경이 1mm 이상인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1mm 내지 2cm의 것을 말한다. "분말"은 상기 세절물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정의되는데, 그 분말 입경이 1mm 이하의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도 입경은 입자 길이 방향의 직경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에서, 돼지족은 가공되지 않은(삶지 않은) 상태의 돼지족, 삶은 상태의 돼지족, 삶은 돼지족을 건조하고 세절한 세절물, 삶은 돼지족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에서 적두도 세절물 또는 분말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모유 생성 촉진 활성 및/또는 모유 분비 촉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풍미를 증진시키고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한약재 등 여러 기능성 재료 또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재료 또는 성분으로서는 호박, 생강, 차조, 들깨, 다시마, 약쑥, 녹차, 박하, 민들래, 천궁, 당귀, 숙지황, 감초, 삼백초, 익모초, 복령, 맥문동, 배초향, 잔대 등의 세절물, 분말 또는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세절물, 분말 그리고 추출물의 의미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추출물은 상기 2가지 이상의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돼지족과 적두를 이용한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유즙 분비 촉진 유전자인 β-casein mRNA 발현량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유선 조직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모유 분비 촉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모유 분비 촉진 조성물의 제조예 1
돼지족을 동결건조시켜 얻은 분말 90g과 적두 10g을 혼합하고 여기에 70% 에탄올 1ℓ를 넣은 다음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돼지족과 적두 혼합물의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모유 분비 촉진 조성물의 제조예 2
돼지족을 동결건조시켜 얻은 분말 90g과 적두 10g을 혼합하고 여기에 물을 1ℓ를 넣고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돼지족과 적두 혼합물의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모유 분비 촉진 조성물의 비교 제조
돼지족을 동결건조시켜 얻은 분말 100g에 물을 1ℓ를 넣고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돼지족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모유 분비 촉진 효과에 대한 실험
<실험예 1> 혈청 프로락틴 농도 측정
<실험예 1-1> 실험동물
임신 18일째인 8-9주령의 체중 38-40g의 ICR(C-1) 마우스는 (주)오리엔트바이오(성남, 대한민국)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간과 야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점등과 소등을 12시간마다 반복하였다. 각각 독립된 상자에 1마리씩 분사하여 사육 시설의 환경에 적응시켰고 분만 후 새끼와 분리하지는 않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만일을 0 일차로 하였고 다음날을 1 일차로 하였다.
<실험예 1-2> 모유 분비 촉진 조성물의 투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마리당 300㎕ 씩 투여할 수 있도록 에펜도르프 튜브에 총 투여 횟수에 맞게 분주하여 영하 70℃ 이하에 보관하였고, 투여 직전 37℃에서 해동하여 존대를 이용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동일한 양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투여 횟수는 1일 2회로서 아침 9시와 저녁 8시에 투여하였다.
<실험예 1-3> 혈액 채취 및 혈청 분리
생리식염수 또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투여를 지속한 마우스는 5일차의 저녁, 최종 약물을 투여하고 2시간이 경과한 후 동물은 케타민과 럼푼을 3:1로 섞은 마취제로 마취시켜 복강내 간대정맥에서 항응고제 무첨가 조건으로 혈액을 분리하였고, 즉시 에펜도르프 튜부에 옮긴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응고시켰다. 분리된 응고혈에서 혈청은 4℃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Vision Sci., 대한민국) 상청액을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청은 100㎕씩 분주하여 영하 70℃에서 보관하며 향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4>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 측정
마우스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프로락틴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이용한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ant assay)를 실시하였다(R&D systems. 미국). 제공된 multiwell plate에 capture antibody를 100㎕ 씩 첨가하여 항체를 coating하고 blocking을 한 후 혈청 샘플과 검량선 작성용 prolactin을 농도별로 100㎕씩 넣고 overnight로 반응시켰다. wash buffer(0.05% tween 20-PBS, pH 7.4)로 well을 3회 세척하고 detection antibody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시 wash buffer 로 3회 세척한다. streptavidin-HRP를 처리하고 3회 세척한 후 TMB(tetramethylbenzidine)와 hydrogen peroxide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색시켰고 20분간 반응 후 2N 황산용액으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발색도는 spectrophotometer(SpectraMax, Molecular Devices, Germany)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량선의 x축과 y축은 log 수치로 작성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프로락틴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를 참조하여 보면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해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가, 프로락틴의 농도가 50% 내지 100% 가량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조성물 투여군이 비교예 조성물 투여군에 비해 40% 내지 6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 NC는 생리식염수 투여군, PC는 비교예 조성물의 투여군, A는 <실시예 1> 조성물의 투여군, B는 <실시예 2> 조성물의 투여군이다(이하도 같다)
<실험예 2> 유즙 분비 촉진 유전자인 β- casein mRNA 발현량 측정
<실험예 2-1> 유선으로부터 총 RNA 추출
희생시킨 마우스의 복부에서 좌측 상단 1번과 2번의 유선을 척출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급속 냉동시키고, DNA trap filter가 포함된 총 RNA 추출 키트 (Quiagen, 미국)를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총 RNA는 260/280 nm 흡광도비를 측정함으로서 RNA 농도를 정량하였고 이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2-2> Reverse transcription ( RT )
1번과 2번 유선에서 추출한 각 RNA (0.5 ㎍)를 1 μM 의 oligo dT primer와 10 mM dNTP, 5x buffer, 0.1 M DTT, 200 unit superscript 및 5% DMSO가 포함된 premix(Invitrogen, 미국)에 20㎕의 용량에 맞추어 thermal cycler를 이용하여 RT를 실시하였다. cycle 조건은 시약 공급자가 설명서에 지시한 대로 42℃에서 60분, 70℃에서 15분으로 프로그램하였고, 시료를 회수 할 때까지 4℃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2-3> Real time qPCR
상기 <실험예 2-2>에서 RT를 통해 얻어진 cDNA를 이용하여 β-casein (CSN2, NM_009972)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eal time qPCR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primer로서 forward sequence는 5'-TCCTTTCAGCTCCT-3'(서열번호 1)이고 reverse sequence로는 5'-CAAGAGCAAGGGCCACAA G-3'(서열번호 2)을 합성하여 사용하였고(제노텍, 대한민국), Housekeeping gene으로는 마우스 18s rRNA (SABioscience, 미국)를 사용하였고 qPCR용 SYBR pre-mix는 SABioscience 사(미국)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기기는 7900HT Fast Real-Time PCR System (미국)을 이용하였고, 시약 제조사의 지시 프로토콜에 따라 50℃에서 2분, 95℃에서 10분, 95℃에서 15초, 60℃에서 1분을 1 cycle로 하여 총 60 cycle을 진행하였다. β-casein 의 발현양은 기기 공급사의 자동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YBR에 의한 시그널이 증폭되기 시작하는 cycle 수 (ct value)의 18s rRNA의 ct value에 대한 값으로 환산하였고, 무처리군의 β-casein/18s rRNA의 값을 100%로 기준하여 시험군의 β-casein mRNA 발현양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도 1>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β-casein 발현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 조성물 투여군이 비교예 조성물 투여군보다 β-casein 발현량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조직학적 연구
희생시킨 마우스의 복부 우측 1번과 2번의 유선을 절제하여 10% 포르말린에 담가 4℃에서 overnight로 고정시켰다. 고정된 유선조직은 절개하여 탈수 과정과 포매 과정을 거쳐 블록을 제작하였고, 5㎛ 두께로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슬라이드 위에 중첩시킨 후 60℃에서 2시간 이상 부착 과정을 거쳤다. 부착된 조직 절편은 자일렌(xylene)과 에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탈 파라핀 과정을 거쳤으며 마지막에 함수과정을 거쳐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실시하였다. 비형광성 mounting 용액을 이용하여 커버슬라이드를 덮어 건조시킨 후, 광학현미경(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상을 관찰하고 디지털 CCD 카메라(Leica DC200, Gamany)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도 <도 1> 및 <도 2>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실시예 조성물의 경우가 대조군과 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하게 유선 조직의 alveoli의 치밀도가 높아졌으며 단위 면적당 alveoli의 개수와 크기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각 alveoli 사이의 angiogenesis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혈류 공급이 원활하여지므로 유즙형성을 위한 biosynthesis가 증가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아래의 (Ⅰ) 및 (Ⅱ)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Ⅰ) 돼지족 또는 그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및
    (Ⅱ) 적두 또는 적두의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돼지족 또는 적두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박, 생강, 차조, 들깨, 다시마, 약쑥, 녹차, 박하, 민들래, 천궁, 당귀, 숙지황, 감초, 삼백초, 익모초, 복령, 맥문동, 배초향 및 잔대 중에서 하나 이상의 것을 세절물, 분말 또는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KR1020100050778A 2010-05-31 2010-05-31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KR20110131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78A KR20110131375A (ko) 2010-05-31 2010-05-31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78A KR20110131375A (ko) 2010-05-31 2010-05-31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75A true KR20110131375A (ko) 2011-12-07

Family

ID=4549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778A KR20110131375A (ko) 2010-05-31 2010-05-31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492A (zh) * 2015-05-27 2015-09-16 薛运浩 芪术南瓜二米粥
CN108576234A (zh) * 2018-04-10 2018-09-28 中食月太(北京)健康科技有限公司 提高产妇泌乳量的食品及其制备方法
CN114886030A (zh) * 2022-06-02 2022-08-12 湖南农业大学 一种母猪用复方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492A (zh) * 2015-05-27 2015-09-16 薛运浩 芪术南瓜二米粥
CN108576234A (zh) * 2018-04-10 2018-09-28 中食月太(北京)健康科技有限公司 提高产妇泌乳量的食品及其制备方法
CN114886030A (zh) * 2022-06-02 2022-08-12 湖南农业大学 一种母猪用复方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886030B (zh) * 2022-06-02 2024-01-09 湖南农业大学 一种母猪用复方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034B2 (ja) 糖尿病予防または改善剤
JP5459644B2 (ja) 肝機能改善剤組成物
TWI610680B (zh) 含有去鼠李糖洋丁香酚苷(Des Rhamnosyl Acteoside)之橄欖萃取物
CN113873895A (zh) 肝功能改善用组合物
CN104824303A (zh) 儿童加锌巧克力奶糖
KR20110131375A (ko) 모유 생성 또는 분비 촉진제 조성물
WO2005105125A1 (ja)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6778506B2 (ja) 機能性食品組成物
KR20190109926A (ko)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42352B1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6815B1 (ko)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2531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소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060B1 (ko)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JP2001299272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2380290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76052B1 (ko) 복분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함유하는 뼈 성장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조성물
KR102121111B1 (ko) 미국 풍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8305A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101923822B1 (ko) 산수유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US8128969B2 (en) 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acacia bark derivative
KR20200081310A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00019930A (ko)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염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9

Effective date: 20130808